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921B1 -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921B1
KR101598921B1 KR1020140018571A KR20140018571A KR101598921B1 KR 101598921 B1 KR101598921 B1 KR 101598921B1 KR 1020140018571 A KR1020140018571 A KR 1020140018571A KR 20140018571 A KR20140018571 A KR 20140018571A KR 101598921 B1 KR101598921 B1 KR 10159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image data
intelligent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267A (ko
Inventor
조택연
조윤설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9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물과 배경의 축척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촬영자의 촬영 연출력과 상상력을 자극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인물 촬영영상정보의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영상을 추출하여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배경 영상데이터에 합성한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영상데이터에 실마리정보를 포함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와; 축척정보에 따라 이동하여 거리 차이를 두고 촬영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축척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와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고도지능객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aking Pictures beyond Space Scale with Automatical Camera}
본 발명은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와 배경에 있어서 상대적인 공간 축척을 서로 달리하도록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축척에 비례하여 공간 이동하며 피사체 영상과 배경 영상을 촬영하여 합성하도록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영상 촬영에 있어서 보다 사실적이고 미학적인 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는 지능형의 카메라 개발로 이어져, 인공 지능형이나 자동 구동형과 같은 기술들을 구성하는 카메라로 진화하였다.
이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5059호(2011.09.26. 공개)의 '지능형 카메라' 혹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534호(2005.08.17. 공개)의 '3차원 입체 효과 최적화를 위한 카메라 위치의 지능 배치 기법'에서와 같이 피사체의 동작, 얼굴 및 음성 등 피사체의 동작 특징과 피사체의 고유의 외적 특징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카메라 위치 선택 방법에 지능 기법을 도입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보다 고품질의 영상 촬영 기술을 위해 인공지능 기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에 의해 촬영된 사진들은 모두 사실에 근거한 기록에 불과할 뿐, 왜곡된 사실의 표현을 통해 촬영자에게 촬영의 재미와 상상력을 통한 연출 욕구를 불러일으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롭게 공간 이동이 가능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피사체와 배경을 서로 다른 축척으로 표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거리의 동일 시점에서 피사체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도록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물 촬영영상정보의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영상을 추출하여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배경 영상데이터에 합성한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영상데이터에 실마리정보를 포함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와; 축척정보에 따라 이동하여 거리 차이를 두고 촬영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축척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와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고도지능객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상기 고도지능객체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모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과; 피사체의 음성과 행동을 감지하며,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싱모듈과; 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의 제어명령에 따라 자세를 제어하며 동일 시점의 서로 다른 거리에서 인물 촬영과 배경 촬영을 하도록 공간 이동하며 비행하는 비행모듈과;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의 제어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투영하고, 인물과 배경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모듈과; 고도지능객체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축척정보에 따라 서로 상이한 거리에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가 촬영되도록,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축척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촬영모듈 렌즈로 투영되는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로 전송하여 출력부 상에서 스트리밍 재생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로 전송하여 고도지능객체의 출력부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피사체가 될 촬영자가 소지한 고도지능객체의 통신 신호 발생 위치를 추적하여 피사체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의 촬영 시점을 파악하는 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카메라의 촬영모듈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센싱모듈로부터 감지되는 피사체 음성 및 동작 센서값들로 전달받아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듈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어, 인물 촬영영상정보와 배경 촬영영상정보를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도지능객체는, 통신모듈에 의해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구동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에 전달하는 지능형 구동제어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제어를 위한 명령정보 및 촬영을 위한 축척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출력부와; 영상전달부로부터 전달된 투영영상과 영상데이터를 출력부로 재생시키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는,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마리정보를 생성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지능형 정보분석모듈과; 상기 실마리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모듈과; 상기 고도지능객체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모듈과;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합성하도록,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영상만을 추출하여 배경 영상데이터에 합성하여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합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듈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지능객체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원격의 거리에서 동기화되도록 통신모듈을 구동하는 동기화 단계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근거리를 유지하는 고도지능객체가 축척정보,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에 전달하는 축척정보 입력단계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고도지능객체로부터 전달되는 전파 신호를 감지하여 고도지능객체를 소지한 피사체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 시점을 파악하는 거리 측정 단계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전달한 인물의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가 모니터링 및 촬영 지시함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인물을 촬영하여 인물 촬영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인물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와; 축척정보에 따라 인물과 상이한 축척을 가지는 배경을 촬영하도록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이동 단계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전달한 배경의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가 모니터링 및 촬영 지시함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배경을 촬영하여 배경 촬영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배경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가 전달된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피사체 영상만을 추출하고, 배경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 영상만을 추출하여 피사체영상을 배경 영상에 합성하는 영상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영상 합성 단계를 수행한 후,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가 상기 편집된 합성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에 전달하여 확인시킨 후, 실마리정보를 생성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실마리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마리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의 통신모듈이 합성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에 전달하는 단계와; 고도지능객체의 출력부가 디스플레이된 합성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의 지능형 정보분석 모듈이 상기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촬영환경정보, 카메라정보, 사용자정보를 분석하여 합성영상데이터의 실마리정보를 생성한 후 빅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척정보 입력단계에서, 상기 설정정보는 사진 해상도, 앵글, 빛 노출 정도, 촬영 매수, 촬영 영역, 촬영지시, 촬영상태 변경, 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척정보는 인물과 배경이 서로 다른 축척의 영상데이터로 촬영되도록 부여된 축척값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정보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ID, 카메라 사양, 비행속도, 비행경로, 카메라 앵글, 촬영시간, 위치, 각도, 빛의 상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물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피사체가 되는 인물에 시점을 맞춰 렌즈를 통해 영상을 투영시키는 단계와; 영상전송부가 투영된 영상을 영상재생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재생부가 전달된 투영영상을 출력부로 스트리밍 재생시키는 단계와; 출력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투영영상을 선택함에 따라 구동 명령신호, 음성, 행동 중 어느 하나의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명령신호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인물 사진을 촬영하여 인물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인물 영상데이터를 촬영환경정보, 사용자정보, 카메라정보로 구성되는 인물 촬영영상정보에 포함하여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이동 단계는, 축척산출부가 고도지능객체로부터 전달된 축척정보의 축척값을 바탕으로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고도지능객체 간의 거리로부터 인물보다 작거나 큰 축척을 가지는 배경영상이 되도록 거리값을 생성하여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이 전달된 거리값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비행모듈을 구동하여 동일 시점에서 피사체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경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피사체가 되는 인물에 시점을 맞춰 렌즈를 통해 영상을 투영시키는 단계와; 영상전송부가 투영된 영상을 영상재생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재생부가 전달된 투영영상을 출력부로 스트리밍 재생시키는 단계와; 입력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투영영상을 선택함에 따라 구동 명령신호, 음성, 행동 중 어느 하나의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명령신호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배경 사진을 촬영하여 배경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배경 영상데이터를 촬영환경정보, 사용자정보, 카메라정보로 구성되는 배경 촬영영상정보에 포함하여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영상 합성 단계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의 영상합성모듈이 인물 촬영영상정보로부터 인물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인물영상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배경 촬영영상정보로부터 배경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인물영상만을 삭제하는 단계와; 인물영상을 배경영상에 합성하여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은, 인물과 배경의 축척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촬영자의 촬영 연출력과 상상력을 자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구성들의 통신 관계도,
도 2는 도 1의 세부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의 전체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순서도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도지능객체로부터 공간 축척에 대한 축척정보를 전달받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축척정보에 따라 피사체와 배경을 서로 다른 축척으로 표현하기 위해 자유롭게 공간 이동하며 서로 다른 거리의 동일 시점에서 각각 피사체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촬영하고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를 통해 이들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사체와 배경에 해당하는 촬영영상정보를 각각 전달받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 축척정보에 따라 동일 시점의 서로 다른 거리에서 피사체와 배경을 촬영하도록 공간 이동하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축척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전달하는 고도지능객체(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의 통신 관계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는 공간 이동이 자유롭도록 고도지능객체(300)와는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도지능객체(30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도지능객체(300)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와이파이와 같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 역시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도지능객체(300)는 설정정보 및 구동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에 전달하고,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는 피사체와 배경의 촬영영상정보를 광대역 무선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에 전달하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합성된 영상데이터를 광대역 무선통신망을 통해 고도지능객체(300)에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 센싱모듈(220), 비행모듈(230), 촬영모듈(240), 통신모듈(250), 인터페이스모듈(260), 영상전송부(270), 축척산출부(280), 거리측정부(290)를 포함하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지능형 구동제어 모듈(310), 통신모듈(320), 입력부(330) 및 출력부(340), 영상재생부(350)를 포함하는 고도지능객체(300)와, 지능형 정보분석모듈(110), 빅데이터 저장모듈(120), 영상합성모듈(130), 통신모듈(15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로 구성된다.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는 비행을 통해 공간을 이동하며 고도지능객체(300)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와 구동신호에 따라 피사체와 배경을 각각 촬영하여 피사체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동하는 카메라이다.
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은 고도지능객체(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모듈들을 구동시키는 제어부에 해당하며, 각 모듈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정보 생성 및 변환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특히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은 피사체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에 각각 사용자정보, 카메라정보, 촬영환경정보를 포함하여 피사체 촬영영상정보와 배경 촬영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촬영된 영상데이터와 함께 고도지능객체(300)의 사용자ID, 사용자 국적, 거주도시, 직업 나이, 성별, 직업 등과 같은 사용자 개인에 관한 신상정보이다.
상기 카메라정보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ID, 카메라 사양, 비행속도, 비행경로, 카메라 앵글, 촬영시간, 위치, 각도, 빛의 상태와 같은 기기정보이다.
상기 촬영환경정보는 카메라의 위치정보,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 자이로, 조사량, 고도, 기울기, 날씨 등의 카메라 환경의 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센싱모듈(220)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현재 촬영 장소에 대한 촬영환경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과 인터페이스모듈(260)의 청각과 시각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센서들로 구성되며, 카메라의 GPS값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 자이로, 조사량, 고도, 기울기 등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수신호, 눈동자 깜빡임, 말소리 등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비행모듈(230)은 동축 반전 로터, 텐텀 로터, 쿼드 로터와 같은 양력 및 자세제어용 로터 및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파워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카메라 본체를 비행하여 공간 이동시킨다.
상기 촬영모듈(240)은 렌즈, 셔터 등으로 구성되는 실제 사진 촬영을 위한 장치이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셔터노출 및 해상도 등이 조절된 상태로 구동된다.
상기 통신모듈(250)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고도지능객체(300)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 장치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60)은 카메라의 촬영모듈(240)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센싱모듈(210)로부터 감지되는 센서값들로 전달받아 이를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로 전달한다.
상기 센서값들로 전달되는 명령신호는 구강언어 등의 청각신호나 수신호, 눈 깜빡임, 표정 등과 같은 시각신호에 해당한다.
상기 영상전송부(270)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240) 렌즈로 투영되는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300)로 전송하여 출력부 상에서 스트리밍 재생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300)로 전송하여 고도지능객체(300)의 출력부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거리측정부(290)는 피사체가 될 촬영자가 소지한 고도지능객체(300)의 통신 신호 발생 위치를 추적함으로서 피사체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의 촬영 시점을 파악한다.
상기 축척산출부(280)는 상기 고도지능객체(300)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에 포함된 축척정보에 따라 실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고도지능객체(300) 간의 거리를 산출하되, 고도지능객체(30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고도지능객체(300)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통신 기술을 이용한 거리 산출 방법에 의해 거리의 산출이 가능하므로, 산출된 거리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축척을 가지는 배경 영상데이터와 인물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도지능객체(300)는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촬영을 위한 설정정보, 수동식의 구동 제어를 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이며, 휴대형의 스마트폰이나 착용 가능한 구글안경 등의 단말기에 해당한다.
상기 지능형 구동제어 모듈(310)은 통신모듈에 의해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구동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모듈(320)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 장치이다.
상기 입력부(330)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구동제어를 위한 명령정보 및 설정정보를 입력받으며, 통신모듈(32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설정정보는 사진 해상도, 앵글, 빛 노출 정도, 촬영 매수, 촬영 영역, 촬영지시, 촬영상태 변경, 속도에 대한 정보이며, 특히 인물과 배경의 축척을 달리하도록 축척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340)는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재생되는 투영영상을 출력시키기 위한 화면에 해당한다.
상기 영상재생부(350)는 상기 영상전달부(270)로부터 전달된 투영영상과 영상데이터를 출력부(340)로 재생시킨다.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로부터 인물 촬영영상정보와 배경 촬영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이들을 합성하도록 편집하고 편집된 합성영상데이터에 실마리정보를 포함시켜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능형 정보분석모듈(110)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공간 축적을 초월하는 영상 촬영에 대응한 고도지능객체(300)의 제어명령의 유무에 따라서, 영상데이터의 촬영 당시의 이벤트 혹은 사건의 성격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정보와 촬영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실마리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빅데이터 저장모듈(120)은 각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로부터 전달되어 실마리정보를 갖는 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도록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영상합성모듈(130)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로부터 전달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합성하도록,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이동에 따라 각각 촬상된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만을 추출하고 배경 영상데이터로부터 배경만을 추출하여 배경에 인물을 합성하는 모듈이다.
상기 통신모듈(150)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 및 고도지능객체(300)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의 순서도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은 우선, 고도지능객체(300)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원격의 거리에서 동기화되도록 통신모듈을 구동하고, 동기화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통신모듈을 구동하여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와 통신망을 연결시키는 동기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동기화 단계(S10)에서 고도지능객체(30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동기화 단계(S10)를 수행한 후,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근거리를 유지하는 고도지능객체(300)가 축척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에 전달하는 축척정보 입력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축척정보 입력단계(S20)에 있어서, 고도지능객체(300)는 카메라 구동을 위한 설정정보, 축척정보와 함께 사용자정보를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로 전달한다.
이때 설정정보는 사진 해상도, 앵글, 빛 노출 정도, 촬영 매수, 촬영 영역, 촬영지시, 촬영상태 변경, 속도 등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축척정보는 인물과 배경의 서로 다른 축척값을 부여하여 촬영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카메라정보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ID, 카메라 사양, 비행속도, 비행경로, 카메라 앵글, 촬영시간, 위치, 각도, 빛의 상태와 같은 기기정보이다.
상기 축척정보 입력단계(S20)를 수행한 후.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가 고도지능객체(300)로부터 전달되는 전파 신호를 감지하여 고도지능객체(300)를 소지한 피사체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 시점을 파악하는 거리 측정 단계(S30)를 수행하고, 이때 전파 신호로부터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고도지능객체(30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기의 위치벡터(좌표), 시차, 속도벡터, 또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고도지능객체(300)간 전파 신호 송수신을 이용한 일반적인 상대측위방식(DGPS: Differential GPS)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단계(S30)에서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거리측정부(290)가 고도지능객체(300)로부터 전달되는 와이파이 신호 등의 전파 신호를 감지하여 고도지능객체(30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 간의 거리를 일반적인 상대측위방식(DGPS: Differential GPS)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를 촬영 시점으로 감지함으로써 피사체 시점을 파악하도록 한다.
상기 거리 측정 단계(S30)를 수행한 후,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가 전달한 인물의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300)가 모니터링 및 촬영 지시함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가 인물을 촬영하여 인물 촬영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인물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물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40)에서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촬영모듈(240)이 피사체가 되는 인물에 시점을 맞춰 렌즈를 통해 영상을 투영시키게 되고 영상전송부(270)가 투영된 영상을 상기 영상재생부(350)에 전달한다.
상기 영상재생부(350)는 전달된 투영영상을 출력부(340)로 스트리밍 재생시키고 촬영자는 출력부(340)를 통해 투영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고도지능객체(300)의 촬영버튼을 눌러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거나 혹은 시각, 청각, 모션 등의 음성이나 행동으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음성이나 행동으로 구동 명령신호가 전달될 경우, 센싱모듈(220)은 음성이나 행동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모듈(260)로 전달하고 인터페이스모듈(260)은 전달된 감지신호를 구동 명령신호로 변환하여 촬영모듈(240)이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명령신호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는 인물 사진을 촬영하여 인물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물 영상데이터는 촬영환경정보, 사용자정보, 카메라정보로 구성되는 인물 촬영영상정보에 포함되어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에 전달된다.
이때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전달된 인물 촬영영상정보에 따라 인물 영상데이터의 실마리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빅데이터에 저장한다.
상기 인물 촬영영상정보 단계(S40)를 수행한 후, 상기 고도지능객체(300)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에 포함된 축척정보에 대응하여, 인물과 상이한 축척을 가지는 배경을 촬영하도록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를 이동시키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이동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이동 단계(S50)에서는 축척산출부(280)가 고도지능객체(300)로부터 전달된 축척정보의 축척값을 바탕으로 거리측정부(290)에서 측정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와 고도지능객체(300) 간의 거리로부터 인물보다 작거나 큰 축척을 가지는 배경영상이 되도록 거리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거리값을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은 전달된 거리값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비행모듈(230)을 구동하여 피사체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은 비행모듈(230)이 피사체의 시점이 동일한 상태에서 거리만 멀거나 가깝게 이동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이동 단계(S50)를 수행한 후,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가 전달한 배경의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300)가 모니터링 및 촬영 지시함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가 배경을 촬영하여 배경 촬영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배경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6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경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60)에서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촬영모듈(240)이 피사체가 되는 배경에 시점을 맞춰 렌즈를 통해 영상을 투영시키게 되고 영상전송부(270)가 투영된 영상을 상기 영상재생부(350)에 전달한다.
상기 영상재생부(350)는 전달된 투영영상을 출력부(340)로 스트리밍 재생시키고 촬영자는 출력부(340)를 통해 투영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고도지능객체(300)의 촬영버튼을 눌러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거나 혹은 시각, 청각, 모션 등의 음성이나 행동으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의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음성이나 행동으로 구동 명령신호가 전달될 경우, 센싱모듈(220)은 음성이나 행동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모듈(260)로 전달하고 인터페이스모듈(260)은 전달된 감지신호를 구동 명령신호로 변환하여 촬영모듈(240)이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명령신호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200)는 배경 사진을 촬영하여 배경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경 영상데이터는 촬영환경정보, 사용자정보, 카메라정보로 구성되는 배경 촬영영상정보에 포함되어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에 전달된다.
이때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전달된 배경 촬영영상정보에 따라 배경 영상데이터의 실마리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빅데이터에 저장한다.
상기 배경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60)를 수행한 후,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전달된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피사체 영상(예: 인물 영상데이터)만을 추출하고, 배경 영상데이터로부터 배경 영상만을 추출하여 피사체영상을 배경 영상에 합성하는 영상 합성 단계(S70)를 수행한다.
즉, 영상 합성 단계(S70)에 대하여 부연설명 또는 실제 수행을 수행하는 주체를 한정하여 보면, 영상 합성 단계(S70)에서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의 영상합성모듈(130)이 인물 촬영영상정보로부터 인물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인물영상만을 추출하고, 배경 촬영영상정보로부터 배경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배경영상만을 추출한 후 인물영상을 배경영상에 합성하여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영상 합성 단계(S70)를 수행한 후,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는 상기 편집된 합성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300)에 전달하여 확인시킨 후, 실마리정보를 생성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실마리정보 생성 단계(S8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실마리정보 생성 단계(S80)에서는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의 통신모듈(140)이 합성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300)에 전달하고, 고도지능객체(300)의 출력부(3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합성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한 후 영상선택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100)의 지능형 정보분석 모듈(110)이 상기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촬영환경정보, 카메라정보, 사용자정보를 분석하여 합성영상데이터의 실마리정보를 생성한 후 빅데이터 저장모듈(120)에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의 전 단계를 모두 완료하게 된다.
100 :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
110 : 지능형 정보분석모듈 120 : 빅데이터 저장모듈
130 : 영상합성모듈 140 : 통신모듈
200 :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210 :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 220 : 센싱모듈
230 : 비행모듈 240 : 촬영모듈
250 : 통신모듈 260 : 인터페이스모듈
270 : 영상전송부 280 : 축척산출부
290 : 거리측정부 300 : 고도지능객체
310 : 지능형 구동제어 모듈 320 : 통신모듈
330 : 입력부 340 : 출력부
350 : 영상재생부

Claims (19)

  1. 인물 촬영영상정보의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영상을 추출하여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배경 영상데이터에 합성한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영상데이터에 실마리정보를 포함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와;
    축척정보에 따라 이동하여 거리 차이를 두고 촬영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축척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와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고도지능객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상기 고도지능객체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모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과;
    피사체의 음성과 행동을 감지하며,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싱모듈과;
    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의 제어명령에 따라 자세를 제어하며 동일 시점의 서로 다른 거리에서 인물 촬영과 배경 촬영을 하도록 공간 이동하며 비행하는 비행모듈과;
    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의 제어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투영하고, 인물과 배경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모듈과;
    고도지능객체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축척정보에 따라 서로 상이한 거리에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가 촬영되도록,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축척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촬영모듈 렌즈로 투영되는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로 전송하여 출력부 상에서 스트리밍 재생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로 전송하여 고도지능객체의 출력부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피사체가 될 촬영자가 소지한 고도지능객체의 통신 신호 발생 위치를 추적하여 피사체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의 촬영 시점을 파악하는 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는,
    카메라의 촬영모듈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센싱모듈로부터 감지되는 피사체 음성 및 동작 센서값들로 전달받아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어, 인물 촬영영상정보와 배경 촬영영상정보를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지능객체는,
    통신모듈에 의해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동기화된 상태에서, 구동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에 전달하는 지능형 구동제어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제어를 위한 명령정보 및 촬영을 위한 축척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출력부와;
    영상전달부로부터 전달된 투영영상과 영상데이터를 출력부로 재생시키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는,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마리정보를 생성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지능형 정보분석모듈과;
    상기 실마리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모듈과;
    상기 고도지능객체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모듈과;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인물 영상데이터와 배경 영상데이터를 합성하도록,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영상만을 추출하여 배경 영상데이터에 합성하여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합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광대역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10. 고도지능객체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원격의 거리에서 동기화되도록 통신모듈을 구동하는 동기화 단계(S1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근거리를 유지하는 고도지능객체가 축척정보,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에 전달하는 축척정보 입력단계(S2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고도지능객체로부터 전달되는 전파 신호를 감지하여 고도지능객체를 소지한 피사체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 시점을 파악하는 거리 측정 단계(S3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전달한 인물의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가 모니터링 및 촬영 지시함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인물을 촬영하여 인물 촬영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인물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40)와;
    축척정보에 따라 인물과 상이한 축척을 가지는 배경을 촬영하도록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이동 단계(S50)와;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전달한 배경의 투영영상을 고도지능객체가 모니터링 및 촬영 지시함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가 배경을 촬영하여 배경 촬영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배경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60)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가 전달된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인물 영상데이터로부터 피사체 영상만을 추출하고, 배경 영상데이터로부터 인물 영상만을 추출하여 피사체영상을 배경 영상에 합성하는 영상 합성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단계(S70)를 수행한 후,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가 편집된 합성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에 전달하여 확인시킨 후, 실마리정보를 생성하여 빅데이터에 저장하는 실마리정보 생성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마리정보 생성 단계(S80)는,
    상기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의 통신모듈이 합성영상데이터를 고도지능객체에 전달하는 단계와;
    고도지능객체의 출력부가 디스플레이된 합성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의 지능형 정보분석 모듈이 상기 인물 및 배경 촬영영상정보의 촬영환경정보, 카메라정보, 사용자정보를 분석하여 합성영상데이터의 실마리정보를 생성한 후 빅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척정보 입력단계(S20)에서,
    상기 설정정보는 사진 해상도, 앵글, 빛 노출 정도, 촬영 매수, 촬영 영역, 촬영지시, 촬영상태 변경, 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척정보는 인물과 배경이 서로 다른 축척의 영상데이터로 촬영되도록 부여된 축척값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정보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ID, 카메라 사양, 비행속도, 비행경로, 카메라 앵글, 촬영시간, 위치, 각도, 빛의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40)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피사체가 되는 인물에 시점을 맞춰 렌즈를 통해 영상을 투영시키는 단계와;
    영상전송부가 투영된 영상을 영상재생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재생부가 전달된 투영영상을 출력부로 스트리밍 재생시키는 단계와;
    출력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투영영상을 선택함에 따라 구동 명령신호, 음성, 행동 중 어느 하나의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명령신호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인물 사진을 촬영하여 인물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인물 영상데이터를 촬영환경정보, 사용자정보, 카메라정보로 구성되는 인물 촬영영상정보에 포함하여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 이동 단계(S50)는,
    축척산출부가 고도지능객체로부터 전달된 축척정보의 축척값을 바탕으로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한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와 고도지능객체 간의 거리로부터 인물보다 작거나 큰 축척을 가지는 배경영상이 되도록 거리값을 생성하여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210)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형 촬영구동 모듈이 전달된 거리값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비행모듈을 구동하여 동일 시점에서 피사체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촬영영상정보 생성 단계(S60)는,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피사체가 되는 인물에 시점을 맞춰 렌즈를 통해 영상을 투영시키는 단계와;
    영상전송부가 투영된 영상을 영상재생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재생부가 전달된 투영영상을 출력부로 스트리밍 재생시키는 단계와;
    출력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투영영상을 선택함에 따라 구동 명령신호, 음성, 행동 중 어느 하나의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명령신호에 따라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촬영모듈이 배경 사진을 촬영하여 배경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배경 영상데이터를 촬영환경정보, 사용자정보, 카메라정보로 구성되는 배경 촬영영상정보에 포함하여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단계(S70)는,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서버의 영상합성모듈이 인물 촬영영상정보로부터 인물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인물영상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배경 촬영영상정보로부터 배경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인물영상만을 삭제하는 단계와;
    인물영상을 배경영상에 합성하여 합성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방법.
KR1020140018571A 2014-02-18 2014-02-18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59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571A KR101598921B1 (ko) 2014-02-18 2014-02-18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571A KR101598921B1 (ko) 2014-02-18 2014-02-18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267A KR20150097267A (ko) 2015-08-26
KR101598921B1 true KR101598921B1 (ko) 2016-03-02

Family

ID=5405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571A KR101598921B1 (ko) 2014-02-18 2014-02-18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706A (ko) * 2017-02-01 2018-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60919B1 (ko) * 2021-05-28 2022-02-09 주식회사 유콘 음성 더빙 기반의 진행자 영상 편집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214A (ja) 2002-03-01 2003-09-12 Univ Waseda 画像合成システム及び画像取得システム
WO2013070375A1 (en) 2011-11-08 2013-05-16 Qualcomm Incorporated Hands-free augmented real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493A (ko) * 2008-11-26 2010-06-04 유동호 영상 합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7991A (ko) * 2012-04-19 2013-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통신장치, 영상통신서버 및 영상통신을 위한 영상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214A (ja) 2002-03-01 2003-09-12 Univ Waseda 画像合成システム及び画像取得システム
WO2013070375A1 (en) 2011-11-08 2013-05-16 Qualcomm Incorporated Hands-free augmented real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267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9305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5659304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5769813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679966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EP322945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865388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US9225895B2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ame
JP6476692B2 (ja) システム並びに装置、制御方法
CN106559664A (zh) 三维全景图像的拍摄装置及设备
WO2015154359A1 (zh) 拍摄的实现方法及装置
CN114638918B (zh) 一种实时表演捕捉虚拟直播与录制系统
KR101555428B1 (ko) 전문가 배경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WO202013825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598921B1 (ko) 공간 축척을 초월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JP69507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97274A (ko)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 추종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814714B1 (ko) 스마트폰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6213548A (ja) 撮影システム、撮影方法、検知装置及び撮影装置
KR101552407B1 (ko) 동일 장소에서의 시간을 초월한 동반 촬영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5192A1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程序及记录介质
US20170195543A1 (en) Remote control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or capturing images
JP7282519B2 (ja) 画像処理装置または画像処理サーバー
CN107426522B (zh) 基于虚拟现实设备的视频方法和系统
KR101497837B1 (ko) 클라우드 수퍼컴퓨팅과 결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8575A (ko)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의 구동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