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196B1 - 축열식 산화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식 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196B1
KR101598196B1 KR1020150044952A KR20150044952A KR101598196B1 KR 101598196 B1 KR101598196 B1 KR 101598196B1 KR 1020150044952 A KR1020150044952 A KR 1020150044952A KR 20150044952 A KR20150044952 A KR 20150044952A KR 101598196 B1 KR101598196 B1 KR 10159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sealing member
storage unit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철
김창락
조한수
Original Assignee
(주)지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씨 filed Critical (주)지앤씨
Priority to KR102015004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23G7/06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23G7/06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preheating the waste gas by the heat of the combustion, e.g. recuperation type incinerator
    • F23G7/068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preheating the waste gas by the heat of the combustion, e.g. recuperation type incinerator using regenerative heat recovery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10Waste heat recuperation reintroducing the heat in the same process, e.g. for pre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열식 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가진 가스로부터 유기미립자를 연소하고 산화처리하는 축열유닛, 및 이 축열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유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가스를 열교환하는 응축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축열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된 수분과 유분을 일차적으로 열교환하여 걸러낸 후 가스를 이차적으로 열교환하여 승온함에 따라 산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축열식 산화장치{REGENERATIVE OXIDIZER SYSTEM}
본 발명은 축열식 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열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된 수분과 유분을 일차적으로 열교환하여 걸러낸 후 가스를 이차적으로 열교환하여 승온함에 따라 산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열식 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은 유해대기물질, 악취의 원인물질로 호흡기관 장애, 발암물질 유발 등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갖는 것 이외에도 광화학 반응을 통한 스모그의 형성, 악취발생의 원인물질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유기화합물질을 이용하는 공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서 축열식 산화기술의 일종인 축열식 연소 산화장치(R.T.O)와 축열식 촉매 산화장치(R.C.O)가 대표적인 방법이다. 축열식 산화장치는 유기화합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장치로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유해가스의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가열공기의 열을 연소실로 유입되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의 예열에 재활용하여 에너지의 허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특히, 축열식 산화장치는 2개 이상의 산화탑으로 구성되어 운전 초기에는 오염가스 급기관을 통하여 급기되어 제1탑의 급기 밸브를 열어 제1산화탑으로 오염가스가 유입되어 제1산화탑 내의 축열층과 촉매층을 통과하여 연소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며, 가열된 오염가스는 제2산화탑의 축열층과 촉매층을 통과하여 산화되면서 정화되고, 이때 발생된 산화열은 축열층을 통화하면서 축열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축열이 완료되면 제1산화탑의 급기밸브를 닫음과 동시에 제2산화탑의 급기 댐퍼를 열고 제1산화탑의 배기 댐퍼를 열고 제2산화탑의 배기 댐퍼를 닫아 오염 가스의 흐름을 반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2산화탑으로 유입된 오염가스는 제2산화탑의 축열층에서 열을 회수하며 제2산화탑의 축열층과 촉매층에서 1차로 촉매 산화가 이루어지며 온도가 낮아 완전산화가 안될 경우 연소 버너의 점화로 온도를 상승시켜, 제1산화탑의 촉매층에서 2차산화를 시켜 정화하고, 이때 발생되는 산화열은 다시 제1산화탑의 축열층에 축열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배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을 제1산화탑과 제2산화탑이 교대로 운전 하며 오염된 가스를 정화하게 되는 구조이다.
축열식 산화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45419호(등록일: 2011.06.23.)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축열식 산화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가스에 수분과 유분, 먼지 등 VOCs 이외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축열층 막힘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산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열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된 먼지는 여과집진기에서 일차적으로 걸러지고, 수분과 유분은 이차적으로 응축시키도록 열교환하여 걸러냄에 따라 축열유닛의 내구성 및 연소 산화 효율 및 보조에너지 사용을 줄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축열식 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분과 유분이 걸러지는 과정 중에 감온된 가스를 축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열기와 열교환하여 승온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에 의한 산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축열식 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는: 유입되는 유기화합물을 가진 가스로부터 유기미립자를 연소하고 산화 처리하는 축열유닛; 상기 축열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여과집진기; 및 먼지가 제거된 상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유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를 열교환하는 응축열교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집진기에서 먼지가 제거된 가스는 상기 응축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되며 수분과 유분을 제거한 후, 승온열교환부에서 상기 축열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에 의해 열교환되며 승온될 수 있다.
상기 응축열교환부는, 가스유입구와 가스배출구를 구비하여 수분과 유분을 함유하는 가스의 통과를 안내하는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1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냉각수유입구와 냉각수배출구를 구비하여 냉각수를 통해 고온의 가스를 감온시키며 함유하고 있는 수분과 유분을 응축시키는 탈부착이 가능한 냉각수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열교환부는, 상기 제 1하우징의 바닥으로 낙하하는 상기 냉각수트레이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과 유분을 담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응축수트레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트레이는 가스의 필요냉각 효율에 따라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에 복수 개 배치되어 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웃한 냉각수트레이는 냉각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온열교환부는, 상기 응축열교환부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인렛과 유입된 가스를 상기 축열유닛으로 배출 안내하는 가스아웃렛을 구비하는 제 2하우징; 및 상기 축열유닛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가스를 통해 상기 축열유닛으로 유입되는 가스를 승온시켜 유기미립자의 연소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축열유닛의 배기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2하우징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열교환유도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축열유닛은, 일측 끝단에 가스 흡입구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 배출구가 구비된 내통; 상기 내통을 둘러싸며, 위치 고정되는 외통; 및 상기 내통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외통의 내측 둘레면 사이 틈새를 막고, 회전되는 상기 내통의 흔들림에 대해 완충하는 완충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실링부재는 불소수지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완충실링부재는, 상기 내통의 외측 둘레면에 접하는 제 1실링재; 및 상기 외통의 내측 둘레면에 접하는 제 2실링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실링재와 상기 제 2실링재는 번갈아 적층되게 배치되며, 직경이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실링부재는 상기 내통의 흔들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로 나뉘어져 원주 궤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축열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된 먼지를 일차적으로 여과집진기에서 제거하고, 수분과 유분을 이차적으로 응축시키도록 열교환하여 걸러냄에 따라 축열유닛의 내구성 및 산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분과 유분이 걸러지는 과정 중에 감온된 가스를 축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열기와 열교환하여 승온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에 의한 연소 산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축열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유닛에 구비되는 완충실링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실링부재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의 축열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유닛에 구비되는 완충실링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실링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산화장치는 축열유닛(100), 응축열교환부(200) 및 승온열교환부(300)를 포함한다.
축열유닛(100)은 유입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가진 가스로부터 유기미립자를 연소하고 산화 처리하는 설비이다.
특히, 축열유닛(100)은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의 유입-예열(축열실1)-연소(연소실,도시하지 않음)-축열(축열실2,도시하지 않음)-배기로 이루어지는 제1싸이클과,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의 유입-예열(축열실2)-연소(연소실)-축열(축열실1)-배기로 이루어지는 제2싸이클이 연속 교체되어진다. 연소실에서 유해가스가 800℃에서 소각되고 배출되는 뜨거운 온도의 청정공기가 축열재가 충진된 축열실2를 통과하면서 축열재의 온도를 가열시켜주며 배출된다. 그리고, 유입공기가 축열실2를 통과하여 연소실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는 축열실2의 축열재에 의하여 예열되어 연소실로 유입됨으로 보다 적은 에너지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때, 축열실2의 온도는 유입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며, 연소실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고 배출되는 공기는 이번에는 축열실1을 통과하면서 전 싸이클에서 냉각된 축열실1의 축열재를 가열시켜 주면서 배기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축열유닛(100)은 연소싸이클이 축열실1 및 축열실2가 연소실의 유입구 및 배출구로 번갈아 바뀌게 됨으로 유해가스 소각처리에 따르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운용토록 하게 된다.
특히, 축열유닛(100)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수분과 유분을 함유하고 있다. 수분과 유분이 축열유닛(100) 내부로 유입시, 축열유닛(100) 내부의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축열재(도시하지 않음) 등이 내구성 및 통기도 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에 대한 축열유닛(100)의 산화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열교환부(200)가 구비된다. 응축열교환부(200)는 축열유닛(100)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유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가스를 열교환한다.
더욱 상세히, 응축열교환부(200)는 제 1하우징(210) 및 냉각수트레이(220)를 포함한다.
제 1하우징(210)은 각 공정으로부터 배기되는 유기화합물을 가진 가스를 유입 후 배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 1하우징(210)은 일측에 가스유입구(212)를 구비하고, 타측에 가스배출구(214)를 구비한다. 물론, 제 1하우징(2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할 수 있다.
아울러, 냉각수트레이(220)는 제 1하우징(2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스를 통과시키며 표면에 유분과 수분을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하우징(210)으로 유입되는 가스는 고온 상태이다. 이에 따라, 냉각수트레이(220)는 상대적으로 저온 상태인 냉각수나 저온매체를 통과시킨다. 즉, 냉각수트레이(220)는 냉각수유입구(222)와 냉각수배출구(224)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냉각수가 냉각수유입구(222)로 유입된 후 냉각수트레이(220) 내부에서 유동됨에 따라 고온의 가스와 열교환하게 된다. 고온의 가스는 냉각수에 의해 감온되며 함유하고 있는 수분과 유분을 냉각수트레이(220)의 표면에 응축 유도한다.
냉각수는 냉각수배출구(224)를 통해 배출된다.
특히, 냉각수는 냉각탑(400)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냉각탑(400)은 냉각수를 냉각수트레이(220)에 순환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냉각탑(400)의 냉각수는 펌핑부재(410)에 의해 펌핑되며 강제로 냉각수트레이(220)에 공급되며, 일정량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냉각수트레이(220)는 가스의 필요냉각 효율에 따라 제 1하우징(210)의 내부에 복수 개 배치되어 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수분과 유분의 응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한 냉각수트레이(220)는 냉각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배관(226)으로 연결된다. 이때, 가이드배관(226)은 어느 하나의 냉각수트레이(220)의 하측과 이에 이웃한 냉각수트레이(220)의 상측을 연결한다. 따라서, 일측 최외측의 냉각수트레이(220)의 냉각수배출구(224)가 냉각탑(400)에 연결되고, 타측 최외측의 냉각수트레이(220)의 냉각수유입구(222)가 냉각탑(400)에 연결된다.
한편, 응축된 수분과 유분은 액체 상태로 제 1하우징(210)의 바닥으로 낙하하여 고이게 된다.
그래서, 응축열교환부(200)는 응축수트레이(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트레이(230)는 제 1하우징(210)의 바닥으로 낙하하는 냉각수트레이(220)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과 유분을 담아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응축수트레이(230)는 제 1하우징(2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응축수트레이(230)는 제 1하우징(210)에 밀봉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고온의 가스는 응축열교환부(200)에 의해 수분과 유분을 걸러내면서 감온된다. 이로 인해, 저온 상태의 가스가 축열유닛(100)으로 공급시 연소 산화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되며 수분과 유분을 제거하며 감온된 가스는 승온열교환부(300)를 통과하며 승온된다.
이때, 승온열교환부(300)로 유입된 감온 상태의 가스는 축열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에 의해 열교환되며 승온된다. 즉, 축열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가스는 감온 상태로 축열유닛(100)으로 유입되기 전(前) 상태의 가스와 열교환을 위해 재활용된다.
특히, 승온열교환부(300)는 제 2하우징(310) 및 열교환유도파이프(320)를 포함한다.
제 2하우징(310)은 응축열교환부(200)의 제 1하우징(210)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가스를 유입하기 위해 가스인렛(312)을 구비하고, 유입되어 열교환된 가스를 축열유닛(100) 방향으로 배출 안내하기 위해 가스아웃렛(314)을 구비한다.
물론, 제 2하우징(3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열교환유도파이프(320)는 축열유닛(100)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가스를 통해 축열유닛(100)으로 유입되는 가스를 승온시켜 유기미립자의 연소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축열유닛(100)의 배기측에 연결되고, 제 2하우징(310)에 관통되게 삽입된다.
따라서, 축열유닛(100)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가스가 제 2하우징(310)을 관통하며 유동됨에 따라, 수분과 유분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감온된 가스는 승온된 후 축열유닛(100)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 2하우징(310)은 열교환유도파이프(320)에 연결되는 열교환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응축열교환부(200)의 제 1하우징(210)으로 공급되기 전(前)의 가스는 여과집진기(50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은 먼지나 파티클 등 미립자이다. 그리고, 여과집진기(500)는 유분과 수분을 일부 걸러낼 수도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축열유닛(100)은 내통(120), 외통(130) 및 완충실링부재(600)를 포함한다.
이때, 축열유닛(100)에 의해 처리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VOCs(Volitile Organic Compounds)는 유기화합물질 가운데 0.02psi 이상의 증기압을 갖거나 끓는점이 100℃ 미만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통칭하며, 대기물질 관리에서는 질소화합물과 광화학 반응에 의해 오존 및 광화학 산화물을 형성하는 전구물질(Precusor)로 정의되고 있다.
내통(120)은 일측 끝단에 가스 흡입구(122)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 배출구(124)가 구비된다.
특히, 축열유닛(100)은 연소부(110)를 포함한다.
연소부(110)는 공장에서 발생된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하는 역할을 하고, 내통(120)은 연소부(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소부(110)에서 가스의 연소가 완료된 후 청정공기를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내통(120)과 연소부(110)는 연결되어 함께 회전된다.
외통(130)은 내통(120)을 둘러싸며, 위치 고정된다. 이때, 외통(130)은 배출덕트(140)에 고정 설치된다. 배출덕트(140)는 내통(120)을 통해 안내되는 청정공기를 배출 유도한다. 이에 따라, 내통(120)은 배출덕트(140)로 연결된다.
한편, 완충실링부재(600)는 내통(120)과 외통(13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완충실링부재(600)는 내통(120)의 외측 둘레면과 외통(130)의 내측 둘레면 사이 틈새를 막아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완충실링부재(600)는 회전되는 내통(120)의 흔들림에 대해 완충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완충실링부재(600)는 고정된 외통(130)과 회전되는 내통(120) 사이에 구비되어 내통(120)에 전달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불소수지 재질 특히, 테프론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완충실링부재(600)는 실링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실링부재(600)는 내통(120)의 외측 둘레면에 접하는 제 1실링재(610) 및 외통(130)의 내측 둘레면에 접하는 제 2실링재(6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실링재(610)와 제 2실링재(620)는 번갈아 적층되게 배치되며, 직경이 상이하게 구비된다. 즉, 제 1실링재(610)는 외통(130)의 내측면과 유격된 채 내통(120)의 외측 둘레면에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제 2실링재(620)는 내통(120)이 외측 둘레면과 유격된 채 외통(130)의 내측면에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제 1실링재(610)와 제 2실링재(620)는 내통(120)과 외통(130) 사이에서 엇갈리게 적층된다.
아울러, 완충실링부재(600) 각각은 회전되는 내통(120)의 흔들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로 나뉘어져 원주 궤적을 따라 배치된다. 이로 인해, 내통(120)의 흔들림에 따라, 완충실링부재(600) 특히, 복수 개로 나뉘어진 제 1실링재(610)는 내통(120)의 흔들림에 따라 간격을 달리하며 완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축열유닛 110: 연소부
120: 내통 130: 외통
140: 배출덕트 200: 응축열교환부
210: 제 1하우징 212: 가스유입구
214: 가스배출구 220: 냉각수트레이
222: 냉각수유입구 224: 냉각수배출구
226: 가이드배관 230: 응축수트레이
300: 승온열교환부 310: 제 2하우징
312: 가스인렛 314: 가스아웃렛
320: 열교환유도파이프 400: 냉각탑
410: 펌핑부재 500: 여과집진기
600: 완충실링부재 610: 제 1실링재
620: 제 2실링재

Claims (10)

  1. 유입되는 유기화합물을 가진 가스로부터 유기미립자를 연소하고 산화 처리하는 축열유닛;
    상기 축열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여과집진기; 및
    먼지가 제거된 상기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유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를 열교환하는 응축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열교환부는, 가스유입구와 가스배출구를 구비하여 수분과 유분을 함유하는 가스의 통과를 안내하는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1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냉각수유입구와 냉각수배출구를 구비하여 냉각수를 통해 고온의 가스를 감온시키며 함유하고 있는 수분과 유분을 응축시키는 탈부착이 가능한 냉각수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산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집진기에서 먼지가 제거된 가스는 상기 응축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되며 수분과 유분을 제거한 후, 승온열교환부에서 상기 축열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에 의해 열교환되며 승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산화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열교환부는, 상기 제 1하우징의 바닥으로 낙하하는 상기 냉각수트레이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과 유분을 담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응축수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산화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트레이는 가스의 필요냉각 효율에 따라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에 복수 개 배치되어 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웃한 냉각수트레이는 냉각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산화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온열교환부는,
    상기 응축열교환부에서 열교환 후 배출되는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인렛과 유입된 가스를 상기 축열유닛으로 배출 안내하는 가스아웃렛을 구비하는 제 2하우징; 및
    상기 축열유닛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가스를 통해 상기 축열유닛으로 유입되는 가스를 승온시켜 유기미립자의 연소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축열유닛의 배기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2하우징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열교환유도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산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유닛은,
    일측 끝단에 가스 흡입구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 배출구가 구비된 내통;
    상기 내통을 둘러싸며, 위치 고정되는 외통; 및
    상기 내통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외통의 내측 둘레면 사이 틈새를 막고, 회전되는 상기 내통의 흔들림에 대해 완충하는 완충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실 산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실링부재는 불소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실 산화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실링부재는, 상기 내통의 외측 둘레면에 접하는 제 1실링재; 및
    상기 외통의 내측 둘레면에 접하는 제 2실링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실링재와 상기 제 2실링재는 번갈아 적층되게 배치되며, 직경이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실 산화장치.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실링부재는 상기 내통의 흔들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로 나뉘어져 원주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실 산화장치.
KR1020150044952A 2015-03-31 2015-03-31 축열식 산화장치 KR10159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52A KR101598196B1 (ko) 2015-03-31 2015-03-31 축열식 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52A KR101598196B1 (ko) 2015-03-31 2015-03-31 축열식 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196B1 true KR101598196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952A KR101598196B1 (ko) 2015-03-31 2015-03-31 축열식 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1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54B1 (ko) 2019-07-04 2020-01-08 최혁순 직접 연소에 의한 축열 촉매 모듈형 산화 시스템
KR102063953B1 (ko) 2019-07-04 2020-01-08 최혁순 직접 연소에 의한 축열 촉매 산화 시스템
KR20230069351A (ko) 2021-11-12 2023-05-19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배출가스 제거를 위한 하이브리드 연소식 산화시스템
CN116447607A (zh) * 2023-04-19 2023-07-18 江苏洋井环保服务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气治理用无害化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034A (ja) * 2000-01-18 2001-07-27 Chugai Ro Co Ltd 排ガスの処理方法
JP2010078317A (ja) * 2002-05-07 2010-04-08 Megtec Systems Inc 弁を備えた再生式熱酸化装置用の高温シールエア
KR20100130334A (ko) * 2009-06-03 2010-12-13 삼창기업 주식회사 연소장치를 이용한 건조배기가스의 무폐수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034A (ja) * 2000-01-18 2001-07-27 Chugai Ro Co Ltd 排ガスの処理方法
JP2010078317A (ja) * 2002-05-07 2010-04-08 Megtec Systems Inc 弁を備えた再生式熱酸化装置用の高温シールエア
KR20100130334A (ko) * 2009-06-03 2010-12-13 삼창기업 주식회사 연소장치를 이용한 건조배기가스의 무폐수 탈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54B1 (ko) 2019-07-04 2020-01-08 최혁순 직접 연소에 의한 축열 촉매 모듈형 산화 시스템
KR102063953B1 (ko) 2019-07-04 2020-01-08 최혁순 직접 연소에 의한 축열 촉매 산화 시스템
KR20230069351A (ko) 2021-11-12 2023-05-19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 배출가스 제거를 위한 하이브리드 연소식 산화시스템
CN116447607A (zh) * 2023-04-19 2023-07-18 江苏洋井环保服务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气治理用无害化处理装置
CN116447607B (zh) * 2023-04-19 2023-09-12 江苏洋井环保服务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气治理用无害化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196B1 (ko) 축열식 산화장치
KR102479535B1 (ko) 가스 흡착분리장치 및 그의 응용
TWI629092B (zh) 串聯式轉輪高效率淨化系統及串聯式轉輪高效率淨化方法
JP3112831U (ja) 蓄熱式排ガス燃焼装置
JP5686987B2 (ja) 二酸化炭素化学吸収設備を備えた排ガス処理システム
CN208809745U (zh) 一种处理废气的分子筛吸附转轮系统
JP3655667B2 (ja) 排ガスに適用される回転式熱伝達および熱式浄化装置
CN108939821A (zh) 一种沸石转轮吸附浓缩装置
CN110585855A (zh) 移动式废气处理装置
KR20220121806A (ko) 개선된 이산화탄소 직접 공기 포집(dac+)용 회전 연속 다중 포집 시스템 및 장치
KR100827376B1 (ko) 활성탄 재생장치
CN112657330A (zh) 一种轮胎行业挥发性有机废气治理工艺及装置
CN206715626U (zh) 转轮高效率净化系统
KR20050096823A (ko) 축열식 입자-이동층 장치
KR101343558B1 (ko) 공동 연속식 활성탄 재생장치
KR20040089460A (ko) 축열식 연소로의 열에너지 회수 방법
CZ297340B6 (cs) Zarízení pro zpracování tekavých organických slozek pracovního plynu a zpusob zpracování techto slozek
JP4121457B2 (ja) 2チャンバ型再生式酸化装置用モジュールvoc閉じ込めチャンバ
JP3798360B2 (ja) 分離組立型の風向転換装置を有する四角形の蓄熱式燃焼装置、及びその風向転換方法
KR20130090243A (ko)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 동시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CN209123625U (zh) 一种沸石转轮吸附浓缩装置
CN109985488A (zh) 一种转筒吸附浓缩装置
CN105327589A (zh) 废气处理系统
CN215570498U (zh) 一种含氯废气净化系统
CN111203432B (zh) 一种高效节能清洁的原位燃气热脱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