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591B1 -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591B1
KR101598591B1 KR1020140111028A KR20140111028A KR101598591B1 KR 101598591 B1 KR101598591 B1 KR 101598591B1 KR 1020140111028 A KR1020140111028 A KR 1020140111028A KR 20140111028 A KR20140111028 A KR 20140111028A KR 101598591 B1 KR101598591 B1 KR 10159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urrent path
terminal
uni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현
이해영
Original Assignee
아이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를 분해하거나, 스피커와 연결되는 배선을 절단하여 점검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스피커 및 스피커의 주변 배선을 점검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지향 방향에 한 쌍의 서로 상이한 빛을 발하는 LED를 배치하고, 배치된 LED의 점멸을 통해 직관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스피커 또는 배선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Speaker testing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를 분해하거나, 유선 결선된 스피커를 단선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스피커의 상태를 점검하며, 스피커 내부의 보이스 코일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스피커로 향하는 배선에 문제가 발생하였는가를 한 쌍의 LED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관 방송장치는 증폭장치에서 복수의 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제공하는데, 이때, 각 스피커는 증폭장치와 병렬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 각 스피커가 증폭장치와 병렬 접속될 때, 내부 임피던스가 수Ω 에서 수십 Ω에 불과하므로 증폭장치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는 스피커의 임피던스는 매우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대해, 각 스피커는 증폭장치의 출력단과 직접 연결되기 보다는 출력 트랜스(Output transformer)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방식이 종종 이용되고 있다.
한편, 증폭장치의 출력단에 각 스피커가 병렬 접속됨에 따라, 전관 방송장치를 구성하는 스피커들 중 단선이 발생하거나, 스피커 내부에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이 손상된 경우, 해당 스피커에서 방송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선이 발생했거나, 보이스 코일이 손상된 스피커를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등록특허 10-0850578은 다수의 릴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파워앰프와 다수의 스피커 사이의 전류패스를 순차로 형성하고, 검사 제어부는 각 스피커가 전류패스를 정상적으로 형성하는가를 판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 등록특허 10-0850578은 예약 시간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예약 시간마다 릴레이 그룹을 제어하여 파워앰프와 연결되는 각 스피커가 순차로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하여 스피커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10-0850578에 개시된 도면으로서, 파워앰프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하나씩 테스트해야 하므로,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테스트 대상 스피커를 선택하고, 선택된 스피커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통해 스피커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 방법은 파워앰프에 접속되는 스피커의 수에 비례하여 테스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함은 물론, 정상적인 스피커도 테스트에 포함되어 비 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 유닛을 분해하거나 단선하지 않고도 스피커 내부의 보이스 코일 또는 스피커를 향하는 배선의 불량 여부를 무선으로 진단 및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테스트가 필요한 스피커만을 선택적으로 테스트 가능한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1차 측은 앰프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차 측은 스피커와 연결되는 출력 트랜스, 표시부 및 출력 트랜스의 1차 측 또는 출력 트랜스의 2차 측이 표시부 및 테스트 전원과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하는 전류패스 설정부를 포함하며, 전류패스 설정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외부 전파에 응답하여 1차 측 또는 2차 측이 표시부 및 테스트 전원과 전류 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표시부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1차 측 또는 2차 측에 대한 전류패스 테스트를 수행하며, 전류패스 설정부는, NC(Normal Close) 상태에서 앰프의 출력단과 스피커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릴레이부 및 외부 전파에 응답하여 표시부와 테스트 전원이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은, 스피커, 제1표시부, 제2표시부, 릴레이부, 및 무선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는 앰프의 제1출력단 및 제2출력단에 각각 제1단자와 제2단자자 연결되고,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는 서로 상이한 색상의 불빗을 발하는 램프 또는 LED 인 것이 바람직하고, 릴레이부는 제1출력단과 제1단자 및 제2출력단과 제2단자 사이를 단속하며, NC(Normal Close) 상태일 때, 제1출력단과 제2출력단을 각각 제1단자 및 제2단자에 연결하여 앰프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유도하고, 무선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제1전파에 응답하여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제1표시부 및 테스트 전원과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제2전파에 응답하여 제1출력단과 제2출력단에서 릴레이부에 이르는 전선의 일 영역이 제2표시부 및 테스트 전원과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를 분해하거나, 스피커와 연결되는 배선을 직접 점검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스피커 및 스피커의 주변 배선을 점검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는 지향 방향에 한 쌍의 서로 상이한 빛을 발하는 LED를 배치하고, 배치된 LED의 점멸을 통해 직관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스피커 또는 배선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등록특허 10-0850578에 개시된 스피커 테스트 장치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에 대한 연결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NC(Normal Close) 상태일 때, 릴레이부가 형성하는 전류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무선 제어부가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부와 스피커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부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스피커 유닛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피커 유닛의 내부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의 연결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0과 도 11은 전류패스 설정부에 의해 녹색 LED 및 적색 LED가 출력 트랜스 및 스피커와 형성하는 전류패스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의 일 예에 따른 외형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에 대한 연결 회로도를 도시한관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은 전관 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전관 방송앰프(10)의 출력단(OUT1, OUT2)과 각 스피커 유닛(100a, 100b)이 병렬 접속된다. 이때, 각 스피커 유닛(100a, 100b)은 전환 스위치(140)에 의해 테스트 전원 또는 전관 방송앰프(10)의 방송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전환 스위치(140)는 전관방송 앰프(10)에서 방송신호를 출력할 때, 출력단(OUT 1, OUT 2)의 신호를 각 스피커 유닛(100a, 100b)으로 제공하고, 스피커 유닛(100a, 100b)을 테스트할 때는 출력단(OUT 1, OUT 2)의 출력신호가 스피커 유닛(100a, 100b)으로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이때, 스피커 유닛(100a, 100b)으로 테스트 전원(예컨대 12V)을 인가할 수 있다. 테스트 전원은 전원부(20)에서 생성되는 직류 전원이며, 전환 스위치(140)에 의해 스피커 유닛(100a, 100b)으로 인가될 수 있다.
도면에서 스피커 유닛은 100a, 100b 한 쌍이 언급되고 있으나, 통상 전관 방송을 위해 이보다 더 많은 수의 스피커 유닛이 요구되며, 도면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한 쌍(100a, 100b)만이 언급되었을 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수의 스피커 유닛이 전관 방송 앰프(10)에 병렬 연결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테스트 전원은 표시부(110)를 구성하는 LED(111, 112)를 구동하고, 전류패스 설정부(120)를 구동하는데 이용된다. 테스트 전원은 12V 내지 24V의 직류전원일 수 있으며, 테스트 전원의 전압에 따라, LED(111, 112)의 애노드 단자 또는 캐소드 단자에는 전압 강하를 위한 적절한 저항값의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각 스피커 유닛(110a, 110b)마다 하나씩 마련되며, 각각 적색 및 녹색의 LED(111, 112)를 포함하고, 점멸되는 색상을 통해 스피커(151) 내부의 문제인지, 스피커(151)로 연결되는 전선의 문제인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녹색 LED(112)가 점등되면 출력 트랜스(120)의 2차 측과 스피커(130) 사이가 단선 되거나 합선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적색 LED(111)가 점등되면 출력 트랜스(120)의 1차 측과 전관 방송앰프(10) 사이의 배선이 단선 되거나 합선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처럼, 녹색과 적색, 또는 보색 관계를 갖는 LED(111, 112)가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점검자가 스피커(151)의 이상 여부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녹색 LED(112)가 점등되지 않는다면, 스피커(151)의 보이스 코일(Voice coil)이나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에 단선(또는 합선, 이하 생략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색 LED(111)가 점등되지 않는다면, 스피커(151)로 향하는 배선 중 어느 한 곳이 단선되거나 합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류패스 설정부(120)는 무선 제어부(122)에 의해 선택된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부(121)를 구동하여 표시부(110)와 테스트 전원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고, 테스트 전원에 의해 적색 LED(111) 또는 녹색 LED(112)를 점등할 수 있다.
무선 제어부(122)는 관리자가 외부에서 구동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서 무선 전송되는 전파에 응답하여 두 가지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무선 전송되는 전파는 두 가지 제어 신호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적색 LED(11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는 녹색 LED(11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적색 LED(11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1신호라 하고, 녹색 LED(11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2신호라 지칭하도록 한다.
무선 제어부(122)는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서 제1신호가 전송되면, 릴레이부(121)를 구동하여 릴레이부(121)의 접점을 변경할 수 있다. 릴레이부(121)가 NC(Normal Close) 상태일 때, 전관방송 앰프(10)의 출력단(OUT 1, OUT 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릴레이부(121)를 통해 스피커(100a)로 인가되어 정상적으로 방송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릴레이부(121)가 NC(Normal Close) 상태일 때, 전환 스위치(140)의 출력단(OUT 1, OUT 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릴레이부(121)의 A1 접점을 지나 출력 트랜스(130)의 일차 측 단자(T1)에 연결되며, 출력 트랜스(130)의 일차 측 단자(T2)는 릴레이부(121)의 A3 접점을 지나 전관방송 앰프(1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라인 1(LINE 1)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 1의 스피커 유닛(100b) 또한 동일한 전류패스에 따라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전관방송 앰프(10)와 병렬 접속되는 각 스피커 유닛(100a, 100b)은 동일 시점에 라인 1(LINE 1)과 라인 3(LINE 3)에 연결되어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 1(LINE 1)과 라인 3(LINE 3)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라인이며, 라인 3(LINE 3)은 그라운드(GND)에 대응한다. 따라서, 테스트 전원과 오디오 신호는 그라운드 라인인 라인 3(LINE 3)을 공유하므로, 3개의 라인(라인 1, 라인 2 및 라인 3)으로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전원을 각 스피커 유닛(100a, 100b)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3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릴레이부(121)가 NC(Normal Close) 상태일 때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무선 제어부(122)에서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의해 릴레이부(121)가 구동 상태일 때의 전류패스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무선 제어부(122)는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부(121)와 스피커(151) 사이에 형성하는 전류패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제어부(122)는 내부의 전자 스위치(122b, 122c)를 구비하며, 전자 스위치(122b, 122c)는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응답하여 온-오프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스위치(122b)는 제1신호에 응답하여 적색 LED(111)와 테스트 전원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고, 전자 스위치(122c)는 제2신호에 응답하여 녹색 LED(112)과 테스트 전원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패스는 아래의 두 가지 기준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1) 출력 트랜스(130)의 1차 측 단자(T1, T2)에서 라인(라인 2, 라인 3)에 이르는 제1 전류패스,
2) 스피커(151) 측 보이스 코일과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이 이루는 제2 전류패스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전류패스는 출력 트랜스(130)의 1차 측 단자(T1, T2)와 배선(라인 2 및 라인 3)이 정상적으로 결선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고,
제2 전류패스는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과 스피커(151) 내부의 보이스 코일(Voice coil)의 단선 또는 합선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도 4에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부터 제1신호가 전송되면, 무선 제어부(122)의 전자 스위치(122c)가 단락되고, 단자대(122a)의 3번 단자, 4번 단자, 2번 단자 및 6번 단자는 접속 상태가 된다. 이때, 적색 LED(111)의 캐소드 단자(C)는 테스트 전원(예컨대 +12V)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A)는 릴레이부(121)의 A4 접점 및 A1 접점을 지나, 출력 트랜스(130)의 일차 측 T2 단자, T1 단자를 지나, 단자대(12b)로 연결되는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한다. 이때, 단자대(122b)의 5번 단자는 라인 3(LINE 3)에 연결되어 GND와 연결되고, 단자대(122b)의 6번 단자는 라인 2(LINE 2)에 연결되어 테스트 전원(+12V)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출력 트랜스(130)의 1차 측 단자(T1, T2)와 라인(라인 2, 라인 3)이 이루는 제1 전류패스가 단선 되거나 누전되거나 또는 합선되지 않았다면, 적색 LED(111)가 점등하며, 전관 방송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적색 LED(111)의 점등 여부를 통해 해당 스피커 유닛(예컨대 참조부호 100a)의 제1 전류패스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부터 제2신호가 전송되면, 무선 제어부(122)의 전자 스위치(122b)가 단락되고, 테스트 전원(+12V)은 단자대(122b)의 1번 단자, 릴레이부(121)의 B4 접점, B1 접점을 지나,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을 지나 스피커(151)의 보이스 코일을 지나며, 이후, 릴레이부(121)의 B3 접점을 지나 녹색 LED의 애노드 단자로 연결된다. 녹색 LED(112)의 캐소드 단자는 단자대(122a)의 5번 단자로 연결되고, 5번 단자는 GND인 라인 3(LINE 3)와 연결된다. 즉, 녹색 LED(112)는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 권선과 스피커(151)의 보이스 코일이 직결되면서, 테스트 전원과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한다. 스피커(151)와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 권선이 정상이라면, 녹색 LED(112)가 점등되어 스피커(151) 및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 권선이 정상임을 나타낼 수 있다.
펄스신호 발생기(30)는 라인 1(LINE 1) 내지 라인 3(LINE 3) 중 적어도 하나에 펄스 신호를 전송하고, 각 라인(라인 1 내지 라인 3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반사파를 측정하여 라인(라인 1 내지 라인 3 중 어느 하나)이 단선되는 경우, 단선된 위치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펄스신호 발생기(30)와 연동되는 분석 단말기나 퍼스널 컴퓨터가 라인(라인 1 내지 라인 3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라인(라인 1 내지 라인 3 중 어느 하나)이 단선되는 경우, 단선된 영역에서 펄스가 리턴(Return)하는데, 리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펄스신호 발생기(30)에서 펄스가 송출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반사된 펄스가 회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과 펄스의 진행 속도를 참조하여 라인(라인 1 내지 라인 3 중 어느 하나)의 단선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스피커 단선 테스트 장치는 라인(라인 1 내지 라인 3)과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스피커 유닛(예컨대 참조부호 100a. 100b)을 전수 검사할 수 있는데, 이때, 전관방송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휴대형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이용하여 작동 상태가 의심되는 스피커 유닛(예컨대 100a, 100b 중 어느 하나) 부근에 서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이용하여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발생시켜 관리자와 이웃한 곳의 스피커 유닛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Remoter Controller)는 두 개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관리자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 적색 버튼 및 녹색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부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5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53) 및 두 개의 버튼을 구비한다. 관리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크기는 차량 리모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버튼(51, 52)은 각각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생성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관리자가 버튼(51)을 누르면, 리모트 컨트롤러(50)에서 제1신호가 스피커 유닛(예컨대, 100a, 100b)으로 전송되며, 전송 거리는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전파 출력에 따라, 수 미터 내지 수백 미터에 이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자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스피커 유닛(100a, 100b)을 향해 제1신호 또는 제2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스피커 유닛(예컨대, 100a, 100b)에서 적색 LED(111) 또는 녹색 LED(112)의 점등 여부를 통해 스피커 유닛(예컨대 100a, 100b)의 제1 전류패스 및 제2 전류패스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유닛(100a, 100b)은 관리자가 스피커 유닛(100a, 100b)의 상태 점검이 용이하도록 적색 LED(111)와 녹색 LED(112)가 전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는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스피커 유닛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00a)은 하우징(101), 하우징에서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지향방향(오디오신호 출력지향 방향)을 향해 노출되는 적색 LED(111) 및 녹색 LED(112)가 배치되는 스피커(1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스피커 유닛(100a)은 통상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그 외형이 유사해 보일 수 있으나, 내부에는 리모트 컨트롤러(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1 전류패스와 제2 전류패스의 점검을 위한 장치가 내장된다. 이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피커 유닛(100a)의 내부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출원인이 제작한 테스트 샘플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피커 유닛(100a)은 하우징(101)의 오디오 신호 출력 지향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스피커(151), 저음 출력구(102)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류패스 설정부(121), 무선 제어부(122) 및 릴레이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00a)은 관리자가 테스트를 원하는 것에 대해서만 진행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적색 LED(111) 및 녹색 LED(112)의 점등 여부를 통해 스피커 유닛(100a)의 이상 여부를 현장에서 판단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의 연결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지 않았을 때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8과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은 출력 트랜스(131)와 스피커(151)로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201) 및 스피커 유닛(210)의 출력 트랜스(130)의 1차측 전류패스와 2차측 전류패스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여 1차 측 전류패스의 불량 여부 또는 2차 측 전류패스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중테스트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스피커 유닛(210)의 불량 여부를 표시부(110)로 나타낸다는 점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스피터 테스트 장치와 동일하나, 넓은 구역에 걸쳐 분포된 스피커 유닛(210)의 점검 결과를 관리자가 한 자리에서 일괄 조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에서 스피커 유닛(210)은 출력 트랜스(130)와 스피커(151)로만 구성되고,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언급된 표시부(110), 전류패스 설정부(120)는 하나의 케이스에 집적될 수 있다. 즉, 단일 케이스에 표시부(110)와 전류패스 설정부(120)가 모두 수납되고, 케이스 외주연 일 측에는 표시부(110)가 배치되어 관리자가 한눈에 일괄적으로 전 스피커 유닛(2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20층 건물이 있고, 건물의 각 층마다 5개의 스피커 유닛이 있다고 가정하면,
케이스는 20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영역마다 층별 스피커 5개에 대한 복수 개의 표시부(110)가 구분되게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전체에 대해 각 층별로 몇 번째 스피커 유닛(210)에 불량이 발생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케이스(190)의 일 측면에는 표시부(110a, 110b)가 노출되며, 표시부(110a, 110b)는 각 층별로(F1, F2, F3, F4 및 F5) 배열되고 각 표시부(110a, 110b)는 적색 LED(111)와 녹색 LED(1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 5층(5F)에 배치되는 표시부(110a)의 녹색 LED(112)와 적색 LED(111)가 점등하지 않는 경우, 관리자는 5층(5F)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중 첫 번째 스피커 유닛의 출력 트랜스의 1차 측 및 2차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테스트 시스템(200)은 도 11에 도시된 전관 방송앰프(10), 표시부(110), 전류패스 설정부(120), 전환 스위치(140), 펄스신호 발생기(30) 및 전원부(20)를 포함하며, 스피커 유닛(201a)에는 스피커(151) 및 출력 트랜스(131) 만이 포함된다. 전환 스위치(140)는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테스트 전원을 전류패스 설정부(121)로 제공하며, 이때 전류패스 설정부(121)는
1) LED(111 또는 112) - 출력 트랜스(131)의 1차측, 또는
2) LED(111 또는 112) - 출력 트랜스(131)의 2차측 - 스피커(151)로 테스트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류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도 10과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0은 전류패스 설정부(121)에서 표시부(110)에 포함되는 녹색 LED(112) - 출력 트랜스(131)의 2차 측 사이에 전류패스를 설정한 것으로 개념화한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LED(112)는 애노드 단(A)이 단자(A2)를 거쳐 테스트 전원의 양(+) 전압에 연결되고, 캐소드 단(C)은 단자(B4) - 단자(B1)을 거쳐 출력 트랜스(131)의 1차 측(T1)에 연결되며, 출력 트랜스(131)의 1차 측(T2)을 통해 단자(B2)에 연결된 후, 테스트 전원의 음(-) 전원에 연결된다. 즉, 전류패스 설정부(121)는 녹색 LED(112)와 출력 트랜스(130)의 1차측 사이의 전류패스를 설정하고, 전류패스가 단선되거나 합선되지 않을 때, 녹색 LED(112)의 점등 여부를 통해 출력 트랜스(130)의 1차측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전류패스 설정부(121)에서 표시부(110)에 포함되는 적색 LED(111) - 출력 트랜스(130) - 스피커(151) 사이에 전류패스를 설정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LED(111)는 애노드 단(A)이 단자(A3)를 거쳐 스피커(151)의 일 단에 연결되고, 스피커(151)의 타 단에서 출력 트랜스(130)의 2차 측은 단자(A1, A2)를 지나 테스트 전원의 양(+) 전원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전류패스 설정부(121)는 적색 LED(111)와 출력 트랜스(130)의 2차측 사이의 전류패스가 단선되거나 합선되지 않았는가를 적색 LED(111)를 통해 판단하 수 있도록 한다. 펄스신호 발생기(30), 전원부(20), 전관방송 앰프(10) 및 전환 스위치(140)는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a, 100b : 스피커 유닛 110 : 표시부
120 : 전류패스 설정부 130 : 출력 트랜스
140 : 전환 스위치 151 : 스피커

Claims (9)

1차 측은 앰프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차 측은 스피커와 연결되는 출력 트랜스;
표시부; 및
상기 출력 트랜스의 1차 측 또는 상기 출력 트랜스의 2차 측이 상기 표시부 및 테스트 전원과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하는 전류패스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패스 설정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외부 전파에 응답하여 상기 1차 측 또는 상기 2차 측이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테스트 전원과 전류 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표시부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1차 측 또는 상기 2차 측에 대한 전류패스 테스트를 수행하며, 상기 전류패스 설정부는,
NC(Normal Close) 상태에서 상기 앰프의 출력단과 상기 스피커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외부 전파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부와 상기 테스트 전원이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파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무선 제어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스피커가 상기 앰프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앰프의 제1출력단 및 제2출력단에 각각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연결되는 스피커;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상기 제1출력단과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출력단과 상기 제2단자 사이를 단속하며, NC(Normal Close) 상태일 때, 상기 제1출력단과 상기 제2출력단을 각각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에 연결하여 상기 앰프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유도하는 릴레이부; 및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제1전파에 응답하여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상기 제1표시부 및 테스트 전원과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제2전파에 응답하여 상기 제1출력단과 상기 제2출력단에서 상기 릴레이부에 이르는 전선의 일 영역이 상기 제2표시부 및 상기 테스트 전원과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파와 상기 제2전파는,
각각에 대응하는 버튼을 구비하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스피커가 상기 제1출력단 및 상기 제2출력단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부 및 상기 무선 제어부는, 상기 각 스피커에 하나씩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는, 상기 스피커의 음향신호 지향방향을 향해 상기 제1표시부 및 상기 제2표시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테스트 장치.
삭제
KR1020140111028A 2014-08-25 2014-08-25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KR10159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028A KR101598591B1 (ko) 2014-08-25 2014-08-25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028A KR101598591B1 (ko) 2014-08-25 2014-08-25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591B1 true KR101598591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028A KR101598591B1 (ko) 2014-08-25 2014-08-25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578B1 (ko)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0587966B1 (ko) 중앙관제 방식의 파워앰프장치
KR101972136B1 (ko)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KR101598591B1 (ko) 스피커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US20150017832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33485B1 (ko)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갖는 비상방송 시스템
CN108023786B (zh) 局域网测试系统
CN100437129C (zh) 测试装置和使用该装置的测试方法
KR101633681B1 (ko) 전관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06270606A (ja) 光複合ケーブル伝送性能検出装置
JP5853258B1 (ja) 配線チェッカー
KR102171574B1 (ko)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204789841U (zh) 一种线缆测试仪
KR20210144232A (ko) 발열체 통합 관리 시스템
JP2021163547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及び制御装置
JP2001165986A (ja) ケーブル検査装置
CN206470385U (zh) 便携式直流绝缘检测仪测试装置
JP7300372B2 (ja) 分電盤接続検査装置
AU2002100341A4 (en) A device for testing electronic signals
JPH11187495A (ja) スピーカラインの検査装置
JP5875394B2 (ja) 警報システム
US20220406168A1 (en) An information distrubition system for a local area
JP2003075495A (ja) エレベータの導通検査装置
JP3103345U (ja) 三相ケーブル配線検査装置
CN105530588A (zh) 一种室外大功率音响远程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