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177B1 -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177B1
KR101594177B1 KR1020090024766A KR20090024766A KR101594177B1 KR 101594177 B1 KR101594177 B1 KR 101594177B1 KR 1020090024766 A KR1020090024766 A KR 1020090024766A KR 20090024766 A KR20090024766 A KR 20090024766A KR 101594177 B1 KR101594177 B1 KR 10159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power line
draw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686A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1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 상기 본체와 서랍식 도어가 연결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서랍식 도어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 일측과 상기 구동유닛을 연결하는 전원선이 수용되며,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전원선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구동유닛, 서랍식 도어, 전원선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으로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개방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냉자고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식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모터에 제공되는 전원선을 수용하며, 상기 서랍식 도어의 개폐시 변형되어 상기 전원선의 손상을 방지하는 전원선 안내부재가 제공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랍식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동모터에 제공되는 전원선을 수용하며, 상기 서랍식 도어의 개폐시 이동 및 변형되어 상기 전원선의 손상을 방지하는 전원선 안내부재가 제공되는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 상기 본체와 서랍식 도어가 연결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서랍식 도어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 일측과 상기 구동유닛을 연결하는 전원선이 수용되며,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전원선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는 케이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의 양단은 상기 본체 및 구동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슬라이딩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는 다수개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연결되며, 연결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전원선이 안내되는 다수개의 체인링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체인링크의 일단에는 이웃하는 체인링크측으로 연장되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체인링크의 회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는 복수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는, 본체의 저장공간에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단으로 연장 가능하게 제공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레일부재가 고정 장착되는 레일 가이드;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수용하며, 상기 서랍식 도어의 개폐에 따라 변형되는 전원선 안내부재; 상기 레일 가이드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서랍식 도어에 따라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는 케이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에는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는, 상기 레일 가이드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안내부재와, 상기 고정수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안내부재는 상기 레일 가이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레일 가이드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가이드의 일측에 상기 레일부재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랙과, 상기 구동유닛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살기 랙을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에는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되는 다수의 차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에 의하면, 케이블 체인으로 구성된 전원선 안내부재에 의해 구동유닛과 연결된 전원선을 수용 및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서랍식 도어의 슬라이딩 인출입에 의한 개폐시 규칙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전원선이 다른 구성에 걸리거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동 안정성과 성능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의 이동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 또한 안내부재 가이드를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변형되어 상기 전원선의 처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의 변형시 다수의 체인링크의 사이에 차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에 의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삽입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측에 냉동실이 구비되는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동실이 2개의 서랍식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할 뿐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 도어가 제공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 되는 본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냉장실(20)과 냉동실(30)로 구획된다.
상기 냉장실(2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20)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20)의 개구된 전면은 냉장실 도어(22)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는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20)의 하방 즉, 상기 냉장실(20)과 구획된 별도의 공간인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냉동실(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30)의 개구된 전면은 냉동실 도어인 서랍식 도어(10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서랍식 도어(100)는 서랍과 같이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하 2개의 서랍식 도어(1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동실(30)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서랍식 도어(100)의 좌우 양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레일 어셈블리(200)가 제공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의 레일부재(210)가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서랍식 도어(100)가 선택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30)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서랍식 도어(100)에는 수납부재(110)가 제공된다. 상기 수납부재(110)는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와이어 소재에 의해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10)는 상기 서랍식 도어(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레일부재(21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안착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가 냉동실 도어 내측에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레일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재(210)와, 상기 레일부재(210)가 장착되는 레일 가이드(300), 레일부재(210)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400),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4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안내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부재(210)는 상기 서랍식 도어(100)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며, 스테인레스 또는 합금강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재(210)는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에 의해 슬라이딩 되면서 연장될 수 있으며, 통상 서랍식 도어(100)의 개폐를 위해서 제공되는 3단 레일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210)의 일측에는 상기 서랍식 도어(100)가 상기 레일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프레임(220)이 고정된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전단에는 절곡되어 상기 서랍식 도어(100)의 배면과 결합되는 결합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납부재(110) 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절곡된 안착부(22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300)는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재(21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냉동실(30)의 좌우 내측 벽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가이드(3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재(210)가 수용될 수 있는 레일 장착부(310)를 형성하며, 상기 레일 장착부(310)의 하단에는 상기 레일 가이드(300)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랙(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장착부(310)의 하방에는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 가이드(33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에는 상기 레일 가이드(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안내부(33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332)는 상기 레일부재(210)와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2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의 이동 거리만큼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332)의 상하 폭은 상기 전원선 안내부(332)에 구비되는 연결부재(640)가 장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332)의 후단(도 2에서 좌측)에는 상기 안내부(332)의 상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삽입부(33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34)는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부재(64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640)의 용이한 삽입 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배면(도 3에서 볼 때)은 상기 냉동실(30)의 벽면과 다소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격되며, 상기 전원선 안내 부재(600)의 일부가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내측에서 이동 및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닛(400)은 상기 레일부재(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210)를 구성하는 가장 내측의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210)의 슬라이딩 인출입시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닛(400)은 상기 냉장고의 도어(22,100) 또는 본체(10)에 제공되는 스위치, 레버 등과 같은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유닛(400)의 구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수단은 누름, 회동, 터치, 음성, 원격조작 등 다양한 방식의 지원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 들은 일반적인 것으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구동유닛(400)은 내부에 전기모터가 구비되는 모터블럭(410)과, 상기 모터블럭(41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420)과, 상기 피니언(420)의 회전축이 연장된 샤프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블럭(410)은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우징(412)과, 상기 하우징(4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기모터(414), 그리고 상기 전기모터(414)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42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30)는 좌우 양측단이 각각 피니언(420)에 연결되어 좌우 양측의 피니언(420)이 동시에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유닛(400)은 좌우 양측의 레일 어셈블리(2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좌우 양측 중 어느 하나의 레일 어셈블리(200)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430)의 양단에는 상기 구동유닛(400)이 상기 레일부재(210)에 형성된 고정슬롯(2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432)가 더 형성된다.
상기 구동유닛(400)의 장착시 상기 구동유닛(400)의 피니언(420)은 상기 랙(320)의 상면과 기어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유닛(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420)이 상기 랙(320)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400)의 전기모터(414)가 동작되기 위해서는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원선(500)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구동유닛(400)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선(500)은 상기 구동유닛(400)의 이동시에도 원활하게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500)은 상기 레일 가이드(300)에 의해 차폐되는 상기 냉동실(3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냉동실(3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동유닛(400)과 본체(10) 일측으로 노출된 커넥터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선의 양단에는 커넥터와 대응하는 연결단자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선(500)은 전원선 안내부재(6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구동유닛(400) 측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는 케이블 체인(Cable chain)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 선(50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는 다수개의 체인링크(61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체인링크(610)들은 회전핀(612)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체인링크(610)들은 모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크(610)는 연결방향으로 개구되어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선(500)이 상기 체인링크(610)의 내측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의 양단에 대응하는 체인링크(610)에는 각각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의 양단이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일측과 상기 구동유닛(4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6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는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재(21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각각의 체인링크(610)들이 회동하면서 전체 형상이 플랙시블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체인링크(610)의 단부에는 차단부(614)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614)는 상기 연속하여 결합되는 상기 체인링크(610)의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체인링크(61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614)는 상기 체인링크(610)의 회전시에도 간섭되지 않고 상기 체인링크(610)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는 다수개의 체인링크(610)가 결합된 단일 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가 두개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는 상기 레일 가이드(300)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안내부재(620)와 상기 구동유닛(400)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안내부재(630) 및 상기 제1안내부재(620)와 제2안내부재(6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40)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1안내부재(620)는 상기 냉동실(30)의 내측 벽면과 상기 레일 가이드(3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일측단은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에 고정되어 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체인링크(610)들이 회전하여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전체적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안내부재(620)는 전단(도 4에서 우측단)이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전반부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체인링크(610)들이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후단(도 4에서 좌측단)은 다시 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내부재(620)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후단은 상기 연결부재(640)와 연결되며,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안내부(332)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연결부재(640)에 의해 상기 제1안내부재(620)는 최초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전원선(500)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안내부재(630)는 후단(도 4에서 좌측단)이 상기 구동유닛(400)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체인링크(610)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부재(630)의 전단(도 4에서 우측단)은 상기 연결부재(640)와 결합되고 상기 제1안내부재(620)와 연동하여 이동 및 변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부재(630)는 후단이 상기 구동유닛(40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안내부재(620)와 독립적으로 구부러져 상기 전원선(500)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640)와 연결되는 제1안내부재(620)와 제2안내부재(630)의 각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6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640)는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상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안내부(332)의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640)는 상기 안내부(332)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부(332)의 절개된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640)의 양단은 상기 안내부(332)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640)의 장착 후 상기 연결부재(640)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640)의 좌우 양측면에 상기 제1안내부재(620)와 제2안내부재(63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640)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선(500)이 상기 제1안내부재(620)로부터 상기 제2안내부재(630)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에셈블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의 레일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의 인출입시 전원선 안내부재의 상태 변화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냉장고(1)의 서랍식 도어(1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도 5 및 도 6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서랍식 도어(1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부재(21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상기 구동유닛(400) 또한 가장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420) 또한 상기 랙(320)상의 가장 후반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의 연결부재(640)는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안내부(332) 가장 후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640)가 후반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제1안내부재(620)는 상기 연결부재(640)의 후방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640)의 후방에서 구부러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400) 또한 상기 연결부재(640)와 대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연결부재(640)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2안내부재(630)는 대략 "⊃"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는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어 상기 레일 가이드(300)의 하측으로 처지거나 다른 부재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선(500)과 외부의 다른 구성이 접촉하거나 간섭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부재(620)는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부재(630)는 외측을 항하는 면과 대응하는 각각의 체인링크(610)에 차단부(614)가 제공되어 상기 제2안내부재(630)가 구부러지게 되더라도 상기 체인링크(61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여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식 도어(1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랍식 도어(100)의 개방을 위한 조작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구동유닛(40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동작되어 상기 피니언(4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피니언(420)은 회전에 의해 상기 랙(320)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400)이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유닛(400)이 장착된 상기 레일부재(210) 또한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상기 서랍식 도어(100)의 개방시 상기 레일부재(210)가 연장되며, 상기 레일부재(210)에 장착된 상기 구동유닛(400) 또한 상기 서랍식 도어(10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전방이동 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40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유닛(400)과 연결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 또한 변형되면서 이동된다. 상 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유닛(400)이 전방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제2안내부재(630)는 구부러진 형상이 점차적으로 펴지면서 전단이 상기 구동유닛(40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시 제2안내부재(630)가 충분히 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400)이 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안내부재(630)는 상기 제1안내부재(62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640)와 결합된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후단은 상기 제2안내부재(63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구부러진 부분은 점차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640)는 상기 안내부재 가이드(330)의 안내부(332)를 따라서 이동되며, 상기 연결부재(6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안내부재(620)는 구부러진 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를 형성하는 다수의 체인링크(610)는 상기 구동유닛(400)이 이동하게 될때 대응하는 지점에서 구부러지게 되며, 설정된 각도만큼 구부러지게 되어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가 규칙적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유닛(400)이 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600)의 제1안내부재(620)와 제2안내부재(630)는 각각 정해진 구간에서 정해진 상태로 형상이 될 수 있도록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전원선(500)의 예기치 않은 접촉이나 꼬임, 접철 등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식 도어(100)가 완전하게 개방되면,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서랍식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레일부재(210)는 최대 인출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유닛(400) 또한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안내부재(630)는 상기 연결부재(640)와 인접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구부러진 부분이 없이 전체적으로 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640)를 통해서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후단을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안내부재(620)의 후단은 상기 연결부재(640)가 위치한 상기 안내부의 전반부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식 도어(100)의 인입을 위한 조작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구동유닛(4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피니언(42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랙(32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400)과 레일부재(210)가 모두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부재(640) 또한 상기 안내부(332)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안내부재(620)와 제2안내부재(630)를 변형시키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가 냉동실 도어 내측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레일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의 레일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의 인출입시 전원선 안내부재의 상태변화를 보인 상태도이다.

Claims (14)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슬라이딩에 의해서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
    상기 본체와 서랍식 도어를 연결하며, 상기 서랍식 도어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는 레일부재;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레일부재가 고정 장착되는 레일 가이드;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수용하는 전원선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는,
    상기 레일 가이드의 일측에 일단이 장착되는 제1안내부재;
    상기 구동유닛에 일단이 장착되는 제2안내부재;
    상기 레일 가이드에 상기 레일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안내부재의 다른 일단과 제2안내부재의 다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는, 케이블 체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측벽을 수직 관통하는 회동축을 가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인출입 시 상기 저장공간의 측벽과 평행한 면상에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가이드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레일부재의 인출입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레일 가이드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구동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 안내부재는 다수개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연결되며, 연결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전원선이 안내되는 다수개의 체인링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체인링크의 일단에는 이웃하는 체인링크측으로 연장되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체인링크의 회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는 상기 레일 가이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레일 가이드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가이드의 일측에 상기 레일부재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랙과,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랙을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14. 삭제
KR1020090024766A 2009-03-24 2009-03-24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KR10159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66A KR101594177B1 (ko) 2009-03-24 2009-03-24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66A KR101594177B1 (ko) 2009-03-24 2009-03-24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86A KR20100106686A (ko) 2010-10-04
KR101594177B1 true KR101594177B1 (ko) 2016-02-15

Family

ID=4312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766A KR101594177B1 (ko) 2009-03-24 2009-03-24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71A1 (ko) * 2017-10-12 2019-04-18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2926B2 (en) 2011-11-23 2016-10-11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of a dishwasher
US10004379B2 (en) 2011-11-23 2018-06-2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ransforming door
US9572475B2 (en) 2013-04-29 2017-02-21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closure element having an operative device
CN111684222B (zh) 2018-02-05 2022-03-08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US10408532B1 (en) * 2018-06-20 2019-09-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of a refrigerator appliance
CN109028726B (zh) * 2018-06-21 2020-04-2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应用于抽拉件的引线结构、抽拉件、箱体及冰箱
CN111102786B (zh) * 2018-10-29 2022-03-25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滑轨结构的走线定位装置及冰箱
KR102614610B1 (ko) * 2018-12-03 2023-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1811178B (zh) * 2019-04-12 2024-04-12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71A1 (ko) * 2017-10-12 2019-04-18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US11202504B2 (en) 2017-10-12 2021-12-21 Segos Sli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86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17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KR101831614B1 (ko) 냉장고
KR1013568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조립방법
CN106104184B (zh) 冰箱
KR101787095B1 (ko) 냉장고
EP2431688B1 (en) Refrigerator
EP3679834A1 (en) Refrigerator
EP3015802A2 (en) Refrigerator
EP2657632A2 (en) Refrigerator and handle assembly method thereof
US20130270989A1 (en) Sli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338468B1 (ko) 냉장고
KR20100085230A (ko) 냉장고용 서랍식 도어
KR101161120B1 (ko) 냉장고용 식품 수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624555B1 (ko) 냉장고의 댐핑 장치
KR101266872B1 (ko)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KR20170052409A (ko) 냉장고
KR100260914B1 (ko) 냉장고의 야채 박스 인출장치
KR20080014554A (ko)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KR101592310B1 (ko)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10010409A (ko)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79891A (ko) 냉장고
KR20090012399A (ko) 냉장고
KR20080084780A (ko) 냉장고
KR2011001041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