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844B1 -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844B1
KR101593844B1 KR1020140190948A KR20140190948A KR101593844B1 KR 101593844 B1 KR101593844 B1 KR 101593844B1 KR 1020140190948 A KR1020140190948 A KR 1020140190948A KR 20140190948 A KR20140190948 A KR 20140190948A KR 101593844 B1 KR101593844 B1 KR 10159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lever
locking
locking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용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19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40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익스텐션 장치를 무단 방식으로 조절하도록 한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트쿠션에 고정된 록킹샤프트;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익스텐션플레이트; 및 익스텐션플레이트와 함께 이동되며, 익스텐션레버의 조작에 따라, 록킹샤프트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압박이 가해지거나 압박이 해제되어,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한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압박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APPARATUS FOR EXTENDING OF SEAT-CUSHION}
본 발명은 익스텐션 장치를 무단 방식으로 조절하도록 한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승객의 엉덩이와 허벅다리 등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시트는 통상 시트트랙을 따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차체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고정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레일에는 시트쿠션이 결합된다.
그리고, 시트쿠션의 전단에는 시트쿠션의 전후 길이를 승객의 신체에 적합하게 신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는 익스텐션장치가 설치되어, 시트쿠션의 전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쿠션베이스(10)의 상판(11)의 윗면에 베이스블록(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쿠션베이스(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익스텐션플레이트(20)에 플레이트블록(50)이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3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30)에 블록스프링(40)을 매개로 탄설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블록(50)의 밑면에 탄력적인 회전운동과 직선이동이 함께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록킹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록킹기구에 의해 베이스블록(30)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블록(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 및 해제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블록(50)에 탄력적인 회전운동과 직선이동이 함께 연동되어 동작하여 상기 록킹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록킹작동기구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익스텐션 장치는, 베이스블록에 형성된 록킹기어홈과 록킹브라켓에 형성된 록킹기어가 치합을 이루어 록킹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익스텐션플레이트가 상기한 기어의 치형으로 인해 일정 피치를 두고 이동되는바, 익스텐션플레이트의 미세한 무단 이동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1-0016566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익스텐션 장치를 무단 방식으로 이동 조절하도록 한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쿠션에 고정된 록킹샤프트;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익스텐션플레이트; 및 익스텐션플레이트와 함께 이동되며, 익스텐션레버의 조작에 따라, 록킹샤프트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압박이 가해지거나 압박이 해제되어,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한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압박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압박록킹수단은, 록킹샤프트에 삽입되어,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우징브라켓; 상기 록킹샤프트와 하우징브라켓 사이에서 익스텐션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우징브라켓과 함께 이동되는 릴리즈레버; 및 상기 록킹샤프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고, 일단부가 하우징브라켓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릴리즈레버에 지지되어, 릴리즈레버의 회전시 록킹샤프트를 감싸는 내경이 변화함으로써, 록킹샤프트의 외주면을 압박하거나 압박이 해제되어 록킹샤프트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록킹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작동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일단부에 레버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에 릴리즈레버의 단부가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록킹스프링은 록킹샤프트와 릴리즈레버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타단부에 제1스프링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스프링걸림부에 록킹스프링의 일단부가 삽입 지지되며; 상기 릴리즈레버의 단부 중간에 제2스프링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걸림부에 록킹스프링의 타단부가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록킹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 또는 나선형 형상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시트쿠션의 전단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 익스텐션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끼워져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익스텐션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전단에 마련되어, 회전 조작되는 익스텐션레버; 일단부가 익스텐션레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릴리즈레버에 연결되어, 익스텐션레버의 회전 조작력을 릴리즈레버에 전달하는 익스텐션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레버는 힌지핀에 의해 익스텐션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익스텐션레버의 회전 작동 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록킹샤프트에 압력을 가하는 작용만으로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 구간 내에서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이동 조절이 무단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게 되는바, 익스텐션 장치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익스텐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익스텐션 장치가 시트쿠션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익스텐션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익스텐션 장치에서 압박록킹수단의 결합 구성 및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전후 이동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익스텐션 장치에서 압박록킹수단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는, 크게 록킹샤프트(200)와, 익스텐션플레이트(300) 및 압박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록킹샤프트(200)는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로서, 시트쿠션(100)을 이루는 쿠션패널(100a)의 전단부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쿠션패널(100a)의 저면에 고정되면서 전단부가 시트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익스텐션플레이트(300)는, 시트쿠션(100)의 전단에 설치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출입 가능한 것으로, 후술하는 압박록킹수단의 작동을 통해 상기 록킹샤프트(20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압박록킹수단은, 상기 익스텐션플레이트(300)와 연결되어 록킹샤프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익스텐션레버(400)의 조작 여부에 따라, 록킹샤프트(200)에 록킹되거나 또는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익스텐션레버(400)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압박록킹수단에 의해 록킹샤프트(200)의 외면을 조이면서 록킹샤프트(200)에 압박이 가해져 록킹샤프트(200)에 대해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반대로 익스텐션레버(400)에 의한 익스텐션 조작시, 압박록킹수단에 의한 록킹샤프트(200)의 조여짐이 풀어지면서 압박이 해제되어, 록킹샤프트(200)에 대해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압박록킹수단을 이루는 요소들이 익스텐션플레이트(300)와 함께 록킹샤프트(200)를 따라 이동되고, 특히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고정을 원하는 위치에서 단지 록킹샤프트(200)에 압력을 가하는 작용만으로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전후방 위치를 규제하도록 함으로써, 록킹샤프트(200)의 길이방향 구간 내에서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이동 조절이 무단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게 되는바,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압박록킹수단은, 다시 하우징브라켓(210)과, 릴리즈레버(220) 및 록킹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브라켓(210)은, 상단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 형성된 대략 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록킹샤프트(200)에 삽입되어, 록킹샤프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릴리즈레버(220) 역시, 상단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 형성된 대략 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록킹샤프트(200)와 하우징브라켓(210) 사이에서 익스텐션레버(400)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하우징브라켓(210)과 함께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브라켓(210) 상단의 개구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에는 홈 형상의 레버걸림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릴리즈레버(220) 상단의 개구된 부분을 기준으로 릴리즈레버(2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레버걸림부(212)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릴리즈레버(2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레버걸림부(212)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릴리즈레버(220)의 단부가 하우징브라켓(210)에 대해 개구된 방향을 향하여 상대 회전이 허용되면서, 하우징브라켓(210)에 대해 단독 이동이 불가하게 되고, 이에 하우징브라켓(210)과 함께 록킹샤프트(20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특히, 록킹스프링(230)은, 록킹샤프트(200)와 릴리즈레버(220) 사이에서 상기 록킹샤프트(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이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록킹스프링(230)은 그 일단부가 하우징브라켓(210)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릴리즈레버(220)에 지지된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브라켓(210)의 상단 개구된 부분을 기준으로 타측 단부 전단 및 후단에 홈 형상의 제1스프링걸림부(214)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스프링걸림부(214)에 록킹스프링(2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록킹스프링(230)이 록킹샤프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있는바, 각 록킹스프링(230)의 일단부가 각 제1스프링걸림부(214)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리즈레버(220)의 단부 중간에는 홀 형상으로 제2스프링걸림부(224)가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걸림부(224)에 록킹스프링(230)의 타단부가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익스텐션레버(400)의 조작에 의해 릴리즈레버(220)가 회전하면, 록킹스프링(230)의 탄성력이 변화하면서 록킹샤프트(200)를 감싸는 록킹스프링(230)의 내경이 변화한다. 따라서, 록킹스프링(230)이 록킹샤프트(200)의 외주면에 마찰되거나 혹은 마찰이 해제되면서 록킹스프링(230)이 록킹샤프트(200)를 압박하여 록킹샤프트(200)에 록킹되거나, 또는 록킹스프링(230)에 의한 록킹샤프트(200)의 압박이 해제되어 록킹샤프트(200)에 언록킹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브라켓(210)의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작동스프링(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스프링(24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록킹샤프트(200)의 후단부와 하우징브라켓(210)의 사이에서 록킹샤프트(200)에 삽입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하우징브라켓(210)의 후단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짧은 직경을 갖는 단차부(210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록킹샤프트(200)의 후단부에는 외주면에 플랜지(20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작동스프링(240)의 전단이 상기 단차부(210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작동스프링(240)의 후단이 상기 플랜지(200a)에 지지됨으로써, 익스텐션 작동에 의한 하우징브라켓(210)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동스프링(240)이 하우징브라켓(210)을 전방으로 이동하는 작동력을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록킹샤프트(20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 또는 나선형 형상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록킹스프링(230)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 변화에 따라 록킹스프링(230)의 내주면이 록킹샤프트(200)의 외주면에 강하게 마찰되면서 록킹작동되는 것인바, 록킹샤프트(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에 록킹샤프트(200)가 일부 걸려지게 되면서, 록킹샤프트(200)에 대한 록킹스프링(230)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이에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록킹 작동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익스텐션플레이트(300)는 레일 구조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110) 및 익스텐션레일(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쿠션패널(100a)의 전단 양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0)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에,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112)이 길게 형성되고,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익스텐션레일(310)은, 익스텐션플레이트(300)에 연결되어 익스텐션플레이트(300)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레일홈(112) 내부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양측 익스텐션레일(310) 사이에 지지플레이트(320)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20)에 익스텐션플레이트(300)가 지지 및 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20)의 전단에는 익스텐션레버(4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압박록킹수단에 의해 록킹샤프트(200)와의 록킹이 해제되면, 지지플레이트(320)를 매개로 익스텐션플레이트(300)와 연결된 익스텐션레일(310)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이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익스텐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익스텐션레버(400)의 회전 조작력을 익스텐션케이블(430)에 의해 릴리즈레버(2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전단에 익스텐션레버(4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레버(400)는 지지플레이트(320)의 전단에 구비되는바,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상기 익스텐션레버(400)는 힌지핀(420)에 의해 익스텐션플레이트(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320)의 상면에 레버브라켓(410)이 고정되고, 상기 레버브라켓(410)의 양단을 관통하여 힌지핀(420)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420)에 익스텐션레버(400)의 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익스텐션레버(400)의 전단에는 익스텐션 조작을 위한 조작부(400a)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스토핑부(400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핑부(400b)는 레버브라켓(410)의 상단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익스텐션레버(40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익스텐션케이블(430)은, 일단부가 익스텐션레버(4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릴리즈레버(220)의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걸림부(222)에 연결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익스텐션레버(400)의 조작부(400a)를 당겨 회전 조작하면, 익스텐션레버(400)의 회전 조작력이 익스텐션케이블(430)을 통해 릴리즈레버(220)에 전달되면서, 릴리즈레버(220)의 단부가 당겨져 회전되고, 이에 록킹스프링(230)의 내경이 증대되는바, 록킹샤프트(200)를 잡고 있던 록킹스프링(230)의 마찰 압력이 제거되면서 록킹샤프트(200)와의 록킹 작동이 해제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익스텐션레버(400)의 회전 작동 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복원스프링(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버복원스프링(440)의 일단부가 익스텐션레버(400)의 조작부(400a)에 걸려지고, 타단부가 레버브라켓(410)의 전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익스텐션레버(400)에 의한 익스텐션 회전 조작시 레버복원스프링(440)에는 익스텐션레버(4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제공되는바, 익스텐션레버(400)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힘을 제거하면 레버복원스프링(4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익스텐션레버(400)가 복귀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익스텐션레버(400)의 조작에 의해 릴리즈레버(220)가 회전시키면, 록킹스프링(230)의 내경의 길이 변화하면서 록킹스프링(230)이 록킹샤프트(200)의 외주면에 마찰되거나 혹은 마찰이 해제되어, 록킹스프링(230)이 록킹샤프트(200)에 록킹되거나 언록킹된다.
따라서,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고정을 원하는 위치에서 록킹스프링(230)에 의해 록킹샤프트(200)에 압력을 가하는 작용만으로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전후방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록킹샤프트(200)의 길이방향 구간 내에서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이동 조절이 무단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익스텐션플레이트(3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게 되는바, 익스텐션 장치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시트쿠션 100a : 쿠션패널
110 : 가이드레일 112 : 레일홈
200 : 록킹샤프트 210 : 하우징브라켓
212 : 레버걸림부 214 : 제1스프링걸림부
220 : 릴리즈레버 224 : 제2스프링걸림부
230 : 록킹스프링 240 : 작동스프링
300 : 익스텐션플레이트 310 : 익스텐션레일
320 : 지지플레이트 400 : 익스텐션레버
410 : 레버브라켓 420 : 힌지핀
430 : 익스텐션케이블 440 : 레버복원스프링

Claims (9)

  1. 시트쿠션에 고정된 록킹샤프트;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익스텐션플레이트; 및
    익스텐션플레이트와 함께 이동되며, 익스텐션레버의 조작에 따라, 록킹샤프트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압박이 가해지거나 압박이 해제되어,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한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압박록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록킹수단은,
    록킹샤프트에 삽입되어, 록킹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우징브라켓;
    상기 록킹샤프트와 하우징브라켓 사이에서 익스텐션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우징브라켓과 함께 이동되는 릴리즈레버; 및
    상기 록킹샤프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삽입되고, 일단부가 하우징브라켓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릴리즈레버에 지지되어, 릴리즈레버의 회전시 록킹샤프트를 감싸는 내경이 변화함으로써, 록킹샤프트의 외주면을 압박하거나 압박이 해제되어 록킹샤프트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록킹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작동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일단부에 레버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걸림부에 릴리즈레버의 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스프링은 록킹샤프트와 릴리즈레버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타단부에 제1스프링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스프링걸림부에 록킹스프링의 일단부가 삽입 지지되며;
    상기 릴리즈레버의 단부 중간에 제2스프링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걸림부에 록킹스프링의 타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 또는 나선형 형상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전단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레일;
    익스텐션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끼워져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익스텐션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익스텐션플레이트의 전단에 마련되어, 회전 조작되는 익스텐션레버;
    일단부가 익스텐션레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릴리즈레버에 연결되어, 익스텐션레버의 회전 조작력을 릴리즈레버에 전달하는 익스텐션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레버는 힌지핀에 의해 익스텐션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익스텐션레버의 회전 작동 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장치.
KR1020140190948A 2014-12-26 2014-12-26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KR10159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948A KR101593844B1 (ko) 2014-12-26 2014-12-26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948A KR101593844B1 (ko) 2014-12-26 2014-12-26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844B1 true KR101593844B1 (ko) 2016-02-15

Family

ID=5535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948A KR101593844B1 (ko) 2014-12-26 2014-12-26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84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690B1 (ko)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US9481266B2 (en) Vehicle seat rail locking device
US10220732B2 (en) Mechanical seat position detection
KR10167333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CN109501642A (zh) 用于车辆座椅的导轨以及包括该导轨的车辆座椅
WO2012096357A1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シート装置
US20060197365A1 (en) Cable operated slider for vehicles seats
CN103909845A (zh) 线缆同步系统
KR101743428B1 (ko) 자동 퇴축 및 완충 장치
CN107810136B (zh) 具有机电固定设备的转向管柱
US9132756B1 (en) Head restraint assemblies
US9297188B2 (en)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 doors, seats, or backrests with anti-rattle function
KR101518644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EP1955922B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54996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1593844B1 (ko)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US10081271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KR101593817B1 (ko)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GB2498863A (en) Adjus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seat
JP6289932B2 (ja) 車両用スライドシート装置
KR10192606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장치
KR20170131027A (ko) 싱글 메모리 이지 엔트리 시스템
CN112009317A (zh) 交通工具座椅折叠机构
KR101716971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801973B1 (ko) 푸시형 록킹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