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991B1 -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991B1
KR101595991B1 KR1020150094965A KR20150094965A KR101595991B1 KR 101595991 B1 KR101595991 B1 KR 101595991B1 KR 1020150094965 A KR1020150094965 A KR 1020150094965A KR 20150094965 A KR20150094965 A KR 20150094965A KR 101595991 B1 KR101595991 B1 KR 10159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ter
tank
supplied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혁
최만욱
민경황
홍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엔테크
최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엔테크, 최상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엔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접촉부 및 재순환접촉부에 관통공관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의 평판을 장착하여 원수와 오존의 접촉시간을 늘리고, 평판의 저면에 형성된 오존층의 오존이 평판 내부의 핀홀로 통과되어 산기되면서 평판 상부의 원수와 재접촉토록 함으로써, 원수와의 접촉력 및 원수의 처리효율을 높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Ozone contact type water treatment systems}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접촉부 및 재순환접촉부에 관통공관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의 평판을 장착하여 원수와 오존의 접촉시간을 늘리고, 평판의 저면에 형성된 오존층의 오존이 평판 내부의 핀홀로 통과되어 산기되면서 평판 상부의 원수와 재접촉토록 함으로써, 오존과 오폐수인 원수의 접촉력 및 원수의 처리효율을 높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오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 또는 오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 세균을 소독 및 살균하기 위해 화학약품, 염소, 오존, 자외선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오존(O3 )은 대기 중에 0.1ppm이상 존재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하나, 역시 살균 및 탈취와 유기물 제거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이를 이용한 정화조 및 수처리 장치, 그리고 축사 등의 탈취 장치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오존처리 공정으로 기계적 혼합방식, 인젝터(injector) 방식, 디퓨져(diffuser) 방식 또는 탱크를 통한 방식이 있는데, 유입 폐수의 수질 및 운전 조건 등에 따라 접촉방식이 다르고 처리 효율에 큰 차이가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균일한 처리 효율을 담보할 수 있는 오존 처리공정 및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오존처리 방식 중 인젝터 방식 이나 디퓨져 방식은 처리장치가 비교적 소형이어서 설치면적이 크지 않고 막힘현장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인젝터 방식의 처리공정 및 처리장치는 전체적인 처리효율이 낮고, 배오존의 발생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2787호에 라운드형 격판을 갖는 오존을 이용한 분뇨 및 축산폐수를 포함한 폐수처리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유입관을 통해 오존 및 폐수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고, 챔버 내부로 공급된 오존 및 폐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갖는 라운드형 격판을 다수 통과하면서 오존 및 폐수의 접촉시간 및 면적을 보다 증가시켜 폐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챔버 내부에 다수 적층된 라운드형 격판이 상부로 만곡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오존이 라운드형 격판의 만곡된 중앙부분으로 편중되어 라운드형 격판에 균일하게 머무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존과 폐수가 라운드형 격판에 관통된 관통공으로 흐르지 못해 폐수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잔류 오존이 유입관으로 재순환될 때, 인젝터에 의한 오존의 흐름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고, 배오존관으로부터 역류된 기체가 유입관으로 혼입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기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통공관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의 평판을 오존접촉부에 장착하여 오존과 오폐수인 원수의 접촉시간을 늘려 원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통공관 내면에 와류형성돌기를 형성하여 원수가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은 물론 관통공관 사이의 평판에 관통된 다수의 핀홀로 기체의 오존만 통과하여 산기되면서 평판 상부에 위치하는 원수와의 접촉력을 높여 원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존접촉부로부터 월류되는 오존과 원수가 혼합된 혼합수와 오존접촉부로부터 이송되는 잔여 오존이 인젝터를 통해 재순환접촉부로 공급되어 혼합수와 다시 접촉되어 처리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존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오존접촉부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은,
스크린부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부와;
상기 유량조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오존을 투입하는 오존발생부와;
상기 오존과 원수가 관통공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된 평판을 통과하면서 혼합되고, 상기 평판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오존이 산기되면서 평판 상부의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오존접촉부와;
상기 오존접촉부에서 월류된 혼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흡착하여 처리하는 여과흡착부와;
상기 여과흡착부를 통과하는 처리수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방류하거나 재이용하는 처리수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은,
스크린부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부와;
상기 유량조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오존을 투입하는 오존발생부와;
상기 오존과 원수가 관통공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된 평판을 통과하면서 혼합되고, 상기 평판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오존이 산기되면서 평판 상부의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오존접촉부와;
상기 오존접촉부로부터 월류되어 하향으로 이동되는 혼합수와 오존접촉부로부터 공급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잔여 오존이 관통공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된 평판을 통과하면서 재혼합되도록 하는 재순환접촉부와;
상기 재순환접촉부에서 월류된 재혼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흡착하여 처리하는 여과흡착부와;
상기 여과흡착부를 통과하는 처리수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방류하거나 재이용하는 처리수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공관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의 평판을 오존접촉부에 장착하여 오존과 원수의 접촉시간을 늘림과 아울러 관통공관 내면에 와류형성돌기를 형성하여 원수가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은 물론 관통공관 사이의 평판에 관통된 다수의 핀홀로 기체의 오존만 통과하여 산기되면서 평판 상부에 위치하는 원수와의 접촉력을 높여 원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존접촉부로부터 월류되는 오존과 원수가 혼합된 혼합수와 오존접촉부로부터 이송되는 잔여 오존이 인젝터를 통해 재순환접촉부로 공급되어 혼합수와 다시 접촉되어 처리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존발생부에서 발생되어 오존접촉부로 오존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다른실시예의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평판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예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발명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100)은, 스크린부(110)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부(120)가 구성되고, 상기 유량조정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오존을 투입하는 오존발생부(130)가 구성되며, 상기 오존과 원수가 관통공(142a)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된 평판(142)을 통과하면서 혼합되고, 상기 평판(142)에 관통된 핀홀(142b)을 통해 오존이 산기되면서 평판(142) 상부의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오존접촉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오존접촉부(140)로부터 월류되어 하향으로 이동되는 혼합수와 오존접촉부(140)로부터 공급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잔여 오존을 재혼합하는 재순환접촉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재순환접촉부(150)에서 월류된 재혼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흡착하여 처리하는 여과흡착부(160)가 구성되며, 상기 여과흡착부(160)를 통과하는 처리수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방류하거나 재이용하는 처리수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존접촉부(140)는, 상기 유량조정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와 오존발생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공급관(141')으로 공급받는 탱크(14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41)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된 관통공(142a)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되어 원수와 오존의 혼합을 안내하면서 일정간격 이격된 관통공(142a) 사이에 핀홀(142b)이 관통되어 통과하는 오존이 상부의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평판(142)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141)의 상단부에 혼합된 혼합수가 여과흡착부(160)로 월류되도록 하는 혼합수월류관(143)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14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배오존을 처리하는 배오존처리부(1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평판(142)(153)의 저면에 방상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평판(142)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19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42a)이 관통된 평판(142)(153)의 저면에 혼합수 및 처리수가 와류되어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관통공관(18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관(180)은, 내부에 통공(181)이 관통된 관체로, 상기 통공(181)은 관통공(142a)(153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혼합수 및 처리수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공(181) 내주면에 요입 및 돌출되어 혼합수 및 처리수가 와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와류안내돌기(18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오존접촉부(140)의 배오존처리부(144)에 장착되어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담파(14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110)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부(120)가 구성되고, 상기 유량조정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오존을 투입하는 오존발생부(130)가 구성되며, 상기 오존과 원수가 관통공(142a)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된 평판(142)을 통과하면서 혼합되고, 상기 평판(142)에 관통된 핀홀(142b)을 통해 오존이 산기되면서 평판(142) 상부의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오존접촉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오존접촉부(140)로부터 월류되어 하향으로 이동되는 혼합수와 오존접촉부(140)로부터 공급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잔여 오존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된 평판(153)을 통과하면서 재혼합되도록 하는 재순환접촉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재순환접촉부(150)에서 월류된 재혼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흡착하여 처리하는 여과흡착부(160)가 구성되며, 상기 여과흡착부(160)를 통과하는 처리수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방류하거나 재이용하는 처리수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존접촉부(140)는, 상기 유량조정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와 오존발생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공급관(141')으로 공급받는 탱크(14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41)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된 관통공(142a)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되어 원수와 오존의 혼합을 안내하면서 일정간격 이격된 관통공(142a) 사이에 핀홀(142b)이 관통되어 통과하는 오존이 상부의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평판(142)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141)의 상단부에 혼합된 혼합수가 재순환접촉부(150)로 월류되도록 하는 혼합수월류관(143)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14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배오존을 처리하는 배오존처리부(1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재순환접촉부(150)는, 상기 오존접촉부(140)로부터 월류되는 혼합수를 공급받는 탱크(15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51) 하단부에 오존접촉부(140)의 배오존처리부(144)와 연결되어 배오존처리부(144)로 배출되는 잔여 오존을 탱크(151) 내부로 재공급하는 재공급관(152)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151)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된 관통공(153a)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되어 혼합수와 재공급관(152)으로 공급되는 잔여 오존의 혼합을 안내하면서 일정간격 이격된 관통공(153a) 사이에 핀홀(153b)이 관통되어 통과하는 잔여 오존이 상부의 혼합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평판(153)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151)의 하단부에 장착된 재공급관(152)의 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탱크(15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처리수를 여과흡착부(160)로 월류하면서 상기 재공급관(152)과 연결되는 처리수월류관(154)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15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배오존을 처리하는 배오존처리부(15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평판(142)(153)의 저면에 방상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평판(142)(153)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19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42a)(153a)이 관통된 평판(142)(153)의 저면에 혼합수 및 처리수가 와류되어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관통공관(18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관(180)은, 내부에 통공(181)이 관통된 관체로, 상기 통공(181)은 관통공(142a)(153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혼합수 및 처리수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공(181) 내주면에 요입 및 돌출되어 혼합수 및 처리수가 와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와류안내돌기(18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오존접촉부(140)의 배오존처리부(144)에 장착되어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담파(14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오폐수관으로부터 스크린부(110)로 공급되는 오폐수인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스크린부(110)에서 걸러낸 후, 유량조정부(120)로 공급한다. 상기 유량조정부(120)는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를 공급받아 일정량 저장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펌프(P)의 작동으로 오존접촉부(140)의 공급관(141')으로 공급하는데, 상기 공급관(141')으로 원수가 공급될 때, 상기 공급관(141')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오존발생부(130)에서 발생된 오존을 인젝터(131)의 작동으로 공급하여 원수와 오존이 혼합되면서 오존접촉부(140)의 탱크(141)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젝터(131)에 의해 공급관(141')으로 오존을 공급할때, 별도의 자외선발생부(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더 포함하여 공급함으로써, 오존과 자외선에 의한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 처리 및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급관(141')을 통해 탱크(141)로 공급되는 원수와 오존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41) 하단부에 위치한 하부평판(142')의 관통공(142a)과 하부평판(142') 상부에 위치한 상부평판(142")의 관통공(142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혼합되는데, 상기 하부평판(142')의 관통공(142a)과 상부평판(142")의 관통공(142a)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원수와 오존의 접촉시간을 늘려 접촉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42a)과 연통되도록 평판(142)의 저면에 통공(181)이 관통된 관통공관(180)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통공(181)은, 상기 관통공(142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81) 내면에 나사산, 돌기 등 와류안내돌기(182)를 형성하여 원수와 오존이 와류되어 혼합되도록 함은 물론 벤추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빠르게 이동하면서 원수와 오존이 와류되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142) 하부에는 오존으로 인해 오존층이 형성되어 원수와 오존이 혼합되는 혼합수와 접촉면을 형성하여 평판(142)의 산화를 촉진시키므로 상기 평판(142)에 형성된 다수의 핀홀(142b)을 통해 오존층의 오존이 통과하여 산기되면서 평판(142) 상부에 위치한 원수와 오존이 혼합된 혼합수와 다시 혼합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오존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탱크(141)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평판(142)에 지그재그로 위치한 각 관통공(142a)을 통해 탱크(141)의 상단부로 상승한다.
상기 탱크(141)의 상단부로 상승하는 혼합수가 혼합수월류관(143)과 동일선상에 도달하면, 혼합수월류관(143)보다 상승하는 혼합수는 혼합수월류관(143)을 통해 여과흡착부(160)로 공급되면서 혼합수와 분리된 잔여 오존은 배오존처리부(144)를 통해 처리되어 탈기되거나 인젝터(131')를 통해 공급관(141')으로 다시 공급되어 탱크(141) 내부에서 원수와 혼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혼합수가 혼합수월류관(143)을 통해 재순환접촉부(150)로 공급되면, 혼합수와 분리된 잔여 오존은 배오존처리부(144)를 통해 잔여 오존이 처리되어 탈기되거나 인젝터(131')를 통해 재순환접촉부(150)의 재공공급관(152)을 경유하여 탱크(151)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배오존처리부(144)로 잔여 오존이 처리될 때, 배오존처리부(144)에 담파(145)가 형성되어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므로 오존의 농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탱크(151) 내부로 공급되는 잔여 오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51) 하단부에 위치한 하부평판(153')의 관통공(153a)과 하부평판(153') 상부에 위치한 상부평판(153")의 관통공(153a)을 순차적으로 상향으로 통과하면서 혼합수월류관(143)으로 월류되어 탱크(151) 내면에 하향으로 이동하는 혼합수와 충돌현상으로 혼합되도록 하는데, 상기 하부평판(142')의 관통공(142a)과 상부평판(142")의 관통공(142a)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원수와 오존의 접촉시간을 늘려 접촉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53a)과 연통되도록 평판(153)의 저면에 통공(181)이 관통된 관통공관(180)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통공(181)은 상기 관통공(153a)보다 작은 직경으로 통공(181)으로 혼합수가 이동하면서 통공(181)보다 큰 직경의 관통공(153a)으로 벤추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빠르게 이동함은 물론 혼합수와 잔여 오존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81)의 내면에 나사산, 돌기 등 와류안내돌기(182)를 형성하여 통공(181)으로 이동되는 혼합수와 잔여 오존이 와류되면서 혼합되어 처리수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153) 하부에는 오존으로 인해 오존층이 형성되어 혼합수와 잔여 오존이 혼합되는 처리수와 접촉면을 형성하여 평판(153)의 산화를 촉진시키므로 상기 평판(153)에 형성된 다수의 핀홀(153b)을 통해 오존층의 잔여 오존이 통과하여 산기되면서 평판(153) 상부에 위치한 처리수와 다시 혼합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오존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핀홀(142b)(153b)은 2mm 내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핀홀(142b)(153b)로는 혼합수나 처리수의 이동보다는 오존의 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평판(142)(153)의 저면에는 지지대(19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탱크(141)(151)에 적층되는 평판(142)(153)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여 혼합수와 처리수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탱크(151) 상부에 위치하는 미량의 잔여 오존은 배오존처리부(155)를 통해 배기되면서 탈기되고, 상기 처리수는 처리수월류관(154)을 통해 여과흡착부(160)로 월류된다.
상기 오존접촉부(140)로부터 월류되는 혼합수는 여과흡착부(160)로 공급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재오존접촉부(150)로부터 여과흡착부(160)로 월류되는 처리수 중 일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펌프(P')의 작동으로 재공급관(152)으로 공급되는 잔여 오존과 함께 탱크(151)의 하단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처리수와 잔여 오존의 접촉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수월류관(154)으로 월류되는 처리수는 여과흡착부(160)로 공급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여과흡착부(160)에서 부유되는 부유물질을 여과한 후, 미처리된 용존물질을 활성탄에서 흡착시켜 설정된 농도를 유지하는 처리수가 처리수저장부(170)로 월류되면서 처리수저장부(170)를 통해 방류하거나 재이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존을 이용한 폐수의 난분해성 COD 제거와 탈취, 색도제거, 응집 및 침전효과를 증대시키면서 살균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수처리 시스템 110: 스크린부
120: 유량조정부 130: 오존발생부
140: 오존접촉부 150: 재순환접촉부
160: 여과흡착부 170: 처리수저장부
180: 관통공관

Claims (10)

  1. 삭제
  2. 스크린부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량조정부와;
    상기 유량조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오존을 투입하는 오존발생부와;
    상기 유량조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와 오존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공급관으로 공급받는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된 관통공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되어 원수와 오존의 혼합을 안내하면서 일정간격 이격된 관통공 사이에 2mm 이내로 관통된 핀홀을 통과하는 오존이 상부의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평판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의 상단부에 혼합된 혼합수가 재순환접촉부로 월류되도록 하는 혼합수월류관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배오존을 처리하는 배오존처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오존처리부에 장착되어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담파가 구비된 오존접촉부와;
    상기 오존접촉부로부터 월류되어 하향으로 이동되는 혼합수를 공급받는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 하단부에 오존접촉부의 배오존처리부와 연결되어 배오존처리부로부터 공급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잔여 오존을 탱크 내부로 재공급하는 재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된 관통공이 지그재그 위치하도록 다수 적층되어 혼합수와 재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잔여 오존의 혼합을 안내하면서 일정간격 이격된 관통공 사이에 핀홀이 관통되어 통과하는 잔여 오존이 상부의 혼합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평판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의 하단부에 장착된 재공급관의 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탱크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처리수를 여과흡착부로 월류하면서 상기 재공급관과 연결되는 처리수월류관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배오존을 처리하는 배오존처리부가 구비된 재순환접촉부와;
    상기 관통공이 관통된 평판의 저면에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된 통공 내주면에 와류안내돌기가 요입 및 돌출된 관체가 장착되어 혼합수 및 처리수가 와류되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관과;
    상기 재순환접촉부에서 월류된 재혼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흡착하여 처리하는 여과흡착부와;
    상기 여과흡착부를 통과하는 처리수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방류하거나 재이용하는 처리수저장부와;
    상기 평판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평판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94965A 2015-07-03 2015-07-03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KR10159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65A KR101595991B1 (ko) 2015-07-03 2015-07-03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65A KR101595991B1 (ko) 2015-07-03 2015-07-03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991B1 true KR101595991B1 (ko) 2016-02-22

Family

ID=5544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965A KR101595991B1 (ko) 2015-07-03 2015-07-03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9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358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태산이엠이 송수관 내장형 오존 접촉식 수처리장치
KR102160490B1 (ko) * 2020-02-21 2020-09-29 한창기전 주식회사 모듈형 플레이트 방전관 보호 필터가 구비되는 플라즈마 수처리 시스템
KR102262715B1 (ko) * 2020-10-30 2021-06-09 (주)디자인파크개발 물놀이시설용 복합 여과 장치
KR20230055292A (ko) 2021-10-18 2023-04-25 피앤씨바이오매스(주) 수처리시스템용 오존 믹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954A (ja) * 2001-08-08 2003-02-18 Nittetu Chemical Engineering Ltd オゾンの回収方法およびオゾン再利用方法
KR100686191B1 (ko) * 2005-09-29 2007-02-22 (주)에코데이 화학적 수처리 장치
KR20090096858A (ko) * 2008-03-10 2009-09-15 최영규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KR101212787B1 (ko) * 2012-10-15 2012-12-14 주식회사 파이닉스알엔디 라운드형 격판을 갖는 오존을 이용한 분뇨 및 축산 폐수를 포함한 폐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954A (ja) * 2001-08-08 2003-02-18 Nittetu Chemical Engineering Ltd オゾンの回収方法およびオゾン再利用方法
KR100686191B1 (ko) * 2005-09-29 2007-02-22 (주)에코데이 화학적 수처리 장치
KR20090096858A (ko) * 2008-03-10 2009-09-15 최영규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KR101212787B1 (ko) * 2012-10-15 2012-12-14 주식회사 파이닉스알엔디 라운드형 격판을 갖는 오존을 이용한 분뇨 및 축산 폐수를 포함한 폐수 처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358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태산이엠이 송수관 내장형 오존 접촉식 수처리장치
KR102160490B1 (ko) * 2020-02-21 2020-09-29 한창기전 주식회사 모듈형 플레이트 방전관 보호 필터가 구비되는 플라즈마 수처리 시스템
KR102262715B1 (ko) * 2020-10-30 2021-06-09 (주)디자인파크개발 물놀이시설용 복합 여과 장치
KR20230055292A (ko) 2021-10-18 2023-04-25 피앤씨바이오매스(주) 수처리시스템용 오존 믹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991B1 (ko) 오존접촉식 수처리 시스템
KR100848117B1 (ko) 복합 고도정수처리 장치
KR101292731B1 (ko) 가스 포집형 기체-액체 반응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가스 정화장치
JP2012529990A (ja) 複数の生物学的反応器ゾーンを含む懸濁媒体膜生物学的反応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セス
JP6750930B2 (ja) 汚排水浄化システム
JP2009254967A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1220539B1 (ko) 수처리장치
WO1999033552A1 (fr) Melangeur vapeur/liquide et appareil d'epuration des eaux polluees utilisant ce melangeur
JP6072254B2 (ja) 水処理装置
KR101219892B1 (ko) 하천에서의 난분해성 하천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KR20130069447A (ko) 폐수 중의 1,4-디옥산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4003007A1 (ja) 排水処理方法及び排水処理装置
JP2006255596A (ja) 水質浄化装置及び水質浄化方法
KR100907905B1 (ko) 연속 흐름식 복합 수처리 장치
KR102581817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부상여과조를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KR20010044325A (ko)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에 의한 수처리장치
KR101071709B1 (ko) 광-펜턴 산화에 의한 1,4-다이옥산 제거 장치 및1,4-다이옥산 제거 방법
KR101599797B1 (ko) 정화조 등의 고도의 수처리방법
KR200219789Y1 (ko) 선박오수처리장치
KR100970426B1 (ko) 부상고도산화장치
KR100842435B1 (ko) 전기장 장치와 여과장치를 결합한 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KR100505942B1 (ko) 폐수처리용 반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JP2003126892A (ja) 循環式水洗トイレにおける汚水浄化装置
KR102305676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220540B1 (ko)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