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493B1 -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 Google Patents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493B1
KR101597493B1 KR1020150138635A KR20150138635A KR101597493B1 KR 101597493 B1 KR101597493 B1 KR 101597493B1 KR 1020150138635 A KR1020150138635 A KR 1020150138635A KR 20150138635 A KR20150138635 A KR 20150138635A KR 101597493 B1 KR101597493 B1 KR 10159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guide
water flow
guide plate
brack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화
Original Assignee
윤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화 filed Critical 윤병화
Priority to KR102015013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용이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에 관한 것으로, 수문 본체 상단의 좌우에 형성된 절취부에 1차 물 흐름 안내판의 돌출 환을 안착시키고 축 볼트를 이용하여 수문 본체와 1차 물 흐름 안내판을 조립시키고, 하단에 로울러가 조립되며 수문 본체의 높이 대비 1.3 내지 1.5배의 높이를 가지는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를 수문 본체의 뒷면에 고정 핀과 브라키트로 조립시키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수문 본체의 뒷면에 고정 핀과 브라키트로 조립시키고 1차 물 흐름 안내판과 수문 본체에 형성된 고리에 코일스프링을 조립하여 1차 물 흐름 안내판이 수문 본체의 뒷면 쪽으로 항상 탄력 있게 당겨져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인 본 발명은,
물을 방류할 때 1차 물 흐름 안내판과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에 의하여 수문 본체의 상단부 앞쪽과 수로 바닥 사이에 와류현상이 소멸되어 물의 흐름작용이 매우 원활하고 신속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수로 바닥에 잔존하는 이물질의 량이 최소화가 되어 유리하고,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가 전진할 때 코일스프링의 당김력이 작용하고 있는 1차 물 흐름 안내판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를 하방으로 강하게 눌러 줌에 따라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가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밀어 줄 수 있어 유리하며,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 위로 이물질이 무너져 쌓이더라도 1차 물 흐름 안내판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소멸되어 결국 수문 전체의 내구성이 상승되고 유지보수의 빈도가 감소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용이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A gate for waterway without an eddy phenomenon}
.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용이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에 관한 것으로 하천이나 강 등의 관계수로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수량(水量)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인데, 아래의 선행기술을 통해 살펴 본 수로용 전도수문은 하기와 같은 많은 문제가 있어 그 개선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실용신안등록 제20-0359160호(유압식 전도수문)는 수문의 하단부가 수로 바닥에 설치된 고정쇠에 고정 핀으로 조립되고 또 다른 고정쇠에 유압실린더의 하단부가 고정 핀에 의해 고정되며 피스톤로드의 상단 고정쇠는 수문의 뒷면에 고정된 브라키트에 고정 핀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10-0693310호(안전로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수문)는 상술한 실용신안등록 제20-0359160호의 구조에서 유압장치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안전로킹장치에 구비된 푸셔에 유압을 별도로 공급하여 수문이 임의로 개방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추가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과 같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전도수문은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로드가 빠져나오면 수문이 닫히고 피스톤로드가 원위치를 하면 수문이 수평으로 개방되어 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우천이나 댐 개방 등의 이유로 강이나 하천의 수량이 증가되면 수문이 닫혀 있어도 물은 수문의 상단부를 타고 넘치게 되고 이때 부유성 이물질(목재, 플라스틱류, 합성수지류, 부구, 그물, 각종 플라스틱 통, 신발, 옷가지 등)도 물과 함께 이동하여 수문의 상단부를 지나 수로 바닥(G)으로 추락하며 일부 물과 함께 떠내려 간 것을 제외하고는 수문의 뒷면 쪽 수로 바닥(G)에 엉기면서 쌓이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수문을 수평으로 개방하려고 할 때 상술한 이물질들로 인하여 수문이 수평으로 열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물의 방류작용이 불량해짐과 아울러 피스톤로드가 파손되는 등의 폐단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285341호(해수와 담수의 차이가 없는 유압식 가동보)와 특허등록 제10-1040322호(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가 발명되었는데, 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문이 여닫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수문의 뒷면 또는 유압실린더에 잡석방지하판을 그리고 잡석방지하판의 위에 겹치도록 하여 잡석방지상판을 브라키트와 고정 핀으로 조립시킨 것으로 수문이 닫혀 있을 경우에는 잡석방지하판이 수문의 뒷면에서 수로 바닥 쪽으로 기울어진 채 경사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문이 닫혀 있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이 수문의 상단부를 통과하여 수로 바닥 쪽으로 추락을 하여도 이물질이 수문 뒤쪽의 수로 바닥으로 추락을 하지 않고 잡석방지하판 위로 추락을 하기 때문에 수문의 바로 아래쪽에는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잡석방지하판의 하단부와 수로 바닥이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쌓여 있게 된다.
이어서 수문이 수평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물을 방류를 하게 될 때 수문이 뒤로 열림과 동시에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이 수로 바닥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수문에서 먼 곳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수문은 수평으로 개방이 된다고 서술이 되어 있다. 즉, 잡석방지하판의 앞에는 상술한 이물질들이 엉겨서 쌓여 있기 때문에 잡석방지하판이 이물질 쪽으로 전진을 할 때 이물질이 무너져 내리면서 잡석방지하판의 위로 쌓이게 되고 이때 잡석방지상판은 잡석방지하판의 위로 전진하면서 이물질을 밀어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에 구비되어 있는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수문이 수평으로 개방이 되었을 때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의 끝 부분은 수문의 상단부 끝 부분에서 약간 더 연장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결국 수문의 상단부 앞쪽과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의 앞쪽에 밀려나간 이물질들이 쌓여 있게 되고 방류되는 물의 힘에 의하여 이물질이 일부 유실이 되어 수문의 상단부 앞쪽과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의 앞에 공간부가 생긴다고 하여도 그 부분에 심한 와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결국 방류되는 물의 흐름작용이 불량해지고 이에 따라 이물질은 쉽사리 제거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도 17을 참조하여 볼 때 수문 본체(10)의 상단부 윗면과 수로 바닥(G)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V1)는 통상 50~60cm에 이르도록 설계가 되어 있어서 위와 같이 수문의 상단부 앞쪽과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의 앞에 생기는 공간부는 심한 와류현상을 초래하여 물 흐름작용을 크게 방해하기 때문에 수문의 상단부 앞쪽과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의 앞에 엉겨 있는 이물질은 용이하게 제거가 되지 못하고 쌓여 있게 되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의 방류가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문제가 될 수 있고, 수문의 상단부 앞쪽과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의 앞에 이물질이 쌓여서 엉기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잡석방지하판과 잡석방지상판이 이물질 쪽으로 전진을 할 때 수문이 수평이 되기 전에 이물질이 잡석방지상판의 위로 침투하게 되면 수문이 수평으로 닫히지 못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잡석방지상판과 잡석방지하판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될 소지가 다분하다 할 것이다.
1. 실용신안등록 제20-0359160호
2. 특허등록 제10-0693310호
3. 특허등록 제10-1285341호
4. 특허등록 제10-1040322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수문이 수평으로 개방이 되었을 때 수문의 상단부 끝 부분과 수로 바닥 사이에 와류현상이 소멸되도록 하여 개방된 수문 앞의 이물질을 완전히 유실되도록 함에 따라 상술한 종래 수문으로부터 비롯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단의 반원부(R) 좌우 모서리에 절취부(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절취부(11)의 바닥은 1차 물 흐름 안내판의 돌출환이 접촉되는 반원 홈(12)이 구비되고 절취부(11)의 수직 면(13)에는 축 볼트의 나사 봉이 조립되는 나사구멍(14)이 구비되며 저면에는 수로에 설치된 고정쇠와 고정 핀(7)으로 조립되기 위한 핀 구멍(15a)이 형성된 제 1 브라키트(15)가 구비되고 뒷면에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2)의 상단 고정쇠를 고정 핀(6)으로 조립하기 위한 핀 구멍(16a)이 형성된 제 2 브라키트(16)가 구비되며 제 2 브라키트(16)의 바로 위쪽으로는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의 힌지 턱을 고정 핀(3)으로 조립하기 위한 핀 구멍(17a)이 형성된 제 3 브라키트(17)가 구비되고 제 3 브라키트(17)의 위쪽으로는 코일스프링을 걸 수 있는 고리(18)가 구비된 직사각형의 수문 본체(10)와;
상단의 좌우에는 수문 본체(10)의 절취부(11)에 형성된 반원 홈(12)에 안착되는 돌출 환(21)이 구비되고 돌출 환(21)의 중앙에는 수문 본체(10) 절취부(11)의 수직 면(13)에 형성된 나사구멍(14)과 동심이 되며 축 볼트의 원형 머리가 삽입되는 구멍(22)이 구비되며 하단부 저면으로는, 수문 본체(10)가 수평으로 개방되었을 때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의 상면과 면 접촉을 하는 경사 면(24)이 구비되고 경사 면(24)과 돌출 환(21)의 사이의 위치에는 코일스프링을 걸 수 있는 고리(23)가 구비되며 돌출 환(21)들의 사이에는 수문 본체(10) 상단의 반원부(R)에 면 접촉을 하는 원호 면(25)이 형성된 1차 물 흐름 안내판(20)과;
상단으로는 수문 본체(10)의 제 2 브라키트(17)와 고정 핀(3)으로 고정되기 위한 핀 구멍(31a)이 형성된 힌지 턱(31)이 구비되고 하단으로는 로울러(40)를 고정 핀(4)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핀 구멍(32a)이 형성된 제 4 브라키트(32)가 구비되며 수문 본체(10)의 높이(H) 대비 1.3 내지 1.5배의 높이(H1)를 가지는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와;
수문 본체(10)의 절취부(11)에 안착된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돌출 환(21)에 형성된 구멍(22) 안으로 원형 머리(52)가 완전히 삽입되며 나사 봉(51)은 수문 본체(10)의 절취부(11)에 형성된 수직 면(13)의 나사구멍(14)에 조립되어 1차 물 흐름 안내 판(20)이 수문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이 상하로 등각운동을 할 때 힌지 축의 역할을 하는 축 볼트(50)와;
수문 본체(10)의 고리(18)와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고리(23) 사이에 걸린 채 조립되어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이 수문 본체(10)의 뒷면 쪽으로 항상 탄력있게 당겨져 있도록 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용을 제시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유압장치 및 유압전달라인, 제어장치, 콘트롤박스 등은 일반적인 기술로 이룰 수 있는 것이므로 도면 표기 및 설명을 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먼저 본 발명의 수문 본체(10)는 도 14와 같이 제 1 브라키트(15)가 수로 바닥에 고정된 고정쇠에 고정 핀(7)을 통해 고정이 되고 제 2 브라키트(16)에는 유압실린더(1)의 피스톤로드 상단의 고정쇠가 고정 핀(6)으로 조립되며 유압실린더(1)의 하단부는 수로 바닥의 고정쇠에 고정 핀(5)을 통해 조립이 되어 있어서 피스톤로드(2)가 도 14와 같이 완전히 빠져나오면 수문 본체(10)는 수로를 막아주게 된다.
이때 수문 본체(10)의 제 3 브라키트(17)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핀(3)을 통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가 조립이 되어 있고 수문 본체(10)의 상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이 축 볼트(50)에 의해 조립이 된 채 수문 본체(10)와 거의 직각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게 되는 바, 수문 본체(10)의 고리(18)와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고리(23) 사이에는 도면과 같이 코일스프링(60)이 걸려서 당김력을 작용하게 되어 만일의 경우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이 도 14를 기준하여 우측으로 넘어가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되어도 코일스프링(60)의 당김력에 의해 항상 도 14와 같은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4를 살피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의 앞쪽에는 수문 본체(10)의 상단부 즉, 반원부(R)를 타고 내려서 물과 함께 추락한 이물질이 쌓여 있는데, 이 상태에서 수문 본체(10)를 개방하여 물을 방류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유압실린더(1)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2)가 당겨지게 되어 도 16과 같이 수문 본체(10)가 수로 바닥(G) 쪽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는 이물질 쪽으로 전진을 하면서 이물질을 밀어 내게 된다.
이때 수문 본체(10)의 반원부(R)를 넘어서 방류되는 물은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을 타고 흐르면서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 위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이물질이 유실되어 물과 함께 흘러서 방류가 되도록 하기 시작하는 바, 도 16은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경사 면(24) 끝의 에지라인(E)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접촉이 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피스톤로드(2)가 더욱 당겨져서 수문 본체(10)가 수로 바닥(G)을 향하여 더 기울어지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경사 면(24) 끝의 에지라인(E)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의 상면을 강하게 누르면서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가 더욱 이물질을 밀면서 전진하도록 하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하여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가 허공으로 들려 올라가는 현상이 없이 이물질을 매우 양호하게 밀어낼 수가 있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물질이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하방으로 침투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높이(H1)가 수문 본체(10)의 높이(H)에 비하여 1.3배 내지 1.5배의 긴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14와 같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 위로 이물질이 많이 올라 올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은 수문 본체(10)의 상단에 조립이 되어 있으며 도 16과 같이 수문 본체(10)가 어느 정도 기울게 되면 상술한 에지라인(E)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이물질은 더욱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하방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은 만일의 경우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아래쪽으로 침투한 이물질로 인하여 파손이 되는 예가 발생되지 않으며 도 16의 상태에 이어 도 17과 같이 수문 본체(10)가 완전히 개방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태가 되면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경사 면(24)은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의 상면과 면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이물질은 물론 토사나 퇴적물, 진흙, 모래, 잡석조각 등도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하방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모두 흘러나가게 되고 결국 수문 본체(10)의 앞면(도 17에서는 상면이 됨)과 1차 물 흐름 안내판(20) 그리고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는 도 17과 같이 어느 부분에도 와류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물이 원활하고 신속하며 강한 힘으로 방류가 될 수 있는 구조와 각도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수문 본체(10)는 물론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의 앞쪽에도 상술한 이물질은 쌓여서 엉겨 있거나 고착이 되어 점점 이물질의 부피가 커져서 물의 방류작용을 방해하는 폐단이 완전히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물의 방류가 종료되면 피스톤로드(2)가 다시 완전히 유압실린더(1)를 빠져나와서 도 14와 같이 수문 본체(10)가 수로를 차단하게 되고 이때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도 도 14와 같이 세워지게 됨은 당연하며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은 코일스프링(60)의 당김력에 의해 당겨져서 역시 도 14와 같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은 축 볼트(50)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 환(21)이 수문 본체(10)의 절취부(11)에 안정되게 조립이 되어 있고 원호 면(25)은 수문 본체(10) 상단의 반원부(R)에 접촉된 채 위와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부드러우면서 정확한 작동을 하는데 문제가 없다.
그리고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은 원호 면(25)이 수문 본체(10)의 상단 반원부(R)에 접촉되고 수문 본체(10)의 반원부(R) 범위를 벗어나서 직선을 이루는 뒷면까지는 젖혀질 수가 없기 때문에 도 14의 상태에서 코일스프링(60)의 당김력이 작용하고는 있으나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 쪽으로 더욱 기울어지지는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수문 본체(10)의 상단 반원부(R)를 물과 함께 통과하는 상술한 이물질은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윗면을 타고 내리면서 2차 물 흐름 안내 및 푸시 플레이트(30)의 상면으로 추락하고 이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이물질은 가능한 한 수로 바닥(G) 쪽으로 멀리 튕겨져 나가기 때문에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은 도 14와 같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 수직으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전도수문과 달리 수문 본체가 수평으로 개방되어 물을 방류할 때 1차 물 흐름 안내판과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에 의하여 수문 본체의 상단부 앞쪽과 수로 바닥 사이에 와류현상이 소멸되도록 함은 물론 어느 부분에도 와류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와 각도를 제공함에 따라 방류되는 물의 흐름작용이 매우 원활하고 신속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수로 바닥에 잔존하는 이물질의 량이 거의 없어지거나 최소화가 되어 유리하고,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가 전진할 때 코일스프링의 당김력이 작용하고 있는 1차 물 흐름 안내판이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를 하방으로 강하게 눌러 줌에 따라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가 이물질에 부딪혀 허공으로 뜨지 않고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밀어 줄 수 있어 유리하며,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 위로 이물질이 무너져 쌓이더라도 1차 물 흐름 안내판의 하방으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1차 물 흐름 안내판은 물론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소멸되어 결국 수문 전체의 내구성이 상승되고 유지보수의 빈도가 감소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문 본체의 뒷면을 기준하여 바라 본 정면도.
도 2는 도 1을 기준한 우측면도(좌측면 대칭).
도 3은 도 2를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수문 본체의 상단 모서리 절취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1차 물 흐름 안내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를 기준한 배면도.
도 7은 도 6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를 기준한 우측면 확대도(좌측면 대칭).
도 9는 본 발명의 1차 물 흐름 안내판의 일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과 도 12는 도 10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10을 기준한 우측면도(좌측면 대칭).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로써 수문 본체가 수로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5는 도 14를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상태에서 수문 본체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7은 도 16의 상태를 지나 수문 본체가 수평으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8은 도 17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19는 도 15의 A-A선 단면도.
도 20은 도 19를 기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문 본체 11: 절취부 20: 1차 물 흐름 안내판
30: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
50: 축 볼트 60: 코일스프링
.

Claims (1)

  1. 상단의 반원부(R) 좌우 모서리에 절취부(11)가 형성되도록 하되 절취부(11)의 바닥은 1차 물 흐름 안내판의 돌출환이 접촉되는 반원 홈(12)이 구비되고 절취부(11)의 수직 면(13)에는 축 볼트의 나사 봉이 조립되는 나사구멍(14)이 구비되며 저면에는 수로에 설치된 고정쇠와 고정 핀(7)으로 조립되기 위한 핀 구멍(15a)이 형성된 제 1 브라키트(15)가 구비되고 뒷면에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2)의 상단 고정쇠를 고정 핀(6)으로 조립하기 위한 핀 구멍(16a)이 형성된 제 2 브라키트(16)가 구비되며 제 2 브라키트(16)의 바로 위쪽으로는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의 힌지 턱을 고정 핀(3)으로 조립하기 위한 핀 구멍(17a)이 형성된 제 3 브라키트(17)가 구비되고 제 3 브라키트(17)의 위쪽으로는 코일스프링을 걸 수 있는 고리(18)가 구비된 직사각형의 수문 본체(10)와;
    상단의 좌우에는 수문 본체(10)의 절취부(11)에 형성된 반원 홈(12)에 안착되는 돌출 환(21)이 구비되고 돌출 환(21)의 중앙에는 수문 본체(10) 절취부(11)의 수직 면(13)에 형성된 나사구멍(14)과 동심이 되며 축 볼트의 원형 머리가 삽입되는 구멍(22)이 구비되며 하단부 저면으로는, 수문 본체(10)가 수평으로 개방되었을 때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의 상면과 면 접촉을 하는 경사 면(24)이 구비되고 경사 면(24)과 돌출 환(21)의 사이의 위치에는 코일스프링을 걸 수 있는 고리(23)가 구비되며 돌출 환(21)들의 사이에는 수문 본체(10) 상단의 반원부(R)에 면 접촉을 하는 원호 면(25)이 형성된 1차 물 흐름 안내판(20)과;
    상단으로는 수문 본체(10)의 제 2 브라키트(17)와 고정 핀(3)으로 고정되기 위한 핀 구멍(31a)이 형성된 힌지 턱(31)이 구비되고 하단으로는 로울러(40)를 고정 핀(4)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핀 구멍(32a)이 형성된 제 4 브라키트(32)가 구비되며 수문 본체(10)의 높이(H) 대비 1.3 내지 1.5배의 높이(H1)를 가지는 2차 물 흐름 안내 및 이물질 푸시 플레이트(30)와;
    수문 본체(10)의 절취부(11)에 안착된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돌출 환(21)에 형성된 구멍(22) 안으로 원형 머리(52)가 완전히 삽입되며 나사 봉(51)은 수문 본체(10)의 절취부(11)에 형성된 수직 면(13)의 나사구멍(14)에 조립되어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이 수문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이 상하로 등각운동을 할 때 힌지 축의 역할을 하는 축 볼트(50)와;
    수문 본체(10)의 고리(18)와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의 고리(23) 사이에 걸린 채 조립되어 1차 물 흐름 안내판(20)이 수문 본체(10)의 뒷면 쪽으로 항상 탄력있게 당겨져 있도록 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용이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KR1020150138635A 2015-09-30 2015-09-30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KR10159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635A KR101597493B1 (ko) 2015-09-30 2015-09-30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635A KR101597493B1 (ko) 2015-09-30 2015-09-30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493B1 true KR101597493B1 (ko) 2016-02-24

Family

ID=5544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635A KR101597493B1 (ko) 2015-09-30 2015-09-30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183B1 (ko) * 2018-05-02 2019-11-08 (유)신진공업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KR102337449B1 (ko) * 2021-10-05 2021-12-09 주식회사 신정기공 전도식 가동보
KR102608883B1 (ko) * 2023-04-26 2023-12-04 (주)지서산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스팬타입의 전도식 가동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767A (ko) * 1998-03-03 1999-10-05 한상관 자동수문 개폐장치
KR200359160Y1 (ko) 2004-05-06 2004-08-21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유압식 전도수문
KR200361667Y1 (ko) * 2004-06-10 2004-09-14 김재덕 자동수문 개폐장치
KR100693310B1 (ko) 2006-05-03 2007-03-14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 수문
KR100965752B1 (ko) * 2010-02-04 2010-06-24 장영진 농수로 개폐장치
KR101040322B1 (ko) 2010-10-21 2011-06-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
KR101285341B1 (ko) 2013-04-04 2013-07-17 주식회사 우진산업 해수와 담수의 수위차이가 없는 유압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767A (ko) * 1998-03-03 1999-10-05 한상관 자동수문 개폐장치
KR200359160Y1 (ko) 2004-05-06 2004-08-21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유압식 전도수문
KR200361667Y1 (ko) * 2004-06-10 2004-09-14 김재덕 자동수문 개폐장치
KR100693310B1 (ko) 2006-05-03 2007-03-14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전도 수문
KR100965752B1 (ko) * 2010-02-04 2010-06-24 장영진 농수로 개폐장치
KR101040322B1 (ko) 2010-10-21 2011-06-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
KR101285341B1 (ko) 2013-04-04 2013-07-17 주식회사 우진산업 해수와 담수의 수위차이가 없는 유압식 가동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183B1 (ko) * 2018-05-02 2019-11-08 (유)신진공업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KR102337449B1 (ko) * 2021-10-05 2021-12-09 주식회사 신정기공 전도식 가동보
KR102608883B1 (ko) * 2023-04-26 2023-12-04 (주)지서산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스팬타입의 전도식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493B1 (ko) 와류현상 없이 물 흐름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수로 바닥에 이물질의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로용 전도수문
KR101040322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
NL1035546C2 (en) Self-closing flood barri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interland using the same.
KR20160013364A (ko) 인양식 수문장치
JP5361096B1 (ja) 水門
KR100768155B1 (ko) 슬라이드형 자동 수문
JP5420449B2 (ja) 戸溝の堆積物排出方法
CN103882839A (zh) 一种低水头河床式枢纽电站进水口的排沙系统
KR100681844B1 (ko)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200398817Y1 (ko)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CN109853492B (zh) 闸阀管道式过鱼方法
JP4547023B2 (ja) 頭首工土砂吐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1149849B1 (ko) 호안 및 호안의 안정화를 위한 범람방지용 생태하천 구조물
KR102013394B1 (ko) 유압식 가동보
JP2002173957A (ja) 床止め工に傾斜取水スクリーンを設置した河川表流水の取水構造
KR101073437B1 (ko) 도크식 어도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808688B1 (ko) 하천오염의 확대를 방지하는 상류하천의 댐구조물
KR100571724B1 (ko) 슬라이드형 수문
JP2004204601A (ja) 集水枡内設型フラップゲート及びその設置工法
KR101149863B1 (ko) 자연생태하천 유지를 위한 하천정비용 취입보 구조물
KR100816867B1 (ko) 배수량 제어가 가능한 하천제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