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349B1 -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349B1
KR101598349B1 KR1020140032320A KR20140032320A KR101598349B1 KR 101598349 B1 KR101598349 B1 KR 101598349B1 KR 1020140032320 A KR1020140032320 A KR 1020140032320A KR 20140032320 A KR20140032320 A KR 20140032320A KR 101598349 B1 KR101598349 B1 KR 10159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ized
bed
photocatalyst
treatment apparatus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192A (ko
Inventor
이용우
이규영
임지현
김정철
최근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34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일측면의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 및 다수의 유동상 광촉매를 담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UV 램프; 상기 유동상 광촉매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의 내측면에 이격하여 구비된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를 거쳐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의 타측면에 구비된 배출부; 및 상기 유동상 광촉매의 유동성을 위해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 일측에 구비된 산기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다수의 유동상 광촉매를 원활하게 유동시켜 오폐수에 대한 광분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유동상 광촉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FLUIDIZING PHASE PHOTOCATALYS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의 발전, 인구증가 및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각종 용수량의 증가와 함께 오폐수에 함유된 무기 및 유기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오폐수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 질소, 인 등 고농도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하천, 호수 및 강 등에 그대로 흘러들어가 부영양화에 따른 수자원의 오염 및 독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등과 같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오폐수는 일정의 기준을 정해놓고 기준치 이하로 정화되고 배출되어야 한다.
특히 종래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질소나 인의 제거는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난분해성 오염물질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하,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이라 함)의 완전 제거는 불가능하고, 이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다량의 슬러지를 유발시키게 되어 이 슬러지의 처리 또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VOC는 탄소와 수소만으로 구성된 탄화수소류, 할로겐화 탄화수소, 질소나 황 함유 탄화수소 등 상온, 상압에서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유기성 물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넓은 의미로 반휘발성 유기화합물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28조 제1항에서는 탄화수소류 중 레이트 증기압이 10.3 KPa(1.5 psia) 이상인 석유화학제품 또는 유기용제 기타물질로서 환경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
VOC는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가정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며 주로 카페트(carpet), 에어로졸 스프레이(aerosol spray), 절연체(insulation), 시너(thinner), 담배 연기(tobacco smoke), 복사기(copiers), 용제(solvent), 페인트 제거액(paint stripper) 등 주위에 흔히 존재하는 것들이 오염원이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클로린계 탄화수소, 벤젠, 포름알데하이드, 사염화탄소 및 스타이렌 등이며 장시간 노출 시에는 이비인후 장애, 마취/현기증세, 두통, 신경장애, 암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VOC에 관한 규제 근거는 95년 대기환경보전법에 그 관련 근거를 마련하고, 99년부터 대기환경보전법 제8조의 2의 규정에 의한 대기환경규제지역에서 VOC를 규제토록 되어 있으며 96년 여천 산단지역에 대기보전 특별종합대책고시(환경부고시 제 96-117호, 96. 9.20)와 97년 울산, 온산 대기보전 특별대책고시(환경부고시 제 97-52호, 97. 7.1)에 VOC에 대한 규제를 시작하였다.
97년 9월 여천 산단에서 시행한 VOC 규제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97년 12월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 제39조 제 1항을 개정하여 VOC 정의를 탄화수소류 중에서 증기압이 27.6 킬로파스칼 이상인 물질에서 10.3 킬로파스칼 이상인 물질로 강화하고 제 2 항에서 주유소를 추가하여 2004년부터 규제토록 하였으며, 같은 법 시행규칙 제64조 별표 18을 개정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진행사항은 국내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인 추세로 VOC 처리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VOC 제거 기술은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촉매에 의한 정화 기술이 주로 사용되어, 유리섬유 또는 석영관 등에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는 고정 형태, 유동이 가능한 나노 파우더 광촉매 형태, 또는 지지체에 광촉매를 코팅시킨 유동형 형태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 기술은 광촉매의 표면적이 작아 처리 효율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워, 시간 경과에 따라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 기술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기지지체에 광촉매를 부착시켰기 때문에, 광촉매 산화반응시 광촉매가 탈리되거나 유기지지체와 접착제가 분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434724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상 광촉매의 원활한 유동을 발생시켜, 유동상 광촉매의 광분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동상 광촉매의 회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일측면의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 및 다수의 유동상 광촉매를 담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UV 램프; 상기 유동상 광촉매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의 내측면에 이격하여 구비된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를 거쳐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의 타측면에 구비된 배출부; 및 상기 유동상 광촉매의 유동성을 위해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 일측에 구비된 산기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장착된 비상용 드럼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처리조는 상기 산기관부에 대응하여 타측 바닥면에 경사판 또는 허언치(Haunc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처리조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통공 패턴판, 제 1 가스켓, 메쉬망, 제 2 가스켓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 패턴판은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의 통공을 다수 구비한 금속판 또는 원형(circle) 패턴의 통공을 다수 구비한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에 대응하여 상기 처리조의 타측면에 높이차를 갖고 관통 구비된 적어도 3개의 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유동상 광촉매는 중공형 비드 형태로서,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중공 비드 지지체 및 상기 중공 비드 지지체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유동상 광촉매는 50 내지 1000 ㎛의 직경 및 0.7 내지 1.1의 비중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비상용 드럼 스크린은 모터에 일측이 연결된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의 하부 타측이 원형 바닥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다수의 타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드럼 프레임; 및 상기 드럼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드럼 메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다수의 유동상 광촉매를 원활하게 유동시켜 오폐수에 대한 광분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유동상 광촉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산기관부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유동성과 부상분리를 수행하면서 유동상 광촉매와 다수의 UV 램프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상 광촉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폐수 처리 장치에 구비된 비상용 드럼 스크린의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상 광촉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유동상 광촉매(200)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로서, 유입부(102)로부터 유입된 오폐수를 담는 처리조(101), 처리조(101)의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UV 램프(110), 유동상 광촉매(200)를 회수하기 위해 처리조(101)의 내측면에 이격하여 구비된 스크린부(120,130,140), 유량 조절을 위해 스크린부(120,130,140)를 거쳐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03,104,105),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106) 및 유동상 광촉매(200)의 유동성을 위해 처리조(101)의 바닥 일측에 구비된 산기관부(150)를 포함한다.
처리조(101)는 유입부(102)로부터 유입된 오폐수를 담는 하우징 형태로서, 일측면 상측에 관통 형태의 유입부(102)를 구비하고, 하부면 일측에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106)을 구비하며, 오폐수의 유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사판(101-2) 또는 허언치(Haunch)를 하부에 구비하며, 유입부(102)에 대응하여 타측면에 높이차를 갖고 관통 구비된 3개의 배출부(103,104,105)를 구비한다.
3개의 배출부(103,104,105)는 유량 조절을 위해 각각 높이차를 갖고 관통 구비되어, 예를 들어 처리조(101)의 하부면으로부터 가장 낮은 위치에 관통 구비된 제 1 배출부(103), 제 1 배출부(103)보다 높은 위치에 관통 구비된 제 2 배출부(104) 및 제 2 배출부(104)보다 높은 위치에 관통 구비된 제 3 배출부(105)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3개의 배출부(103,104,105) 이외에 3개를 초과하는 다수의 배출부가 각각 높이차를 갖고 관통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3개의 배출부(103,104,105)를 각각 이용하여, 처리조(101)에 담긴 오폐수의 유량 조절을 위해 스크린부(120,130,140)를 거쳐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다.
다수의 UV 램프(110)는 일측 단부가 처리조(101)의 바닥에 장착되고 타측 단부가 처리조(101)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선이 연결된 상부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구비된다. 이러한 다수의 UV 램프(110)는 외부에 석영관을 구비할 수 있고, 이격 간격이 최대 20cm가 넘지 않도록 배열된다.
스크린부(120,130,140)는 유입부(102)가 구비된 내측면을 제외하고 3개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하여 구비된 판형 구조체로서 유동상 광촉매(200)와 처리수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하여, 유동상 광촉매(200)를 회수하고 처리수를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부(120,130,140)는 제 1 스크린부(120), 제 2 스크린부(130) 및 제 3 스크린부(140)를 포함하고, 제 1 스크린부(120), 제 2 스크린부(130) 및 제 3 스크린부(140)는 공통적으로 처리조(10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통공 패턴판(121,131,141), 제 1 가스켓(122,132,142), 메쉬망(123,133,143), 제 2 가스켓(124,134,144) 및 프레임(125,135,145)으로 구성된다.
통공 패턴판(121,131,141)은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의 통공을 다수 구비한 금속판 또는 원형(circle) 패턴의 통공을 다수 구비한 금속판으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망(123,133,143)은 유동상 광촉매(200)와 처리수의 분리를 위해 유동상 광촉매(200)의 크기보다 작은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의 메쉬로 구성되며, 유동상 광촉매(200)와 처리수의 분리 과정에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두리 부분에 프레임(125,135,145), 제 1 가스켓(122,132,142)과 제 2 가스켓(124,134,144)을 겹쳐 통공 패턴판(121,131,141)에 고정된다.
산기관부(150)는 외부의 에어 펌프에 연결되어 처리조(101)의 바닥 일측에 구비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분사압으로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켜 처리조(101) 내의 오폐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때, 오폐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산기관부(150)에 대응하는 처리조(101) 내의 일측 하부에 경사판(101-2) 또는 허언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100)에 사용되는 유동상 광촉매(200)는 오폐수의 유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갖는 형태,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중공형 비드(bead)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유동상 광촉매(200)는 도 3b에 도시된 중공형 비드 형태 이외에, 유동성을 갖는 형태이면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중공형 비드 형태의 유동상 광촉매(200)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중공 비드 지지체(201) 및 중공 비드 지지체(201)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막(202)으로 구성되고, 50 내지 1000 ㎛의 직경을 갖으며, 비중은 0.7 내지 1.1의 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중공형 비드 형태의 유동상 광촉매(200)가 0.7 내지 1.1의 비중 범위를 갖는 이유는 유동상 광촉매(200)에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이 비중 범위를 벗어나면 유동상 광촉매(200)가 오폐수의 수면에 부유하거나 처리조(101)의 바닥에 침전된 상태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중공 비드 지지체(201)는 예를 들어,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티타니아(Titania)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지고, 광촉매막(202)은 예컨대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비드 형태의 유동상 광촉매(2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 비드 지지체(201)에 의해 0.7 내지 1.1의 비중을 갖게 되어, 오폐수의 유동에 따라 함께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상 광촉매(200)를 다수 이용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종래에 침전 공정 또는 부상분리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산기관부(150)를 이용하여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켜 오폐수를 유동시키면서 오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부상분리하고, 스크린부(120,130,140)를 이용하여 유동상 광촉매(200)와 처리수를 분리하며, 오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슬러지가 침전될 수 있다.
이때, 유동상 광촉매(200)와 다수의 UV 램프(110)에 의해 유기물질이 정화된 처리수는 스크린부(120,130,140)에서 걸려져 배출부(103,104,105)를 통해 유량이 조절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산기관부(150)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유동성과 부상분리를 수행하면서 유동상 광촉매(200)와 다수의 UV 램프(110)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다수의 유동상 광촉매(200)를 원활하게 유동시켜 오폐수에 대한 유동상 광촉매(200)의 광분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스크린부(120,130,140)를 이용하여 유동상 광촉매(200)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 대해 도 4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폐수 처리 장치에 구비된 비상용 드럼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100)와 유사하고, 도 5에 도시된 비상용 드럼 스크린(160)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100)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스크린부(120,130,140) 및 배출부(103,104,105)의 폐쇄시 발생할 수 있는 처리수의 오버플로어(Overflow)를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조(101) 상부에서 모터에 연결된 비상용 드럼 스크린(160) 및 비상용 드럼 스크린(160)의 내부에 구비된 흡입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외부에 장착된 흡입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추가 구비한다.
비상용 드럼 스크린(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일측이 연결된 회전 지지축(161), 회전 지지축(161)의 하부 타측이 원형 바닥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다수의 타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드럼 프레임(162), 및 드럼 프레임(162)의 외부를 감싸는 드럼 메쉬망(163)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상용 드럼 스크린(160)은 처리수가 유입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드럼 메쉬망(163)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지지축(161)을 이용하여 비상용 드럼 스크린(160)을 회전시켜 처리수 유입과 드럼 메쉬망(163)의 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드럼 프레임(162)의 내부에 구비된 흡입관을 통해 오버플로어된 처리수를 흡입하여 외부의 저장 탱크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비상용 드럼 스크린(160)을 이용하여 오버플로어된 처리수를 용이하게 처리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오폐수 처리 장치 101: 처리조
102: 유입부 103,104,105: 배출부
106: 드레인 110: UV 램프
120,130,140: 스크린부 150: 산기관부
160: 비상용 드럼 스크린 200: 유동상 광촉매

Claims (8)

  1. 일측면에 유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와 다수의 유동상 광촉매를 담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UV 램프;
    상기 일측면을 제외한 상기 처리조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를 거쳐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배출부;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타측면에 구비된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다량의 기포를 분사하는 산기관부; 및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장착된 비상용 드럼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용 드럼 스크린은
    모터에 일측이 연결된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의 하부 타측이 원형 바닥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다수의 타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드럼 프레임; 및
    상기 드럼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드럼 메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상기 산기관부에 대응하여 타측 바닥면에 경사판 또는 허언치(Haunc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처리조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통공 패턴판, 제 1 가스켓, 메쉬망, 제 2 가스켓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 패턴판은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의 통공을 다수 구비한 금속판 또는 원형(circle) 패턴의 통공을 다수 구비한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에 대응하여 상기 처리조의 타측면에 높이차를 갖고 관통 구비된 적어도 3개의 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상 광촉매는 중공형 비드 형태로서,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중공 비드 지지체 및 상기 중공 비드 지지체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상 광촉매는 50 내지 1000 ㎛의 직경 및 0.7 내지 1.1의 비중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8. 삭제
KR1020140032320A 2014-03-19 2014-03-19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159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20A KR101598349B1 (ko) 2014-03-19 2014-03-19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20A KR101598349B1 (ko) 2014-03-19 2014-03-19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92A KR20150109192A (ko) 2015-10-01
KR101598349B1 true KR101598349B1 (ko) 2016-02-29

Family

ID=5433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320A KR101598349B1 (ko) 2014-03-19 2014-03-19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3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48Y1 (ko) * 2000-09-25 2001-02-15 주식회사대진환경산업 유량조절장치
KR100901076B1 (ko) * 2009-01-13 2009-06-03 송기장 고점성유체 필터링유닛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93A (ko) * 2001-03-08 2001-07-13 김현용 공기부상형 광촉매 수처리장치
KR100497546B1 (ko) * 2002-07-23 2005-06-29 고명한 오폐수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434724Y1 (ko) 2006-09-29 2006-12-28 정광희 오폐수 살균 및 정화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48Y1 (ko) * 2000-09-25 2001-02-15 주식회사대진환경산업 유량조절장치
KR100901076B1 (ko) * 2009-01-13 2009-06-03 송기장 고점성유체 필터링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92A (ko)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640B1 (ko) 오폐수 처리 시스템
CN109205789B (zh) 一种曝气生物过滤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系统
JP2515552B2 (ja) 排出空気および廃水の生物学的精製装置および方法
KR101401992B1 (ko)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JP2017527441A5 (ko)
KR20190067552A (ko) 전처리장치와 광촉매 또는 무광촉매 반응장치가 결합된 정화시스템
JPH10146523A (ja) 気液分散装置及び気液接触装置並びに廃水処理装置
AU2012224335B2 (en) Membrane separation device
KR101598349B1 (ko) 유동상 광촉매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1998872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용 흡착탑
JP4839912B2 (ja) 汚染水の浄化方法
CN216737928U (zh) 一种光催化处理有机印染废水的装置
KR200336701Y1 (ko) 직접 폭기식 오염하천 정화장치
KR20170115421A (ko) 마이크로 버블링 회절 스크러버
JP4664270B2 (ja) 水処理装置
KR101790872B1 (ko) 고도 정수처리 시스템
KR20120029743A (ko) 수족관 정수장치
JP6957044B2 (ja) 廃液処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廃液処理装置
KR100970426B1 (ko) 부상고도산화장치
CN108602691B (zh) 用于提取溶解在水溶液中的可溶性物质的设备和方法
CN109059125B (zh) 一种光催化水过滤式空气净化器
US20160009577A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CN101469553A (zh) 中水回用处理系统
JP2012232270A (ja) 浄化処理槽および浄化処理システム
CN113620486B (zh) 一种有机化学实验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