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579B1 -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579B1
KR101594579B1 KR1020150051936A KR20150051936A KR101594579B1 KR 101594579 B1 KR101594579 B1 KR 101594579B1 KR 1020150051936 A KR1020150051936 A KR 1020150051936A KR 20150051936 A KR20150051936 A KR 20150051936A KR 101594579 B1 KR101594579 B1 KR 10159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mobile terminal
user language
tag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호정
Original Assignee
천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호정 filed Critical 천호정
Priority to KR102015005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809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방법으로, 객체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 기록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Information based on User Language}
본 발명은 외국인에게 다양한 관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언어로 된 객체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국의 드라마, 대중 가요, 영화 등의 문화 컨텐츠, 화장품 및 IT 제품 등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게 됨에 따라, 관광 또는 비즈니스 등의 이유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외국인들에게 국내의 주요 관광지나 다양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팜플릿 및 웹 사이트 등의 제작이 활성화되고 있고, 통역 가능한 판매원 및 관광 가이드의 인원이 확충되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는 주로 영어, 일본어 및 중국어 등 주요 언어들로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일본, 중국 및 영어권 국가들 외에도 가까이는 동남 아시아 뿐만 아니라 멀리는 남아메리카 등과 같이 다양한 국적을 가진 외국인들의 방문 또한 잦아지고 있다. 이들은 관광 수입과 같은 실질적인 수익을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이들의 경험을 자신의 나라에 전달하게 되므로 국가 브랜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국적 언어로 된 정보가 불충분하고, 이는 홍보 부족에 따른 관광 수익 감소 뿐만 아니라 관광 서비스 대상에서 소외되었다는 서운함이 국가적 반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국내에는 아직 외국인에게 잘 알려지지 숨은 명소, 상품 및 다양한 먹거리 등이 많이 존재하지만, 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불충분하다. 따라서, 외국인들은 이러한 명소 및 상품에 관심이 있더라도 충분한 정보가 없어 접근이 어렵다. 또한,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입장에서도 자신의 서비스 또는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별도의 웹사이트 등을 운영하는 것은 번거롭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심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언어로 이동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보 제공자가 용이하게 홍보하고자 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각국의 언어로 제공하여 홍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방법으로, 객체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 기록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버에서의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으로, 등록 요청된 객체에 태그 식별자를 할당하고, 두 종류 이상의 언어들 작성된 객체 정보를 상기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로부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객체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독출하는 태그 식별자 독출부와,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 기록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 사용자 언어 검출부와, 상기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객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객체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출력하는 객체 정보 획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객체 정보 관리 서버로, 태그 식별자 및 두 종류 이상의 사용자 언어들로 작성된 객체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와, 등록 요청된 객체에 태그 식별자를 할당하고, 두 종류 이상의 언어들 작성된 객체 정보를 상기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객체 정보 등록부와, 이동 단말로부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 사용자는 관심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언어로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가 홍보하고자 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웹사이트를 제작하지 않고도, 각국의 언어로 제공하여 홍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을 위한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 등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 제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100)이 다양한 객체들에 부착된 태그들(10-1, 10-2,...10-n)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 가능하고, 이동 단말(100), 객체 정보 관리 서버(이하 '서버'로 기재함)(200) 및 객체 정보 제공자 단말(300)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접속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태그들(10-1, 10-2,..., 10-n)은 건물, 화장품 및 음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객체들에 부착되는 RFID 태그로 태그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태그 식별자는 태그들(10-1, 10-2,..., 10-n)이 서버(200)에 등록될 때, 할당받은 정보이다.
이동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특히 태그들(10-1, 10-2,..., 10-n)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읽어와서, 태그 식별자에 매핑된 객체 정보를 사용자 언어로 획득하여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22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200)은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장치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고, 태그들(10-1, 10-2,..., 10-n)과 비접촉식으로 통신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는 객체 정보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요청에 따라, 태그가 부착된 객체에 대해 두 종류 이상의 사용자 언어들로 작성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등록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태그 식별자에 매핑된 객체 정보를 사용자 언어 정보로 검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객체 정보 제공자 단말(300)은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 데스크탑 PC, 노트북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에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수단일 수 있다. 또한, 객체 정보 제공자 단말(300)의 역할은 사업자에 따라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의 운영자 단말(미도시)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즉, 객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제공자가 IT 기술에 접근이 어려울 경우, 이를 대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제어부(110),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20), 메모리(130), 통신부(140), 조작부(150), 표시부(160) 및 음향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각부의 제어를 위한 베이스밴드칩이나 핸드폰 O/S로, 이동 단말(100)의 주 제어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서라고 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칩이나 핸드폰 O/S로는 마치 퍼스널 컴퓨터 본체의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역할을 이동 단말(100) 내에서 담당한다. 예컨대, 베이스밴드칩은 이동 단말의 파워 온시, 이동 단말(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다종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운영시스템(단말 OS)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을 사용 즉 이동 단말(10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이동 단말(100)이 실행할 수 있도록 각부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11),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12)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11)는 이동 단말(100) 내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된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잇다.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12)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실행되도록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30)로부터 불러와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3)을 통해 실행되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80)는 어플리케이션 선택부(112)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80)이 실행된다.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80)은 상세하게는 사용자 언어 검출부(181), 태그 식별자 독출부(182) 및 객체 정보 획득부(183)를 포함한다.
사용자 언어 검출부(110)는 이동 단말(100)에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USIM 칩에 기록된 국가 코드 정보인 MCC(Mobile Country Code)를 사용자 언어 정보로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드로이드(Android) OS 또는 애플(Apple)의 iOS에 설정되어 있는 언어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내부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카카오톡) 등에 설정된 언어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태그 식별자 독출부(182)는 태그들(10-1, 10-2,..., 10-n)에 접근하여,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전달되는 태그 식별자를 획득하여 객체 정보 획득부(183)에 출력한다.
객체 정보 획득부(183)는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00)에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전송하여, 태그 식별자에 상응하는 객체에 대해 사용자 언어로 된 상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표시부(160) 및 스피커(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한다.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이동 단말(100)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RF 모듈일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RF 주파수를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이동 단말(100) 내에 내장되거나 혹은 USB 포트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형태의 저장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서버(200)로부터 획득된 객체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140)는 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내부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주지된 구성이다. 조작부(150)는 일 예로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키입력부나,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조작부(150) 및 표시부(160)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조작부(150)와 표시부(160)가 통합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70)는 음원 데이터를 가청음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를 가청음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을 위한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객체 정보 등록부(210), DB(220), 객체 정보 제공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객체 정보 등록부(210)는 정보 제공자 단말(300)을 통해 객체 정보 등록 요청됨에 따라, 해당 객체에 대한 태그 식별자를 할당하고, 입력되는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받아 언어별로 DB(22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정보 제공자 단말(300)의 객체 정보 등록을 지원하는 별도의 웹사이트를 운영하여, 웹사이트를 통해 객체 등록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태그 식별자 할당부(221), 객체 정보 생성부(222) 및 등록부(223)를 포함하는데, 태그 식별자 할당부(221)는 객체 정보 등록 요청에 따라, DB(220)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 가능 태그 식별자를 선별하여 정보 제공자 단말(300)이 요청한 객체에 할당한다. 태그 식별자를 할당하는 방식은 할당 가능한 태그 식별자 내에서 랜덤으로 할당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또는, 카테고리별로 태그 식별자가 구분되도록 할당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할당된 태그 식별자는 운영자가 보유한 태그 기록 장치(미도시)를 통해 태그에 기록되어 정보 제공자에게 오프라인으로 배송토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요청된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를 태그에 기록 및 배포하는 방식은 사업자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객체 정보 생성부(222)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출력 가능한 객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객체 정보 생성부(222)는 각국 언어로 번역된 객체 정보들을 획득한다. 등록부(223)는 할당된 태그 식별자 및 객체 정보를 매핑시켜 DB(220)에 등록한다. 또한, 객체 정보 등록부는 등록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신규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상기 신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DB(220)는 태그 식별자에 매핑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두 종류 이상의 사용자 언어로 저장한다. 즉, 도 3의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식별자(221)에 상응하는 객체 정보들이 다양한 국가의 언어들(222)로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객체 정보 제공부(230)는 통신부(240)를 통해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에 매핑된 객체 정보를 DB(220)로부터 검출하여 해당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세하게는, 객체 정보 요청 수신부(231), 객체 정보 검출부(232) 및 객체 정보 송신부(233)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 요청 수신부(231)는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로부터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여 객체 정보 검출부(232)에 전달한다. 객체 정보 검출부(232)는 객체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에 매핑되는 객체 정보를 검출해낸다. 객체 정보 송신부(233)는 객체 정보 검출부(232)에 의해 검출된 객체 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해당 이동 단말(100)에 전송한다.
객체 정보 제공부(230)는 부가적으로 이벤트 정보 검출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벤트 정보 검출부(234)는 이동 단말(100)의 정보(224)를 태그 식별자(221)에 매핑시켜 DB(220)에 저장하고, 해당 객체와 관련된 시간 종속적인 이벤트성 정보를 유효한 시간에 이동 단말(100)로 푸쉬한다. 여기서, 시간 종속적인 이벤트 정보는 예컨대, 상품에 대한 특정 기간 동안의 할인 행사 등과 같이 소정 기간 동안만 유효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DB(220)에는 객체 정보를 제공한 이력을 기록한 히스토리 정보(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정보(223)는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224) 및 사용자 언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은 크게 객체 정보 등록 단계(S410, 도 5) 및 사용자 언어로 된 객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20, 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 등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객체 정보 등록 단계는 객체 정보 등록을 지원하는 별도의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정보 제공자 단말(300)의 객체 정보 등록 요청(S510)에 따라, 태그 식별자를 할당한다(S520). 여기서, 등록되지 않은 사용 가능 태그 식별자를 선별하여 정보 제공자 단말(300)이 요청한 객체에 할당한다. 태그 식별자를 할당하는 방식은 할당 가능한 태그 식별자 내에서 랜덤으로 할당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또는, 카테고리별로 태그 식별자가 구분되도록 할당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할당된 태그 식별자는 운영자가 보유한 태그 기록 장치(미도시)를 통해 태그에 기록되어 정보 제공자에게 오프라인으로 배송토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요청된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를 태그에 기록 및 배포하는 방식은 사업자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그런 후, 서버(200)는 태그 식별자에 상응하는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받는다(S530). 여기서, 언어별에 객체 정보들이 입력될 수도 있고, 서버(200) 운영자에 의해 번역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서버(200)는 할당된 태그 식별자 및 객체 정보를 매핑시켜 DB(220)에 등록한다(S540).
그런 후, 서버(200)는 등록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신규 정보가 입력됨(S550, S560)에 따라,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신규 정보를 업데트할 수 있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 제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객체 정보 제공 단계는 이동 단말(100)이 사전에 서버(200)에 접속하여 설치된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태그들(10-1, 10-2,..., 10-n) 인식(S610)됨에 따라, 태그 식별자를 검출한다(S620).
이동 단말(100)은 내부에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S630)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USIM 칩에 기록된 국가 코드 정보인 MCC(Mobile Country Code)를 사용자 언어 정보로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드로이드(Android) OS 또는 애플(Apple)의 iOS에 설정되어 있는 언어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내부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카카오톡) 등에 설정된 언어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이동 단말(100)은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버(200)에 전달한다(S640).
서버(200)는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에 매핑된 객체 정보를 DB(220)로부터 검출(S650)하여 해당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S660).
이동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시된 태그 식별자에 상응하는 객체에 대해 사용자 언어로 정보를 표시부(160) 및 스피커(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한다(S670).
또한, 부가적으로,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의 정보를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객체 정보 제공 히스토리로 DB(220)에 저장한다(S680). 그런 후, 서버(200)는 해당 객체와 관련된 시간 종속적인 이벤트성 정보가 발생됨(S685)에 따라, 유효한 시간에 이동 단말(100)로 푸쉬한다(S690). 여기서, 시간 종속적인 이벤트 정보는 예컨대, 상품에 대한 특정 기간 동안의 할인 행사 등과 같이 소정 기간 동안만 유효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면, 이동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푸쉬된 객체 정보를 출력한다(695).

Claims (12)

  1.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언어로 변환된 객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 정보를 사용자 언어로 획득하여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이 특정 객체에 부착된 태그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특정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를 근접 통신을 통해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 내부에 기록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USIM 칩에 기록된 모바일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 : OS)에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
  4. 서버에서의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등록 요청된 객체에 태그 식별자를 할당하고, 두 종류 이상의 언어들 작성된 객체 정보를 상기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로부터 요청에 따라, 객체 정보를 사용자 언어로 획득하여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로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로부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등록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신규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상기 신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를 상기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저장하고, 해당 객체와 관련된 시간 종속적인 이벤트성 정보를 유효한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로 푸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방법.
  7. 객체 정보를 사용자 언어로 획득하여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부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객체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자를 독출하는 태그 식별자 독출부와,
    이동 단말 내부에 기록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하는 사용자 언어 검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이 특정 객체에 부착된 태그로부터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태그 식별자 독출부를 통해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특정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를 독출하도록 하고, 상기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객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객체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출력하는 객체 정보 획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언어 검출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USIM 칩에 기록된 모바일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언어 검출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 : OS)에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0. 태그 식별자 및 두 종류 이상의 사용자 언어들로 작성된 객체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와,
    등록 요청된 객체에 태그 식별자를 할당하고, 두 종류 이상의 언어들 작성된 객체 정보를 상기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객체 정보 등록부와,
    이동 단말로부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태그 식별자 및 사용자 언어 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로부터 요청에 따라, 객체 정보를 사용자 언어로 획득하여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로 다운로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정보 관리 서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등록부는
    등록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신규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객체에 할당된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상기 신규 정보를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정보 관리 서버.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를 상기 태그 식별자에 매핑시켜 저장하고, 해당 객체와 관련된 시간 종속적인 이벤트성 정보를 유효한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로 푸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정보 관리 서버.
KR1020150051936A 2015-04-13 2015-04-13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9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36A KR101594579B1 (ko) 2015-04-13 2015-04-13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36A KR101594579B1 (ko) 2015-04-13 2015-04-13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579B1 true KR101594579B1 (ko) 2016-02-16

Family

ID=5544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36A KR101594579B1 (ko) 2015-04-13 2015-04-13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5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816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상의 다국어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2593A (ko) * 2009-07-02 2011-01-10 주식회사엠이씨코리아 다국어 웹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120050244A (ko) * 2010-11-10 2012-05-18 (주)아이지오 다국어 지원이 가능한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0811A (ko)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816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상의 다국어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2593A (ko) * 2009-07-02 2011-01-10 주식회사엠이씨코리아 다국어 웹 서비스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120050244A (ko) * 2010-11-10 2012-05-18 (주)아이지오 다국어 지원이 가능한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0811A (ko)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9273B (zh) 一种端侧广告展示方法及对应的终端和服务器
US11532181B2 (en) Provision of 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intent, emotion and context
JP2020025326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2008217133A (ja) 地域情報案内システム、地域情報配信システム、地域情報配信プログラム、地域情報案内方法
CN103238344A (zh) 关于内容位置的射频指纹
CN101512293A (zh) 给导航装置添加目的地
JP2012018457A (ja) サイネージディスプレイ表示情報提供装置、サイネージディスプレイ表示情報提供方法、およびサイネージディスプレイ表示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
KR2012001824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식별기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US10827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based information
CN109636485B (zh) 基于驾驶行为数据的信息推荐方法及装置
KR101931807B1 (ko)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US20230334523A1 (en) Management system, server device and method
JP201702722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相関関係情報データ、記憶媒体、相関関係情報の生成方法
CN105608095B (zh) 多媒体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901756B2 (en) Context-aware application
KR102081232B1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생성 지원을 위한 장치
JP5476571B2 (ja) コメント評価装置、コメント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4579B1 (ko) 사용자 언어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37039B1 (ko) 개인영역통신망을 이용한 존 서비스 시스템
KR102477449B1 (ko) 지오펜스 기반 길안내 및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14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서버 장치 및 이들에 의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JP6331411B2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1807399B1 (ko) Gs1 코드를 사용하는 비콘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비콘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17337A (ko) 인터렉티브 알림판 및 그 방법
KR101386491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어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