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022B1 -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 Google Patents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022B1
KR101596022B1 KR1020140058074A KR20140058074A KR101596022B1 KR 101596022 B1 KR101596022 B1 KR 101596022B1 KR 1020140058074 A KR1020140058074 A KR 1020140058074A KR 20140058074 A KR20140058074 A KR 20140058074A KR 101596022 B1 KR101596022 B1 KR 10159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damper
base
damper module
sli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880A (ko
Inventor
최지한
Original Assignee
최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한 filed Critical 최지한
Priority to KR102014005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2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300)은, 판상의 베이스(3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측방에 고정되고 인장 후 힘을 제거하면 복원되는 탄성수단(320)과, 상기 탄성수단(320)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상면에 포개어져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판상의 슬라이더(330)와, 상기 슬라이더(330)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랙기어(340)와, 상기 랙기어(340)에 치합되는 피니언(359)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회전댐퍼(3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90)은,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이 장착된 것으로서, 단면이 ㄷ형으로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송바(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00)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100)에 수용되어 상기 이송바(200)가 후진할 때 완충 기능을 하는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댐퍼(350)를 사용하므로 배경기술에 비해서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The Rotary damper module and Guide rail provided with a rotary damper module}
본 발명은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직선 왕복 운동에 있어 완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가이드레일으로서 이송바를 집어넣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가이드레일으로서 이송바를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완충모듈(30)은 가구나 도어 등에 장착되어 직선왕복 운동에 있어 완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가구의 서랍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에 적용된 것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구의 본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ㄷ형인 커버(10)가 전후방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커버(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송바(20)가 구성된다. 상기 이송바(20)와 커버(10) 사이에는 이송바(20)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보통 커버(10) 하나에 이송바(20)가 2중으로 장착된 3단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커버(10)와 이송바(20), 그리고 이송바(20)와 이송바(20) 사이에는 볼이 개재되어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이송바(20)가 후진(서랍이 닫히는 방향) 시, 서서히 닫히도록 상기 완충모듈(30)이 구성된다.
상기 완충모듈(30)은 커버(10)의 내측에 수용되는 판상의 베이스(31)가 구성되고, 베이스(31)의 일측에 부착되고 커버(10) 내측에 수용되는 실린더 댐퍼(38)와, 베이스(31)의 상대측에 부착되고 커버(10) 내측에 수용되는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1)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더(35)가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5) 내부에는 ㄱ형의 트리거(33, trigger)가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슬라이더(35)를 당기면 트리거(33)가 베이스(31)에 걸리고 상기 트리거(33)를 밀면 베이스(31)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35)를 밀어넣는 이송바(20)는 내측에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33)를 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과 실린더 댐퍼(38)의 로드(39)는 슬라이더(35)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배경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송바(20)를 밀어넣어서 슬라이더를 끝까지 밀어넣게 되면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트리거(33)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바(2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트리거(33)에 걸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기게 되므로 슬라이더(35)도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인장된 상태가 되고 실린더 댐퍼(38)의 로드(39)도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트리거(33)는 베이스(31)에 걸린 상태가 되어 슬라이드(35)의 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인장 상태와 로드(39)의 전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끝까지 이송바(20)를 당기게 되면 슬라이더(35)로부터 완전히 이탈하게 된다. 상기 작동은 서랍을 당길 때에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다시, 이송바(20)를 집어넣을 경우에는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트리거(33)를 밀어내면서 트리거(33)가 베이스(31)에서 이탈하게 되면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더(35)를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이송바(20)의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는 트리거(33)에 걸린 상태가 되어 슬라이더(35)와 함께 후진하게 되고 실린더 댐퍼(38)에 의해서 서서히 후진하게 된다. 상기 작동은 서랍을 닫을 때에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인장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단일개로 구성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인장과 수축이 거듭하는 반복하중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린더 댐퍼(38)의 경우, 로드(39)가 전후진을 반복할 경우,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휘어진 부분이 로드(39)가 출입하는 홀의 직경을 넓히게 되어 실린더 댐퍼(38) 내부에 충전된 오일이 상기 홀을 통해서 누유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로드(39)의 벤딩 정도는 전후진을 반복할수록 커지게 되어 추후에는 작동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http://shopping.naver.com/search/all_search.nhn?query=%EB%B3%BC%EB%A0%88%EC%9D%BC%2A%EB%8C%90%ED%8D%BC&cat_id=40008334&nv_mid=7226338926&frm=NVSCPRO
본 발명은 슬라이더의 왕복이 반복하더라도 인장스프링이 반복하중에 의해서 탄성을 상실하거나 실린더 로드가 벤딩되면서 누유 및 슬라이더의 이송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구성한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모듈은, 판상의 베이스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방에 고정되고 인장 후 힘을 제거하면 복원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포개어져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판상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는 회전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댐퍼는 밀폐된 통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오일과, 상기 오일을 밀어내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방으로 관통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상기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원판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돌출된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걸림 기능을 하는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트리거를 안내하도록 상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방단부가 일측방으로 굽어져서 단턱을 가지는 r형의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ㄱ형으로 연결된 일측바디 및 상대측바디와, 상기 일측바디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이송하는 단축과, 상기 단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일측바디의 상면에 돌출되어 걸림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제1헤드와, 상기 상대측바디의 상면에 형성되어 푸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헤드와, 상기 일측바디와 상대측바디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하면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제1헤드 및 제2헤드가 상방으로 노출되는 ㄱ 형상의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슬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측방에 연결되고 상방과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측방에 연결되고 상방과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양측 단부에 확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단부에 확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은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면이 ㄷ형으로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송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에 수용되어 상기 이송바가 후진할 때 완충 기능을 하는 상기 회전댐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바는 내측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2헤드를 푸시하고, 제1헤드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하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은, 탄성수단을 양쪽에 배치하므로 배경기술처럼 탄성수단을 단일 개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수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실린더 댐퍼를 사용할 때 로드가 벤딩되어 오일이 누유되거나 고장을 유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가이드레일으로서 이송바를 집어넣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가이드레일으로서 이송바를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에 장착되는 회전댐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에 장착되는 트리거가 단턱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트리거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도어용 레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도어용 레일에 적용된 것으로서 가이드가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도어용 레일에 적용된 것으로서 가이드가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으로서 이송바를 밀어넣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에 장착되는 회전댐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에 장착되는 트리거가 단턱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트리거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도어용 레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도어용 레일에 적용된 것으로서 가이드가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도어용 레일에 적용된 것으로서 가이드가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으로서 이송바를 밀어넣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300)은 가구나 슬라이딩 도어 등에 장착되어 직선 왕복 운동에 대해 완충 기능이 가능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은 판상의 베이스(3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측방에 고정되고 인장 후 힘을 제거하면 복원되는 탄성수단(320)이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320)은 베이스(310)의 측방에 고정하되 상측과 하측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320)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상면에 포개어져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판상의 슬라이더(3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30)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랙기어(340)가 구성되고, 상기 랙기어(340)에 치합되는 피니언(359)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3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회전댐퍼(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슬라이더(330)가 베이스(310)에 이탈하지 않고 이송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로서, 하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S)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S)의 하단에 측방으로 형성된 플랜지(T)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S)가 삽입되는 안내홈(U)이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U)은 내부보다 입구가 좁게 형성되므로 가이드 돌기(S)가 입구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30)는 이탈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10)에는 피스홀(301)이 관통되어 가이드 등의 대상물에 피스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방 단부에는 멈춤홈(303)이 형성되어 대상물에 장착 시, 대상물에 상기 멈춤홈(303)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하므로 베이스(310)가 전방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베이스(310)의 하면에도 돌기를 형성하여 가이드에 관통되도록 하므로 이중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은 슬라이더(330)의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걸림 기능을 하는 트리거(36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10)는 트리거(360)를 안내하도록 상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방단부가 일측방으로 굽어져서 단턱(313)을 가지는 r형의 안내홈(311)이 구성되고, 트리거(360)는 일측바디(361)와 상대측바디(367)가 ㄱ형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일측바디(361)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311)에 삽입되어 이송하는 단축(36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축(363)에 대응되도록 상기 일측바디(361)의 상면에 돌출되어 걸림 기능을 하는 제1헤드(365)가 구성되고, 상기 상대측바디(367)의 상면에 형성되어 푸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헤드(368)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바디(361)와 상대측바디(367)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330)의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369)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330)는 하면에 상기 회전축(358)이 삽입되는 삽입홀(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고, 상기 제1헤드(365) 및 제2헤드(368)가 상방으로 노출되는 ㄱ 형상의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333)가 형성된 슬로트(331)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댐퍼(350)는 밀폐된 통 형상의 케이싱(351)이 구성되는데 상하부로 나누어진 것으로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351) 내부에 수용된 오일(도시하지 않음)이 충전되는데 실리콘 오일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오일(도시하지 않음)을 밀어내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싱(351) 내부에 수용된 임펠러(353)가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353)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351)의 상방으로 관통된 회전축(358)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58)과 케이싱(351) 사이에는 누유가 방지되고 실링 처리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피니언(359)은 회전축(358)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353)는 일례로 원판 형상의 바디(355)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355)의 상면에 돌출되어 오일을 밀어내는 블레이드(3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바디(355)를 관통하는 오리피스홀(356)이 형성되므로 부하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오리피스홀(356)을 통해서 오일이 통과하면서 오일의 흐름이 원활해지므로 오리피스홀(356)이 많을수록 부하의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회전댐퍼(350)는 일례로서 베이스(310)에 관통구 또는 홈을 형성하여 삽입하여 고정한다. 고정 수단은 접착제 또는 케이싱(351)의 표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관통구 또는 홈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의해서 가능하다. 또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310)의 측방에 연결되고 상방과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수단(3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하우징(315)이 구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315)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더(330)의 측방에 연결되고 상방과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수단(3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하우징(335)이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15)와 제2하우징(335)은 커버(100)의 양측에 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수단(320)은 인장스프링으로서, 양측 단부에 확장되는 걸림부(3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315)과 제2하우징(335)은 상기 걸림부(325)가 걸리도록 단부에 확장부(317, 337)가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325)가 확장부(317, 337)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수단(320)의 인장 시, 인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315)과 제2하우징(335)은 각각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어 이탈이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300)은 도 8 내지 도 10에서처럼 도어용 레일(5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도어가 지지되는 가이드(501)에 걸림돌기(503)를 형성하여 상기 슬로트(331)로 걸림돌기(503)가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도어를 열 때에 상기 걸림돌기(503)는 슬로트(331)로 진입하게 된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90)처럼 가구용 서랍을 안내하는 용도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90)은 도 11 및 도 12에서처럼, 단면이 ㄷ형으로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커버(100)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1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송바(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00)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100)에 수용되어 상기 이송바(200)가 후진할 때 완충 기능을 하는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200)는 내측 하면(220)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333)로 진입하여 상기 제2헤드(368)를 푸시하고, 제1헤드(365)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돌기(2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을 견고하게 커버(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310)에 관통된 피스홀(301)에 피스를 관통시켜서 커버(100)에 고정하고 베이스(31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멈춤홈(303)에 삽입되는 돌기가 커버(300)의 내측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베이스(310)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커버(100)에 관통구를 형성하므로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300)의 작동례를 도 8 내지 도 12와 함께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90) 및 도어용 레일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리거(360)의 제1헤드(365)가 안내홈(311)의 단턱(313)에 걸려 있고 탄성수단(320)은 인장된 상태에서, 도 9에서처럼 도어를 열기 위해 가이드(501)를 도어용 레일(500)로 진입시키거나, 도 12에서처럼, 이송바(200)를 밀어넣게 되면 걸림돌기(503, 210)가 개방부(333)로 삽입되면서 트리거(360)의 제2헤드(368)를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트리거(360)는 회동하면서 제1헤드(365)는 단턱(313)에서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수단(320)의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더(330)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랙기어(340)가 피니언(359)에 맞물리면서 임펠러(353)를 회동시키게 되고 임펠러(353)의 블레이드(357)는 오일을 밀어내면서 부하를 받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30)는 서서히 후진하게 된다. 이때, 트리거(360)의 단축(363)은 안내홈(311)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가이드 레일에서 서랍이 후진하여 수납된 상태에 해당하거나, 도어용 레일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357)의 하부에 구성된 바디(355)가 케이싱(351)에 접촉하도록 하므로 상기 부하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503, 210)는 트리거(360)의 제2헤드(368)를 밀어낸 상태이므로 트리거(360)는 회전하여 제1헤드(365)가 걸림돌기(21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이송바(200)가 전진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를 역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이송바(200)를 전방으로 힘을 주어서 당기게 되면 걸림돌기(503, 210)가 제1헤드(365)를 밀어내게 되고 제1헤드(365)는 슬라이더(330)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제1헤드(365)는 안내홈(311)의 단부까지 이송하게 되면 트리거(360)가 회동하면서 단턱(313)에 걸리게 되고, 걸림돌기(210)는 개방부(333)를 통해서 전방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탄성수단(320)은 당겨진 상태가 되며 슬라이더(330)는 전진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작동은 도어가 닫힌 상태이거나 서랍이 전진한 상태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100: 커버
200: 이송바 210: 걸림돌기
220: 내측하면 300: 완충부
310: 베이스 311: 안내홈
313: 단턱 315: 제1하우징
317: 확장부 320: 탄성수단
325: 걸림부 330: 슬라이더
331: 슬로터 333: 개방부
335: 제2하우징 337: 확장부
S: 가이드 돌기 T: 플랜지
350: 회전댐퍼 351: 케이싱
353: 임펠러 355: 바디
357: 블레이드 358: 회전축
359: 피니언 360: 트리거
361: 일측바디 363: 단축
365: 제1헤드 368: 상대측바디
368: 제2헤드 369: 회전축

Claims (8)

  1. 판상의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의 측방에 고정되고 인장 후 힘을 제거하면 복원되는 탄성수단(320)과,
    상기 탄성수단(320)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상면에 포개어져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판상의 슬라이더(330)와,
    상기 슬라이더(330)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랙기어(340)와,
    상기 랙기어(340)에 치합되는 피니언(359)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회전댐퍼(350)와,
    상기 슬라이더(330)의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걸림 기능을 하는 트리거(360)와,
    상기 베이스(310)는 상기 트리거(360)를 안내하도록 상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방단부가 일측방으로 굽어져서 단턱(313)을 가지는 r형의 안내홈(311)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360)는 ㄱ형으로 연결된 일측바디(361) 및 상대측바디(367)와,
    상기 일측바디(361)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311)에 삽입되어 이송하는 단축(363)과,
    상기 단축(363)에 대응되도록 상기 일측바디(361)의 상면에 돌출되어 걸림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제1헤드(365)와,
    상기 상대측바디(367)의 상면에 형성되어 푸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헤드(368)와,
    상기 일측바디(361)와 상대측바디(367)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330)의 하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369)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330)는 하면에 상기 회전축(358)이 삽입되는 삽입홀(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제1헤드(365) 및 제2헤드(368)가 상방으로 노출되는 ㄱ 형상의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방부(333)가 형성된 슬로트(3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댐퍼(350)는 밀폐된 통 형상의 케이싱(351)과,
    상기 케이싱(351) 내부에 수용된 오일(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오일(도시하지 않음)을 밀어내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싱(351) 내부에 수용된 임펠러(353)와,
    상기 임펠러(353)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351)의 상방으로 관통된 회전축(358)과,
    상기 회전축(358)에 연결된 상기 피니언(35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353)는 원판 형상의 바디(355)와,
    상기 바디(355)의 상면에 돌출된 블레이드(35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10)의 측방에 연결되고 상방과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수단(3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하우징(315)과,
    상기 제1하우징(315)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더(330)의 측방에 연결되고 상방과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수단(3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하우징(33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320)은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수단(320)은 양측 단부에 확장되는 걸림부(3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315)과 제2하우징(335)은 상기 걸림부(325)가 걸리도록 단부에 확장부(317, 3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
  7. 제1항에 의한 회전댐퍼 모듈(300)을 포함하는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90)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면이 ㄷ형으로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송바(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00)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100)에 수용되어 상기 이송바(200)가 후진할 때 완충 기능을 하는 상기 회전댐퍼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200)는 내측 하면(220)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333)로 진입하여 상기 제2헤드(368)를 푸시하고, 제1헤드(365)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돌기(2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KR1020140058074A 2014-05-14 2014-05-14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KR10159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074A KR101596022B1 (ko) 2014-05-14 2014-05-14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074A KR101596022B1 (ko) 2014-05-14 2014-05-14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880A KR20150130880A (ko) 2015-11-24
KR101596022B1 true KR101596022B1 (ko) 2016-02-22

Family

ID=5484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074A KR101596022B1 (ko) 2014-05-14 2014-05-14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209B1 (ko) 2018-04-27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워 가이드 및 드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73112Y (zh) 2007-06-13 2008-06-18 佳饰美企业有限公司 钢珠滑轨的自动关闭缓冲装置
KR100876955B1 (ko) 2007-05-21 2009-01-09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서랍용 가이드레일의 자동폐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771B2 (ja) * 1988-03-31 1995-05-01 株式会社アルファ ドアハンドル装置
AT412183B (de) * 2001-01-25 2004-11-25 Blum Gmbh Julius Dämpfein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955B1 (ko) 2007-05-21 2009-01-09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서랍용 가이드레일의 자동폐쇄장치
CN201073112Y (zh) 2007-06-13 2008-06-18 佳饰美企业有限公司 钢珠滑轨的自动关闭缓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880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6089B2 (ja) 引き出しまたは家具の可動部材に用いられる自己閉鎖装置、および自己閉鎖装置の動作方法
TWI461163B (zh) 傢俱件之活動部之開閉裝置
KR20130014557A (ko)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US8256853B2 (en) Open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KR101742643B1 (ko) 슬라이드 장치
US8393692B2 (en) Sliding mechanism
WO2012094812A1 (zh) 滑轨组件
US20110262060A1 (en) Sliding mechanism
US20110043087A1 (en) Slide rail buffering structure
US20070132346A1 (en) Automatic closing mechanism for a sliding track of a drawer
US20170086583A1 (en) Side-Locking Sliding Rail Assembly Having an Auto-Opening Mechanism
GB2468605A (en) A retraction mechanism for a drawer
RU2516158C2 (ru) Открывающее и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аправляющей для выдвигания и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выдвигания
KR101596022B1 (ko) 회전댐퍼 모듈 및 상기 회전댐퍼 모듈이 구성된 가이드레일
US20160135595A1 (en) Closing device, extension runner having a closing device as well as furniture item having an extension runner
KR102012983B1 (ko) 개폐체 완충 장치
JP2012225054A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190119784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CN102038371B (zh) 可拉出的家具部件的关闭系统和家具
JP2012188815A (ja) 開閉動作補助装置
CN109708416B (zh) 抽屉组件
CN112654758A (zh) 用于滑动面板和门的减震制动装置
US9939857B1 (en) Chassis and hard drive
KR100833322B1 (ko)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