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409A -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409A
KR20110010409A KR1020090067965A KR20090067965A KR20110010409A KR 20110010409 A KR20110010409 A KR 20110010409A KR 1020090067965 A KR1020090067965 A KR 1020090067965A KR 20090067965 A KR20090067965 A KR 20090067965A KR 20110010409 A KR20110010409 A KR 20110010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door
link connecting
cabl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409A/ko
Priority to US12/830,641 priority patent/US8434837B2/en
Priority to EP10168760.6A priority patent/EP2284464B1/en
Priority to CN2010102281533A priority patent/CN101949628B/zh
Publication of KR2011001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드와이어를 보호하는 케이블 체인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체인의 회전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구속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체인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만 말려 굴절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 체인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리드와이어가 냉장고 도어의 미끄럼운동을 따라 변형될 때 주변의 구조물에 긁히거나 걸려 피복이 마멸되거나 냉장고 도어가 오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냉장고, 리드와이어, 케이블 체인, 회전구속

Description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CABLE CHAIN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식 도어에 사용되는 리드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체인 및 이 케이블 체인이 적용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그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근래 들어 식생활의 변화와 기술력의 진일보를 토대로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된 냉장고가 요구되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와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가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냉장고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제품에는 랙과 피니언 그리고 피니언을 작동시키는 회전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본체에 랙이 설치되고 냉장고 도어에 피니언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에 회전모터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도어는 회전모터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피니언이 랙 상에서 인출방향 또는 인입방향으로 이동하여 냉장고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냉장고 도어가 미끄럼운동을 하면서 개폐됨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와이어가 냉장고 도어의 미끄럼운동을 따라 말렸다 펴졌다 하는 변형동작이 수반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와이어가 냉장고 도어의 미끄럼운동을 따라 변형되는 과정에서 그 변형동작이 불규칙할 경우 리드와이어가 주변의 구조물에 접촉되어 피복이 마멸되거나 또는 주변 구조물에 걸려 냉장고 도어가 원활하게 개폐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상기 도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와이어가 냉장고 도어의 미끄럼운동을 따라 변형될 때 주변의 구조물에 긁혀 피복이 마멸되거나 구조물에 걸려 냉장고 도어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드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둘레면이 구비되는 체인본체부; 상기 체인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 개의 체인본체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이어 결합되는 링크연결부; 및 상기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의 길이방향 양단 중에서 어느 한 쪽 끝단에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에 겹쳐져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체인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속부의 끝단은 상기 링크연결부의 회전중심보다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속부는 상기 체인본체부들이 펴졌을 때 대략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보다 높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구속부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의 끝단에는 커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그 끝단이 상기 링크연결부의 회전중심보다는 길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본체부의 안쪽 둘레면의 길이방향 양단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그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의 안쪽 둘레면이 겹쳐져 연결부위가 굴절될 수 있도록 굴절안내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굴절안내부의 끝단은 상기 링크연결부의 회전중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체인본체부의 양쪽 측방 둘레면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의 링크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길이방향 반대쪽에 각각 돌기와 구멍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이웃하는 다른 링크연결부가 안착되고 그 다른 링크연결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안내면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장고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와이어가 수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굴절되거나 펴지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체인은 앞서 설명한 특징을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는, 상기 리드와이어를 보호하는 케이블 체인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체인의 회전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구속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체인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만 말려 굴절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 체인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리드와이어가 냉장고 도어의 미끄럼운동을 따라 변형될 때 주변의 구조물에 긁히거나 걸려 피복이 마멸되거나 냉장고 도어가 오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버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텀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동실도어를 개방하여 바스켓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의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냉장고 본체(1)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에는 냉장실(미부호)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에는 냉동실(2)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의 개구된 전면은 좌우 한 쌍의 냉장실도어(3)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냉동실(2)의 개구된 전면은 한 개 또는 상하 복수 개의 냉동실도어(4)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도어(3)는 양측이 냉장고본체(1)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형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동실도어(4)는 냉장고본체(1)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서랍형 도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상기 냉동실도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냉동실(2)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냉동실도어(4)를 바스켓(5)과 함께 인출/입하기 위한 레일조립체(10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조립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자동으로 인출/입되도록 하는 구동유닛(20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상기 냉동실(2)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레일하우징(10)에 수용된다. 상기 레일하우징(10)은 냉동실(3)의 좌우 양측 벽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3)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하우징(10)은 별도의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냉동실(3)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냉동실(3) 벽면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미도시)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하우징(10)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조립체(100)의 장착을 위한 채널(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하우징(10)의 하부에는 후술할 피니언(220)과 함께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유닛(200)의 일부를 이루는 랙(210)이 상기 레일하우징(1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고정레일(110), 제1 이동레일(120) 및 제2 이동레일(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레일(110)과 제1 이동레일(120) 그리고 제2 이동레일(130)은 순차적으로 포개져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베어링(미도시)들에 의해 구름운동 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레일(110)은 상기 레일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채널(11)의 내측에서 스냅핏(Snap fit)방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레일(110)과 상대운동 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레일(12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레일(1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이동레일(120)과 상대운동 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레일(1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레일(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스켓(5)의 안착을 위한 레일커버(14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커버(140)는 상기 제2 이동레일(130)의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제2 이동레일(130)에 고정 결합되는 한편 그 타단은 냉동실도어(4)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레일하우징(10)에 구비되는 랙(210)과, 상기 레일조립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랙(210)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인출/입되도록 하는 피니언(220)과, 상기 피니언(220)에 결합되어 그 피니언(2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랙(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쪽 레일하우징(10)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210)은 상기 레일하우징(10)과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레일하우징(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레일하우징(10)과 결합되지 않고 상기 냉동실(3)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니언(220)은 상기 제2 이동레일(130)의 내측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20)은 상기 레일조립체(100)의 슬라이딩시 상기 랙(210)과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랙(210)과 기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20)은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개의 전동축(221)에 의해 좌우 양측 피니언(220)의 회전중심이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230)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양방향 회전모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30)의 회전축은 중간기어(미도시)를 통해 상기 전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2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선이 케이블 체인(240)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모터(230)를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케이블 체인(240)은 그 중간부위가 상기 레일하우징(10) 의 하측, 즉 랙(210)의 하측에 미끄러지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상기 냉동실도어가 인출/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냉동실도어(4)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냉동실도어(4)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30)가 열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220)이 랙(210)과 맞물려 열림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상기 고정레일(110)과 제1 이동레일(120),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레일(120)과 제2 이동레일(130)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전방쪽으로 점차 인출된다. 그러면 상기 냉동실도어(4)가 점차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바스켓(5)이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스켓(5)에 음식물을 넣어 저장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냉동실도어(4)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냉동실도어(4)가 후방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30)가 닫힘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220)이 랙(210)과 맞물려 닫힘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후방으로 인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열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포개져 상기 냉동실도어(4)가 점차 폐쇄상태가 되고, 상기 바스켓(5)이 냉동실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상기 바스켓(5)에 수납된 음식물을 냉장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냉동실 도어(4)에 구동모터(21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10)에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와이어(250)가 상 기 냉장고 본체(1)에 연결됨에 따라 냉동실 도어(4)가 자동으로 개폐될 때 상기 리드와이어(250)의 길이가 신축적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리드와이어 자체가 신축적으로 변형되기 보다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위치, 즉 상기 냉동실 도어(4)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리드와이어(250)가 말리거나 펴지면서 리드와이어(2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리드와이어(250)를 노출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와이어(250)가 말리거나 펴지는 변형동작이 불규칙하게 발생되어 주변의 구조물에 긁히거나 걸릴 우려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궤적을 가지고 변형되는 케이블 체인(240)으로 리드와이어(250)를 감싸 그 리드와이어(250)를 주변 구조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냉동실 도어(4)가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 체인(240)은 다수 개의 단위체인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체인(240)은 상기 냉동실의 일측벽면, 즉 상기 구동모터(230)에 근접되는 측벽면에 상기 케이블 체인(240)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하우징(10)의 랙 하부에 상기 케이블 체인(240)을 미끄러지게 설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레일하우징의 하측에 케이블 체인을 미끄러지게 설치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하우징(10)은 냉동실의 양측 벽면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레일하우징(10)은 그 상측에 레일조립체(도 3에 도 시)(100)가 결합되도록 채널(11)이 형성되고, 그 중간 높이에는 상기 랙(210)이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양쪽 레일하우징 중에서 구동모터(230)에 근접되는 레일하우징(10)은 상기 랙(210)의 하측에 상기 케이블 체인(24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체인수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체인수용부(12)의 중간에는 후술할 케이블 체인(240)의 슬라이더(241)가 미끄러지도록 결합되는 가이드슬릿(13)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3)의 후방단은 상기 냉동실 도어(4)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일 때 슬라이더(241)가 가이드슬릿(13)에 정체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블 체인(240)은 상기 가이드슬릿(13)에 미끄러지게 결합되는 슬라이더(241)와, 상기 슬라이더(24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수용부(12)에 수용되는 제1 체인(245A)과, 상기 슬라이더(24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수용부(12)의 외부, 즉 레일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체인(245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체인(245A)의 끝단에는 외부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제1 전원단자(261)가 리드와이어(25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체인(245B)의 끝단에는 구동모터(230)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전원단자(262)가 상기 리드와이어(250)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241)는 상기 가이드슬릿(13)에 미끄러지게 결합되는 가이드(242)와, 상기 가이드(242)의 양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조인트(243)와 제2 조인트(2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조인트(243)의 타단은 제1 체 인(245A)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조인트(244)의 타단은 제2 체인(245B)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의 단위 체인을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체인(246)은 리드와이어(250)가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둘레면(247a)이 구비되는 체인본체부(247)와, 상기 체인본체부(247)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다른 단위체인의 체인본체부(247)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이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링크연결부(248)와, 상기 체인본체부(247)의 바깥쪽 둘레면(247b), 즉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말릴 때 외주면을 이루는 면의 길이방향 양단 중에서 어느 한 쪽, 예를 들어 전방쪽 끝단에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247)의 바깥쪽 둘레면(247b)에 겹쳐져 제한되는 회전구속부(249)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본체부(247)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사각박스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안쪽 둘레면(247c), 즉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말릴 때 내주면을 이루는 면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그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247)의 안쪽 둘레면(247c)이 겹쳐져 연결부위가 말릴 수 있도록 굴절안내부(247d)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굴절안내부(247d)의 끝단은 상기 링크연결부(248)의 회전중심보다 일정길이(t1)만큼 짧게, 예를 들어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체인(246)들이 안쪽둘레면 방향으로 말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연결부(248)는 상기 체인본체부(247)의 양쪽 측방 둘레면(247e) 끝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반원모양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연결부(248) 중에서 전방측에 형성되는 링크연결부(이하, 제1 링크연결부)(248a)의 외측면에는 각각 링크돌기(248b))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연결부 중에서 후방측에 형성되는 링크연결부(이하, 제2 링크연결부)(248c)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돌기(248b)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링크구멍(248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돌기(248b)의 주변에는 이웃하는 다른 단위 체인(246)의 제1 링크연결부(248a)가 안착되어 그 제2 링크연결부(248c)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안내면부(248e)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부(248e)의 회전제한각도는 상기 굴절안내부(247d)의 회전제한각도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단위 체인(246)의 굴절각도를 제한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속부(249)는 체인본체부(247)의 바깥쪽 둘레면(247b)의 일측, 예를 들어 전방측 끝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속부(249)의 끝단은 상기 링크연결부(248)의 회전중심보다는 일정길이(t2)만큼 길게, 즉 링크돌기(248b)의 중심보다 더 돌출될 수 있도록 연장되는 것이 다른 단위체인(246)의 굴절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속부(249)는 상기 체인본체부(247)의 바깥쪽 둘레면(247b)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체인본체부(247)들이 펴졌을 때 대략 일직선을 이룰 수 있어 상기 케이블 체인(240)에 수용되는 리드와이어(250)가 곧게 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속부(249)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체인본체부(247)의 바깥쪽 둘레면(247b)의 끝단에는 상기 리드와이어(250)가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하는 커버부(247f)가 체인본체부(24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47f)는 그 끝단이 상기 링크연결부(248)의 회전중심보다는 길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단위체인(246)들이 일직선으로 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47f)에 이웃하는 다른 단위체인(246)의 회전구속부(249)가 얹혀져 겹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상기 회전구속부(249)의 길이를 너무 길지 않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을 냉장고에 적용한 경우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4)가 열릴 때에는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레일하우징(10)에 마련된 가이드슬릿(13)을 따라 미끄러져 전방쪽으로 이동하면서 단위체인(246)이 길게 펴져 케이블 체인(240)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늘리게 된다.
반면, 냉동실 도어(4)가 닫힐 때에는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레일하우징(10)의 가이드슬릿(13)을 따라 미끄러져 후방쪽으로 이동하면서 단위체인(246)이 원형으로 굴절되어 상기 케이블 체인(246)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이게 된다.
여기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냉동실 도어(4)가 닫히기 시작할 때, 즉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원형으로 굴절되기 시작할 때 상기 링크연결부(248)에서의 회전방향을 제한하지 못하면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길이방향으로 가세되는 힘(F)에 의해 지그재그모양으로 굴절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 체인(240)에 수용 된 상기 리드와이어(250)가 불규칙한 궤적으로 말렸다 펴졌다 하면서 주변의 구조물에 긁혀 손상되거나 또는 걸려 냉동실 도어가 개폐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블 체인(240)의 단위체인(246)들에 회전구속부(249)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체인(240)은 이웃하는 링크연결부(248)들에 의해 서로 회전을 하면서 도면의 화살표 회전방향과 같이 항상 한 개의 일정한 원형 궤적을 이루면서 굴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도면의 좌측으로 힘(F)을 받게 되면 상기 회전구속부(249)가 이웃하는 다른 단위체인(246)의 바깥쪽 둘레면(247b)에 제한됨에 따라 도면의 사선방향으로 반발력(F')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 체인(240)은 이웃하는 링크연결부(248)들에 의해 서로 회전을 하면서 도면의 화살표 회전방향과 같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블 체인(240)이 회전구속부(249)에 의해 항상 동일한 변형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케이블 체인(240)의 내부에 수용된 리드와이어(250)도 케이블 체인(240)의 변형동작을 따라 규칙적으로 변형되면서 주변의 구조물에 긁히거나 걸리지 않아 리드와이어(25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동실 도어(4)가 원활하게 개폐되어 냉장고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은 냉장고의 도어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갖는 다른 제품에도 고르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텀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동실도어를 개방하여 바스켓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따른 냉장고에서 케이블 체인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레일하우징의 안쪽과 바깥쪽을 각각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의 단위체인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케이블 체인의 단위체인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체인에서 도어가 닫힐 때 단위체인들이 굴절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냉동실 도어 100 : 레일조립체
200 : 구동유닛 240 : 케이블 체인
241 : 슬라이더 245 : 체인
246 : 단위체인 247 : 체인본체부
248 : 링크연결부 249 : 회전구속부

Claims (8)

  1. 리드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둘레면이 구비되는 체인본체부;
    상기 체인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 개의 체인본체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이어 결합되는 링크연결부; 및
    상기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의 길이방향 양단 중에서 어느 한 쪽 끝단에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에 겹쳐져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부의 끝단은 상기 링크연결부의 회전중심보다는 길게 연장되는 케이블 체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부는 상기 체인본체부들이 펴졌을 때 대략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케이블 체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부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체인본체부의 바깥쪽 둘레면의 끝단에는 커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그 끝단이 상기 링크연결부의 회전중심보다는 길지 않게 형성되는 케이블 체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본체부의 안쪽 둘레면의 길이방향 양단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그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의 안쪽 둘레면이 겹쳐져 연결부위가 굴절될 수 있도록 굴절안내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굴절안내부의 끝단은 상기 링크연결부의 회전중심보다 짧게 형성되는 케이블 체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체인본체부의 양쪽 측방 둘레면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이웃하는 다른 체인본체부의 링크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길이방향 반대쪽에 각각 돌기와 구멍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케이블 체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이웃하는 다른 링크연결부가 안착되고 그 다른 링크연결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안내면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케이블 체인.
  8.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장고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와이어가 수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굴절되거나 펴지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체인은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KR1020090067965A 2009-07-08 2009-07-24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10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965A KR20110010409A (ko) 2009-07-24 2009-07-24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2/830,641 US8434837B2 (en) 2009-07-08 2010-07-06 Refrigerator
EP10168760.6A EP2284464B1 (en) 2009-07-08 2010-07-07 Refrigerator
CN2010102281533A CN101949628B (zh) 2009-07-08 2010-07-08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965A KR20110010409A (ko) 2009-07-24 2009-07-24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09A true KR20110010409A (ko) 2011-02-01

Family

ID=4377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965A KR20110010409A (ko) 2009-07-08 2009-07-24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4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8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조립방법
CN114370739B (zh) 冰箱
KR100906882B1 (ko) 냉장고,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및 냉장고 도어 정렬방법
US10712083B1 (en) Refrigerator
EP3239634B1 (en) Refrigerator
KR10159417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US8342619B2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US20150076985A1 (en) Refrigerator and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11255599B2 (en) Refrigerator
US10928123B2 (en) Refrigerator
KR102496370B1 (ko) 레일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1898792B2 (en) Refrigerator
KR20130039436A (ko) 냉장고
KR101861368B1 (ko) 냉장고
KR20110010413A (ko)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7011265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20110010409A (ko)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1543174B2 (en) Refrigerator
US11592233B2 (en) Refrigerator
US9939187B2 (en) Refrigerator
US10458695B2 (en) Refrigerator
KR20110019242A (ko) 냉장고의 댐핑 장치
KR101592310B1 (ko)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741072B1 (ko) 냉장고의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