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208B1 - 착탈형 집진후드 - Google Patents

착탈형 집진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208B1
KR101599208B1 KR1020140046643A KR20140046643A KR101599208B1 KR 101599208 B1 KR101599208 B1 KR 101599208B1 KR 1020140046643 A KR1020140046643 A KR 1020140046643A KR 20140046643 A KR20140046643 A KR 20140046643A KR 101599208 B1 KR101599208 B1 KR 10159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duct
fixing
delete dele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342A (ko
Inventor
이상환
홍준호
유승목
이상목
이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2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는 1차금속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집진후드에 있어서, 덕트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부, 상기 후드부의 중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부를 상기 덕트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후드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부를 상기 덕트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형 집진후드{Detachable Collecting Hood}
본 발명은 착탈형 집진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래들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집진후드로 교체하거나, 노후 및 파손된 집진 후드의 교체가 용이한 착탈형 집진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 시스템은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공기와 함께 포집하는 집진후드를 구비하며, 집진후드를 통해 포집한 먼지 및 공기를 집진기에서 분리 처리하는 설비로서, 집진후드를 통해 먼지를 포집할 때는 집진후드의 형상과 포집 풍량에 따라 포집 효율이 달라지게 된다.
집진 시스템은 작업자의 건강 등과 같은 보건 문제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과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송배풍 시스템의 최적 설계에 의한 작업장의 청결 유지 및 가시 먼지의 제거는 매우 중요하다.
용해로에서는 미세분진과 각종 금속흄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며, 용탕 주입 시와 주조 시에도 금속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용해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입경이 매우 작은 금속산화물 흄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매우 크다.
그런데 현재 용해로 등과 같이 고온에서 발생되는 분진 처리에 적용되는 환경설비는 성능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기존의 설비는 분진발생이 최대가 되는 구상화재 등의 투입, 슬래그 제거, 출탕 등의 작업조건을 반영하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 환경에 따라 래들의 크기 및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하지만, 래들의 교체만큼 집진후드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집진 효율이 떨어져도 기존에 설치된 집진후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집진효율이 낮아져 미세분진 및 각종 금속흄이 집진 되지 않고, 공기 중에 확산되어 작업환경을 악화시키고, 작업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KR0878641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래들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집진후드로 교체하거나, 노후 및 파손된 집진 후드의 교체가 용이한 착탈형 집진후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착탈형 집진후드는 1차금속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집진후드에 있어서, 덕트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부, 상기 후드부의 중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부를 상기 덕트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후드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부를 상기 덕트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덕트의 종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후드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덕트의 종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후드부 또는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상기 덕트의 종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 또는 삽입홈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 상기 관통공 또는 삽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탈이 용이하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후드부의 체결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중심부가 돌출되도록 길이 방향 양측 종단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된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및 체결부재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1고정부재 및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재 및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 삽입홈 또는 관통공이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후크부이고, 상기 제1체결부재는 체결돌기이고, 상기 제2체결부재는 체결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될 수 있다.
또한,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클램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종단에 상기 연결부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덕트의 종단에 상기 덕트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후드부를 상기 덕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용해로 등의 발생 분진 및 유해가스의 후드 흡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용해로 또는 래들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후드부로 교체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집진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후드부를 덕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의 조작이 용이하여 후드부의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후드부가 착탈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후드부의 교체, 보수 및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100), 연결부(110) 및 고정부(200)로 구성된다.
후드부(100)는 포집한 분진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덕트(500)와 연결되는 연결부(110)로 포집된 먼지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포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후드부(10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후드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후드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110)는 후드부(100)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후드가 덕트(500)와 연결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결부(110)는 후드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먼지 등이 통과하여 덕트(5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10)는 덕트(5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연결부(110)가 덕트(5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10)의 직경이 덕트(5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결부(110)와 덕트(5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분진 등이 새어나갈 수 있으므로, 연결부(110)의 직경이 덕트(5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결부(110)가 덕트(50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200)는 덕트(500)에 연결되는 후드부(100)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정부(200)는 덕트(500), 후드부(100) 및 연결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드부(100)가 덕트(500)에 결합되는 경우 이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정부(200)는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일실시예로 고정부(200)를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200)는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로 구성된다.
고정부재(300)는 덕트(500)의 종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00)는 덕트(500)의 중심축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부재(300)는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체결부재(400)는 후드부(100)의 상면 일측 또는 연결부(110)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부재(300)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체결고리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착탈형 집진후드의 착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부(110)를 덕트(5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후드부(100)를 덕트(500)의 종단에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후드부(100)의 방향을 조절하여 고정부(200)의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후드부(1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복수로 구비된 체결부재(400)를 고정부재(300)에 체결시킨다. 즉, 체결고리를 회전시켜 후드부(100)에 체결시켜 줌으로써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할 수 있다.
후드부(100)의 고장 및 세척 등을 위해 덕트(5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후드부(100)를 덕트(500) 방향으로 최대한 밀어 올린 후 체결고리를 해제하면 간단하게 후드부(100)를 덕트(5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후크부 및 체결고리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착탈 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후드부(100) 및 연결부(1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고정부(2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300)는 덕트(500)의 종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 또는 삽입홈이다.
체결부재(400)는 연결부(110)의 외측면에 고정부재(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이다. 이러한 체결돌기는 덕트(500)에 형성된 고정부재(300)에 삽입되어 후드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체결돌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체결부재(400)는 연결부(110)가 덕트(5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1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일예로써, 체결돌기는 후드부(100)의 체결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길이 방향 양측 종단이 고정된 탄성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400)가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 연결부(110)가 덕트(5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은 탄성 스프링이 압착되어 연결부(110)의 삽입이 용이하고, 체결부재(400)가 고정부재(30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는 덕트(500)의 중심축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가 각각 관통공 및 체결 돌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체결돌기가 관통공의 외부로 소정간격 돌출되도록 형성한 후, 외부로 노출된 체결돌기의 종단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핀 등을 체결돌기의 종단에 삽입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착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10)를 덕트(50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00)는 압착되어 연결부(110)의 삽입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덕트(500)의 위치를 고정하여 고정부재(300) 및 체결부재(400)의 위치를 일치시면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체결부재(400)의 중심 일측이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며 고정부재(300)에 삽입됨으로써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시킨다.
후드부(100)를 덕트(5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후드부(100)를 하방으로 소정 강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00)의 탄성력 이상의 힘을 가해주면 용이하게 후드부(100)를 덕트(5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술한 구성들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에 따른 후드부(100) 및 연결부(110)는 전술한 구성들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구성들과 차이가 있는 고정부(2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부(210)는 제1고정부재(310) 및 제1체결부재(410)로 구성되고, 제2고정부(220)는 제2고정부재(320) 및 제2체결부재(420)로 구성된다.
제2고정부재(32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덕트(500)의 종단부에 구비되는 후크부이고, 제1고정부재(31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덕트(500)의 종단부에 형성되는 관통공 또는 삽입홈이다.
이때,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제1고정부재(310)는 하나만 구비되고, 제2고정부재(3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고정부재(310)는 복수로 구비되고 제2고정부재(320)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가 모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로,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는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는 덕트(5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체결부재(400)는 제1체결부재(410) 및 제2체결부재(420)로 구성된다.
제2체결부재(42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덕트(5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고리이고, 제1체결부재(41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체결돌기이다.
이때, 제1체결부재(410) 및 제2체결부재(420)는 각각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를 이용하여 후드부(100)를 착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110)를 덕트(500)에 삽입한 후 후드부(100)의 위치를 조절하면 제1고정부(210)가 먼저 1차적으로 체결되어,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시킨다. 제1체결부재(410)는 별도의 조작 없이 제1고정부재(3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탄성에 의해 제1고정부재(310)에 자동적으로 삽입됨으로 제1고정부(210)가 제2고정부(220) 보다 먼저 체결된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220)의 제2체결부재(420)인 체결고리를 회전시켜 후크부로 이루어진 제2고정부재(320)에 체결함으로써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2차 고정시킨다.
제1고정부(210)를 통해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쉽게 고정한 후, 제2고정부(220)를 통해 다시 한번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함으로써 후드부(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덕트(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술한 구성들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4실시예에 따른 후드부(100) 및 연결부(110)는 전술한 구성들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음에서는 전술한 구성들과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연결부(110)의 종단, 바람직하게는 후드부(100)과 결합되는 일단과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연결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돌출 형성된 제1플랜지(111)가 구비된다.
후드부(100)와 결합되는 덕트(500)의 종단에는 제1플랜지(111)와 대응되도록 덕트(50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돌출되는 제2플랜지(510)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110)는 전술한 구성들과 마찬가지로 덕트(500) 상대적으로 작거나,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제1플랜지(111) 및 제2플랜즈(510)는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제1플랜지(111) 및 제2플랜지(51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로 이루어진다. 이때, 클램프는 원터치 방식에 의해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적이지 않고, 제1플랜지(111) 및 제2플랜지(510)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 및 체결방식을 갖는 클램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집진후드의 착탈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부(110)의 제1플랜지(111) 및 덕트(500)의 제2플랜지(510)가 상호 접하도록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고정부(200)가 연결부(110)의 제1프랜지(111) 및 덕트(500)의 제2플랜지(510)를 동시에 감싸도록 결합한다. 이때, 고정부(200)는 클램프로 이루어지고, 클램프 내부읜 노피는 제1플랜지(111)의 두께 및 제2플랜지(510)의 두께를 함친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클램프의 내경은 제1플랜지(111) 및 제2플랜지(5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클램프의 내주면에는 후드부(1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플랜지(111) 및 제2플랜지(510)와의 마찰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고무패드(팩킹) 등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클램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클램프를 고정시킴으로써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클램프로 이루어진 고정부(200)가 제1프랜지(111) 및 제2플랜지(510)의 측면 및 상하면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후드부(100)의 고정 및 세척 또는 크기 변경 등을 위해 덕트(5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고정이 해제된 후드부(10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드부(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클램프의 고정장치를 해제하면 간단하게 후드부(100)를 덕트(5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로 이루어진 고정부(200)의 고정장치를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후드부(100)를 덕트(500)에 용이하게 착탈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후드부
110 : 연결부
111 : 제1플랜지
200 : 고정부
210 : 제1고정부
220 : 제2고정부
300 : 고정부재
310 : 제1고정부재
320 : 제2고정부재
400 : 체결부재
410 : 제1체결부재
420 : 제2체결부재
500 : 덕트
510 : 제2플랜지

Claims (14)

1차금속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집진후드에 있어서,
덕트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부;
상기 후드부의 중심 일측에 후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먼지 등이 통과하여 덕트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덕트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덕트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후드부를 상기 덕트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후드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부를 상기 덕트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1고정부재 및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재 및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제2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재는 연결부의 외측에 상기 후드부의 체결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길이 방향 양측 종단이 고정된 탄성 스프링으로 형성된 체결돌기이고, 제1고정부재는 상기 덕트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관통공이고,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덕트의 외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후크부이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후드부의 상면에 상기 제2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고리이며,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착탈형 집진후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140046643A 2014-04-18 2014-04-18 착탈형 집진후드 KR101599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643A KR101599208B1 (ko) 2014-04-18 2014-04-18 착탈형 집진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643A KR101599208B1 (ko) 2014-04-18 2014-04-18 착탈형 집진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42A KR20150121342A (ko) 2015-10-29
KR101599208B1 true KR101599208B1 (ko) 2016-03-04

Family

ID=5443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643A KR101599208B1 (ko) 2014-04-18 2014-04-18 착탈형 집진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463B1 (ko) * 2017-02-22 2017-10-18 김선혜 고정형 국소 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94B1 (ko) * 2019-07-04 2020-04-07 백승일 탈부착식 흡입유도후드를 갖는 공기청정기
CN112856667B (zh) * 2021-01-14 2021-10-19 北京乐孚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酒店装修用智能化节能通风系统
KR102609236B1 (ko) * 2022-10-20 2023-12-01 오기성 섬유 덕트 설치용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397A (ja) * 2005-04-11 2006-10-26 Aihou:Kk 連結構造
KR100916400B1 (ko) * 2008-04-07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241U (ja) * 1983-12-28 1985-07-26 株式会社 国宗工業所 合成樹脂製組立容器
JPH044866Y2 (ko) * 1986-02-14 1992-02-12
KR100878641B1 (ko) 2002-07-08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를 구비한 접이식 집진덕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397A (ja) * 2005-04-11 2006-10-26 Aihou:Kk 連結構造
KR100916400B1 (ko) * 2008-04-07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463B1 (ko) * 2017-02-22 2017-10-18 김선혜 고정형 국소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42A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208B1 (ko) 착탈형 집진후드
WO2015070729A1 (zh) 承插式管道接口、其安装与拆卸方法及安装卡、拆卸工具
JP2019502357A (ja) 電気モータを冷却するための空気フィルタ及び適切な取付支持体
DE602008003176D1 (de) Reinigungsgerät
CN205217544U (zh) 一种可伸缩调节的化学试剂瓶刷
JP5460780B2 (ja) ストレーナ
US8695154B2 (en) Vacuum cleaner with a suction hose holder
KR101957436B1 (ko) 자석을 이용한 탈착형 조각팁을 구비한 조각도
CN208905984U (zh) 一种防静电除尘滤袋
JP2013033694A (ja) 押し込み型ソケット
US2384410A (en) Mounting for electron tubes
CN214286399U (zh) 一种不锈钢灭火器用的拆卸装置
KR20150067632A (ko) 확장부가 형성된 집진후드
CN217218890U (zh) 一种集尘杯和吸尘设备
JPH1078214A (ja) 煙突内清掃装置
CN215457624U (zh) 灰尘信息获取组件的装配组件、集尘杯和清洁设备
CN211249897U (zh) 一种用于气动接头的拆装工具
TWM487373U (zh) 集塵導管之銜接結構
CN216991674U (zh) 一种用于拆装动密封装置的扳手
CN214513333U (zh) 一种可分体螺丝固定拼装施工的除尘装置
CN220611411U (zh) 一种组合式清洁用具
CN216020777U (zh) 一种尘杯及吸尘设备
CN213592771U (zh) 用于电动截止阀的锁紧件拆装装置及拆装设备
CN216198304U (zh) 进风装置和动力系统
CN209013425U (zh) 一种排风管防护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