KR101599665B1 -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65B1
KR101599665B1 KR1020150000646A KR20150000646A KR101599665B1 KR 101599665 B1 KR101599665 B1 KR 101599665B1 KR 1020150000646 A KR1020150000646 A KR 1020150000646A KR 20150000646 A KR20150000646 A KR 20150000646A KR 101599665 B1 KR101599665 B1 KR 10159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heavy equipment
management computer
transport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욱
강영균
박준서
김지훈
전장우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 G01G19/1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폐자재 및 잔토가 중장비로부터 적재되고, 상기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를 최대적재량 내에서 운반하는 운반차량, 상기 운반차량의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 상기 TPMS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자재 및 잔토가 적재되기 전의 제1공기압과 적재된 후의 제2공기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의 적재량을 계산하는 제어부, 상기 적재량을 상기 중장비로 송신하는 운반차량 신호송수신부 및 상기 중장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의 적재량을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TRUCK USING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축 폐기물이나 잔토를 정해진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운반차량에 적재시 최대적재량 초과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며, 공사현장 및 본사의 관리 컴퓨터에 각 운반차량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함으로써, 잔토 운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의 경우 필연적으로 건축 폐기물이나 잔토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폐기물 및 잔토는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로 운반차량에 적재되며, 정해진 장소에서 매립되고 있다.
이때 잔토를 운반하는 운반차량의 경우, 운송업자나 개인 차주가 일단위로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건설회사는 운반 차량에 대해 관리인원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통상적으로 잔토를 운반하는 차량은 포크레인 등의 장비 기사가 실어주는 대로 잔토를 운반하게 되고, 상기 장비 기사들은 잔토의 양을 눈 대중으로 상차함으로 인해, 비온 후 물이 먹은 잔토나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철 등이 포함된 폐기물들은 같은 양을 실어도 중량이 무거우므로 최대적재량을 쉽게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벌금에 다른 비용손실 및 운반차량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차량의 최대적재량 감지를 위해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을 이용하여, 물건의 적재전과 후의 타이어 압력의 비교를 통해 적재량을 감지하는 기술(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 공보 10-0777914)이 개발되어 있다.
다만, 차량의 최대 적재량을 감지한 후, 이를 관리 감독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구현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잔토의 종류에 따라 적재하는 시간의 차이가 있어, 대기 중인 운반차량의 효율적 분배가 문제가 되고 있어, 이를 중앙에서 관리, 배분하는 시스템이 요구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 공보 10-0777914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공개 공보 10-2014-00238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차량의 최대적재량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운반차랑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기중인 운반차량을 중앙에서 관리하여 운반차량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와 관련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중장비, 복수로 구성되고,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가 장착된 운반차량, 상기 복수의 건설현장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중장비 및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에서 상기 복수의 중장비 및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 각각의 차량정보,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정보,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이 상기 중장비 각각에 지정된 제 2 현황을 저장 및 관리하는 현장 관리 컴퓨터 및 상기 현장 관리 컴퓨터로부터 상기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상기 제 2 현황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상기 제 2 현황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이 상기 복수의 건설현장 각각에 지정된 제 3 현황을 저장 및 관리하는 중앙 관리 컴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건설현장 중 제 1 건설현장에 구비된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는,상기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되는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건설현장에 필요한 운반차량의 제 1 필요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제 1 필요량을 상기 중앙 관리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관리 컴퓨터는 수신된 상기 제 1 필요량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건설현장에 지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는 상기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되는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제 2 현황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중앙 관리 컴퓨터는 상기 중앙 관리 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되는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제 2 현황, 제 1 필요량 및 제 3 현황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 중 폐자재 및 잔토를 적재하여 상기 건설현장에서 출차한 제 4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운반차량의 이동경로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건설현장에 중장비와 운반차량이 위치되는 단계, 상기 운반차량의 타이어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가 상기 타이어 내부의 제 5 공기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중장비가 상기 운반차량에 상기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폐자재 및 잔토를 적재하는 단계, 상기 폐자재 및 잔토가 적재된 운반차량의 제 6 공기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5 공기압과 상기 제 6 공기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적재량을 상기 중장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장비의 내부에 위치된 제 4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중장비의 제 1 사용자에게 상기 적재량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운반차량의 내부에 위치된 제 5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운반차량의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적재량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재량과 상기 운반차량의 최대적재량을 비교하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4 디스플레이부에 적재금지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제 5 디스플레이부에 최대적재량 초과금지 경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반차량의 최대적재량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운반차랑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기중인 운반차량을 중앙에서 관리하여 운반차량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운반차량 및 중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운반차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중장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건설현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중앙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운반차량 관리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건설현장의 경우 필연적으로 건축 폐기물이나 잔토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폐기물 및 잔토는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로 운반차량에 적재되며, 정해진 장소에서 매립되고 있으며, 이를 트럭과 같은 운반차량이 정해진 지역으로 운반하여 하차하게 된다.
이때, 운반차량은 포크레인 등의 장비 기사가 실어주는 대로 폐기물 및 잔토를 운반하고, 최대적재량을 쉽게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벌금 및 운반차량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폐기물 및 잔토의 종류에 따라 적재하는 시간의 차이가 있어, 대기 중인 운반차량의 효율적 분배가 문제되고 있다.
그래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을 이용하여 운반차량의 최대적재량을 감지한 후, 이를 관리 감독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대기중인 운반차량을 중앙에서 관리, 배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운반차량 및 중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운반차량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중장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요소를 검토하여 보면, 운반차량(100) 및 중장비(200)로 구성되고, 운반차량(100)은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110), 신호송수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적재부(140), 제어부(150)로 구성되며, 중장비(200)는 굴삭부(210), 신호송수신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제어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운반차량(100)은 일례로서 트럭이 사용될 수 있고, 크기나 적재량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이 가능하며, 트레일러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11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운반차량(100)의 타이어에 위치가 되며, 운반차량(100)의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신호송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유/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운반차량(100), 중장비(200), 현장 관리 컴퓨터(300), 중앙 관리 컴퓨터(4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이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 모듈은 운반차량(100) 및 중장비(2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는 운반차량(100)의 적재부(140)에 적재되는 적재량 및 운반차량의 사용자가 운반차량(100)의 최대적재량 초과 여부를 인지하도록 최대적재량 초과금지 경고를 표시한다.
또한, 운반차량(100)의 최대 적재량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30)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과, 광학 시차 장벽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적재부(140)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자재 및 잔토(500)을 적재하는 공간으로서, 일반적으로 운반차량(100)의 후단에 위치가 되거나, 트레일러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운행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110)의 센서제어, 신호송수신부(120)의 신호송수신제어,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제어 등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하여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적재부(140)에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50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적재부(140)에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500)의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적재전 타이어의 공기압과 적재후 타이어의 공기압의 차이를 비교하여 변화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변화량을 적재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타이어의 공기압은 주행중인 경우와 정지된 경우의 차이가 있고, 주행중인 상태와 정지된 상태의 차이는 타이어와 타이어 주변의 온도차이를 측정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보상값을 이용하여 적재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중장비(200)은 일례로서 포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고, 크기나 적재량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이 가능하다.
한편, 굴삭부(210)는 중장비(200)가 땅을 파거나 깎아내고,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폐자재 및 잔토를 운반차량(100)에 적재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신호송수신부(220)는 이동통신 모듈, 유/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운반차량(100), 중장비(200), 현장 관리 컴퓨터(300), 중앙 관리 컴퓨터(4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이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 모듈은 운반차량(100) 및 중장비(2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30)는 한편, 디스플레이부(230)는 는 운반차량(100)의 적재부(140)에 적재되는 적재량 및 중장비 사용자가 폐자재 및 잔토를 운반차량(100)에 최대적재량을 넘어 추가 적재하지 않도록 적재금지경고를 표시한다.
또한, 중장비(200)의 최대 적재량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30)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과, 광학 시차 장벽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중장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굴삭부(210)가 중장비(200)가 땅을 파거나 깎아내고,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을 하는 동안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송수신부(220)의 신호송수신제어, 디스플레이부(230)의 출력제어 등을 수행한다.
또한, 중장비(200)가 운반차량(100)에 최대적재량을 초과하여 폐자재 및 잔토(500)를 적재하는 경우, 중장비(2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현장 관리 컴퓨터(300)에서 작동 정지 신호를 받아 중장비(2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현장 관리 컴퓨터(300)와 중앙 관리 컴퓨터(400)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건설현장 시스템의 블록도인 도 4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중앙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 도 5를 참조하면, 현장 관리 컴퓨터(300)는 건설현장에 위치되며, 복수의 운반차량(100) 및 복수의 중장비(200)로부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사의 중앙 관리 컴퓨터(400)와도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운반차량(100) 및 복수의 중장비(200)로부터 각각의 차량 정보, 위치 정보,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운반차량(100)으로부터 타이어 내부 공기압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공기압의 변화를 이용하여 폐자재 및 잔토(500)의 적재 시작시간과 적재 완료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중장비(200) 각각이 운반차량(100)에 최대적재량을 적재하는데 필요한 적재필요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운반차량(100)에 적재되는 폐자재 및 잔토(500)의 적재량을 수신할 수 있으며, 각 운반차량(100)에 폐자재 및 잔토(500)를 적재하는 중장비(200)의 작동을 중지하기 위한 작동 정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건설현장에 위치된 복수의 운반차량(100) 각각을 복수의 중장비(200)중의 하나에 지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적재필요시간을 판단하고 비교하여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중장비(200)에 지정된 운반차량(100)의 지정을 가장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중장비(200)로 지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중장비(200), 운반차량(100)의 위치정보, 운행정보, 적재필요시간, 중장비에 지정된 운반차량의 현황으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장 관리 컴퓨터가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정보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건설현장에서 폐자재 및 잔토(500)을 적재하여 건설현장에서 출차한 운반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GPS모듈을 이용하여 운반차량(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반차량(100)의 이동경로를 관리할 수 있고, 지정된 하차장에서 폐자재 및 잔토(500)를 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행거리를 확인하여 각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운반차량의 필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운반차량(100)에 필요한 연료양을 파악하여 예산의 수립이 가능해진다.
한편, 신호송수신부(310)는 이동통신 모듈, 유/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운반차량(100), 중장비(200), 현장 관리 컴퓨터(300), 중앙 관리 컴퓨터(4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이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중앙 관리 컴퓨터(400)는 복수의 건설현장에 있는 현장 관리 컴퓨터(300)와 신호를 주고 받을수 있다.
이때, 현장 관리 컴퓨터(300)로부터 복수의 운반차량(100) 및 복수의 중장비(200)로부터 각각의 차량 정보, 위치 정보, 운행정보, 각 건설현장내의 중장비(200) 각각에 지정된 운반차량(100) 현황 및 상기 복수의 중장비 및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건설현장에서의 상기 운반차량의 필요량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건설현장의 운반차량의 필요량을 이용하여 각 건설현장에 운반차량을 지정하고 배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중장비(200) 및 상기 운반차량(100) 각각의 위치정보, 운행정보, 상기 적재필요시간, 중장비(200)에 지정된 운반차량(100) 현황, 운반차량(100)의 예측된 필요량 및 상기 복수의 건설현장에 지정된 운반차량(100) 현황을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송수신부(410)는 이동통신 모듈, 유/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운반차량(100), 중장비(200), 현장 관리 컴퓨터(3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이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운반차량(100)의 관리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운반차량 관리방법 순서도인 도 6을 참조하면, 건설현장에 중장비(200)와 운반차량(100)이 위치되는 단계(S110)에서 시작된다. 이때, 건설현장내에 운반차량(100)과 중장비(200)는 복수일 수 있고, 현장 관리 컴퓨터(300)에 의해 운반차량(100) 각각은 중장비(200)중 하나에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 컴퓨터(300)는 중장비(200)에 운반차량(100) 지정을 변경할 수 있다.
운반차량(100)에 중장비(200)가 폐자재 및 잔토(500)를 적재하기 위해 위치되면, 운반차량(100)의 타이어 내부에 존재하여 타이어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110)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110)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은 본 관리방법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계속된다.
건설현장에서 중장비(200)가 운반차량(100)에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폐자재 및 잔토(500)를 적재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폐자재와 잔토(500)를 적재하는 동안에도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110)가 폐자재 및 잔토(500)가 적재된 운반차량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단계(S140)가 진행되며, 제어부(150)는 폐자재 및 잔토(500) 적재전후의 공기압을 비교하여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S150)가 진행되고, 계산된 변화량을 적재량으로 변환하는 단계(S160)가 진행된다. 이때, 운반차량(100)의 정지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정지상태 여부 판단을 위해 운반차량(100)의 타이어와 타이어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정지상태가 아닌 경우 이를 보정하여 운반차량(100)의 적재량을 판단한다.
적재량 판단이 된 후, 적재량을 중장비(200)로 송신하는 단계(S170)가 진행된다. 운반차량(100)이 중장비(200)와 근거리에 있기 때문에, 근거리 통신을 이용함이 타당하다.
중장비(200)가 운반차량(100)의 적재량을 수신한 후, 중장비(200)의 내부에 위치된 중장비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중장비(200)의 사용자에게 적재량을 표시하는 단계(S180)와 운반차량(100)의 내부에 위치된 운반차량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운반차량(100)의 사용자에게 적재량을 표시하는 단계(S190)가 진행된다.
또한, 운반차량(100)에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500)의 적재량과 운반차량(100)의 최대적재량을 비교하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0)가 진행되며,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중장비 디스플레이부(230)에 적재금지경고를 표시하고, 운반차량 디스플레이부(130)에 최대적재량 초과금지 경고를 표시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운반차량의 최대적재량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운반차랑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대기중인 운반차량을 중앙에서 관리하여 잔토의 적재지점에 효율적인 배분을 위한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운반차량,
110 :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
120 : 신호송수신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적재부,
150 : 제어부,
200 ; 중장비,
210 : 굴삭부,
220 : 신호송수신부,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제어부,
300 : 현장 관리 컴퓨터,
310 : 신호송수신부,
400 : 중앙 관리 컴퓨터,
410 : 신호송수신부,
500 : 폐자재 및 잔토.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복수의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중장비;
    복수로 구성되고,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가 장착된 운반차량;
    상기 복수의 건설현장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중장비 및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에서 상기 복수의 중장비 및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 각각의 차량정보,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정보,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이 상기 중장비 각각에 지정된 제 2 현황을 저장 및 관리하는 현장 관리 컴퓨터; 및
    상기 현장 관리 컴퓨터로부터 상기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상기 제 2 현황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상기 제 2 현황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이 상기 복수의 건설현장 각각에 지정된 제 3 현황을 저장 및 관리하는 중앙 관리 컴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건설현장 중 제 1 건설현장에 구비된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는,상기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되는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건설현장에 필요한 운반차량의 제 1 필요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제 1 필요량을 상기 중앙 관리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관리 컴퓨터는 수신된 상기 제 1 필요량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건설현장에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는
    상기 제 1 현장 관리 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되는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및 제 2 현황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관리 컴퓨터는
    상기 중앙 관리 컴퓨터에 저장 및 관리되는 차량정보, 위치정보, 운행정보, 제 2 현황, 제 1 필요량 및 제 3 현황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운반차량 중 폐자재 및 잔토를 적재하여 상기 건설현장에서 출차한 제 4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운반차량의 이동경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13. 건설현장에 중장비와 운반차량이 위치되는 단계;
    상기 운반차량의 타이어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센서부가 상기 타이어 내부의 제 5 공기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중장비가 상기 운반차량에 상기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폐자재 및 잔토를 적재하는 단계;
    상기 폐자재 및 잔토가 적재된 운반차량의 제 6 공기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5 공기압과 상기 제 6 공기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된 폐자재 및 잔토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적재량을 상기 중장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장비의 내부에 위치된 제 4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중장비의 제 1 사용자에게 상기 적재량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운반차량의 내부에 위치된 제 5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운반차량의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적재량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재량과 상기 운반차량의 최대적재량을 비교하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4 디스플레이부에 적재금지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제 5 디스플레이부에 최대적재량 초과금지 경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반차량 관리방법.
KR1020150000646A 2015-01-05 2015-01-05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KR10159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46A KR101599665B1 (ko) 2015-01-05 2015-01-05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46A KR101599665B1 (ko) 2015-01-05 2015-01-05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665B1 true KR101599665B1 (ko) 2016-03-04

Family

ID=5553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46A KR101599665B1 (ko) 2015-01-05 2015-01-05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52A (ko) 2017-12-13 2019-06-21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중장비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59A (ko) * 2002-07-25 2004-02-05 (주)한국정밀전자 첨단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100777914B1 (ko) 2006-10-31 2007-1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능동 안전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JP5276778B2 (ja) * 2005-08-31 2013-08-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40023804A (ko) 2012-08-17 201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무게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59A (ko) * 2002-07-25 2004-02-05 (주)한국정밀전자 첨단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JP5276778B2 (ja) * 2005-08-31 2013-08-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777914B1 (ko) 2006-10-31 2007-1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능동 안전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3804A (ko) 2012-08-17 201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무게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52A (ko) 2017-12-13 2019-06-21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중장비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432B2 (en) Object tracking method and system
CA2923679C (en) Tire abnormality management system and tire abnormality management method
US7594441B2 (en) Automated lost load response system
AU2008271196B2 (en) Automated lost load response system
US11780450B2 (en) Tire management system and tire management method
KR20090079092A (ko)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EP3623837A1 (en) Carrier utilization tracking
KR101599665B1 (ko)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한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CN113469605A (zh) 用于标识机器行进路径的系统和方法
US201000074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cation of a Mobile RFID Reader
KR101172429B1 (ko)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96531B1 (ko) 이동 객체의 위치 관리 시스템 및 위치 관리 방법
KR101669756B1 (ko) 차량정보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중장비 차량 상태 출력 시스템 및 방법
EP4009672B1 (en) Dump plate device, dump plate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dump plate device
US20210248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roject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