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376B1 - 유량조절 증폭기구 - Google Patents

유량조절 증폭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376B1
KR101596376B1 KR1020140012939A KR20140012939A KR101596376B1 KR 101596376 B1 KR101596376 B1 KR 101596376B1 KR 1020140012939 A KR1020140012939 A KR 1020140012939A KR 20140012939 A KR20140012939 A KR 20140012939A KR 101596376 B1 KR101596376 B1 KR 101596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flow rate
control valve
valve body
cylind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496A (ko
Inventor
정헌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3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1Valves for interconnecting the fluid chambers of an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폭몸체를 제어하며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관한 것이다.
증폭몸체는 제1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1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포트와, 제1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3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4포트를 구비한다. 유량조절밸브는 증폭몸체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제2포트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와,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몸체와; 1차측 포트에 연통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와, 2차측 포트에 연통하여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차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의하면, 4개의 포트를 구비하는 증폭몸체에 유량조절밸브가 연결되어, 유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조절 증폭기구{Flow Regulating Amplifier}
본 발명은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유량 또는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증폭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관한 것이다.
유량 증폭기는 실린더 내부에 변위가 자유로운 피스톤을 설치하여 실린더의 구동실에 공급된 유체의 작용에 따라 피스톤이 변위함으로써, 피스톤에 대해 구동실로부터 반대측에 형성된 증폭실에 있는 유체는 압력이 감소되는 반면에 출구에서 유량이 증가되어 구동 장치에 공급되고, 유체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장치로서, 단동식 유량 증폭기와 복동식 유량 증폭기가 있다.
단동식 유량 증폭기(10)는 2 사이클로 유체의 유입/유출을 번갈아 반복하는 증폭기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동실(1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증폭실(11b)이 형성된 실린더(11)와, 구동실(11a)에서 작동하는 구동 피스톤(12)과, 증폭실(11b)에서 작동하는 증폭 피스톤(13)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피스톤(12)과 증폭 피스톤(13)은 피스톤 로드(14)에 의해 연결된 구성이다. 단동식 유량 증폭기(10)에는, 유체의 유입과 유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V1)가 구동실(11a)의 양측 포트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증폭된 유체를 구동장치(F)에 공급하고 탱크(T)에서 유체의 흡입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2개)의 체크밸브(V2)가 증폭실(11b)의 포트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복동식 유량 증폭기(20)는 1 사이클로 유체의 유입/유출을 번갈아 반복하는 증폭기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구동실(21a)이 형성되고 중간에 증폭실(21b)이 형성된 실린더(21)와, 구동실(21a)에서 작동하는 구동 피스톤(22)과, 증폭실(21b)에서 작동하는 증폭 피스톤(23)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피스톤(22)은 증폭 피스톤(23)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구성이다. 복동식 유량 증폭기(20)에는, 유체의 유입과 유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V1)가 구동실(21a)의 양측 포트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증폭된 유체를 구동장치(F)에 공급하고 탱크(T)에서 유체의 흡입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4개)의 체크밸브(V2)가 증폭실(21b)의 포트에 연결하여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유량 증폭기는 유출 유량을 조절할 수 없으며 외부 부하가 변하게 되면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는 제1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1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포트와, 제1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3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4포트를 구비하는 증폭몸체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있어서, 증폭몸체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며; 유량조절밸브는 제2포트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와,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몸체와; 1차측 포트와 2차측 포트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고; 제1포트와 제3포트는 연통된다.
유량조절밸브는 제3포트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와, 제1포트에 연통하는 2차측 포트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몸체와; 1차측 포트와 2차측 포트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고; 제2포트는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는 제1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1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포트와, 제1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3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4포트를 구비하는 증폭몸체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있어서, 증폭몸체에 연결되어 제1포트 내지 제4포트를 여닫는 주제어밸브와, 주제어밸브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며; 주제어밸브는 제1포트와 제2포트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포트를 구비하는 한편 유량조절밸브 또는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구동 포트를 구비하는 제1밸브 몸체와, 제3포트와 제4포트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포트를 구비하는 한편 증폭몸체에 배압을 형성하는 구동 포트를 구비하며 제1밸브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2밸브 몸체와, 제1밸브 몸체 내에서 작동하는 제1스풀과, 제2밸브 몸체 내에서 작동하며 제1스풀과 일체로 형성된 제2스풀을 포함하고; 유량조절밸브는 제1밸브 몸체의 구동포트 또는 제2밸브 몸체의 구동포트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와, 구동장치 또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몸체와; 1차측 포트와 2차측 포트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유량 조절부는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볼이나 포핏 또는 로타리 스풀을 구비한다.
유량조절밸브 몸체에는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차압부가 추가로 구비된다. 차압부는 유량조절밸브 몸체 내에 형성된 실린더실과, 실린더실 내에서 작동하는 차압 스풀과, 차압 스풀을 가압하여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조절구와, 실린더실을 통해 유량 조절부와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간실과, 유량 조절부의 입구 유로 및 출구 유로에 연통하여 차압 스풀의 양단에서 유체압을 가하는 제1차압 포트 및 제2차압 포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의하면, 4개의 포트를 구비하는 증폭몸체에 유량조절밸브가 연결되어, 유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동식 유량 증폭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복동식 유량 증폭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에서 유량조절밸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1실시예의 유량조절 증폭기구는 증폭몸체의 출력측에 유량조절밸브가 구성된 상태의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증폭 기구는 증폭몸체(40)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로서, 증폭몸체(40)에 연결되는 유량조절밸브(1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대칭형 복동식 왕복가능 증폭기(SRA, Symmetric Reciprocatable Amplifier)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증폭기에 적용될 수 있다.
증폭몸체(40)는 일측에 제1실린더실(4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린더실(41b)이 형성된 실린더(41)와, 제1실린더실(41a)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42)과, 제2실린더실(41b)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43)과, 제1피스톤(42)과 제2피스톤(43)을 일체로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44)로 이루어진다. 제1실린더실(41a)의 일측(제1피스톤 측)에는 유체 공급원(도시안됨)에 연결되는 제1포트(41c)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41b)의 일측(제2피스톤 측)에는 유량조절밸브(100)의 후술하는 1차측 포트에 연결되는 제2포트(41d)가 형성되며, 제1실린더실(41a)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구동 연결관(U10)을 통해 유압원(도시안됨)에 연결되는 한편 제1포트(41c)에 연통하는 제3포트(41e)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41b)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유체를 탱크에 연통시키는 제4포트(41f)가 형성된다. 구동 연결관(U10)에는 오리피스(O)가 형성된다.
유량조절밸브(100)는 증폭몸체(40)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밸브로서, 유량조절밸브 몸체(170)와, 유량 조절부(180)와, 차압부(190)를 포함한다.
유량조절밸브 몸체(170)는 증폭몸체(40)의 제2포트(41d)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171)와,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172)를 구비한다. 1차측 포트(171)는 밸브 연결관(S10)을 통해 증폭몸체(40)의 제2포트(41d)에 이어지고, 2차측 포트(172)는 구동출력 연결관(Q10)을 통해 구동장치에 연결된다.
유량 조절부(180)는 1차측 포트(171)와 2차측 포트(172)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며, 2차측 포트(172)에 이어지는 유량조절 구멍(181)에 나사로 조절이 가능한 포핏(182)이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핏 시트형으로 되어 있다.
차압부(190)는 1차측 포트(171)와 유량 조절부(180)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차압부(190)는 유량조절밸브 몸체(170) 내에 형성된 실린더실(191)과, 실린더실(191) 내에서 작동하는 차압 스풀(192)과, 차압 스풀(192)의 일측단을 가압하여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조절구(193)와, 실린더실(191)을 통해 유량 조절부(180)와 1차측 포트(171)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간실(194)과, 유량 조절부(180)의 입구 유로 및 출구 유로에 각각 연통하여 차압 스풀(192)의 양단에서 유체압을 가하는 제1차압 포트(195) 및 제2차압 포트(196)를 포함한다.
실린더실(191)은 차압 스풀(192)의 랜드부가 슬라이딩하는 1단 또는 2단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단의 실린더(191)에 3개의 랜드부를 가지는 차압 스풀(192)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압 조절구(193)는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제2차압 포트(196)에 연통하는 실린실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압 스풀(192)을 가압한다. 차압 조절구(193)는 스프링 외에 비례 솔레노이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가압구가 사용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에서, 유체가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증폭몸체(40)의 제1포트(41c)를 통해 제1실린더실(4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유입되는 한편, 구동 연결관(U10)을 통해 제1실린더실(41a)의 타측(우측) 공간(제1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유입한다. 이에 따라 제1피스톤(42)의 양측면적의 차이로 인해 증폭몸체(40)의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42, 43, 44)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2실린더실(4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2포트(41d)에서 밸브 연결관(S10)을 통해 유량조절밸브(100)를 거쳐 구동출력 연결관(Q10)을 통해 구동장치(도시안됨)로 공급된다. 제4포트(41f)는 탱크에 연통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이때, 증폭몸체(40)에서 밸브 연결관(S10)을 통해 출력되는 유체는 유량조절밸브(100)의 유량 조절부(180)에 설치된 포핏(182)을 통해 유량이 조절된다. 그리고, 유량 조절부(180)의 입구 유로와 출구 유로의 압력이 제1차압 포트(195)와 제2차압 포트(196)를 통해 차압부(190)의 차압 스풀(192)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한편 차압 조절구(193)의 가압에 따라 차압 스풀(192)이 이동하게 되므로, 중간실(194)를 통해 제2차측 포트(172)에서 출력되는 유체는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2실시예의 유량조절 증폭기구는 증폭몸체의 입력측에 유량조절밸브가 구성된 상태의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증폭 기구는 증폭몸체(50)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로서, 증폭몸체(50)에 연결되는 유량조절밸브(2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대칭형 복동식 왕복가능 증폭기(SRA, Symmetric Reciprocatable Amplifier)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증폭기에 적용될 수 있다.
증폭몸체(50)는 일측에 제1실린더실(5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린더실(51b)이 형성된 실린더(51)와, 제1실린더실(51a)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52)과, 제2실린더실(51b)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53)과, 제1피스톤(52)과 제2피스톤(53)을 일체로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54)로 이루어진다. 제1실린더실(51a)의 일측(제1피스톤 측)에는 유체 공급원(도시안됨)에 연결되는 제1포트(51c)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51b)의 일측(제2피스톤 측)에는 구동장치(도시안됨)에 연결되는 제2포트(51d)가 형성되며, 제1실린더실(51a)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유량조절밸브(200)의 후술하는 1차측 포트에 연결되는 제3포트(51e)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51b)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유체를 탱크에 연통시키는 제4포트(51f)가 형성된다. 제1포트(51c)는 구동 연결관(U20)을 통해 유량조절밸브(200)의 후술하는 2차측 포트에 연결되고, 제2포트(51d)는 구동출력 연결관(Q20)을 통해 구동장치에 연결된다. 제1포트(51c)와 제3포트(51e)는 연통하여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유량조절밸브(200)는 증폭몸체(50)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밸브로서, 유량조절밸브 몸체(270)와, 유량 조절부(280)와, 차압부(290)를 포함한다.
유량조절밸브 몸체(270)는 증폭몸체(50)의 제3포트(51e)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271)와, 유체 공급원(도시안됨)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272)를 구비한다. 1차측 포트(271)는 밸브 연결관(S20)을 통해 증폭몸체(50)의 제3포트(51e)에 이어지고, 2차측 포트(272)는 구동 연결관(U20)을 통해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한편 제1포트(51c)에 연통된다.
유량 조절부(280)는 1차측 포트(271)와 2차측 포트(272)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며, 2차측 포트(272)에 이어지는 유량조절 구멍(281)에 나사로 조절이 가능한 포핏(282)이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핏 시트형으로 되어 있다.
차압부(290)는 1차측 포트(271)과 유량 조절부(280)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차압부(290)는 유량조절밸브 몸체(270) 내에 형성된 실린더실(291)과, 실린더실(291) 내에서 작동하는 차압 스풀(292)과, 차압 스풀(292)의 일측단을 가압하여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조절구(293)와, 실린더실(291)을 통해 유량 조절부(280)와 1차측 포트(271)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간실(294)과, 유량 조절부(280)의 입구 유로 및 출구 유로에 각각 연통하여 차압 스풀(292)의 양단에서 유체압을 가하는 제1차압 포트(295) 및 제2차압 포트(296)를 포함한다.
실린더실(291)은 차압 스풀(292)의 랜드부가 슬라이딩하는 1단 또는 2단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단의 실린더(291)에 3개의 랜드부를 가지는 차압 스풀(292)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압 조절구(293)는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제2차압 포트(296)에 연통하는 실린실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압 스풀(292)을 가압한다. 차압 조절구(293)는 스프링 외에 비례 솔레노이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가압구가 사용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에서, 유체는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증폭몸체(50)의 제1포트(51c)를 통해 제1실린더실(5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유입되는 한편 유량조절밸브(200)를 거쳐 제3포트(51e)를 통해 제1실린더실(51a)의 타측(우측) 공간(제1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유입한다. 이에 따라 제1피스톤(52)의 양측면적의 차이로 인해 증폭몸체(50)의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52, 53, 54)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2실린더실(5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2포트(51d)에서 구동출력 연결관(Q20)을 통해 구동장치(도시안됨)로 공급된다. 제4포트(51f)는 탱크에 연통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이때, 증폭몸체(50)의 제3포트(51e)에서 밸브 연결관(S20)을 통하는 유체는 유량조절밸브(200)의 유량 조절부(280)에 설치된 포핏(282)을 통해 유량이 조절된다. 그리고, 유량 조절부(280)의 입구 유로와 출구 유로의 압력이 제1차압 포트(295)와 제2차압 포트(296)를 통해 차압부(290)의 차압 스풀(292)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한편 차압 조절구(293)의 가압에 따라 차압 스풀(292)이 이동하게 되므로, 중간실(294)과 제2차측 포트(272)를 통해 유체 유압원에 연통하는 유체에 의해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3실시예의 유량조절 증폭기구는 주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증폭몸체에서 주제어밸브를 통해 출력측에 유량조절밸브가 구성된 상태의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증폭기구는 증폭몸체(60)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로서, 증폭몸체(60)에 연결되는 주제어밸브(300)와, 주제어밸브(300)에 연결되는 유량조절밸브(400)를 구비한다.
증폭몸체(60)는 일측에 제1실린더실(6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실린더실(61b)이 형성된 실린더(61)와, 제1실린더실(61a)에서 작동하는 제1피스톤(62)과, 제2실린더실(61b)에서 작동하는 제2피스톤(63)과, 제1피스톤(62)과 제2피스톤(63)을 일체로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64)로 이루어진다. 제1실린더실(61a)의 일측(제1피스톤 측)에는 제1포트(61c)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61b)의 일측(제2피스톤 측)에는 제2포트(61d)가 형성되며, 제1실린더실(61a)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3포트(61e)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실(61b)의 타측(피스톤 로드 측)에는 제4포트(61f)가 형성된다.
주제어밸브(300)는 증폭몸체(60)에 연결되어 제1포트 내지 제4포트(61c ~ 61f)를 여닫는 밸브로서, 제1밸브 몸체(310)와, 제2밸브 몸체(320)와, 제1스풀(330)과, 제2스풀(340)을 포함한다.
제1밸브 몸체(310)와 제2밸브 몸체(320)는 연결 통로부(301)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으며, 제1밸브 몸체(310)의 단부(내측)에는 제1스풀(330)에 접하여 탄성복원력을 가하여 스풀(제1스풀과 제2스풀)을 작동시키는 작동스프링(302)이 설치되고, 제2밸브 몸체(320)의 단부(외측)에는 제2스풀(340)에 전자력을 가하여 스풀(제1스풀과 제2스풀)을 작동시키는 전자석(303)이 설치된다. 제1밸브 몸체(310)에 전자석이 설치되고, 제2밸브 몸체(320)에 작동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밸브 몸체(310)와 제2밸브 몸체(320)에 모두 전자석이 설치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제1밸브 몸체(310)에는 증폭 연결관(D31)을 통해 제1포트(61c)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A포트)(A)가 제1밸브 몸체(31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되는 한편, 증폭 연결관(D32)을 통해 제2포트(61d)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B포트)(B)가 제1밸브 몸체(31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제1밸브 몸체(310)에는 공급 연결관(E30)을 통해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P포트)(P)가 제1밸브 몸체(31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되는 한편, 증폭몸체(60)에서 증폭되는 유체를 밸브 연결관(S30)을 통해 유량조절밸브(400)를 거쳐 구동장치에 공급하는 2개의 구동 포트(C포트)(C1, C2)가 형성된다. 제1밸브 몸체(310)에는 모두 5개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제2밸브 몸체(320)에는 증폭 연결관(D33)을 통해 제3포트(61e)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Xa포트)(Xa)가 제2밸브 몸체(3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되는 한편, 증폭 연결관(D34)을 통해 제4포트(61f)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Xb포트)(Xb)가 제2밸브 몸체(3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제2밸브 몸체(320)에는 리턴 연결관(G30)을 통해 유체를 탱크(304)에 연통시키는 2개의 리턴 포트(R포트)(R1, R2)가 제2밸브 몸체(3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밸브 몸체(320)에는 오리피스(O)를 통해 공급 연결관(E30)에 연결되어 배압을 형성하는 구동 포트(C포트)(C3)가 제2밸브 몸체(320)의 내면에 요입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2개의 리턴 포트(R1)(R2)는 리턴 연결관(G30)을 통해 연결된다. 제2밸브 몸체(320)에는 모두 5개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밸브 몸체(310)의 공급 포트(P)는 제2밸브 몸체(330)의 구동 포트(C3)에 직접 연통하며, 유량조절밸브(400)는 제1밸브 몸체(310)의 구동 포트(C1)(C2)에 연결된다.
제1스풀(330)과 제2스풀(340)은 스풀 연결 로드부(305)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스풀 연결 로드부(305)는 연결 통로부(301)의 내부를 통해 연결된다. 제1스풀(330)은 제1밸브 몸체(310)와 함께 5포트 3위치 밸브를 이루고 있고, 제2스풀(340)은 제2밸브 몸체(320)와 함께 5포트 3위치 밸브를 이루고 있다. 제1스풀은 제1밸브 몸체와 함께 5포트 2위치 밸브 또는 제4포트 2위치 밸브를 이룰 수도 있고, 제2스풀은 제2밸브 몸체와 함께 5포트 2위치 밸브 또는 4포트 2위치 밸브를 이룰 수도 있다.
제1스풀(330)은 제1밸브 몸체(310) 내에서 작동하며, 3개의 랜드부(331, 332, 333)가 2개의 스풀 로드부(334, 335)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랜드부(331)는 구동 포트(C1)를 여닫고, 랜드부(332)는 공급 포트(P)를 여닫으며, 랜드부(333)은 구동 포트(C2)를 여닫는다. 스풀 로드부(334)는 랜드부(331)과 랜드부(332)를 연결하고, 스풀 로드부(335)는 랜드부(332)와 랜드부(333)을 연결한다.
제2스풀(340)은 제2밸브 몸체(320) 내에서 작동하며, 2개의 랜드부(341, 342)가 1개의 스풀 로드부(343)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랜드부(341)은 연결포트(Xb)를 여닫고, 랜드부(342)는 연결 포트(Xa)를 여닫는다. 스풀 로드부(343)는 랜드부(341)과 랜드부(342)를 연결한다.
도 5는 제1스풀(330)의 랜드부(331, 332, 333)가 공급 포트(P) 및 구동 포트(C1, C2)를 닫고 있고, 제2스풀(340)의 랜드부(341, 342)가 연결 포트(Xa, Xb)를 닫고 있는 상태로서, 유체가 증폭몸체(60)의 제1포트(61c) 또는 제2포트(61d)에 공급되지 않는 중립위치를 나타낸다.
유량조절밸브(400)는 주제어밸브(300)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밸브로서, 유량조절밸브 몸체(470)와, 유량 조절부(480)와, 차압부(490)를 포함한다.
유량조절밸브 몸체(470)는 제1밸브 몸체(310)의 구동포트(C1)(C2)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471)와, 구동장치(도시 안됨)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472)를 구비한다. 1차측 포트(471)는 밸브 연결관(S30)에 이어지고, 2차측 포트(472)는 구동출력 연결관(Q30)을 통해 구동장치에 연결된다.
유량 조절부(480)는 1차측 포트(471)와 2차측 포트(472)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며, 2차측 포트(472)에 이어지는 유량조절 구멍(481)에 나사로 조절이 가능한 포핏(482)이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핏 시트형으로 되어 있다.
차압부(490)는 1차측 포트(471)와 2차측 포트(472)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차압부(490)는 유량조절밸브 몸체(470) 내에 형성된 실린더실(491)과, 실린더실(491) 내에서 작동하는 차압 스풀(492)과, 차압 스풀(492)의 일측단을 가압하여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조절구(493)와, 실린더실(491)을 통해 유량 조절부(480)와 1차측 포트(471)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간실(494)과, 유량 조절부(480)의 입구 유로 및 출구 유로에 각각 연통하여 차압 스풀(492)의 양단에서 유체압을 가하는 제1차압 포트(495) 및 제2차압 포트(496)를 포함한다.
실린더실(491)은 차압 스풀(492)의 랜드부가 슬라이딩하는 1단 또는 2단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단의 실린더(491)에 3개의 랜드부를 가지는 차압 스풀(492)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압 조절구(493)는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제2차압 포트(496)에 연통하는 실린실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압 스풀(492)을 가압한다. 차압 조절구(493)는 스프링 외에 비례 솔레노이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가압구가 사용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의 작용을 도 6a 및 도 6b에 따라 설명한다.
도 5의 중립위치에서 작동스프링(302)과 전자석(303)의 작용에 따라 제1스풀(330)과 제2스풀(34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6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포트(P)는 연결 포트(A)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B)는 구동 포트(C2)와 연통하며, 연결 포트(Xa)는 구동 포트(C3)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Xb)는 리턴 포트(R1)와 연통한다(이하, 'A위치'라 한다.)
따라서,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 연결관(E3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공급 포트(P)와 연결 포트(A)로 이어지고, 증폭 연결관(D31)을 지나서 제1포트(61c)를 통해 제1실린더실(6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유입되고,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62, 63, 64)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실린더실(6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2포트(61d)를 통해 유출되어 증폭 연결관(D32)을 지나서 연결 포트(B)와 구동 포트(C2)로 이어지고, 밸브 연결관(S30)을 통해 유량조절밸브(400)의 차압부(490)와 유량 조절부(480)를 거쳐 구동장치(도시 안됨)로 공급된다.
한편, 공급 연결관(E3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구동 포트(C3)와 연결 포트(Xa)를 통해 증폭 연결관(D33)을 지나서, 제3포트(61e)를 통해 제1실린더실(61a)의 타측(우측) 공간(제1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연통하므로 제1피스톤(62)에 배압을 가한다. 그리고, 제2실린더실(61b)의 타측(좌측) 공간(제2피스톤의 좌측 공간)은 제4포트(61f)와 연결 포트(Xb) 및 리턴 포트(R1)을 통해 탱크(304)에 연통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도 5의 중립위치에서 작동스프링(302)와 전자석(303)의 작용에 따라 제1스풀(330)과 제2스풀(34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포트(P)는 연결 포트(B)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A)는 구동 포트(C1)와 연통하며, 연결 포트(Xa)는 리턴 포트(R2)와 연통하고, 연결 포트(Xb)는 구동 포트(C3)와 연통한다(이하, 'B위치'라 한다.)
따라서,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 연결관(E3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공급 포트(P)와 연결 포트(B)로 이어지고, 증폭 연결관(D32)을 지나서 제2포트(61d)를 통해 제2실린더실(61b)의 일측(우측) 공간(제2피스톤의 우측 공간)에 유입되고,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62, 63, 64)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실린더실(61a)의 일측(좌측) 공간(제1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있는 유체는 제1포트(61c)를 통해 유출되어 증폭 연결관(D31)을 지나서 연결 포트(A)와 구동 포트(C1)로 이어지고, 밸브 연결관(S30)을 통해 유량조절밸브(400)의 차압부(490)와 유량 조절부(480)를 거쳐 구동장치(도시 안됨)로 공급된다.
한편, 공급 연결관(E3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구동 포트(C3)와 연결 포트(Xb)를 통해 부스터 연결관(D34)을 지나서, 제4포트(61f)를 통해 제2실린더실(61b)의 타측(좌측) 공간(제2피스톤의 좌측 공간)에 연통하므로 제2피스톤(63)에 배압을 가한다. 그리고, 제1실린더실(61a)의 타측(우측) 공간(제1피스톤의 우측 공간)은 제3포트(61e)와 연결 포트(Xa) 및 리턴 포트(R2)을 통해 탱크(304)에 연통하므로 대기압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증폭몸체의 피스톤 결합체(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61) 내에서 중립위치와 A위치 및 B위치를 반복함에 따라 유체 공급원에서 공급 포트(P)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증폭몸체(60)를 통해 유량이 증폭되어 구동 포트(C1, C2)를 통해 구동장치를 연속적으로 구동한다.
이때, 주제어밸브(300)에서 밸브 연결관(S30)을 통해 출력되는 유체는 유량조절밸브(400)의 유량 조절부(480)에 설치된 포핏(482)을 통해 유량이 조절된다. 그리고, 유량 조절부(480)의 입구 유로와 출구 유로의 압력이 제1차압 포트(495)와 제2차압 포트(496)를 통해 차압부(490)의 차압 스풀(492)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한편 차압 조절구(493)의 가압에 따라 차압 스풀(492)이 이동하게 되므로, 중간실(494)을 통해 제2차측 포트(472)에서 출력되는 유체는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증폭 기구는 증폭몸체(60)에 연결되어 제1포트 내지 제4포트를 여닫는 주제어밸브(500)와, 주제어밸브(500)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밸브(600)를 구비한다.
주제어밸브(500)는 증폭 연결관(D41)(D42)이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포트(A)(B)를 구비하는 제1밸브 몸체(510)와, 증폭 연결관(D43)(D44)이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포트(Xa)(Xb)를 구비하며 제1밸브 몸체(510)와 일체로 형성된 제2밸브 몸체(520)와, 제1밸브 몸체(510) 내에서 작동하는 제1스풀(530)과, 제2밸브 몸체(520) 내에서 작동하며 제1스풀(530)과 일체로 형성된 제2스풀(540)을 포함한다.
제1밸브 몸체(510)에는 공급 연결관(E40)을 통해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P포트)(P)가 형성되는 한편, 증폭몸체(60)에서 증폭되는 유량을 구동출력 연결관(Q40)을 통해 구동장치에 공급하는 2개의 구동 포트(C포트)(C1, C2)가 형성된다. 제2밸브 몸체(220)에는 리턴 연결관(G40)을 통해 유체를 탱크(204)에 연통시키는 2개의 리턴 포트(R포트)(R1, R2)가 형성되는 한편, 밸브 연결관(S40)을 통해 유량조절밸브(600)에 연결되어 배압을 형성하는 1개의 구동 포트(C포트)(C3)가 형성된다. 공급 포트(P)는 유량조절밸브(600)를 거쳐 제2밸브 몸체(220)의 구동 포트(C3)에 연통한다.
유량조절밸브(600)는 주제어밸브(500)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밸브로서, 유량조절밸브 몸체(670)와, 유량 조절부(680)와, 차압부(690)를 포함한다.
유량조절밸브 몸체(670)는 제2밸브 몸체(520)의 구동포트(C3)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671)와,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672)를 구비한다. 1차측 포트(671)는 밸브 연결관(S40)에 이어지고, 2차측 포트(672)는 구동 연결관(F40)을 통해 공급 연결관(E40)에 이어져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유량 조절부(680)는 1차측 포트(671)와 2차측 포트(672)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며, 2차측 포트(672)에 이어지는 유량조절 구멍(681)에 나사로 조절이 가능한 포핏(682)이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핏 시트형으로 되어 있다.
차압부(690)는 1차측 포트(571)와 유량 조절부(680)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차압부(690)는 유량조절밸브 몸체(670) 내에 형성된 실린더실(691)과, 실린더실(691) 내에서 작동하는 차압 스풀(692)과, 차압 스풀(692)의 일측단을 가압하여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조절구(693)와, 실린더실(691)을 통해 유량 조절부(680)와 1차측 포트(671)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간실(694)과, 유량 조절부(680)의 입구 유로 및 출구 유로에 각각 연통하여 차압 스풀(692)의 양단에서 유체압을 가하는 제1차압 포트(695) 및 제2차압 포트(69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제3실시예(도 5 내지 도 6b)의 구성 및 작용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제어밸브의 제1스풀과 제2스풀은 2개 내지 6개의 랜드부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서 제1스풀은 3개의 랜드부를 가지고, 제2스풀은 2개의 랜드부를 가지는 형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량조절 증폭기구는 증폭몸체의 입출구를 바꾸어 역작용 시키면 PA(pressure amplifier)로 작용하므로, PA용 자동 압력조절 제어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에서 유량조절밸브(8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타리 스풀형 유량조절부(880)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한 유량조절밸브(800)는 증폭몸체(40)(50)(60) 또는 주제어밸브(300)(500)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한 밸브로서, 유량조절밸브 몸체(870)와, 유량 조절부(880)와, 차압부(890)를 포함한다.
유량조절밸브 몸체(870)는 증폭몸체(40)의 제2포트(41d)나 증폭몸체(50)의 제3포트(51e)나 제1밸브 몸체(310)의 구동포트(C1)(C2) 또는 제2밸브 몸체(520)의 구동포트(C3)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871)와, 구동장치(도시 안됨) 또는 유체 공급원(도시 안됨)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872)를 구비한다. 1차측 포트(871)는 밸브 연결관(S10)(S20)(S30)(S40)에 이어지고, 2차측 포트(872)는 구동출력 연결관(Q10)(Q30)을 통해 구동장치에 연결되거나 구동 연결관(U20)(F40)을 통해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유량 조절부(880)는 1차측 포트(871)와 2차측 포트(872)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며, 2차측 포트(872)에 이어지는 유량조절 구멍(881)에 로타리 스풀(882)이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로타리 스풀형으로 되어 있다. 유량 조절부(880)는 볼이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볼형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차압부(890)는 1차측 포트(871)와 유량 조절부(880)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차압부(890)는 유량조절밸브 몸체(870) 내에 형성된 실린더실(891)과, 실린더실(891) 내에서 작동하는 차압 스풀(892)과, 차압 스풀(892)의 일측단을 가압하여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조절구(893)와, 실린더실(891)을 통해 유량 조절부(880)와 1차측 포트(871)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간실(894)과, 유량 조절부(880)의 입구 유로 및 출구 유로에 각각 연통하여 차압 스풀(892)의 양단에서 유체압을 가하는 제1차압 포트(895) 및 제2차압 포트(896)를 포함한다.
실린더실(891)은 차압 스풀(892)의 랜드부가 슬라이딩하는 1단 또는 2단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단의 실린더(891)에 3개의 랜드부를 가지는 차압 스풀(892)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압 조절구(893)는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제2차압 포트(896)에 연통하는 실린실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압 스풀(892)을 가압한다. 차압 조절구(893)는 스프링 외에 비례 솔레노이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가압구가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의한 유량조절 증폭기구의 유로에는 유체의 방향전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서지(surge) 유량을 흡수하기 위해 축압기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40, 50, 60 : 증폭몸체
61 : 실린더 61a : 제1실린더실
61b : 제2실린더실 62 : 제1피스톤
63 : 제2피스톤 64 : 피스톤 로드
61c : 제1포트 61d : 제2포트
61e : 제3포트 61f : 제4포트
100, 200, 400, 600 : 유량조절밸브
170, 270 : 유량조절밸브 몸체 171, 271 : 1차측 포트
172, 272 : 2차측 포트 180, 280 : 유량 조절부
181, 281 : 유량조절 구멍 182, 282 : 포핏
190, 290 : 차압부 191, 291 : 실린더실
192, 292 : 차압 스풀 193, 293 : 차압 조절구
194, 294 : 중간실 195, 295 : 제1차압 포트
196, 296 : 제2차압 포트
300, 500 : 주제어밸브 301 : 연결 통로부
302 : 작동스프링 303 : 전자석
304 : 탱크 305 : 스풀 연결 로드부
310 : 제1밸브 몸체 320 제2밸브 몸체
330 : 제1스풀 340 : 제2스풀
A, B, Xa, Xb : 연결 포트 C1, C2, C3 : 구동 포트
Q10 : 구동출력 연결관
S10 : 밸브 연결관 U10 : 구동 연결관
D31, D32, D33, D34 : 증폭 연결관
E30 : 공급 연결관 F30 : 구동 연결관
G30 : 리턴 연결관 O : 오리피스
P : 공급 포트 R1, R2 : 리턴 포트

Claims (12)

  1. 제1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1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포트와, 상기 제1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3포트와, 상기 제2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4포트를 구비하는 증폭몸체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있어서,
    상기 증폭몸체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2포트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와,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몸체와; 상기 1차측 포트와 상기 2차측 포트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3포트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3포트는 오리피스를 매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3. 제1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1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포트와, 상기 제1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3포트와, 상기 제2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4포트를 구비하는 증폭몸체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있어서,
    상기 증폭몸체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3포트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와, 상기 제1포트에 연통하는 2차측 포트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몸체와; 상기 1차측 포트와 상기 2차측 포트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는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와 제3포트는 연통하여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5. 제1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1포트와, 제2실린더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포트와, 상기 제1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3포트와, 상기 제2실린더실의 타측에 형성된 제4포트를 구비하는 증폭몸체를 제어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에 있어서,
    상기 증폭몸체에 연결되어 제1포트 내지 제4포트를 여닫는 주제어밸브와, 상기 주제어밸브에 연결되어 증폭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주제어밸브는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포트를 구비하는 한편 구동장치 또는 상기 유량조절밸브에 연결되는 구동 포트를 구비하는 제1밸브 몸체와, 상기 제3포트와 상기 제4포트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포트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증폭몸체에 배압을 형성하는 구동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밸브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2밸브 몸체와, 상기 제1밸브 몸체 내에서 작동하는 제1스풀과, 상기 제2밸브 몸체 내에서 작동하며 상기 제1스풀과 일체로 형성된 제2스풀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1밸브 몸체의 구동포트 또는 상기 제2밸브 몸체의 구동포트에 연결되는 1차측 포트와, 상기 구동장치 또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2차측 포트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몸체와; 상기 1차측 포트와 상기 2차측 포트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몸체에는 상기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 포트는 상기 제2밸브 몸체의 구동 포트에 직접 연통하며,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1밸브 몸체의 구동 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몸체에는 상기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 포트는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거쳐 상기 제2밸브 몸체의 구동 포트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8. 청구항 1, 3 및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포핏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9. 청구항 1, 3 및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로타리 스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10. 청구항 1, 3 및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11. 청구항 1, 3 및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 몸체에는 외부 부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유량의 증폭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차압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압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 몸체 내에 형성된 실린더실과,
    상기 실린더실 내에서 작동하는 차압 스풀과,
    상기 차압 스풀을 가압하여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조절구와,
    상기 실린더실을 통해 상기 유량 조절부와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간실과,
    상기 유량 조절부의 입구 유로 및 출구 유로에 연통하여 상기 차압 스풀의 양단에서 유체압을 가하는 제1차압 포트 및 제2차압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 증폭기구.
KR1020140012939A 2014-02-05 2014-02-05 유량조절 증폭기구 KR10159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39A KR101596376B1 (ko) 2014-02-05 2014-02-05 유량조절 증폭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39A KR101596376B1 (ko) 2014-02-05 2014-02-05 유량조절 증폭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96A KR20150092496A (ko) 2015-08-13
KR101596376B1 true KR101596376B1 (ko) 2016-02-23

Family

ID=5405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39A KR101596376B1 (ko) 2014-02-05 2014-02-05 유량조절 증폭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3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80B1 (ko) * 2010-10-29 2011-04-13 주식회사 군영 부스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269A (en) * 1995-04-24 1996-01-16 Moog Inc. Fluid intens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80B1 (ko) * 2010-10-29 2011-04-13 주식회사 군영 부스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96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587B2 (en) Pilot-operated three-position switching valve
EP2687764B1 (en) Control valve
US6871574B2 (en) Hydraulic control valve assembly having dual directional spool valves with pilot operated check valves
CN101473284A (zh) 流体控制阀
JP2016053410A5 (ko)
US10753375B2 (en) Actuating unit for a process valve and process valve
DK1860327T3 (da) Trykkompenserende retningsbestemt styreventil
KR101596379B1 (ko) 유량 증폭기의 자동왕복 유량조절 제어 기구
WO2012104485A1 (en)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ntrol
KR100965041B1 (ko)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
KR101596376B1 (ko) 유량조절 증폭기구
US8844899B2 (en) Control valve
KR101596303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유량 증폭기의 작동방법
KR101366382B1 (ko) 압력조절 증폭기구
WO2019216193A1 (ja) 電磁流量制御弁
KR101505016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용 자동 압력조절 제어 기구
US8091857B2 (en) Valve
US10760596B2 (en) Proportional sequence valve with pressure amplification device
KR101366438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유체 기구용 제어밸브
JPH0828506A (ja) 圧力補償弁
KR101411234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 및 그 작동방법
KR101497976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용 자동 왕복운동 제어 기구
JP2016114095A (ja) 内部パイロット式3ポート切換弁
JPH0712721Y2 (ja) 油圧作動装置
JP2003294002A (ja) 制御弁および液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