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303B1 -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303B1
KR101596303B1 KR1020140012930A KR20140012930A KR101596303B1 KR 101596303 B1 KR101596303 B1 KR 101596303B1 KR 1020140012930 A KR1020140012930 A KR 1020140012930A KR 20140012930 A KR20140012930 A KR 20140012930A KR 101596303 B1 KR101596303 B1 KR 101596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chamber
port
fluid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490A (ko
Inventor
정헌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3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12Balancing devices using fluid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사이클로 압력 유체의 유입/유출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피스톤이 왕복 가능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은 일측에 제1실린더실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린더실이 형성된 실린더와, 제1실린더실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과, 제2실린더실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과,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을 일체로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정방향 작동시에는 제1실린더실의 일측(제1피스톤 측)과 타측(피스톤 로드 측)을 연통시켜 유압원에 연결하고 제2실린더실의 일측(제2피스톤 측)을 구동장치에 연통시켜 구동장치에 유체를 공급하고, 역방향 작동시에는 제2실린더실의 일측(제2피스톤 측)과 타측(피스톤 로드 측)을 연통시켜 유압원에 연결하고 제1실린더실의 일측(제1피스톤 측)을 구동장치에 연통시켜 유체를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피스톤에 대한 피스톤 로드의 크기비(직경비 또는 면적비)를 작게 하여 이동체의 중량을 줄이면서 증폭비를 높이고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Operating method for Reciprocatable double acting flow amplifier}
본 발명은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사이클로 유체의 유입/유출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피스톤이 왕복 가능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량 증폭기는 실린더 내부에 변위가 자유로운 피스톤을 설치하여 실린더의 구동실에 공급된 유체의 작용에 따라 피스톤이 변위함으로써, 피스톤에 대해 구동실로부터 반대측에 형성된 증폭실에 있는 유체는 압력이 감소되는 반면에 출구에서 유량이 증가되어 구동 장치에 공급되고, 유체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장치로서, 단동식 유량 증폭기와 복동식 유량 증폭기가 있다.
유량 증폭기의 입력측(공급측)의 유량 및 단면적을 Q1과 A1이라고 하고, 유량 증폭기의 출력측(구동측)의 유량 및 단면적을 Q2와 A2라 하고, c를 상수라 할 때, 유량 증폭비 Q2/Q1 = c(A2)/(A1) 가 되므로, 유량 증폭비는 입력측의 유로 단면적과 출력측의 유로 단면적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유로가 원형단면이라고 하면, 유량 증폭비는 유로 직경 관련비로 나타낼 수 있다.
단동식 유량 증폭기(10)는 2 사이클로 유체의 유입/유출을 번갈아 반복하는 증폭기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동실(1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증폭실(11b)이 형성된 실린더(11)와, 구동실(11a)에서 작동하는 구동 피스톤(12)과, 증폭실(11b)에서 작동하는 증폭 피스톤(13)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피스톤(12)과 증폭 피스톤(13)은 피스톤 로드(14)에 의해 연결된 구성이다. 단동식 유량 증폭기(10)에는, 유체의 유입과 유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V1)가 구동실(11a)의 양측 포트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증폭된 유체를 구동장치(F)에 공급하고 탱크(T)에서 유체의 흡입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2개)의 체크밸브(V2)가 증폭실(11b)의 포트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복동식 유량 증폭기(20)는 1 사이클로 유체의 유입/유출을 번갈아 반복하는 증폭기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구동실(21a)이 형성되고 중간에 증폭실(21b)이 형성된 실린더(21)와, 구동실(21a)에서 작동하는 구동 피스톤(22)과, 증폭실(21b)에서 작동하는 증폭 피스톤(23)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피스톤(22)은 증폭 피스톤(23)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구성이다. 복동식 유량 증폭기(20)에는, 유체의 유입과 유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V1)가 구동실(21a)의 양측 포트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증폭된 유체를 구동장치(F)에 공급하고 탱크(T)에서 유체의 흡입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4개)의 체크밸브(V2)가 증폭실(21b)의 포트에 연결하여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단동식 및 복동식 유량 증폭기는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유체 회로와 작동 결과로 증폭되는 유체 회로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방향 전환시 서지 압력(surge pressure)이 발생하고 부하변화에 따라 출구 유량이 변동하며, 복동식 유량 증폭기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개발이 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reciprocatable double acting booster)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8360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28380호 등으로 개시되어 되어 있고, 이러한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의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30)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제1실(3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31b)이 형성된 실린더(31)와, 제1실(31a)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32)과, 제2실(31b)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33)과, 제1피스톤(32)과 제2피스톤(33)은 피스톤 로드(34)를 포함하며, 제1실(31a)의 피스톤 로드 측에서 유체가 유입되고(IN-1), 제1실(31a)의 제1피스톤 측과 제2실(31b)의 피스톤 로드 측이 연통하여 증폭된 유체가 구동장치에 공급되거나(OUT-1),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31b)의 피스톤 로드 측에서 유체가 유입되고(IN-2), 제2실(31b)의 제2피스톤 측과 제1실(31a)의 피스톤 로드 측이 연통하여 증폭된 유체가 구동장치에 공급되는(OUT-2) 구조와 작동방법으로 작동한다.
도 3의 (a)에서, 제1피스톤(32) 및 제2피스톤(33)의 단면적을 A라고 하고 피스톤 로드(34)의 단면적을 r이라고 하면, 출력측은 제1실(31a)의 좌측과 제2실(31b)의 좌측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입력측 단면적은 (A-r)이 되고, 출력측 단면적은 A+(A-r)이 된다. 이때, 제2실(31b)의 우측은 탱크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대기압(게이지 압력이 0)이 되므로 증폭관련 단면적과는 관련 없다. 따라서, 유량 증폭비는 (2A-r)/(A-r) 로 표시된다.
그리고, 도3의 (b)에서, 제1피스톤(32) 및 제2피스톤(33)의 단면적을 A라고 하고 피스톤 로드(34)의 단면적을 r이라고 하면, 출력측은 제1실(31a)의 우측과 제2실(31b)의 우측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입력측 단면적은 (A-r)이 되고, 출력측 단면적은 A+(A-r)이 된다. 이때, 제1실(31a)의 좌측은 탱크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대기압(게이지 압력이 0)이 되므로 증폭관련 단면적과는 관련 없다. 따라서, 유량 증폭비는 (2A-r)/(A-r) 로 표시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피스톤에 대한 피스톤로드의 크기비(직경비 또는 면적비)가 작으므로 설계상 크기(직경 및 면적)차이 문제로 유체의 증폭비를 높일 수가 없으므로 출력을 증가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에 대한 피스톤 로드의 크기비(직경비 또는 면적비)를 작게 하여 이동체의 중량을 줄이면서 증폭비를 높이고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은 일측에 제1실린더실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린더실이 형성된 실린더와, 제1실린더실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과, 제2실린더실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과,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을 일체로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정방향 작동시에는 제1실린더실의 일측(제1피스톤 측)과 타측(피스톤 로드 측)을 연통시켜 유압원에 연결하고 제2실린더실의 일측(제2피스톤 측)을 구동장치에 연통시켜 유체를 공급하고, 역방향 작동시에는 제2실린더실의 일측(제2피스톤 측)과 타측(피스톤 로드 측)을 연통시켜 유압원에 연결하고 제1실린더실의 일측(제1피스톤 측)을 구동장치에 연통시켜 유체를 공급한다.
제1실린더실의 일측과 타측, 또는 제2실린더실의 일측과 타측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통시킨다.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하고, 제1피스톤 또는 제2피스톤의 단면적을 A라고 하고 직경을 D라고 하며, 피스톤 로드의 단면적을 r이라 하고 직경을 d라 하며, 공급포트의 유량을 Qs라 하고 구동포트의 유량을 Qc라 할 때, 제1피스톤 또는 제2피스톤에 대한 피스톤 로드의 면적비(r/A)는 0.1~0.5로 하고 직경비(d/D)는 0.3~0.7로 하고 증폭비(x=Qc/Qs)를 2~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 증폭기의 정방향 작동과 역방향 작동은 하나의 제어밸브에 의해 유로 방향을 전환하여 작동시킨다.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유체 회로와 작동 결과로 증폭되는 유체 회로를 하나로 혼합하여 두 회로 작동을 하나의 제어밸브로 작동시킨다. 또한 방향전환용 제어밸브와 작동/증폭 회로의 모든 제어밸브는 스풀이 동시에 작동하는 하나의 일체형 제어밸브를 사용한다.
제어밸브의 스풀은 전자석이나, 스프링이나, 유압 파일롯식이나, 기계식 압봉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피스톤에 대한 피스톤 로드의 크기비(직경비 또는 면적비)를 작게 하여 이동체의 중량을 줄이면서 증폭비를 높이고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동식 유량 증폭기가 결합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복동식 유량 증폭기가 결합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작동방법이 적용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작동방법이 적용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작동방법이 적용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1실시예에 의한 작동방법이 적용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는 8개의 포트와 각 포트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8개로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적용되는 복동식 왕복 가능 유량 증폭기(50)는 실린더(51)와, 제1피스톤(52)과, 제2피스톤(53)과, 피스톤 로드(54)를 포함한다.
실린더(51)는 일측에 형성된 제1실린더실(51a)과 타측에 형성된 제2실린더실(51b)이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제1피스톤(52)은 제1실린더실(51a) 내에서 작동한다. 제2피스톤(53)은 제2실린더실(51b) 내에서 작동한다. 피스톤 로드(54)는 제1피스톤(52)과 제2피스톤(53)을 일체로 연결한다.
제1실린더실(51a)의 일측(제1피스톤 측)에는 제1입출력 포트(55a)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51b)의 일측(제2피스톤 측)에는 제2입출력 포트(55b)가 형성되며, 제1실린더실(51a)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1배출 배압 포트(56a)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51b)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2배출 배압 포트(56b)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입출력 포트(55a)(55b)와, 제1 및 제2배출 배압 포트(56a)(56b)에는 정방향 작동시에 열려 유체가 유입 유출하는 제1개폐밸브(SV1)가 각각 설치된다.
제1입출력 포트(55a)와 제1배출 배압 포트(56a)는 제1개폐밸브(SV1)을 매개로 연결되어 유압원(도시안됨)에 연통하고, 제2입출력 포트(55b)는 제1개폐밸브(SV1)을 매개로 구동장치(도시안됨)에 연통하며, 제2배출 배압 포트(56b)는 제1개폐밸브(SV1)을 매개로 탱크(T1)에 연통한다. 제1입출력 포트(55a)와 제1배출 배압 포트(56a)는 제1개폐밸브(SV1) 사이에서 제1오리피스(O1)를 매개로 연결된다. 제1오리피스(O1)는 유압원의 압력을 신속히 제1배출 배압 포트(56a)에 전달시켜 제1피스톤(52)에 배압을 작용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실린더실(51b)의 일측(제2피스톤 측)에는 제3입출력 포트(55c)가 형성되고, 제1실린더실(51a)의 일측(제1피스톤 측)에는 제4입출력 포트(55d)가 형성되며, 제2실린더실(51b)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3배출 배압 포트(56c)가 형성되고, 제1실린더실(51a)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4배출 배압 포트(56d)가 형성된다. 제3 및 제4입출력 포트(55c)(55d)와, 제3 및 제4배출 배압 포트(56c)(56d)에는 역방향 작동시에 열려 유체가 유입 유출하는 제2개폐밸브(SV2)가 각각 설치된다.
제3입출력 포트(55c)와 제3배출 배압 포트(56c)는 제2개폐밸브(SV2)을 매개로 연결되어 유압원(도시안됨)에 연통하고, 제4입출력 포트(55d)는 제2개폐밸브(SV2)을 매개로 구동장치(도시안됨)에 연통하며, 제4배출 배압 포트(56d)는 제2개폐밸브(SV2)을 매개로 탱크(T2)에 연통한다. 제3입출력 포트(55c)와 제3배출 배압 포트(56c)는 제2개폐밸브(SV2) 사이에서 제2오리피스(O2)를 매개로 연결된다. 제2오리피스(O2)는 유압원의 압력을 신속히 제3배출 배압 포트(56c)에 전달시켜 제2피스톤(53)에 배압을 작용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 방법을 도 5a 및 도 5b에 따라 설명한다. 도 5a는 도 4에서 정방향 작동시(피스톤이 우측으로 이동)에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b는 도 4에서 역방향 작동시(피스톤이 좌측으로 이동)에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에서 제1개폐밸브(SV1)을 모두 열고 제2개폐밸브(SV2)를 모두 닫으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에서 제1입출력 포트(55a)를 통해 제1실린더실(5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한편 제1배출 배압 포트(56a)을 통해 제1실린더실(51a)의 타측(우측) 공간에 유입한다(IN-1). 이에 따라 제1피스톤(52)의 양측면적의 차이로 인해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52, 53, 54)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2실린더실(5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2입출력 포트(55b)를 통해 유출되어 구동장치(도시 안됨)에 공급된다(OUT-1). 이와 동시에 제2실린더실(51b)의 타측(좌측) 공간(제2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2배출 배압 포트(56b)를 통해 탱크(T1)에 연통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도 5의 (a)에서, 제1피스톤(52) 및 제2피스톤(53)의 단면적을 A라고 하고 피스톤 로드(54)의 단면적을 r이라고 하면, 입력측은 제1실(51a)의 좌측과 제1실(51a)의 우측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입력측 단면적은 A-(A-r)이 되고, 출력측 단면적은 A가 됩니다. 이때, 제2실(51b)의 좌측은 탱크(T1)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대기압(게이지 압력이 0)이 되므로 증폭관련 단면적과는 관련 없다. 따라서, 유량 증폭비는 A/r 로 표시된다.
도 4에서 제2개폐밸브(SV2)을 모두 열고 제1개폐밸브(SV1)를 모두 닫으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에서 제3입출력 포트(55c)를 통해 제2실린더실(5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한편 제3배출 배압 포트(56c)을 통해 제2실린더실(51b)의 타측(좌측) 공간에 유입한다(IN-1). 이에 따라 제2피스톤(53)의 양측면적의 차이로 인해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52, 53, 54)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1실린더실(5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4입출력 포트(55d)를 통해 유출되어 구동장치(도시 안됨)에 공급된다(OUT-2). 이와 동시에 제1실린더실(51a)의 타측(우측) 공간(제1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4배출 배압 포트(56d)를 통해 탱크(T2)에 연통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도 5의 (b)에서, 제1피스톤(52) 및 제2피스톤(53)의 단면적을 A라고 하고, 피스톤 로드(54)의 단면적을 r이라고 하면, 입력측은 제2실(51b)의 좌측과 제2실(51b)의 우측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입력측 단면적은 A-(A-r)이 되고, 출력측 단면적은 A가 된다. 이때, 제1실(51a)의 우측은 탱크(T2)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대기압(게이지 압력이 0)이 되므로 증폭관련 단면적과는 관련 없다. 따라서, 유량 증폭비는 A/r 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51) 내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 작동을 반복함에 따라 유체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50)를 통해 증폭되어 구동장치를 연속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유체 회로와 작동 결과로 증폭되는 유체 회로를 서로 분리시키지 않고 하나로 혼합하여 작동시킨다. 또한 방향전환용 제어밸브와 작동/증폭 회로의 모든 제어밸브는 스풀이 동시에 작동하는 하나의 일체형 제어밸브를 사용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작동방법이 적용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60)는 4개의 포트와 각 포트를 통한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1개로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60)는 하나의 제어밸브(100)에 의해 유로가 전환되어 작동하며, 제어밸브(100)는 제1밸브 몸체(110)와, 제2밸브 몸체(120)와, 제1스풀(130)과, 제2스풀(140)을 포함한다.
복동식 왕복 가능 유량 증폭기(60)는 일측에 제1실린더실(6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린더실(61b)이 형성된 실린더(61)와, 제1실린더실(61a)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62)과, 제2실린더실(61b)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63)과, 제1피스톤(62)과 제2피스톤(63)을 일체로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64)를 포함한다. 제1실린더실(61a)의 일측(제1피스톤 측)에는 제1입출력 포트(65a)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61b)의 일측(제2피스톤 측)에는 제2입출력 포트(65b)가 형성되며, 제1실린더실(61a)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1배출 배압 포트(66a)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61b)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2배출 배압 포트(66b)가 형성된다.
제1밸브 몸체(110)와 제2밸브 몸체(120)는 연결 통로부(101)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으며, 제1밸브 몸체(110)의 단부(내측)에는 제1스풀(130)에 접하여 탄성복원력을 가하여 스풀(제1스풀과 제2스풀)을 작동시키는 작동스프링(102)이 설치되고, 제2밸브 몸체(120)의 단부(외측)에는 제2스풀(140)에 전자력을 가하여 스풀(제1스풀과 제2스풀)을 작동시키는 전자석(103)이 설치된다. 제1밸브 몸체(110)에 전자석이 설치되고, 제2밸브 몸체(120)에 작동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밸브 몸체(110)와 제2밸브 몸체(120)에 모두 전자석이 설치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제1밸브 몸체(110)에는 증폭 연결관(D11)을 통해 제1입출력 포트(65a)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A포트)(A)가 제1밸브 몸체(11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되는 한편, 증폭 연결관(D12)을 통해 제2입출력 포트(65b)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B포트)(B)가 제1밸브 몸체(11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제1밸브 몸체(110)에는 공급 연결관(E10)을 통해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P포트)(P)가 제1밸브 몸체(11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밸브 몸체(110)에는 증폭된 유체를 구동장치(도시 안됨)에 공급하는 2개의 구동 포트(C포트)(C1, C2)가 제1밸브 몸체(11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2개의 구동 포트(C1)(C2)는 구동 연결관(F10)을 통해 연결된다. 제1밸브 몸체(110)에는 모두 5개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제2밸브 몸체(120)에는 증폭 연결관(D13)을 통해 제1배출 배압 포트(66a)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Xa포트)(Xa)가 제2밸브 몸체(1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되는 한편, 증폭 연결관(D14)을 통해 제2배출 배압 포트(66b)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Xb포트)(Xb)가 제2밸브 몸체(1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제2밸브 몸체(120)에는 리턴 연결관(G10)을 통해 유체를 탱크(104)에 연통시키는 2개의 리턴 포트(R포트)(R1, R2)가 제2밸브 몸체(1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밸브 몸체(120)에는 공급 연결관(E10)에 연결되어 배압을 형성하는 구동 포트(C포트)(C3)가 제2밸브 몸체(1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2개의 리턴 포트(R1)(R2)는 리턴 연결관(G10)을 통해 연결된다. 제2밸브 몸체(120)에는 모두 5개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제1스풀(130)과 제2스풀(140)은 스풀 연결 로드부(105)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스풀 연결 로드부(105)는 연결 통로부(101)의 내부를 통해 연결된다. 제1스풀(130)은 제1밸브 몸체(110)와 함께 5포트 3위치 밸브를 이루고 있고, 제2스풀(140)은 제2밸브 몸체(120)과 함께 5포트 3위치 밸브를 이루고 있다. 제1스풀은 제1밸브 몸체와 함께 5포트 2위치 밸브 또는 제4포트 2위치 밸브를 이룰 수도 있고, 제2스풀은 제2밸브 몸체와 함께 5포트 2위치 밸브 또는 4포트 2위치 밸브를 이룰 수도 있다.
제1스풀(130)은 제1밸브 몸체(110) 내에서 작동하며, 3개의 랜드부(131, 132, 133)가 2개의 스풀 로드부(134, 135)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랜드부(131)은 구동 포트(C1)를 여닫고, 랜드부(132)는 공급 포트(P)를 여닫으며, 랜드부(133)은 구동 포트(C2)를 여닫는다. 스풀 로드부(134)는 랜드부(131)과 랜드부(132)를 연결하고, 스풀 로드부(135)는 랜드부(132)와 랜드부(133)을 연결한다. 제1스풀(130)의 내부에는 제1밸브 몸체(110) 내의 제1스풀(130) 좌 우측 공간을 연통시켜 유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통로(136)가 형성된다.
제2스풀(140)은 제2밸브 몸체(120) 내에서 작동하며, 2개의 랜드부(141, 142)가 1개의 스풀 로드부(143)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랜드부(141)은 연결포트(Xb)를 여닫고, 랜드부(142)는 연결 포트(Xa)를 여닫는다. 스풀 로드부(143)는 랜드부(141)과 랜드부(142)를 연결한다.
도 6은 제1스풀(130)의 랜드부(131, 132, 133)가 공급 포트(P) 및 구동 포트(C1, C2)를 닫고 있고, 제2스풀(140)의 랜드부(141, 142)가 연결 포트(Xb, Xa)를 닫고 있는 상태로서, 유체가 제1실린더실(61a) 또는 제2실린더실(61b)에 공급되지 않는 중립위치를 나타낸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 방법을 도 7a 및 도 7b에 따라 설명한다. 도 7a는 도 6에서 정방향 작동시(피스톤이 우측으로 이동)에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7b는 도 6에서 역방향 작동시(피스톤이 좌측으로 이동)에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의 중립위치에서 작동스프링(102)과 전자석(103)의 작용에 따라 제1스풀(130)과 제2스풀(14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포트(P)는 연결 포트(A)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B)는 구동 포트(C2)와 연통하며, 연결 포트(Xa)는 구동 포트(C3)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Xb)는 리턴 포트(R1)와 연통한다(이하, 'A위치'라 한다.)
따라서,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 연결관(E1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공급 포트(P)와 연결 포트(A)로 이어지고, 증폭 연결관(D11)을 지나서 제1입출력 포트(65a)를 통해 제1실린더실(6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유입되고,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62, 63, 64)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실린더실(6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2입출력 포트(65b)를 통해 유출되어 증폭 연결관(D12)을 지나서 연결 포트(B)와 구동 포트(C2)로 이어지고, 구동 연결관(F10)을 통해 구동장치(도시 안됨)로 공급된다.
한편, 공급 연결관(E1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구동 포트(C3)와 연결 포트(Xa)를 통해 증폭 연결관(D13)을 지나서, 제1배출 배압 포트(66a)를 통해 제1실린더실(61a)의 타측(우측) 공간(제1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연통하므로 제1피스톤(62)에 배압을 가한다. 그리고, 제2실린더실(61b)의 타측(좌측) 공간(제2피스톤의 좌측 공간)은 제2배출 배압 포트(66b)와 연결 포트(Xb) 및 리턴 포트(R1)을 통해 탱크(104)에 연통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도 6의 중립위치에서 작동스프링(102)와 전자석(103)의 작용에 따라 제1스풀(130)과 제2스풀(14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포트(P)는 연결 포트(B)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A)는 구동 포트(C1)와 연통하며, 연결 포트(Xa)는 리턴 포트(R2)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Xb)는 구동 포트(C3)와 연통한다(이하, 'B위치'라 한다.)
따라서,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 연결관(E1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공급 포트(P)와 연결 포트(B)로 이어지고, 증폭 연결관(D12)을 지나서 제2입출력 포트(65b)를 통해 제2실린더실(6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유입되고,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62, 63, 64)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실린더실(6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1입출력 포트(65a)를 통해 유출되어 증폭 연결관(D11)을 지나서 연결 포트(A)와 구동 포트(C1)로 이어지고, 구동 연결관(F10)을 통해 구동장치(도시 안됨)로 공급된다.
한편, 공급 연결관(E1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구동 포트(C3)와 연결 포트(Xb)를 통해 증폭 연결관(D14)을 지나서, 제2배출 배압 포트(66b)를 통해 제2실린더실(61b)의 타측(좌측) 공간(제2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연통하므로 제2피스톤(63)에 배압을 가한다. 그리고, 제1실린더실(61a)의 타측(우측) 공간(제1피스톤의 우측 공간)은 제1배출 배압 포트(66a)와 연결 포트(Xa) 및 리턴 포트(R2)을 통해 탱크(104)에 연통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61) 내에서 중립위치와 A위치 및 B위치를 반복함에 따라 유체 공급원에서 공급 포트(P)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60)를 통해 증폭되어 구동 포트(C1, C2)를 통해 구동장치를 연속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유체 회로와 작동 결과로 증폭되는 유체 회로를 서로 분리시키지 않고 하나로 혼합하여 작동시킨다. 또한 방향전환용 제어밸브와 작동/증폭 회로의 모든 제어밸브는 스풀이 동시에 작동하는 하나의 일체형 제어밸브를 사용한다.
제어밸브(100)의 제1스풀(130)과 제2스풀(140)은 전자석이나 스프링 외에 일반적인 유압 파일롯식이나 기계식 압봉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의 단면적은 동일하고, 제1피스톤 또는 제2피스톤의 단면적을 A라고 하고 피스톤 로드의 단면적을 r이며, 공급포트 유량이 Qs이고 구동포트 유량이 Qc라고 할 때, 종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한 증폭비(x=Qc/Qs)는 (2A-r)/(A-r)로 표현되고, 본 발명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한 증폭비(x=Qc/Qs)는 A/r로 표현된다.
통상적으로 피스톤에 대한 피스톤로드의 직경비(d/D)는 0.3~0.7 영역에서 그리고 면적비(r/A)는 0.1~0.5 영역에서 제작되어 사용된다. 이 직경비 영역 (0.3~0.7) 및 면적비 영역(0.1~0.5)에서 종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한 증폭비가 2~3인데 반해, 본 발명의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한 증폭비는 2~10으로 현저히 높다.
피스톤 면적(A)을 10이라고 하고, 피스톤 로드 면적(r)을 1이라고 할 때, 면적비(r/A)는 0.1이 된다. 이 면적비(0.1)에서, 종래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유량 증폭비는 (2A-r)/(A-r) = 2.11 이고, 본 발명의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유량 증폭비는 A/r = 10 이다.
피스톤 면적(A)을 10이라고 하고, 피스톤 로드 면적(r)을 5라고 할 때, 면적비(r/A)는 0.5가 된다. 이 면적비(0.5)에서, 종래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유량 증폭비는 (2A-r)/(A-r) = 3 이다. 본 발명의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유량 증폭비는 A/r = 2 이다.
즉, 면적비(0.1~0.5)에서, 종래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유량증폭비가 2~3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의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유량 증폭비는 2~10에 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방법에 의한 유량 증폭기는 입력측(In)을 유체 공급측에 연결하고, 출력측(Out)을 유체 구동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유로에 설치하여 증폭된 유량의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작동방법이 적용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유로에는 유체의 방향전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서지(surge) 유량을 흡수하기 위해 축압기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50, 60 :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
51, 61 : 실린더 51a, 61a : 제1실린더실
51b, 61b : 제2실린더실 52, 62 : 제1피스톤
53, 63 : 제2피스톤 54, 64 : 피스톤 로드
55a, 65a : 제1입출력 포트 55b, 65b : 제2입출력 포트
55c : 제3입출력 포트 55d : 제4입출력 포트
56a, 66a : 제1배출 배압 포트 56b, 66b : 제2배출 배압 포트
56c : 제3배출 배압 포트 56d : 제4배출 배압 포트
100 : 제어밸브
101 : 연결 통로부 102 : 작동스프링
103 : 전자석 104 : 탱크
105 : 스풀 연결 로드부 110 : 제1밸브 몸체
120 제2밸브 몸체 130 : 제1스풀
140 : 제2스풀
A, B, Xa, Xb : 연결 포트 C1, C2, C3, C4 : 구동 포트
D11, D12, D13, D14 : 증폭 연결관
E10 : 공급 연결관 F10 : 구동 연결관
G10 : 리턴 연결관 O : 오리피스
P : 공급 포트 R1, R2 : 리턴 포트
SV1, SV2 : 제1, 제2개폐밸브

Claims (12)

  1. 일측에 제1실린더실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린더실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실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2실린더실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을 일체로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정방향 작동시에는 상기 제1실린더실의 일측(제1피스톤 측)과 타측(피스톤 로드 측)을 연통시켜 유압원에 연결하고 상기 제2실린더실의 일측(제2피스톤 측)을 구동장치에 연통시켜 구동장치에 유체를 공급하고,
    역방향 작동시에는 상기 제2실린더실의 일측(제2피스톤 측)과 타측(피스톤 로드 측)을 연통시켜 유압원에 연결하고 상기 제1실린더실의 일측(제1피스톤 측)을 구동장치에 연통시켜 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실의 일측과 타측, 또는 상기 제2실린더실의 일측과 타측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1피스톤 또는 상기 제2피스톤의 단면적을 A라고 하고 직경을 D라고 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면적을 r이라 하고 직경을 d라 하며, 공급포트의 유량을 Qs라 하고 구동포트의 유량을 Qc라 할 때, 상기 제1피스톤 또는 상기 제2피스톤에 대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면적비(r/A)는 0.1~0.5로 하고 직경비(d/D)는 0.3~0.7로 하고 증폭비(x=Qc/Qs)를 2~10으로 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작동과 상기 역방향 작동은 제어밸브에 의해 유로 방향을 전환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유체 회로와 작동 결과로 증폭되는 유체 회로를 하나로 혼합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유체 회로와 작동 결과로 증압되는 유체 회로를 하나의 제어밸브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를 작동시키는 유체 회로의 방향 전환용 제어밸브와 작동/증폭 회로용 제어밸브를 하나의 일체형 제어밸브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스풀이 동시에 작동하는 하나의 일체형 제어밸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전자석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스프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유압 파일롯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기계식 압봉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KR1020140012930A 2014-02-05 2014-02-05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KR10159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30A KR101596303B1 (ko) 2014-02-05 2014-02-05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30A KR101596303B1 (ko) 2014-02-05 2014-02-05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90A KR20150092490A (ko) 2015-08-13
KR101596303B1 true KR101596303B1 (ko) 2016-02-23

Family

ID=5405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30A KR101596303B1 (ko) 2014-02-05 2014-02-05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4592A (zh) * 2017-08-31 2019-03-05 王建勋 液体压力交变压泵及其压力交换方法
KR102554995B1 (ko) * 2023-02-16 2023-07-17 (주)대진유압기계 유압 공구 작동용 유압 복동 부스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80B1 (ko) 2010-10-29 2011-04-13 주식회사 군영 부스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269A (en) * 1995-04-24 1996-01-16 Moog Inc. Fluid intens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80B1 (ko) 2010-10-29 2011-04-13 주식회사 군영 부스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90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4804B2 (ja) ハイドロリック式の制御装置
US9127657B2 (en) Air-driven pump system
CN101473284A (zh) 流体控制阀
TWI784173B (zh) 氣壓缸的流體迴路
CN103697010A (zh) 集成液压阀组及液压驱动系统及混凝土泵
WO2013036355A3 (en) Meterless hydraulic system having displacement control valve
JP6159629B2 (ja) 流体圧制御装置
ATE450714T1 (de) Wegeventil mit druckwaage
KR101596303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DE50203452D1 (de) Wegeventil
TW200801335A (en) Fluid pressure drive device
WO2006121636A3 (en) Electro-hydraulic engine valve actuation
KR101596379B1 (ko) 유량 증폭기의 자동왕복 유량조절 제어 기구
US8833391B2 (en) Valve arrangement
JP3556860B2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JP2006234144A (ja) 圧力補償弁を備えた流量制御弁
JP2016204826A (ja) 流体圧制御装置
US9562544B2 (en) Hydraulic system
KR101411234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 및 그 작동방법
JP2012107687A (ja) 切換弁および切換弁を備えた油圧装置
KR101497976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용 자동 왕복운동 제어 기구
KR101366382B1 (ko) 압력조절 증폭기구
KR101366438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유체 기구용 제어밸브
KR101505016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용 자동 압력조절 제어 기구
KR101596376B1 (ko) 유량조절 증폭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