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207B1 -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 Google Patents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207B1
KR101599207B1 KR1020150070160A KR20150070160A KR101599207B1 KR 101599207 B1 KR101599207 B1 KR 101599207B1 KR 1020150070160 A KR1020150070160 A KR 1020150070160A KR 20150070160 A KR20150070160 A KR 20150070160A KR 101599207 B1 KR101599207 B1 KR 10159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ransportation
separated
cutting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혁
Original Assignee
(주)동양엘앤피
안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5356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992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엘앤피, 안혁 filed Critical (주)동양엘앤피
Priority to KR102015007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를 배송하고 난 후 회수하는 배달표를 손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운송장 일측 가장자리에 뜯음시작부를 구성하여 손쉽게 운송장 및 운송물로부터 배달표를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운송장 다른 부분도 훼손시키지 않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전면에 배송정보가 표시된 운송내용표시부; 상기 운송내용표시부 배면에 구비되고 타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운송장접착부; 및 상기 운송장접착부 배면에 구비된 이형지를 포함한 운송장에 있어서, 상기 운송내용표시부는 일측 소정 범위에 해당하는 배달표지부가 구비되어, 운송내용표시부의 타측과 분리되고, 상기 배달표지부 일측과 연결된 뜯음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뜯음시작부는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WAYBILL WITH TEAR-OFF STARTER}
본 발명은 운송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를 배송하고 난 후 회수하는 배달표를 손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운송장 일측 가장자리에 뜯음시작부를 구성하여 손쉽게 운송장 및 운송물로부터 배달표를 분리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운송장 다른 부분도 훼손시키지 않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장은 배송되는 운송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기재되어 운송물들이 배송 중에 섞여있더라도 손쉽게 배송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근래의 운송장에는 바코드와 같이 인식정보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배송자는 손쉽게 배송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면서 배송하므로 배송관리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즉 운송장에는 도 1 등에서처럼 운송물과 관련된 간략정보, 받는 분, 보낸 분 등의 정보, 배송이 완료된 이후 받는 사람이 서명한 배달표 등이 마련된다.
배송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1에서처럼 운송장 일측에 있는 배달표를 배송자가 회수해야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배달표를 제거한 후 드러난 운송장에는 광고나 경품 소개 내용이 표기되기도 한다.
이에 도 1에서처럼 종래의 운송장에서는 배달표를 비롯한 다층의 레이어에 대해 단순 구역만 형성하기 때문에, 배달표 부분을 날카로운 칼이나 송곳이 있어야만 떼어내기가 용이하게 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 별도의 날카로운 도구를 가지고 다닐 수 없어 그대로 손톱 등을 이용하여 배달표를 떼어내게 된다. 하지만 다른 부분과 같은 높이를 이루어 쉽게 떼어내지 못하게 된다. 특히 많은 운송물을 배송하는 중이어서 바쁜 와중에 어느 부분이 배달표 경계인지 제대로 살피기가 곤란하게 된다.
그리하여 배달표를 뜯어 회수하는 과정에서 상당 시간 지체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배달표 경계를 찾기 어려워 배달표를 이리저리 뜯어내려 하다가 배달표 일부를 훼손하거나, 아니면 운송장이나 운송물 등의 외부를 훼손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운송장으로부터 배달표를 손쉽게 떼어낼 수 있는 기술 제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등록특허번호 제10-0756862호(2007년 09월 07일 공고)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1-0002219호(2011년 03월 07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택배 등으로 배송되는 운송물에 부착한 상태에서, 배송완료 된 이후 운송장으로부터 손쉽게 배달표지부를 떼어내도록 하여 손쉽게 배달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배달표지부 일측 가장자리에 뜯기 쉽도록 마련된 뜯음시작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뜯음시작부를 쉽게 잡고 뜯어냄으로써 배달표지부를 손쉽게 운송장 및 운송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뜯음시작부가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전면의 배달표지부와는 연결되고 배면에 위치되게 되는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는 분리되게 커팅하여 쉽게 제조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뜯음시작부는 전면이 배달표지부와 연결되고 배면으로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 일부가 부착된 상태로, 소정 두께와 너비를 이루어 떼어낼 때 손으로 잡기 쉽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송장에 대해서 배면커팅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에 의해 손쉽게 뜯음시작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배송정보가 표시된 운송내용표시부; 상기 운송내용표시부 배면에 구비되고 타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운송장접착부; 및 상기 운송장접착부 배면에 구비된 이형지를 포함한 운송장에 있어서, 상기 운송내용표시부는 일측 소정 범위에 해당하는 배달표지부가 구비되어, 운송내용표시부의 타측과 분리되고, 상기 배달표지부 일측과 연결된 뜯음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뜯음시작부는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뜯음시작부는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 나누어지되, 운송내용표시부,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가 접착되어 운송장을 구비한 상태에서, 운송장 배면에서 소정 깊이로 커팅된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 분리되고 운송내용표시부와 연결되는 뜯음시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접합부는, 전면의 배달표지부가 제거되는 부분으로 광고, 안내, 및 경품안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표기된 광고경품안내부; 및 상기 광고경품안내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분리되는 접착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는, 상기 배면커팅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이형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뜯음시작부는, 뜯음시작부 및 배달표지부가 이어지는 뜯음연결부; 상기 뜯음연결부 아래로, 뜯음시작부에 대해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가 분리된 틈인 완전절단뜯음분리부; 및 상기 뜯음연결부에 의해 배달표지부와 연결된 소정 너비를 이루는 뜯음시작두께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뜯음시작두께형성부는, 전면으로 위치되어 배달표지부와 연결된 배달연결뜯음시작부; 상기 배달연결뜯음시작부 배면에 위치되고 운송장접착부와 분리된 접착분리뜯음시작부; 및 상기 접착분리뜯음시작부 배면에 위치되고 이형지와 분리된 이형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운송내용표시부, 운송장접합부 및 이형지로 이루어진 운송장이 다수로 구비되어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접합과정과 소정 위치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과정을 수행하는 운송장제조장치에 있어서, 운송장인쇄지가 연속공급되게 하는 연속운송장인쇄공급부;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개별 운송장의 전면에서 소정 역영별로 커팅하는 전면커팅부;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운송장 배면에서 소정 깊이로 커팅하는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뜯음시작부가 구비되게 하는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는, 다수 개의 마그네트가 구비된 롤러 형상의 뜯음시작커팅롤러;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하여 뜯음시작커팅롤러의 외면에 부착되는 뜯음시작커팅플레이트; 및 상기 뜯음시작커팅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운송장인쇄지의 배면에서 뜯음시작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커팅하는 뜯음시작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뜯음시작커터부는, 뜯음시작부에 대해서 배달표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대해,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를 절단하는 표지연결커터부; 및 뜯음시작커터부 및 배달표지부 외곽부분의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를 절단하는 외곽라인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연속운송장인쇄지공급부로부터 운송장인쇄지가 연속공급되는 중에, 운송내용표시부, 운송장접착부, 이형지가 다층으로 이루어 접합되고 소정 위치에 대한 인쇄과정을 거치는 연속인쇄운송장구비단계;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개별 운송장의 전면에서 소정 영역별로 전면커팅부에 의해 커팅하는 전면커팅단계; 및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운송장 배면에서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에 의하여 소정 깊이로 커팅하여 뜯음시작부를 형성하는 배면커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팅단계에 의하여 운송장인쇄지에서 운송장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서 이형지를 제외한 운송내용표시부 및 운송장접착부를 커팅하여, 운송장과 운송장 이외의 인쇄잉여지로 구분되게 하고, 상기 운송장인쇄지에서 인쇄잉여지를 분리시키는 인쇄잉여지분리단계; 및 상기 운송장인쇄지에서 인쇄잉여지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 운송장으로 분리되게 이형지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절개선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별 운송장에 배송정보를 인쇄하는 운송장준비단계; 상기 운송장 중에서 배면의 이형지를 제거하여 운송물에 부착하여 배송하는 배송단계; 배송된 운송물이 받는분에게 배송되고 운송장에서 배달표시부를 분리하는 배달표시부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표시부분리단계는, 배달표시부 일측 가장자리로 위치된 뜯음시작부 일측이 운송물로부터 이격되는 뜯음시작단계; 뜯음시작부의 계속되는 이격으로 운송물로부터 뜯음시작부가 분리되는 뜯음시작부분리단계; 및 뜯음시작부가 운송물로부터 분리되고 뜯음시작부와 연결된 배달표시부가 운송물로부터 분리되는 배달표시부분리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을 이용한 택배운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뜯음시작부는 전면의 운송내용표시부 일측의 배달표시부와 연결되고, 운송내용표시부 배면의 운송장접착부 및 제거된 이형지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택배 등으로 배송되는 운송물에 부착한 상태에서, 배송완료 된 이후 운송장으로부터 손쉽게 배달표지부를 떼어내도록 하여 손쉽게 배달표를 회수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특히 배달표지부 일측 가장자리에 뜯기 쉽도록 마련된 뜯음시작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뜯음시작부를 쉽게 잡고 뜯어냄으로써 배달표지부를 손쉽게 운송장 및 운송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러한 뜯음시작부가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전면의 배달표지부와는 연결되고 배면에 위치되게 되는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는 분리되게 커팅하여 쉽게 제조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러한 뜯음시작부는 전면이 배달표지부와 연결되고 배면으로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 일부가 부착된 상태로, 소정 두께와 너비를 이루어 떼어낼 때 손으로 잡기 쉽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운송장에 대해서 배면커팅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에 의해 손쉽게 뜯음시작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러한 뜯음시작부를 형성하기 위한 롤러 형태의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를 마련한 것으로, 연속공급되는 인쇄지를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를 지나게 하는 과정에서 운송장에 뜯음시작부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뜯음시작부는 배면커팅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여 배달표지부와 연결되는 부분과, 완전히 절단되는 가장자리의 외측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송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의 전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 일측으로 뜯음시작부가 구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에 대해서, 다수 층을 이루는 운송내용표시부,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가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의 배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이 운송물에 접착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등은 도 6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상태에서 운송물에 운송장이 접착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도 7은 운송물에 운송장이 접착되기 전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에서 이형지가 제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이 운송물에 접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이 운송물에 접착된 다음, 운송장 일측의 뜯음시작부 일측이 운송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의 뜯음시작부가 운송물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 일측의 뜯음시작부 일측이 들어올려진 상태에 대한 정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 일측의 뜯음시작부가 들어올려진 상태에 대한 정면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 일측의 뜯음시작부가 완전히 들어올려진 후 뜯음시작부와 연결된 배달표지부 일측이 들어올려진 상태에 대한 정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으로부터 배달표지부가 분리된 상태에 대한 정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을 제조하는 운송장제조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운송장이 구비된 운송장인쇄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의 뜯음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로써, 뜯음시작커팅롤러와 뜯음시작커팅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D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뜯음연결부를 형성하는 뜯음시작커터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의 뜯음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에서, 뜯음시작커팅롤러에 뜯음시작커팅플레이트가 부착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의 뜯음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에서, 뜯음시작커팅롤러에 뜯음시작커팅플레이트가 부착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이형지 위로 뜯음시작부가 위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7 등은 도 22의 E-E 선 부분과 관련된 단면도로, 도 23은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전면커팅부가 이격된 상태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을 다수 구비한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전면커팅부에 의해 운송장 부분이 커팅되는 상태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을 다수 구비한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가 분리된 상태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을 다수 구비한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에 의해 커팅되는 상태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을 다수 구비한 운송장인쇄지에 대해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에 의하여 뜯음연결부가 형성된 상태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을 이용한 택배운송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뜯음시작부(30)를 구비한 운송장(2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9 등에서와 같이, 택배 등으로 물건을 배송하는 중에 택배용 운송물(100)에 부착하게 되는 운송장(2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운송장(20)은 배송되는 운송물(100)에 부착되어, 배송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해당 물품에 대한 관련정보, 보내는 분, 받는 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아울러 배송자가 보관하기 위한 배달표 등이 있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전면에 배송정보가 표시된 운송내용표시부(21), 상기 운송내용표시부(21) 배면에 구비되고 타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운송장접착부(23), 그리고 상기 운송장접착부(23) 배면에 구비된 이형지(25)를 포함한 것이다.
이에 전면의 운송내용표시부(21)와 운송장접착부(23) 등이 운송물(100)에 부착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운송장접착부(23)의 배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러나 접착제가 아무 곳이나 붙지 못하도록 배송전의 운송장접착부(23) 배면에는 이형지(25)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운송장(20)에 대해서, 배송정보가 프린트된 상태에서 이형지(25)를 제거하고 난 후, 운송장(20)을 운송물(100)에 부착하게 된다.
이후 배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받는 분의 서명을 받은 배달표지부(22,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는 '배달표'로 표기된 부분)를 분리하여 배송자가 회수하게 된다.
이러한 배달표지부(22)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본 발명이 제안된 것이다.
즉 상기 운송내용표시부(21)는 일측 소정 범위에 해당하는 배달표지부(22)가 구비되어, 운송내용표시부(21)의 타측과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배달표지부(22) 일측과 연결된 뜯음시작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뜯음시작부(30)는 배달표지부(22) 일측 가장자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쉽게 운송장(20)으로부터 분리가 되는 것이다.
특히 운송장(20) 및 배달표지부(22) 일측 가장자리에서, 뜯음시작부(30)가 운송물(100)에 접착되지 않고 미부착된 상태를 갖는 일명 '가장자리 미부착 뜯음시작부'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가장자리로 위치된 가장자리 미부착 뜯음시작부로써 운송장(20) 가장자리로 위치되어 외부에서 운송장(20) 쪽으로 손가락이나 기타 물건을 이용하여 미부착된 부분을 들어올려 손쉽게 뜯어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뜯음시작부(30)는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와는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뜯음시작부(30)와 연결된 배달표지부(22)만 함께 분리되고, 분리상태에 있는 운송장접착부(23)는 그대로 운송물(100)에 부착된 상태를 갖는다. 물론 이형지(25)는 운송물(100)에 부착하기 전에 이미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
운송물(100)에 부착하기 이전의 운송장(20)의 경우, 이러한 상기 뜯음시작부(30)는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와 나누어지는 것이며, 이에 운송내용표시부(21),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가 접착되어 운송장(20)을 구비한 상태에서, 운송장(20) 배면에서 소정 깊이로 커팅된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와 분리되고 운송내용표시부(21)와 연결되는 뜯음시작부(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이러한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운송장(20)의 뜯음시작부(30) 배면으로는 운송장접착부(23)의 일측과 이형지(25) 일측이 접착된 상태를 갖는 것이며, 이로써 삼층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세부 구성들을 보면, 상기 뜯음시작부(30)는, 뜯음시작부(30) 및 배달표지부(22)가 이어지는 뜯음연결부(31)가 구비된다. 이러한 뜯음연결부(31)에 의하여 뜯음시작부(30)와 배달표지부(22)는 연결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뜯음시작부(30)를 운송물(100)로부터 점차로 분리시키게 되면, 결국 배달표지부(22)도 함께 운송물(10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뜯음연결부(31) 아래로, 뜯음시작부(30)에 대해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가 분리된 틈인 완전절단뜯음분리부(32)가 구비된다. 이러한 완전절단뜯음분리부(32)는 배면커팅방법에 의해, 운송장접착부(23), 이형지(25) 등의 일측이 절단으로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완전절단뜯음분리부(32)로 인해 분리된 영역으로, 상기 뜯음연결부(31)에 의해 배달표지부(22)와 연결된 소정 너비를 이루는 뜯음시작두께형성부(34)를 구비한다. 이러한 뜯음시작두께형성부(34)는 운송내용표시부(21)의 배달표지부(22) 일측, 운송장접착부(23) 일측, 그리고 이형지(25) 일측으로 하는 3층의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이러한 상기 뜯음시작두께형성부(34)는, 전면으로 위치되어 배달표지부(22)와 연결된 배달연결뜯음시작부(35)가 구비되는 것이고, 이러한 배달연결뜯음시작부(35)는 제일 전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기 배달연결뜯음시작부(35) 배면에 위치되고 운송장접착부(23)와 분리된 접착분리뜯음시작부(3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착분리뜯음시작부(36) 배면에 위치되고 이형지(25)와 분리된 이형분리뜯음시작부(37)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뜯음연결부(31)는 운송장(20) 제일 전면에 위치된 운송내용표시부(21)의 배달표지부(22)와는 연결된 상태를 갖고, 이들 배면에서 층을 이루는 접착분리뜯음시작부(36) 및 이형분리뜯음시작부(37) 등이 다른 곳과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 두께를 이루고 너비 또한 어느 정도 넓은 너비를 갖기 때문에, 손으로 사용자가 잡기 편하여 뜯음시작부(30) 및 배달표지부(22)를 손쉽게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소정 너비와 두께를 갖는 상기 운송장접합부(23)는, 전면의 배달표지부(22)가 제거되는 부분으로 광고, 안내, 및 경품안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표기된 광고경품안내부(24)와, 그 아래에서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광고경품안내부(24)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분리되는 접착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25)에도 상기 배면커팅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이형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20)은 소정의 제조과정 및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조장치 및 제조과정 중에 운송장(20)에 뜯음시작부(30)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우선 운송장제조장치(50)에 대해서 살펴보면, 운송내용표시부(21), 운송장접합부(23) 및 이형지(25)로 이루어진 운송장(20)이 다수로 구비되어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해 접합과정과 소정 위치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과정을 수행하는 운송장제조장치(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운송장제조장치(50)는 운송장인쇄지(10)가 연속공급되게 하는 연속운송장인쇄공급부(51)가 마련된다.
운송장(20)은 이형지(25), 운송장접착부(23), 운송내용표시부(21) 등 여러 겹으로 이루어져 이들이 연속운송장인쇄공급부(51)로부터 공급되는 것으로, 주로 롤 형태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다.
이후의 과정 중에 다수 장치를 거치면서 이형지(25), 운송장접착부(23), 운송내용표시부(21) 등이 접착되거나 이미 접착되어 롤공급부에 감겨진 상태에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연속 공급되는 중에 소정 위치에 정보가 인쇄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중에는 운송내용이 표시되는 부분, 받는 분, 보내는 분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 배달표 내용이 표시되는 부분 등은 운송내용표시부(21) 전면에 표시된다. 또한 운송장접착부(23) 중에서 배달표지부(2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광고, 안내, 경품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속 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는 다수 운송장(20)에 해당하는 영역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해 개별 운송장(20)의 전면에서 소정 역영별로 커팅하는 전면커팅부(53)가 마련된다. 즉 도 16 및 도 23, 도 24 등에서처럼 전면커팅부(53)에 의하여, 운송장(20)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누어지게 되며, 아울러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해 전면커팅부(53)에 의하여 운송장(20) 부분과 후술되는 인쇄잉여지(12)가 나누어지게 커팅과정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해 운송장(20) 배면에서 소정 깊이로 커팅하는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뜯음시작부(30)가 구비되게 하는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60)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도 16, 도 25 내지 도 27 등에서처럼 뜯음시작부(30)에서 뜯음연결부(31)는 배달표지부(22)와 연결되면서 운송장접착부(23)나 이형지(25)와는 분리된 상태를 갖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60)를 보면, 도 17 내지 도 21 등에서처럼 다수 개의 마그네트(62)가 구비된 롤러 형상의 뜯음시작커팅롤러(61)가 마련된다.
그리고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마그네트(62)의 자력에 의하여 뜯음시작커팅롤러(61)의 외면에 부착되는 뜯음시작커팅플레이트(63)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뜯음시작커팅플레이트(63)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운송장인쇄지(10)의 배면에서 뜯음시작부(30)에 해당하는 영역을 커팅하는 뜯음시작커터부(7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뜯음시작커터부(70)는, 뜯음시작부(30)에 대해서 배달표지부(22)와 연결되는 부분에 대해,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를 절단하는 표지연결커터부(71)와, 뜯음시작커터부(70) 및 배달표지부(22) 외곽부분의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를 절단하는 외곽라인커터부(72)가 형성된 것이다.
특히 표지연결커터부(71)는 이형지(25)와 운송장접착부(23)만을 커팅하고 배달표지부(22)는 커팅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뜯음시작부(30)와 배달표지부(22) 만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외곽라인커터부(72)에 의해서는 운송장접착부(23), 이형지(25)에 더하여 배달표지부(22)에 해당하는 층까지도 커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배달표지부(22)에서의 외곽 부분은 앞서 설명한 전면커팅부(53)에 의해 절단되도록 실시할 수도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전면커팅부(53)에 의해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한 커팅에 의하여 운송장(20)과 인쇄잉여지(12) 등으로 나누는 과정에 의해 배달표지부(22) 외곽부분이 커팅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20)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연속운송장인쇄지공급부(51)로부터 운송장인쇄지(10)가 연속공급되는 중에, 운송내용표시부(21), 운송장접착부(23), 이형지(25)가 다층으로 이루어 접합되고 소정 위치에 대한 인쇄과정을 거치는 연속인쇄운송장구비단계(S10)가 수행된다.
이러한 연속인쇄운송장구비단계(S10)에 의하여, 운송내용표시부(21), 운송장접착부(23), 이형지(25) 등에 해당하는 연속공급지들을 서로 접착하여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운송내용표시부(21) 및 운송장접착부(23) 등의 소정 위치에 해당되는 내용들을 인쇄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16, 도 17 등에서처럼 운송장(20)으로 이용하게 되는 영역과 함께 이외의 제거되는 인쇄잉여지(12) 부분이 구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해 개별 운송장(20)의 전면에서 소정 영역별로 전면커팅부(53)에 의해 커팅하는 전면커팅단계(S30)를 수행한다.
따라서 도 23, 도 24 등에서처럼 운송장(20)의 부분과 인쇄잉여지(12) 등이 구분되게 커팅되고, 아울러 운송장(20)에 대해서도 배달표지부(22) 등과 같이 필요한 부분이 분리가능하게 커팅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해 운송장(20) 배면에서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60)에 의하여 소정 깊이로 커팅하여 뜯음시작부(30)를 형성하는 배면커팅단계(S50)를 수행한다.
즉 도 17 내지 도 21 등의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60) 등에 의하여, 도 25 내지 도 27 등에서처럼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의 배면에서, 운송장접착부(23) 및 이형지(25)에서 뜯음시작부(30)에 해당하는 부분을 커팅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뜯음시작부(30)의 접착분리뜯음시작부(36)가 운송장접착부(23)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이형분리뜯음시작부(37)가 이형지(25)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면커팅단계(S30)에 의하여 도 4에서처럼 이형지(25)는 절단하지 않으면서 운송장접착부(23), 운송내용표시부(21) 등이 구분되게 커팅하면서, 도 4의 상측 도면에서처럼 운송내용표시부(21)에서 배달표지부(22)도 분리되게 커팅하는 것이다.
아울러 배면커팅단계(S50)에 의하여 도 4의 중간 도면 및 하측 도면에서처럼 운송장접착부(23)에서 접착분리뜯음시작부(36)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커팅하여, 운송장접착부(23)에 절단된 부분인 접착부절단공간(231)을 형성하고, 이형지(25)에서 이형분리뜯음시작부(37)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커팅하여, 이형지(24)에 절단된 부분인 이형지절단공간(251)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운송장접착부(23)는 접착분리뜯음시작부(36)가 제거된 접착부절단공간(231)을 포함하고, 이형지(25)는 이형분리뜯음시작부(37)가 제거된 이형지절단공간(25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팅단계(S30)에 의하여 운송장인쇄지(10)에서 운송장(20)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서 이형지(25)를 제외한 운송내용표시부(21) 및 운송장접착부(23)를 커팅하여, 운송장(20)과 운송장(20) 이외의 인쇄잉여지(12)로 구분되게 한다.
그리고 잉여지분리부(55)에 의하여 상기 운송장인쇄지(10)에서 인쇄잉여지(12)를 분리시키는 인쇄잉여지분리단계(S7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연속공급되는 운송장인쇄지(10)에는 운송장(20)에 해당하는 부분만 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이형지(25)는 그대로 연속되어 붙어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운송장인쇄지(10)에서 인쇄잉여지(12)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 운송장(20)으로 분리되게 이형지(25)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절개선형성단계(S8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이형지(25)에 절개선을 따라 절개를 하면 개별 운송장(20)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다. 이후 필요한 후속 과정을 진행하여 연속으로 연결된 운송장인쇄지(10)를 연속운송장보관부(57)에 보관하게 된다. 이에 소정 양만큼 롤형태로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조된 운송장에 대해서, 사용을 위해 배송정보를 입력한 택배운송 인쇄장치에 의해 연속으로 이어진 운송장인쇄지(10)에 대해 인쇄하게 된다. 즉 배송정보로써 받는분, 보낸분, 택배운송정보, 제품관련정보, 그리고 배달표 등의 정보를 개별 운송장(20) 별로 인쇄하게 된다.
즉 개별 운송장(20)에 배송정보를 인쇄하는 운송장준비단계(S210)를 수행한다. 이러한 운송장준비단계(S210)는 앞서 설명한 운송장 제조방법에 의하여 운송장을 준비하는 과정을 의미하게 된다. 즉 운송장 제조방법으로써, 상기 연속인쇄운송장구비단계(S10), 전면커팅단계(S30), 배면커팅단계(S50), 인쇄잉여지분리단계(S70), 및 절개선형성단계(S80) 등의 과정을 거쳐 구비되는 운송장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운송장은 개별 낱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대체로 롤 형태로 다수 운송장들이 감겨진 상태에서, 프린트 장치 등에 체결된 상태로 준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개별 운송장에 배송정보가 인쇄될 것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 등의 예에서처럼 상기 운송장(20) 중에서 배면의 이형지(25)를 제거하여 운송물(100)에 부착하여 배송하는 배송단계(S23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이형지(25)가 제거된 운송장(20)이 운송물(100)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
이에 배송된 운송물(100)이 받는분에게 배송되고 운송장(20)에서 배달표시부(22)를 분리하는 배달표시부분리단계(S2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배달표시부분리단계(S250)는, 세부 단계로써, 배달표시부(22) 일측 가장자리로 위치된 뜯음시작부(30) 일측이 운송물(100)로부터 이격되는 뜯음시작단계(S251)를 수행한다. 즉 도 12에서처럼 운송물(100)로부터 분리되어 있던 뜯음시작부(30) 부분부터 차츰 떼기 시작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도 13에서처럼 뜯음시작부(30)의 계속되는 이격으로 운송물(100)로부터 뜯음시작부(30)가 분리되는 뜯음시작부분리단계(S252)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운송물(100)에서 뜯음시작부(30)가 세워진 상태가 되어 좀더 잘 잡고 떼어낼 수 있다.
아울러 뜯음시작부(30)가 운송물(100)로부터 분리되고 뜯음시작부(30)와 연결된 배달표시부(22)가 운송물(100)로부터 분리되는 배달표시부분리완료단계(S253)를 수행한다.
즉 도 11, 도 14에서처럼 뜯음시작부(30)에 연속된 배달표시부(22)가 배면의 운송장접착부(23)로부터 분리되어 결국 도 15에서처럼 배달표시부(22)는 떨어지고, 배면인 운송장접착부(23)에 표기된 광고, 안내, 경품 등의 내용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뜯음시작부(30)는 전면의 운송내용표시부(21) 일측의 배달표시부(22)와 연결되고, 운송내용표시부(21) 배면의 운송장접착부(23) 및 제거된 이형지(25)와 분리된 것이고, 뜯음시작부(30)가 운송물(100) 등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초기부터 위치되기 때문에 운송물(100)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들어난 뜯음시작부(30)를 살짝 들어내기만 하여도 손쉽게 뜯음시작부(30)를 잡아 떼어 배달표지부(22)를 쉽게 뜯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0 : 운송물 10 : 운송장인쇄지
12 : 인쇄잉여지 20 : 운송장
21 : 운송내용표시부 22 : 배달표지부
23 : 운송장접착부 24 : 광고경품안내부
25 : 이형지 30 : 뜯음시작부
31 : 뜯음연결부 32 : 완전절단뜯음분리부
34 : 뜯음시작두께형성부
50 : 운송장제조장치 53 : 전면커팅부
60 : 운송장뜯음시작부커팅장치 70 : 뜯음시작커터부

Claims (12)

  1. 전면에 배송정보가 표시된 운송내용표시부;
    상기 운송내용표시부 배면에 구비되고 타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운송장접착부; 및
    상기 운송장접착부 배면에 구비된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내용표시부는 일측 소정 범위에 해당하는 배달표지부가 구비되어, 운송내용표시부의 타측과 분리되는 운송장에 있어서,
    상기 배달표지부 일측과 연결된 뜯음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뜯음시작부는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 분리되고,
    상기 뜯음시작부는,
    뜯음시작부 및 배달표지부가 이어지는 뜯음연결부;
    상기 뜯음연결부 아래로, 뜯음시작부에 대해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가 분리된 틈인 완전절단뜯음분리부; 및
    상기 뜯음연결부에 의해 배달표지부와 연결된 소정 너비를 이루는 뜯음시작두께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뜯음시작두께형성부는,
    전면으로 위치되어 배달표지부와 연결된 배달연결뜯음시작부;
    상기 배달연결뜯음시작부 배면에 위치되고 운송장접착부와 분리된 접착분리뜯음시작부; 및
    상기 접착분리뜯음시작부 배면에 위치되고 이형지와 분리된 이형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뜯음시작부는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 나누어지되,
    운송내용표시부,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가 접착되어 운송장을 구비한 상태에서, 운송장 배면에서 소정 깊이로 커팅된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운송장접착부 및 이형지와 분리되고 운송내용표시부와 연결되는 뜯음시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운송장접합부는,
    전면의 배달표지부가 제거되는 부분으로 광고, 안내, 및 경품안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표기된 광고경품안내부; 및
    상기 광고경품안내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배면커팅방법에 의하여 분리되는 접착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는, 상기 배면커팅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이형분리뜯음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70160A 2015-05-20 2015-05-20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KR10159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60A KR101599207B1 (ko) 2015-05-20 2015-05-20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60A KR101599207B1 (ko) 2015-05-20 2015-05-20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833A Division KR20160137319A (ko) 2015-10-28 2015-10-28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207B1 true KR101599207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160A KR101599207B1 (ko) 2015-05-20 2015-05-20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783B1 (ko) * 2016-05-19 2017-04-27 최영철 배달표지부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한 운송장용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7991U (ko) * 1974-05-23 1975-12-08
KR200397725Y1 (ko) * 2005-06-15 2005-10-06 (주)선화데칼 광고 기능을 가진 운송장
KR100756862B1 (ko) 2006-06-14 2007-09-0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광고 기능을 가진 운송장 수납봉투
JP2010000785A (ja) * 2008-05-17 2010-01-07 K D K Kk 情報通信体の製造方法
KR20110002219U (ko) 2009-08-27 2011-03-07 차금주 수평적 배열로 구성된 송하인 정보 및 수하인 정보를 포함하는 수기 운송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7991U (ko) * 1974-05-23 1975-12-08
KR200397725Y1 (ko) * 2005-06-15 2005-10-06 (주)선화데칼 광고 기능을 가진 운송장
KR100756862B1 (ko) 2006-06-14 2007-09-0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광고 기능을 가진 운송장 수납봉투
JP2010000785A (ja) * 2008-05-17 2010-01-07 K D K Kk 情報通信体の製造方法
KR20110002219U (ko) 2009-08-27 2011-03-07 차금주 수평적 배열로 구성된 송하인 정보 및 수하인 정보를 포함하는 수기 운송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783B1 (ko) * 2016-05-19 2017-04-27 최영철 배달표지부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한 운송장용 제조장치
WO2017200123A1 (ko) * 2016-05-19 2017-11-23 최영철 배달표지부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한 운송장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600B2 (en) Double-sided printing label printer
US9613547B2 (en) Dual-faced labelling systems
US20170092159A1 (en) Sticker sheets and wrapping material
JP2000109762A (ja) 基材の一部が剥離可能な粘着ラベル
KR101599207B1 (ko)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EP2110262B1 (en) Label for distribution slip
JP6351966B2 (ja) 連続ラベルシート、連続ラベル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連続ラベルシートからラベルを剥離して被着体に貼付する方法
KR20170001584U (ko)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KR101730783B1 (ko) 배달표지부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한 운송장용 제조장치
KR200480809Y1 (ko)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US20080032081A1 (en) Grip tab for labels
KR20160137319A (ko) 뜯음시작부를 구비한 운송장
JP5375254B2 (ja) 配送伝票
US8322061B1 (en) Distribution marketing piece
JP2002079780A (ja) 複合帳票
JP2013144435A (ja) 配送用シール
JP6167514B2 (ja) 配送用シール
JP2018030307A (ja) 配送伝票
JP6194582B2 (ja) 配送用シール
KR20180000580U (ko) 물품 배송장의 구조
JP6102216B2 (ja) 配送用シール
JP2010194718A (ja) 配送伝票
JP6452785B2 (ja) 連続ラベルシート
JP3128043U (ja) 配送伝票
KR101600255B1 (ko) 라벨지와 이형지로 이루어진 회수용 태그를 구비하는 택배용 송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14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111

Effective date: 201912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11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628

Effective date: 2020062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504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722

Effective date: 202106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7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713

Effective date: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