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83B1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183B1
KR100883183B1 KR1020070079436A KR20070079436A KR100883183B1 KR 100883183 B1 KR100883183 B1 KR 100883183B1 KR 1020070079436 A KR1020070079436 A KR 1020070079436A KR 20070079436 A KR20070079436 A KR 20070079436A KR 100883183 B1 KR100883183 B1 KR 10088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noise reduction
floor
attached
interlay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254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 단 더휴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단 더휴네코리아 filed Critical (주) 단 더휴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7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재질로 된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중간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비닐 재질로 된 제2부재;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3부재로 이루어져서 콘크리트 바닥면과 실내용 바닥재 사이에 적층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가 제공됨으로써, 층간소음의 발생이 최대한 억제되어 건축물의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서로 연접되는 층간소음 저감재들의 상호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하여 방수 및 방습기능이 더욱 탁월하게 발휘되어 콘크리트 바닥면 및 실내 바닥재의 부식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건축물, 건물, 층간소음, 저감재

Description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Plate for sound insula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바닥면과 실내 바닥재 사이에 시공되어서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공동주택은 물론 사무용 빌딩 및 학교 등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전달음은 바닥슬래브와 벽체를 통해 인접한 다른 방들로 전달되되, 특히 바닥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소음이라 한다.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 소음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용 빌딩을 비롯한 학교 건물과 같이 바닥에 난방수단이 시공되지 않는 건축물에는, 콘크리트 바닥면(10)에 일정두께의 층간소음 저감재(30)를 사이에 두고 실내 바닥재(20)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층간소음 저감재(30)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된 것을 한 겹으로 적층시켜서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층간소음 저감재(0)는 그 가로,세로 길이가 일정규격으로 절단되어 제공되는 바,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맞추어서 절단하여 접합하면서 시공을 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연접부위에 테이프(40) 등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면서 평면을 유지시킨 상태로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10)의 평면에 맞추어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층간소음 저감재(30)를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10)의 평면에 맞추고자 그 연접부위를 테이프(40) 등으로 부착시키게 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테이프(40)가 부착되는 면이 많지 않게 됨으로써,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테이프(40)의 사이로 습기 등이 스며들어 방수 및 방습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층간소음 저감재(30)가 단순히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진 한 겹으로 구성됨으로써, 충분히 층간소음을 흡수하여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층간소음 저감재를 3겹으로 하여 층간소음의 흡수를 보다 확실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층간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연접하게 되는 층간소음 저감재들이 그 연접부위만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지 않고, 그 저면의 일부가 연접하는 다른 층간소음 저감재의 일부와 적층되면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호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방수 및 방습기능을 더욱 탁월하게 발휘하도록 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된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중간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비닐 재질로 된 제2부재;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비닐 재질로 된 제3부재로 이루어져서 콘크리트 바닥면과 실내용 바닥재 사이에 적층되되,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제3부재는 그 길이가 같고, 그 폭은 제1부재에 비하여 제2부재 및 제3부재가 일정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부재들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 및 제3부재가 제1부재에 비하여 한쪽 방향으로 더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의하면, 층간소음 저감재가 폴리에틸렌 재질의 제1부재,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비닐 재질의 제2부재, 방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비닐 재질의 제3부재의 3겹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의해 충격흡수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바, 층간소음의 발생이 최대한 억제되어 건축물의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연접하게 되는 층간소음 저감재들이 그 연접부위만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지 않고, 그 저면의 일부가 연접하는 다른 층간소음 저감재의 일부와 적층되면서 부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상호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이로 인하여 방수 및 방습기능이 더욱 탁월하게 발휘되어 콘크리트 바닥면 및 실내 바닥재의 부식을 예방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의 구성 및 연접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100)는, 폴리 에틸렌 재질로 된 제1부재(110)와, 상기 제1부재(110)의 일면에 부착되되, 그 내부에 공기층(122)이 형성된 비닐 재질의 제2부재(120)와, 상기 제2부재(120)의 일면에 부착되되 비닐 재질로 된 제3부재(1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110)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다음으로 제2부재(120), 그 다음으로 제3부재(130)의 두께가 두껍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재(110)에 비하여 제2부재(120) 및 제3부재(130)의 폭은 일정간격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제1부재(110)의 폭이 A라고 가정할 경우, 제2부재(120)와 제3부재(130)의 폭은 A+α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층간소음 저감재(100)는 일정길이로 생산되어 감겨진 상태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10)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배열시킨 후, 그 폭의 연접부위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테이프(140)를 부착하여 연결하면 되는데,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3겹으로 이루어진 층간소음 저감재(100)들에서 비닐 재질로 된 제3부재(130)가 콘크리트 바닥면(10)과 당접되게 된다.
반대로, 폴리에틸렌 재질로 된 제1부재(110)가 윗면으로 향하게 되며 바닥재(30)의 저면과 당접된다.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10)의 맨 끝단서부터 층간소음 저감재(100)를 밀착시키되, 상기한 바와 같이, 제3부재(130)가 바닥면(10)과 당접되도록 하고, 폴리에틸렌 재질의 제1부재(110)가 상면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층간소음 저감재(100)의 제3부재(130)를 아랫방향으로 하여 먼저 시공된 층간소음 저감재(100)의 제2부재(120) 상면에 부착시킨다.
다음, 나중에 시공된 층간소음 저감재(100)의 제1부재(110)와, 먼저 시공된 층간소음 저감재(100)의 제1부재(110)의 연접부위를 테이프(140)를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순서로 바닥면(10)의 폭에 맞게 복수의 층간소음 저감재(100)들을 연접시키면서 시공한 후, 그 위에 바닥재(30)를 시공하면 바닥공사가 마무리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시공된 층간소음 저감재(100)에서 제1부재(110)보다 옆방향으로 연장된 제2부재(120) 및 제3부재(130)의 상면에는, 후 시공되는 층간소음 저감재(100)의 제1부재(110), 제2부재(120), 제3부재(130)의 일부가 적층됨으로써, 총 5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이 적층되지 않는 부분은 제1부재(110), 제2부재(120), 제3부재(130)의 3겹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부재(110)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인 바, 압축력이 뛰어나게 됨으로써, 3겹이거나 5겹이어도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시공이 이루어진 층간소음 저감재(100)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된 제1부재(110)와, 중간에 공기층(122)이 형성되고 비닐 재질로 된 제2부재(120)에 의해 2중으로 층간소음이 흡수되는 바, 종래에 비하여 보다 탁월하게 층간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연접되는 층간소음 저감재(100)들이 그 일부가 적층되면서 부착(어느 하나의 층간소음 저감재(100)의 제3부재(130)가 다른 하나의 층간소음 저감재(100)의 제2부재(120)와 적층되면서 부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바닥면(10)과, 바닥재(30) 사이에 비닐 재질인 제3부재(130)가 깔리게 됨으로써, 방수 및 방습기능이 탁월하게 발휘되게 된다.
즉, 연접되는 제1부재(110)들 사이로 습기나 물이 스며들더라도 비닐 재질로 된 제3부재(130)와 제2부재(120)가 적층되어 부착되어 있고, 최종적으로 제3부재(130)들이 콘크리트 바닥면(10)과 당접되는 바, 콘크리트 바닥면(10)과 바닥재(30) 사이로 습기나 물이 스며들지 않게 되어 결국 콘크리트 바닥면(10) 및 바닥재(30)가 부식되는 것이 예방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건축물의 층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층간소음 저감재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층간소음 저감재들이 연접되면서 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재들이 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층간소음 저감재 110 : 제1부재
120 : 제2부재 122 : 공기층
130 : 제3부재 140 : 테이프

Claims (2)

  1. 폴리에틸렌 재질로 된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중간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비닐 재질로 된 제2부재;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비닐 재질로 된 제3부재로 이루어져서 콘크리트 바닥면과 실내용 바닥재 사이에 적층되되,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제3부재는 그 길이가 같고, 그 폭은 제1부재에 비하여 제2부재 및 제3부재가 일정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부재들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 및 제3부재가 제1부재에 비하여 한쪽 방향으로 더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2. 삭제
KR1020070079436A 2007-08-08 2007-08-08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88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436A KR100883183B1 (ko) 2007-08-08 2007-08-08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436A KR100883183B1 (ko) 2007-08-08 2007-08-08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254A KR20090015254A (ko) 2009-02-12
KR100883183B1 true KR100883183B1 (ko) 2009-02-16

Family

ID=4068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436A KR100883183B1 (ko) 2007-08-08 2007-08-08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132B1 (ko) 2020-02-26 2020-10-16 산들마루(주)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판
KR102168105B1 (ko) 2020-02-25 2020-10-20 왕영득 층간소음 저감용 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77Y1 (ko) * 2004-05-20 2004-08-30 (주)삼세대시공 방진흡음재가 부착된 조립식 마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77Y1 (ko) * 2004-05-20 2004-08-30 (주)삼세대시공 방진흡음재가 부착된 조립식 마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105B1 (ko) 2020-02-25 2020-10-20 왕영득 층간소음 저감용 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드
KR102166132B1 (ko) 2020-02-26 2020-10-16 산들마루(주)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254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0631Y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200394587Y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KR100883183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JP4185105B2 (ja) 集合住宅
KR20200029884A (ko) 방음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38631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에서의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20220005881A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바닥재
KR10081667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부재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858591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내진성능이 향상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1848535B1 (ko) 건식 바닥구조
KR101917754B1 (ko) 방습 마루
JP2991410B2 (ja) 断熱遮音床工法、および断熱遮音床構造
KR100729871B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95056B1 (ko) 습기와 소음 및 진동 차단용 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및 이시공방법에 의해 조성된 슬래브단층 구조물
KR100579776B1 (ko) 바닥의 방음 및 단열 시공방법
KR102346327B1 (ko) 소음 저감용 패널결합체
KR100523964B1 (ko) 건축물 거실 층간 소음 방지구
KR20090011773U (ko) 마루용 방음 목재 판넬
JP2005090090A (ja) 遮音床板
KR20050102825A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층간 소음방지패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