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988B1 -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988B1
KR101595988B1 KR1020150144901A KR20150144901A KR101595988B1 KR 101595988 B1 KR101595988 B1 KR 101595988B1 KR 1020150144901 A KR1020150144901 A KR 1020150144901A KR 20150144901 A KR20150144901 A KR 20150144901A KR 101595988 B1 KR101595988 B1 KR 10159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absorbent layer
layer
oxidation catalyst
temperature oxi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Original Assignee
박진성
(주)에코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성, (주)에코솔루텍 filed Critical 박진성
Priority to KR102015014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06Multiple stage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01D53/323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by electrostatic effects or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기 다른 특성이 있는 다양한 악취 성분을 단계별, 성분별로 탈취하여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된 악취 가스에 산성수를 분사하여 염기성 가스인 질소계 암모니아와 아민류의 가스를 중화하는 1차흡수층과; 상기 1차흡수층을 거친 악취 가스에 알칼리수를 분사하여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을 산화 및 중화하는 2차흡수층과; 상기 2차흡수층을 거친 악취 가스에 정전기력으로 고비점물질과 황화수소, 저비점물질인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켜 미생물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정전 디미스터와; 상기 정전 디미스터를 거친 악취 가스에 오존 라디칼을 생성하여 알데히드성 성분을 산화에 의해 분해하는 저온산화촉매층과; 상기 저온산화촉매층을 거친 악취 가스에 잔류하는 카르복시산과 비극성 탄화수소의 성분을 비극성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중성활성탄층을 순차적으로 거쳐 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특성의 악취 성분에 따라 최적의 탈취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각 처리 방식의 단점을 보완, 조합함으로써 최적의 탈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제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계별 악취 성분 처리부를 하나의 장치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이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Technology convergence composite deodorization system}
본 발명은 각종 악취 성분을 정화할 수 있는 복합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특성이 있는 다양한 악취 성분을 단계별, 성분별로 탈취하여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높은 인구밀도와 생활수준의 향상,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생산설비와 주거지 근접이 일생생활과 산업활동에서 악취 민원과 NIMBY 현상등을 급증시키고 있다.
악취발생의 주된 원인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및 자원화 시설, 하수처리시설, 축산 농가 등이며, 기존 악취 방지설비의 기술상의 한계와 관리가 미흡하여 운영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악취에 대한 종래의 저감기술로는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 등을 이용하는 흡착법이나, 수세 또는 약액 세정 또는 바이오 필터 등의 흡수법, 그리고 열 또는 오존 또는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는 산화법 등이 있으며, 실제에 있어 이들 방법들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흡착법은 흡착층의 막힘 문제와 교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흡수법은 불수용성 물질에 대해서 많은 한계점이 있어, 그 용도가 제한적이고 산화법은 높은 에너지 비용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원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468634호에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악취제거 시스템은 고온공정 중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가 혼합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면 타르, 미스트, 더스트 등 미세 입자상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전기집진부(110)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산화시키기 위한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부(120)가 내부에 구비되는 전처리조(100)와, 상기 전처리조(100)를 거친 배기가스의 잔류 오존의 분해와 악취를 흡착하는 흡착-저온산화 촉매(210)가 내부에 구비되는 촉매조(200)로 구성된다.
따라서 오존 발생기능이 강화된 전기집진기와 흡착-저온산화촉매를 결합함으로써 고온공정 중에 배출될 수 있는 연기 및 악취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는 촉매독 성분 중 하나인 타르, 미스트, 더스트 등의 입자상 물질들을 고도 전 처리함으로써 백연을 제거하고, 고가(高價)인 촉매의 수명을 늘려주어 안정적인 연속운전과 경제성을 확보해주며, 오존발생부에서 풍부하게 발생되는 오존은 별도의 오존발생기의 도입 없이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물질에 대해 산화기전(Oxidation Mechanism)을 통해 흡착-저온산화촉매의 부하를 줄여주어 전체 시스템의 악취 처리 효율을 높여 준다.
그러나 이러한 악취제거 시스템은 각기 다른 특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의 악취 가스를 동일한 처리방식에 의해서만 탈취함으로써 최적의 탈취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처리조(100)와 촉매부(200)가 분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복수의 덕트를 각각의 장치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기 다른 특성의 악취 가스를 단계별, 성분별로 탈취할 수 있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처리부를 하나의 장치에 일체로 구성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한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은 유입된 악취 가스에 산성수를 분사하여 염기성 가스인 질소계 암모니아와 아민류의 가스를 중화하는 1차흡수층과; 상기 1차흡수층을 거친 악취 가스에 알칼리수를 분사하여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을 산화 및 중화하는 2차흡수층과; 상기 2차흡수층을 거친 악취 가스에 정전기력으로 고비점물질과 황화수소, 저비점물질인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켜 미생물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정전 디미스터와; 상기 정전 디미스터를 거친 악취 가스에 오존 라디칼을 생성하여 알데히드성 성분을 산화에 의해 분해하는 저온산화촉매층과; 상기 저온산화촉매층을 거친 악취 가스에 잔류하는 카르복시산과 비극성 탄화수소의 성분을 비극성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중성활성탄층을 순차적으로 거쳐 탈취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특성의 악취 성분에 따라 최적의 탈취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각 처리 방식의 단점을 보완, 조합함으로써 최적의 탈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제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계별 악취 성분 처리부를 하나의 장치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이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악취제거 시스템의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제거 시스템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 디미스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악취제거 과정을 나타낸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악취제거 시스템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악취제거 시스템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악취제거 장치를 통하여 축산농가, 하·폐수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음식 폐기물 처리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하여 정화할 때 최적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음식 폐기물의 대표적인 악취 성분은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등이며, 본 발명에서는 각 가스의 성분별로 최적의 탈취법을 적용함으로써 단계별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복합 탈취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악취제거 시스템은 하측에 형성된 유입구(10)를 통하여 음식 폐기물의 악취 가스가 유입되며, 내측이 구비된 다양한 탈취시스템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정화된 후 상측에 형성된 배출구(90)를 통해 정화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취를 위한 구성으로서는 악취 가스를 상측으로 통과시키고, 수분은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내식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이루어진 1차흡수층(20) 및 2차흡수층(40)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각 흡수층(20)(40)의 상측에는 산성수 분사부(30) 및 알칼리수 분사부(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차흡수층(40)의 상측에는 정전 디미스터(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 디미스터(60)의 상측에는 저온산화촉매층(70) 및 중성활성탄층(8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악취제거 시스템은 다양한 악취 성분이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탈취되어 정화된 가스로 배출된다.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각종 악취 성분의 가스는 1차흡수층(20)으로 흡수되며, 이때 1차흡수층(20)의 상측에 결합된 산성수 분사부(30)에서는 복수의 노즐을 통하여 산성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악취 가스는 산성수와 혼합되어 산성수 수조(31)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산성수 수조(31)에는 외측에 형성된 탱크로부터 산성용액(33)을 지속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상기 산성용액(33)은 황산(H₂SO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산성용액(33)에 의해 산성화된 산성수는 펌프(P)를 통해 산성수 공급라인(32)을 따라 다시 산성수 분사부(30)로 이송되어 순환에 의해 악취 성분을 중화한다.
흡수층(20)(40)에서는 악취 가스와 촉매의 기액평형(氣液平衡)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을 중화해 세정액에 고정하거나 산화시켜 무취 물질로 분해하게 되는데, 1차흡수층(20)에서는 황산을 촉매로 한 산성수를 이용하여 염기성 가스인 질소계 암모니아(NH₃)와 아민류의 가스를 다음과 같은 처리 반응식에 의해 중화하게 된다.
암모니아 : 2NH₃ + H₂SO₄ = (NH4)₂SO₄
아민류 : (CH₃)₃N + H₂SO₄ = ((CH₃)₃NH)₂SO₄
디메틸설파이드 : (CH₃)₂S + NaOCl = (CH₃)₂SO + NaCl
(CH₃)₂S₂ + 2NaOCl = (CH₃)₂S₂O₂ + NaCl
1차흡수층(20)을 통해 중화된 악취 가스는 도 2에 나타낸 임시저장공간(51)의 중앙부를 통하여 2차흡수층(40)으로 흡수되며, 이때 2차흡수층(40)의 상측에 결합된 알칼리수 분사부(50)에서는 복수의 노즐을 통하여 알칼리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악취 가스는 알칼리수와 혼합되어 임시저장공간(51)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임시저장공간(51)의 알칼리수는 알칼리수 회수라인(52)을 통하여 알칼리수 수조(53)로 이송되며, 상기 알칼리수 수조(53)에는 외측에 형성된 두 개의 탱크에서 알칼리용액(55)을 지속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상기 알칼리용액(55)은 수산화나트륨(NaOH)과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알칼리용액(55)에 의해 알칼리화된 알칼리수는 펌프(P)를 통해 알칼리수 공급라인(54)을 따라 다시 알칼리수 분사부(50)로 이송되어 순환에 의해 악취 성분을 산화 및 중화한다.
상기 2차흡수층(40)에서는 수산화나트륨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촉매로 한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산성의 가스인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을 다음과 같은 처리 반응식에 의해 산화 및 중화하게 된다.
황화수소 : H₂S + 4NaOCl + 2NaOH = Na₂SO₄ + 4NaCl + 2H₂O
H₂S + NaOCl = NaCl + H₂O + S
메틸머캅탄 : CH₃SH + NaOH + 3NaOCl = CH₃SO₃Na + 3NaCl + H₂O
C₂H5SH + NaOH + 3NaOCl = C₂H5SO₃Na + 3NaCl + H₂O
2차흡수층(40)을 거치며 산화 및 중화된 악취 가스는 정전 디미스터(60)에 이르게 되는데, 정전 디미스터(60)는 정전기력으로 고비점 악취 성분과 염분, 더스트를 제거한다.
즉, 황화수소(H₂S)와 수산화나트륨(NaOH)에서 화학 반응하여 생성되는 중화염(Na2S)을 제거하는 디미스터의 용도로 사용되며, 흡착층(20)(40) 및 분사부(30)(50)에서 처리하지 못한 미세 입결을 가진 악취 고비점물질(타르)과 황화수소, 저비점물질인 암모니아를 제거하여 후단의 저온산화촉매층(70)과 중성활성탄층(80)의 흡착력을 긴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또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존(O3)을 발생시켜 후단의 저온산화촉매층(70)에 미생물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오존을 통해 촉매를 활성화하고 보호한다.
상기 정전 디미스터(60)에는 외측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기(H)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전압발생기(H)와 연결되는 애자의 표면에 생성되는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접지를 방지하는 팬(F)이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정전 디미스터(6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복수의 메인행거빔(61)의 하측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62)이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방전극(6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방전핀(63)이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극(62)의 외측에는 간격을 이루며 평판형인 집진극(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정전 디미스터(60)는 상기 방전극(62)과 집진극(64) 사이에 형성되는 불평등 전계에 기인하는 코로나 방전을 통한 입자의 하전과 연속되는 전계에 의해 집진극(64)으로 악취 성분을 집진한다.
상기 정전 디미스터(60)를 통과한 악취 가스는 저온산화촉매층(70)에 이르게 되는데, 저온산화촉매층(70)에서는 정전 디미스터(60)를 통해 발생된 오존과 망간 촉매와 반응(O3 + Fe-MnO₂)하여 오존 라디칼을 생성하고 잔류의 알데히드성 성분을 산화하여 분해한다.
상기 저온산화촉매층(70)의 구성 성분은 산화구리(CuO), 이산화망간(MnO₂), 칼륨(K), 알루미나(Al₂O₃)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온산화촉매층(70)을 통과한 악취 가스는 중성활성탄층(80)에 이르러 잔류의 카르복시산과 비극성 탄화수소(Hydrocarbon)의 악취 성분이 비극성 흡착에 의해 제거된다.
중성활성탄층(80)은 기체와 접촉되는 표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복수가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구성 성분은 석탄(Coal)과 코코넛(Coconut)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악취제거 시스템에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산성수 분사부(30) 및 알칼리수 분사부(50)의 상측에 미세한 그물망(N)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악취 가스가 분사수와 혼합되어 미세한 물방울인 상태로 비산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N)은 비산된 미세한 물방울을 포집함으로써 산성수와 알칼리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정전 디미스터(60)로 수분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전 디미스터(60)와 저온산화촉매층(70)의 사이에는 별도의 오존발생기(O)를 결합하여 오존의 발생을 증폭할 수 있는데, 이는 정전 디미스터(60)에서 발생하는 오존의 양이 극히 미비하기 때문에 이를 보충하여 악취 제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악취제거 시스템은 다양한 특성의 악취 성분에 따라 최적의 탈취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각 처리 방식의 단점을 보완, 조합함으로써 최적의 탈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제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계별 악취 성분 처리부를 하나의 장치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이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10 : 유입구 20 : 1차흡수층
30 : 산성수 분사부 31 : 산성수 수조
32 : 산성수 공급라인 33 : 산성용액
40 : 2차흡수층 50 : 알칼리수 분사부
51 : 임시저장공간 52 : 알칼리수 회수라인
53 : 알칼리수 수조 54 : 알칼리수 공급라인
55 : 알칼리용액 60 : 정전 디미스터
61 : 메인행거빔 62 : 방전극
63 : 방전핀 64 : 집진극
70 : 저온산화촉매층 80 : 중성활성탄층
90 : 배출구 F : 팬
H : 고전압발생기 N : 그물망
O : 오존발생기 P : 펌프

Claims (6)

  1. 유입된 악취 가스에 산성수를 분사하여 염기성 가스인 질소계 암모니아(NH₃)와 아민류의 가스를 중화하는 1차흡수층(20)과;
    상기 1차흡수층(20)을 거친 악취 가스에 알칼리수를 분사하여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을 산화 및 중화하는 2차흡수층(40)과;
    상기 2차흡수층(40)을 거친 악취 가스에 정전기력으로 고비점물질(타르)과 황화수소, 저비점물질인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켜 미생물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정전 디미스터(60)와;
    상기 정전 디미스터(60)를 거친 악취 가스에 오존 라디칼을 생성하여 알데히드성 성분을 산화에 의해 분해하는 저온산화촉매층(70)과;
    상기 저온산화촉매층(70)을 거친 악취 가스에 잔류하는 카르복시산과 비극성 탄화수소(Hydrocarbon)의 성분을 비극성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중성활성탄층(80);
    을 순차적으로 거쳐 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흡수층(20)에는 산성용액(33)으로 황산(H₂SO₄)을 이용하며, 상기 2차흡수층(40)에는 알칼리용액(55)으로 수산화나트륨(NaOH)과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디미스터(60)는 상측에 복수의 메인행거빔(61)이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메인행거빔(61)의 하측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62)이 간격을 이루고 결합되며, 상기 방전극(6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방전핀(63)이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방전극(62)의 외측에는 간격을 이루며 평판형인 집진극(6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흡수층(20) 및 2차흡수층(40)은 내식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구성되며, 상기 저온산화촉매층(70)은 산화구리(CuO), 이산화망간(MnO₂), 칼륨(K), 알루미나(Al₂O₃)로 구성되고, 상기 중성활성탄층(80)은 석탄(Coal)과 코코넛(Coconut)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흡수층(20)과 2차흡수층(40)의 상측에는 악취 성분이 미세한 물방울로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세한 그물망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디미스터(60)와 저온산화촉매층(70)의 사이에는 오존의 발생을 증폭할 수 있도록 오존발생기(O)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KR1020150144901A 2015-10-16 2015-10-16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KR10159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01A KR101595988B1 (ko) 2015-10-16 2015-10-16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01A KR101595988B1 (ko) 2015-10-16 2015-10-16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988B1 true KR101595988B1 (ko) 2016-02-19

Family

ID=5544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01A KR101595988B1 (ko) 2015-10-16 2015-10-16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9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95B1 (ko) * 2018-06-21 2018-08-17 (주)에코브릿지 산성, 알칼리성, 중성화합물 악취와 향 물질이 동시에 발생하는 냄새 및 악취제거 복합시스템
CN108905590A (zh) * 2018-08-13 2018-11-30 中国华能集团有限公司 一种电站锅炉低氮燃烧器协同高温喷氨的脱硝系统及方法
CN110496530A (zh) * 2019-08-22 2019-11-26 东莞市环境科学研究所 一种处理低温榨油废气的方法和设备
KR20210077532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침전조 배가스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CN113877410A (zh) * 2020-07-02 2022-01-04 大连爱德摩设备制造有限公司 用于工业污水集输系统的VOCs及臭气治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5138A (ja) * 1987-06-16 198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装置
KR100938497B1 (ko) * 2009-03-16 2010-01-25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유해성 악취 및 가스를 처리하는 탈취장치
KR101183090B1 (ko) * 2012-05-09 2012-09-20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악취가스를 처리하는 복합바이오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5138A (ja) * 1987-06-16 198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装置
KR100938497B1 (ko) * 2009-03-16 2010-01-25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유해성 악취 및 가스를 처리하는 탈취장치
KR101183090B1 (ko) * 2012-05-09 2012-09-20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악취가스를 처리하는 복합바이오 탈취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95B1 (ko) * 2018-06-21 2018-08-17 (주)에코브릿지 산성, 알칼리성, 중성화합물 악취와 향 물질이 동시에 발생하는 냄새 및 악취제거 복합시스템
CN108905590A (zh) * 2018-08-13 2018-11-30 中国华能集团有限公司 一种电站锅炉低氮燃烧器协同高温喷氨的脱硝系统及方法
CN108905590B (zh) * 2018-08-13 2023-05-12 中国华能集团有限公司 一种电站锅炉低氮燃烧器协同高温喷氨的脱硝系统及方法
CN110496530A (zh) * 2019-08-22 2019-11-26 东莞市环境科学研究所 一种处理低温榨油废气的方法和设备
KR20210077532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침전조 배가스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102324638B1 (ko) * 2019-12-17 2021-11-11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침전조 배가스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CN113877410A (zh) * 2020-07-02 2022-01-04 大连爱德摩设备制造有限公司 用于工业污水集输系统的VOCs及臭气治理方法
CN113877410B (zh) * 2020-07-02 2024-05-07 大连爱德摩设备制造有限公司 用于工业污水集输系统的VOCs及臭气治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988B1 (ko) 기술 융합형 복합 악취제거 시스템
KR101005636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복합악취 제거용 정화시스템
KR100843986B1 (ko) 고효율 악취제거장치
KR101312414B1 (ko) 코로나 방전 및 저온복합산화촉매를 이용한 유해가스 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해가스 정화 방법
KR101984795B1 (ko) 마이크로플라즈마 에어 오존을 이용한 악취물질 분해 시스템
CN204485561U (zh) 废气处理装置
KR101039069B1 (ko) 공기 청정 및 살균용 플라즈마 처리기
CN105311931B (zh) 工业VOCs废气分解净化处理方法及设备
CN109985505B (zh) 一种中药膏药生产废气处理工艺
CN109876585B (zh) 一种中药膏药生产废气处理系统
KR101738143B1 (ko) 연속식 악취가스 탈취장치
CN207913507U (zh) 箱式废气处理装置
KR20190067552A (ko) 전처리장치와 광촉매 또는 무광촉매 반응장치가 결합된 정화시스템
CN112791555A (zh) 一种废气处理装置
KR100925165B1 (ko)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0442703B1 (ko) 공기, 수질정화용 촉매혼합물 및 이 촉매혼합물이 이용된 공기, 수질정화방법
CN210125298U (zh) 一种废气除臭吸附系统
JP2007117968A (ja) ガス浄化装置及び方法
CN209451632U (zh) 一种猪舍环保级除臭处理系统
CN111068487A (zh) 一种橡胶减震垫烘烤线废气净化装置及方法
KR102176609B1 (ko) 악취제거 및 탈취용 스크라바 습건식 복합 플라즈마장치
CN110227338B (zh) 一种湿式低温等离子体处理污泥干化废气的系统
CN204865493U (zh) 一种用于恶臭废气的净化系统
KR101574974B1 (ko) 유해가스 및 복합악취 제거 시스템
CN110711484A (zh) 用于纺织印刷厂污水处理后排放废气的净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