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551B1 -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 Google Patents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551B1
KR101596551B1 KR1020130156337A KR20130156337A KR101596551B1 KR 101596551 B1 KR101596551 B1 KR 101596551B1 KR 1020130156337 A KR1020130156337 A KR 1020130156337A KR 20130156337 A KR20130156337 A KR 20130156337A KR 101596551 B1 KR101596551 B1 KR 101596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member
log
heat insulating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790A (ko
Inventor
김경자
Original Assignee
김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자 filed Critical 김경자
Priority to KR102013015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5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내,외측로 이루어진 벽체부재를 통해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이중의 통나무 벽체를 구성하는 한편, 이중의 통나무 벽체를 이루는 벽체부재들 중에서 외측 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에는 주먹장(dovetail)으로 마감블럭을 결합 구성하고, 이중으로 이루어진 통나무 벽체 사이의 단열공간 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단열공간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통나무 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통나무집의 보온성을 높여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서도 그 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A LOG CABIN OF DOUBLE-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으로 이루어진 통나무 벽체끼리 서로 맞물리면서 단열공간을 형성하여 벽체에서의 충분한 단열효과가 얻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측의 통나무 벽체의 모서리부위에 주먹장(dovetail) 방식으로 마감블럭을 결합 구성하여, 마감블럭이 외부벽체로부터 연장된 단일체로 느껴질 수 있도록 구성하며, 나아가 통나무 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장이나 휴양지 등에는 숙박이나 야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방갈로와 같은 숙박시설이 제공되거나 텐트 설치 공간 등이 마련된다. 방갈로는 주거용 건축물과 거의 비슷하며 편리하고 경관 좋은 형태로 설치되어서 여행중 휴식과 안락함을 줄 수 있다.
텐트는 텐트 설치 장소만 있으면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숙박시설을 조립설치할 수 있고, 특히 자녀들과 함께 텐트를 치면서 친밀한 유대감과 추억거리를 형성하고 또 협동정신도 기를 수 있어서 좋다.
한편 기설치된 작은 통나무집은 동화책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철철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으나 그 통나무집을 예약하기가 쉽지 않다.
만일 캠핑장이나 휴양지내 텐트 설치 장소에 작은 통나무집과 같은 형태의 조립형 통나무텐트를 칠 수 있다면 텐트와 통나무집의 좋은 장점을 모두 얻을 수 있으며 자연과 어울어지는 멋진 숙박시설이 될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129043 호(공개일 2010.12.08)에서와 같이, 조립과 해체가 쉽고 작은 통나무집과 같은 통나무텐트를 쳐서 숙박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립형 통나무텐트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나무집은 소각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조립홈부를 통해, 소각재들이 직교되게 결합되면서 다단 적층을 통해 벽체를 구성하는 관계로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통나무집은 하나의 벽체로만 구성되어, 벽체에 별도의 단열재를 시공할 수 없는 구조적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보온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는 외벽 또는 실내에 별도의 보온설비를 설치하지 않는 한 그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내,외측로 이루어진 벽체부재를 통해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이중의 통나무 벽체를 구성하는 한편, 이중의 통나무 벽체를 이루는 벽체부재들 중에서 외측벽부재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외측벽부재들과 하나의 통나무로 보이도록 외측벽부재의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 2 끼움홈부에 주먹장(dovetail) 방식으로 마감블럭을 결합 구성함으로써, 외부벽체로부터 연장된 단일체로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통나무 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중으로 이루어진 통나무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 또는 단열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통해, 통나무집의 보온성을 높여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서도 그 사용이 가능하게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은, 통나무집의 외부벽체를 이루며 양단이 결합된 상태로 다단 적층되고 내외측면에 제 1,2 끼움홈부를 형성한 외측벽부재; 통나무집의 내부벽체를 이루며 양단 인접부에 인접하게 교차 결합된 상태로 다단 적층되는 것으로서, 양단에는 상기 외측벽부재 내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끼움홈부과 끼움결합되도록 제 1 결합키를 형성하고 있는 내측벽부재; 및, 상기 외측벽부재와 내측벽부재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공간; 을 포함하며, 이중 벽체를 이루는 상기 외측벽부재들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외측벽부재들과 하나의 통나무로 보이도록 외측벽부재의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 2 끼움홈부에 주먹장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마감블럭; 을 양방향으로 설치하여 외부벽체로부터 연장된 단일체로 느낄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른 일면에 따라, 본 발명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은, 통나무집의 외부벽체를 이루도록 서로 직교되면서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상하면에 제 1 조립돌기와 제 1 조립홈을 형성하는 외측벽부재; 통나무집의 내부벽체를 이루도록 서로 직교되면서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며, 양단에 직교결합부를 형성하면서 길이방향의 상하면에는 제 2 조립돌기와 제 2 조립홈을 형성하는 내측벽부재; 를 일정간격을 두고 내외측에 각각 배치하여 상기 외측벽부재와 내측벽부재의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의 내면 양측에는 제 1 끼움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벽부재의 양끝단에는 상기 제 1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1 결합키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의 양끝단에는 외측벽부재를 직교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벽부재의 외면 양측에는 제 2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키를 형성하면서 상하면으로는 제 3 조립돌기와 제 3 조립홈을 형성하며, 이중 벽체를 이루는 상기 외측벽부재들의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외측벽부재들과 하나의 통나무로 보이도록 주먹장 방식으로 마감블럭을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는 이음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들이 직교되어 경사면이 면접촉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이음홈들에는 상기 외측벽부재들을 이음 고정시키는 이음쇄기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직교결합부의 일면 양단에는 내측벽부재가 서로 직교되면서 결합시 걸침이 이루어지는 걸침턱들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들의 일측에는 외기 차단과 수분 침투시 이를 배수 처리하는 틈새로서 물끊기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벽부재로 이루어진 외부벽체와 내측벽부재로 이루어진 내부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에는 단열재를 충진 구성하는 것이다.
다른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본 발명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은, 이중 벽체를 이루도록 다단 적층되는 외측벽부재와 내측벽부재를 직교되게 결합 구성하고, 직교 결합되는 상기 외측벽부재와 내측벽부재를 간격조절블럭을 통해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결합 구성하며, 이중 벽체를 이루는 상기 외측벽부재들의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외측벽부재들과 하나의 통나무로 보이도록 주먹장 방식으로 마감블럭을 결합 구성하되, 상기 외측벽부재의 일단에는 주먹장 결합용 키를 볼트 체결하여 돌출 구성하며, 상기 마감블럭에는 상기 주먹장 결합용 키가 끼움 결합되는 키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외측으로 적층되게 이루어진 벽체부재를 통해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이중의 통나무 벽체를 구성하는 한편, 이중의 통나무 벽체를 이루는 벽체부재들 중에서 외측 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에는 주먹장(dovetail) 방식으로 마감블럭을 결합 구성하고, 이중으로 이루어진 통나무 벽체 사이의 단열공간 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단열공간을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통나무 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통나무집의 보온성을 높여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서도 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나무 벽체의 모서리측 구조를 보인 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모서리측 구조를 보인 확대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결합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를 이루는 소재들의 적층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외측벽부재에 주먹장 결합용 키와 키홈이 적용되는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외측벽부재에 주먹장 결합용 키와 키홈이 적용되는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나무 벽체의 모서리측 구조를 보인 확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모서리측 구조를 보인 확대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의 구조를 보인 결합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통나무 벽체를 이루는 소재들의 적층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은, 통나무집의 외부벽체를 이루도록 서로 직교되면서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는 외측벽부재(10)(10')와, 통나무집의 내부벽체를 이루도록 서로 직교되면서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벽부재(10)(10')와의 사이에 단열공간(A)을 형성하게 되는 내측벽부재(20)(20')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벽부재(10)(10')의 모서리부위에는 주먹장(dovetail) 방식으로 외부 돌출형인 마감블럭(30)을 결합 구성하는 한편, 이에 더하여 상기 외측벽부재(10)(10')로 이루어진 외부벽체와 내측벽부재(20)(20')로 이루어진 내부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A)에는 단열재(50)를 충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외측벽부재(10)(10')는 길이방향으로 상하면에 외측벽부재(10)(10')들의 다단 적층 결합을 위한 제 1 조립돌기(11)와 제 1 조립홈(12)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에는 상기 내측벽부재(20)(20')들의 결합을 위한 제 1 끼움홈부(13)가 형성되며, 외면 양측에는 상기 마감블럭(30)이 주먹장 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제 2 끼움홈부(15)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벽부재(10)(10')의 양끝단에는 외측벽부재(10)(10')를 직교 결합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사면(14)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4)에는 이음홈(141)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벽부재(10)(10')들이 직교되어 경사면(14)이 면접촉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이음홈(141)들에는 상기 외측벽부재(10)(10')들을 이음 고정시키기 위한 이음쇄기(40)를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내측벽부재(20)(20')는 양단에 직교결합부(20a)를 형성하면서 길이방향으로는 상하면에 내측벽부재(20)(20')들의 다단 적층 결합을 위한 제 2 조립돌기(21)와 제 2 조립홈(22)이 형성되고, 양끝단에는 상기 제 1 끼움홈부(13)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1 결합키(23)를 형성하여 두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직교결합부(20a)의 일면 양단에는 내측벽부재(20)(20')이 서로 직교되면서 결합시 걸침이 이루어지는 걸침턱(24)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걸림턱(24)의 사이에는 외기 차단과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을 배수 처리하는 틈새로서 물끊기홈(25)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마감블럭(30)은 넓은 폭을 가지는 외부 돌출 구조물로서, 이중 벽체를 이루는 상기 외측벽부재(10)(10')들과 내측벽부재(20)(20')들이 서로 밀리지 않고 당겨주도록 주먹장 방식으로 상기 외측벽부재(10)(10')의 모서리부위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소재(10)(10')와 하나의 통나무로 보이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제 2 끼움홈부(15)에 주먹장 방식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2 결합키(31)를 형성하면서, 상하면으로는 제 3 조립돌기(32)와 제 3 조립홈(33)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 구조를 가지는 통나무집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통나무집의 내부벽체를 이루는 내측벽부재(20)(20')들을 직교결합부(20a)를 통해 서로 직교시키면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직교결합부(20a)의 일면 양단에는 외기차단과 수분 배수 처리를 위한 틈새로서 형성되는 물끊기홈(25)을 사이에 두고 걸침턱(24)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내측벽부재(20)(20')가 직교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직교결합부(20a)내의 걸침턱(24)에 걸쳐지고, 이에 따라 상기 물끊기홈(25)을 통해 외기 차단이 이루어짐은 물론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그 침투된 수분은 배수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벽부재(20)(20')의 외측에 각각 외측벽부재(10)(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부재(20)(20')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키(23)를 상기 외측벽부재(10)(1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끼움홈부(13)에 끼움 결합시키면, 상기 외측벽부재(10)(10')와 내측벽부재(20)(20')는 각각 단열공간(A)이 형성되는 외측벽체와 내측벽체를 이루면서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측벽부재(10)(10')는 양끝단에 서로 직교시 면접촉하는 경사면(14)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4)에는 이음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외측벽부재(10)(10')가 직교시 경사면(14)이 면접촉할 때, 상기 이음홈(141)에 이음쇄기(40)를 끼움 결합시키면, 상기 직교결합이 이루어진 외측벽부재(10)(10')는 상기 이음쇄기(40)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벽부재(10)(10')의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 2 끼움홈부(15)에 외부 돌출형인 마감블럭(30)의 제 2 결합키(31)를 주먹장 망식으로 끼움 결합시키면, 상기 마감블럭(30)은 상기 외측벽부재(10)(10')의 모서리부위 양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이중 벽체를 이루는 상기 외측벽부재(10)(10')들과 내측벽부재(20)(20')들이 서로 밀리지 않도록 당겨주면서, 상기 마감블럭(30)은 외부에서 바라볼 때 마치 외측벽부재(10)(10')와 이어진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측벽부재(10)(10')와 내측벽부재(20)(20')는 물론, 마감블럭(30)의 상하면에는 제 1,2,3 조립돌기(11)(21)(32)와 제 1,2,3 조립홈(12)(22)(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제 1,2,3 조립돌기(11)(21)(32)와 제 1,2,3 조립홈(12)(22)(33)을 통해 외측벽부재(10)(10')와 내측벽부재(20)(20') 및 마감블럭(30)을 다단으로 적층 결합시켜, 외측벽체와 내측벽체로 이루어진 이중 벽체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측벽부재(10)(10')로 이루어진 외측벽체와, 상기 내측벽부재(20)(20')로 이루어진 내측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A)에 단열재(50)를 충진 또는 삽입 시공한 후, 상기 이중 벽체의 상단에 지붕(미도시)을 시공하면,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도 단열성이 우수한 통나무집 시공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이중 벽체를 이루도록 다단 적층되는 외측벽부재(10")와 내측벽부재(20")를 각각 직교되게 결합 구성하되, 상기 외측벽부재(10")와 내측벽부재(20")를 간격조절블럭(60)을 통해 단열공간(A)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결합 구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10")의 일단에는 주먹장 결합용 키(71)를 볼트(100)로 체결하여 돌출 구성하며, 상기 외측벽부재(10")의 일단에는 마감블럭(30")을 결합시키되, 상기 마감블럭(30")에는 상기 주먹장 결합용 키(71)가 끼움 결합되는 키홈(72)을 형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외측벽부재(10")와 내측벽부재(20") 및 간격조절블럭(60)을 이용하여 단열공간(A)을 가지는 통나무집의 이중 벽체를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 단열공간(A)에 단열재(50")를 충진 또는 삽입 시공한다.
다음으로, 다단 적층되는 상기 외측벽부재(10")를 L자형의 고정브라켓(80)을 통해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측벽부재(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주먹장 결합용 키(71)에 마감블럭(30")의 키홈(72)이 끼움되도록 시공하고, 이중 벽체의 상단에 지붕(미도시)을 시공하게 되면,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도 단열성이 우수한 통나무집 시공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10',10"; 외측벽부재 11; 제 1 조립돌기
12; 제 1 조립홈 13; 제 1 끼움홈부
14; 경사면 15; 제 2 끼움홈부
141; 이음홈 20,20',20"; 내측벽부재
20a; 직교결합부 21; 제 2 조립돌기
22; 제 2 조립홈 23; 제 1 결합키
24; 걸림턱 25; 물끊기홈
30,30"; 마감블럭 31; 제 2 결합키
32; 제 3 조립돌기 33; 조립홈
40; 이음쇄기 50; 단열재
60; 간격조절블럭 71; 주먹장 결합용 키
72; 키홈 80; 고정브라켓

Claims (6)

  1. 삭제
  2. 통나무집의 외부벽체를 이루도록 서로 직교되면서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상하면에 제 1 조립돌기와 제 1 조립홈을 형성하는 외측벽부재; 통나무집의 내부벽체를 이루도록 서로 직교되면서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며, 양단에 직교결합부를 형성하면서 길이방향의 상하면에는 제 2 조립돌기와 제 2 조립홈을 형성하는 내측벽부재; 를 일정간격을 두고 내외측에 각각 배치하여 상기 외측벽부재와 내측벽부재의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의 내면 양측에는 제 1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벽부재의 양끝단에는 상기 제 1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1 결합키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의 양끝단에는 외측벽부재를 직교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의 외면 양측에는 제 2 끼움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키를 형성하면서, 상하면으로는 제 3 조립돌기와 제 3 조립홈을 형성하고,
    이중 벽체를 이루는 상기 외측벽부재들의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외측벽부재들과 하나의 통나무로 보이도록 주먹장 방식으로 마감블럭을 결합 구성하는 한편,
    상기 경사면에는 이음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부재들이 직교되어 경사면이 면접촉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이음홈들에는 상기 외측벽부재들을 이음 고정시키는 이음쇄기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직교결합부의 일면 양단에는 내측벽부재와 서로 직교되면서 결합시 걸침이 이루어지는 걸침턱들을 형성하고, 상기 걸침턱들의 일측에는 외기 차단과 수분 침투시 이를 배수 처리하는 틈새로서 물끊기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부재로 이루어진 외부벽체와 내측벽부재로 이루어진 내부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에는 단열재를 충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6. 삭제
KR1020130156337A 2013-12-16 2013-12-16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KR101596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37A KR101596551B1 (ko) 2013-12-16 2013-12-16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37A KR101596551B1 (ko) 2013-12-16 2013-12-16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790A KR20150069790A (ko) 2015-06-24
KR101596551B1 true KR101596551B1 (ko) 2016-03-07

Family

ID=5351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337A KR101596551B1 (ko) 2013-12-16 2013-12-16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5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9977A (en) * 1978-06-23 1980-09-02 Country Log Homes, Inc. Log building construction
JP2603950Y2 (ja) * 1993-08-23 2000-04-04 株式会社ウッディマイホーム ログハウス
FI104197B1 (fi) * 1998-04-01 1999-11-30 Red Wire Oy Nurkkaliitos
KR101193352B1 (ko) * 2008-08-14 2012-10-19 남봉우 조립식 목조 주택용 나무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790A (ko)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US8407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wall panels
US20070294967A1 (en) System of interlocking wall and corner components for construction of buildings
FR2934616A1 (fr) Structure de toiture constituee de chevrons paralleles munis de feuillures laterales pour la reception de panneaux de remplissage.
US20090107077A1 (en) Modular flooring
WO2020244092A1 (zh) 一种地板的铺装方法
KR101596551B1 (ko) 이중 벽체 구조의 통나무집
EP2960390B1 (fr) Paroi obtenue par empilement de poutres à isolation intégrée
KR100753544B1 (ko)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WO2011089340A1 (fr) Dispositif préfabriqué permettant de créer un élément de construction, et élément de construction comprenant au moins deux tels dispositifs
KR20180071741A (ko) 다용도 조립식 블록
EP2937484A1 (en) Corner joint
US20040177575A1 (en) System of interlocking wall and corner components for construction of buildings
JP2019039210A (ja) ログハウス
EP2412882A2 (fr) Bloc de construction et structure de mur obtenue par l'assemblage de tels blocs de construction
KR100883183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CA2615012A1 (en) Log house construction element
KR101536925B1 (ko) 벽체의 결합구조물
KR200241379Y1 (ko) 목조건축물의 구조체 연결부 구성물
KR200318884Y1 (ko) 조립식 바닥재
KR20120006062U (ko) 구운 황토벽돌
KR100990560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433778Y1 (ko) 조립식 바닥재
KR200196856Y1 (ko) 건물용 조립식 벽 구성체
JP4760340B2 (ja) 床見切り材および温水暖房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