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667B1 -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667B1
KR101592667B1 KR1020140010983A KR20140010983A KR101592667B1 KR 101592667 B1 KR101592667 B1 KR 101592667B1 KR 1020140010983 A KR1020140010983 A KR 1020140010983A KR 20140010983 A KR20140010983 A KR 20140010983A KR 101592667 B1 KR101592667 B1 KR 10159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diator
fuel cell
anode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390A (ko
Inventor
나성욱
정세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6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에서의 방열량을 증가시키고 방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 라인을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에서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출구 측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모아져 저장되는 애노드 워터트랩의 응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까지 연결되는 물 공급라인과; 상기 애노드 워터트랩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를 상기 라디에이터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물 공급라인에 구비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서 응축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응축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차단을 위해 구비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f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에서의 방열량을 증가시키고 방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차량에 구축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은, 반응기체(연료인 수소와 산화제인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과,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인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와, 연료전지 스택에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연료전지 스택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운전온도를 최적으로 제어하고 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열 및 물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연료전지 스택은 반응기체인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 과정에서 반응부산물로 열과 물을 배출하며,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이 최적의 출력성능을 낼 수 있도록 시동시나 운전 중에는 스택 온도를 최적의 온도로 관리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시동시의 경우 스택 온도를 신속히 상승시키고 운전 중에는 스택 온도를 최적의 운전온도로 유지시키는 열 관리 시스템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에서 냉각수 루프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의 발전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라디에이터(2), 연료전지 스택(1)과 라디에이터(2) 사이에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냉각수 라인(3), 라디에이터(2)를 통과하지 않도록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라인(4) 및 3-웨이 밸브(5), 냉각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워터펌프(6), 스택 웜업을 위해 냉각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히터(7)를 포함한다.
또한,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냉각수에 존재하는 이온을 필터링하는 이온필터(De-Mineralizer, DMN)(9)가 냉각수 루프의 별도 분기라인(8)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열 관리 시스템에서는 라디에이터(2) → 3-웨이 밸브(5) → 워터펌프(6) → 히터(7)→ 연료전지 스택(1)의 경로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면서 스택 발전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수송용 연료전지(PEFMC:Polymer Electrolyte Fuel Cell)의 경우, 운전온도가 낮으므로 큰 방열면적을 갖는 라디에이터가 사용되고 있지만, 혹서기에는 연료전지 스택의 발열량에 비해 라디에이터의 방열량이 부족한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택 출구의 냉각수 온도가 고온이 되어 설정온도에 도달할 경우, 연료전지 제어유닛(Fuel Cell Control Unit, FCU)이 연료전지 스택을 보호하기 위해 스택의 전류 출력을 제한하여 냉각수 온도가 더 이상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를 고온 전류 제한이라 한다.
혹서기에 차량의 급가속, 고출력 운전이 지속되거나(예, 고속도로 주행시나 등판로 주행시) 냉각수 유량 및 방열량이 부족하면 냉각수가 고온으로 상승하여 고온 전류 제한이 수시로 발생하며, 이러한 전류 제한시에는 가속페달을 밟아도 스택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고온 전류 제한의 잦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방열량을 증대시켜야 하므로 라디에이터의 방열면적을 더욱 증가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이는 차량 레이아웃 특성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료전지 스택의 정상적인 운전온도는 내연기관의 운전온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므로 연료전지 차량의 라디에이터는 상대적으로 높은 방열성능을 필요로 한다.
이에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이미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전열면적과 부피가 큰 대용량의 라디에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라디에이터의 추가적인 전열면적 증대나 고전압 냉각팬의 용량 증대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연료전지 차량을 위해 개발된 대용량의 라디에이터 역시 방열량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더불어, 차량 전방 개구부인 라디에이터 그릴의 통기면적을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연료전지 차량에서 더욱 크게 하고, 연료전지 스택 모듈을 라디에이터 모듈 바로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으나, 이 역시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바람이 스택 모듈을 통과하지 못하고 바운드(Bound) 되면서 통기 저항이 상시 발생하므로 전열면적의 증대 효과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고성능/고유량의 펌프를 사용하여 펌프 유량을 늘림으로써 방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나, 연료전지 스택의 구조상 펌프의 고유량 운전시 스택의 내압 수준을 넘어설 경우 스택 자체에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펌프 유량을 늘리는 방법에도 한계가 있다.
현재 펌프 유량을 늘리는 방법은 이미 운전 가능한 한계점에 도달해 있으며, 펌프 유량을 추가로 늘릴 경우 냉각수 토출압 상승으로 스택의 기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에서의 방열량을 증가시키고 방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성능 개선을 통해 연료전지 차량의 고온 전류 제한 도달 시간 지연 및 전류 제한 시간 축소가 가능하고 전류 제한 모드의 진입 빈도를 줄여 차량 성능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 라인을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에서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출구 측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모아져 저장되는 애노드 워터트랩의 응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까지 연결되는 물 공급라인과; 상기 애노드 워터트랩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를 상기 라디에이터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물 공급라인에 구비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서 응축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응축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차단을 위해 구비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물 공급라인은 애노드 워터트랩에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라디에이터 측으로 연결되는 관로일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밸브가 배수라인에서 물 공급라인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3-웨이 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라인은 애노드 워터트랩의 출구에 연결되어 라디에이터 측으로 연장되는 관로일 수 있다.
이때, 컨트롤 밸브는 애노드 워터트랩의 출구 또는 물 공급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가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 응축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여 정해진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가 상기 컨트롤 밸브를 개방하여 응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열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운전시 방열량이 부족한 혹서기 고출력 운전 조건에서 애노드 워터트랩의 응축수를 라디에이터 표면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증발열(기화열, 증발잠열)에 의한 라디에이터에서의 방열량 증가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라디에이터 방열량 및 방열성능 부족 현상이 해소될 수 있고, 고온 전류 제한 조건의 온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냉각수 온도 상승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결국, 연료전지 차량의 전류 제한 도달 시간 지연 및 전류 제한 시간 축소가 가능하고, 고온 전류 제한 모드의 진입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라디에이터의 효율 증가로 라디에이터의 부피 축소 및 중량 저감, 원가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성능 펌프를 개발하여 유량을 늘리는 방법에 비해 개발비 축소, 스택 기밀 문제 발생 우려 감소의 이점이 있으며, 항상 적합한 냉각수 온도 및 압력에서 스택 운전이 가능하여 스택 내구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응축수 강제 펌핑을 위한 별도의 분사펌프 없이 물 공급라인과 컨트롤 밸브, 분사노즐의 간단한 구성 추가만으로 방열성능의 증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에서 냉각수 루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류 제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관리 시스템에서 라디에이터 표면에 응축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에서의 방열량을 증가시키고 방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라디에이터에 분사함으로써 증발열에 의한 라디에이터에서의 방열량 극대화를 도모하는 점에 주된 특징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에서는 애노드 출구를 통해 상당량의 물이 배출되고, 상기 애노드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애노드 출구 측에 설치된 워터트랩(Water Trap)에 모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애노드 워터트랩 내부에 모인 스택 응축수가 분사노즐을 통해 라디에이터 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주행풍 또는 냉각팬에 의해 강제 흡입된 공기가 라디에이터를 통과할 때 물의 증발열에 의해 라디에이터의 방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운전시 발생한 스택 응축수가 애노드 워터트랩에 모여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스택 응축수를 라디에이터에 분사하도록 구성할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및 워터트랩 내부가 대기압에 비해 높은 상시 가압 상태이므로, 응축수 분사를 위한 별도의 응축수 강제 펌핑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응축수 강제 펌핑 장치, 예컨대 응축수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분사펌프가 필요 없게 되므로, 응축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부피 및 중량 축소,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분명한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연료전지 스택(1), 애노드 워터트랩(21), 수소 재순환 장치(1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관리 시스템에서 라디에이터(2) 표면에 응축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25)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라디에이터(2), 연료전지 스택(1)과 라디에이터(2) 사이에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냉각수 라인(3), 라디에이터(2)를 통과하지 않도록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라인(4) 및 3-웨이 밸브(5), 냉각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워터펌프(6), 스택 웜업을 위해 냉각수 온도를 승온시키는 히터(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냉각수에 존재하는 이온을 필터링하는 이온필터(9)가 설치된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열 관리 시스템과 더불어 연료전지 스택(1)에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미도시된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이는 반응기체인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공기공급라인(11)을 통해 캐소드 입구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1)으로 공급한다.
더불어, 연료전지 시스템은 반응기체 중 연료인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이는 미도시된 수소공급부의 고압 수소를 수소공급라인(12) 및 애노드 입구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1)으로 공급한다.
또한, 스택(1)의 애노드 출구에 연결된 배기라인(13)에는 수소 퍼지를 위한 퍼지밸브(14)가 구비되며, 퍼지밸브(14)를 주기적으로 개폐 제어하여 스택의 애노드에 축적된 질소 및 물을 배기라인(13)을 통해 배출시킨다.
또한, 수소 재순환 장치(15)는 스택(1)의 애노드 출구 및 배기라인(13)을 통해 배출되는 미반응 수소(실제는 수소와 질소, 물이 혼합된 혼합가스임)를 스택의 애노드 입구 측으로 재순환시켜 재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배기라인(13)에서 분기되어 수소공급라인(12)으로 연결된 재순환 라인(16)상에 설치되는 재순환 블로워(17)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수소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압 수소가 고속으로 통과할 때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재순환 라인(16)을 통해 애노드의 미반응 수소를 흡입하는 이젝터(18)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젝터(18)에 의해 흡입되는 미반응 수소가 수소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신 수소와 혼합된 상태로 스택(1)의 애노드로 공급되어 수소 재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에는 재순환 블로워(17)와 이젝터(18)를 함께 사용하는 시스템이 예시되어 있으나, 재순환 블로워만 구비되거나 이젝터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젝터는 단수로 설치되거나 복수의 이젝터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애노드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 스택(1)의 애노드 출구 측에는 워터트랩(21)이 설치되며, 워터트랩(21)에서는 애노드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저장한 뒤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지면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워터트랩(21) 내에서 스택(1)의 애노드 출구를 통해 배출된 혼합가스(스택 배출가스)로부터 물이 분리되어 저장되고, 워터트랩(21)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물(응축수)이 채워지면, 연료전지 제어유닛(FCU)(미도시)이 드레인 밸브(23)를 개방하여 저장된 물을 배수라인(2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워터트랩(21)에서 액적이 제거된 혼합가스는 수소 재순환 장치(15)에 의해 재순환되어 수소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신 수소와 섞인 뒤 스택(1)의 애노드에 재투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워터트랩(21)에서 물이 배출되는 배수라인(22)으로부터 응축수 분사를 위한 물 공급라인(24)을 분기하여 라디에이터(2) 측으로 연결하고, 물 공급라인(24)의 끝단에는 워터트랩(21)에서 공급되는 물을 라디에이터(2)의 표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25)을 설치한다.
이때, 분사노즐(25)은 물 공급라인(24)에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라인(24)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23)가 설치된 배수라인(22)에서 분기되어 라디에이터(2) 측까지 연결되는 관로가 될 수 있지만, 배수라인(22)에서 분기되는 것이 아닌, 애노드 워터트랩(21)로부터 직접 라디에이터(2) 측까지 연결되는 관로가 될 수 있다.
즉, 워터트랩(21)에 별도 출구를 형성한 뒤, 상기 출구에 물 공급라인을 연결하여 라디에이터(2) 측까지 연장하고, 이러한 물 공급라인의 끝단에 분사노즐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라디에이터(2)의 방열량이 부족할 경우에만 워터트랩(21) 내 응축수를 라디에이터(2) 표면에 분사하는 응축수 분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워터트랩(21) 내 응축수가 분사노즐(25)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그리고 응축수가 분사노즐(25)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상기 물 공급라인(24)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컨트롤 밸브(26)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밸브(26)는 미도시된 제어부, 즉 연료전지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전자식 밸브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컨트롤 밸브(26)가 배수라인(22)과 물 공급라인(24)의 분기점에 3-웨이 밸브(5)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밸브(26)가 분기점에 3-웨이 밸브(5)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배수라인(22)을 통해 워터트랩(21) 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연료전지 제어유닛은, 드레인 밸브(23)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수라인(22)의 하류측 배수 유로를 개방하고 물 공급라인(24)의 유로는 차단하도록 컨트롤 밸브(26)를 제어한다.
반면, 워터트랩(21) 내 응축수를 라디에이터(2) 표면에 분사하고자 할 때, 연료전지 제어유닛은, 드레인 밸브(23)를 개방함과 동시에, 물 공급라인(24)의 유로는 개방하고 배수라인(22)의 하류측 배수 유로는 차단하도록 컨트롤 밸브(26)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 밸브(26)가 물 공급라인(24) 측을 개방할 경우, 워터트랩(21) 내에 저장된 응축수가 물 공급라인(24)을 따라 분사노즐(25)로 공급되어 라디에이터(2) 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워터트랩(21)의 출구에서 직접 라디에이터(2) 측까지 물 공급라인(24)을 연결하는 실시예의 경우,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컨트롤 밸브(26)가 워터트랩(21)의 출구 또는 물 공급라인(24)에 설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의 운전시에 스택의 애노드 및 애노드 워터트랩(21)의 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압에 비해 항상 높은 가압 상태를 유지하는데, 그 압력에 의해 드레인 밸브(23)와 컨트롤 밸브(26)가 개방될 경우 워터트랩(21) 내 응축수가 물 공급라인(24)을 통해 분사노즐(25)로 압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 분사펌프와 같은 응축수 강제 펌핑 장치 없이도 워터트랩(21) 내 응축수를 분사노즐(25)을 통해 라디에이터(2)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1)의 애노드 측 가변 압력 제어가 적용되는 시스템, 즉 유량조절밸브 등을 이용하여 연료 공급압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에서는 응축수 분사 조건에서 스택 내 연료압을 상승시켜 응축수 분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스택 애노드 측의 연료압을 높여 워터트랩(21) 내 압력(액면 위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응축수 공급압을 상승시켜 분사노즐(25) 내 압력을 높일 수 있는바, 분사노즐 내 압력이 높을수록 분사 폭 및 길이 증가, 액적 미립화 등과 같이 분사 특성의 증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료전지 제어유닛은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응축수 분사가 필요한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 드레인 밸브(23)를 개방함과 동시에 물 공급라인(24) 측이 개방되도록 컨트롤 밸브(2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냉각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에서 라디에이터(2) 표면으로 애노드 워터트랩(21)의 응축수를 분사하여 라디에이터(2)의 방열량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스택 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낮추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열 관리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차량 운전시 방열량이 부족한 혹서기 고출력 운전 조건에서 애노드 워터트랩(21)의 응축수를 라디에이터(2) 표면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증발열(기화열, 증발잠열)에 의한 라디에이터(2)에서의 방열량 증가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라디에이터 방열량 및 방열성능 부족 현상이 해소될 수 있고, 고온 전류 제한 조건의 온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냉각수 온도 상승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결국, 연료전지 차량의 전류 제한 도달 시간 지연 및 전류 제한 시간 축소가 가능하고, 고온 전류 제한 모드의 진입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라디에이터의 효율 증가로 라디에이터의 부피 축소 및 중량 저감, 원가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성능 펌프를 개발하여 유량을 늘리는 방법에 비해 개발비 축소, 스택 기밀 문제 발생 우려 감소의 이점이 있으며, 항상 적합한 냉각수 온도 및 압력에서 스택 운전이 가능하여 스택 내구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응축수 강제 펌핑을 위한 별도의 분사펌프 없이 물 공급라인과 컨트롤 밸브, 분사노즐의 간단한 구성 추가만으로 방열성능의 증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연료전지 스택 2 : 라디에이터
3 : 냉각수 라인 4 : 바이패스 라인
5 : 3-웨이 밸브 6 : 워터펌프
7 : 히터 9 : 이온필터
11 : 공기공급라인 12 : 수소공급라인
13 : 배기라인 14 : 퍼지밸브
15 : 수소 재순환 장치 16 : 재순환 라인
17 : 재순환 블로워 18 : 이젝터
21 : 워터트랩 22 : 배수라인
23 : 드레인 밸브 24 : 물 공급라인
25 : 분사노즐 26 : 컨트롤 밸브

Claims (7)

  1.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 라인을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에서 방출하도록,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 출구 측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모아져 저장되는 애노드 워터트랩의 응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까지 연결되는 물 공급라인과; 상기 물 공급라인에 구비되어 애노드 워터 트랩으로 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를 라디에이터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서 응축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응축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차단을 위해 구비되는 컨트롤 밸브; 및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한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가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 응축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여 정해진 기준온도에 도달할 때, 상기 컨트롤 밸브를 개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 동안 대기압 보다 높은 가압 상태로 유지되는 애노드 워터트랩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라디에이터의 표면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라인은 애노드 워터트랩에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라디에이터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컨트롤 밸브가 배수라인에서 물 공급라인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3-웨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라인은 애노드 워터트랩의 출구에 연결되어 라디에이터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컨트롤 밸브가 애노드 워터트랩의 출구 또는 물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10983A 2014-01-29 2014-01-29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KR10159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83A KR101592667B1 (ko) 2014-01-29 2014-01-29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83A KR101592667B1 (ko) 2014-01-29 2014-01-29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90A KR20150090390A (ko) 2015-08-06
KR101592667B1 true KR101592667B1 (ko) 2016-02-12

Family

ID=5388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983A KR101592667B1 (ko) 2014-01-29 2014-01-29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975B1 (ko) * 2017-03-31 202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KR102410516B1 (ko) * 2017-04-26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냉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959097B2 (ja) * 2017-10-16 2021-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システム
JP7087770B2 (ja) * 2018-07-23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24080413A1 (ko) * 2022-10-14 2024-04-1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연료전지 건설기계의 냉각시스템
CN117936839A (zh) * 2024-03-22 2024-04-26 武汉海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多路循环冷却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7323A (ja) 2001-06-21 2003-01-1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030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연료압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7323A (ja) 2001-06-21 2003-01-1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90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667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열 관리 시스템
CN205900704U (zh) 燃料电池的排氢系统
EP1568094B1 (en) Fuel cell system
WO2016013304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60380282A1 (en) Fuel cell system
US10882392B2 (en) Fuel cell system
WO2016013333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0858654B (zh) 燃料电池系统
JP2011040401A (ja) 燃料電池冷却装置
KR20160058000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0608263B2 (en) Coolant bypass structure
KR20150032367A (ko) 이젝터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1776414B1 (ko) 연료전지 냉각 시스템
JP200724228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416397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
US20180277867A1 (en) Time-controlled cartridge heater for fuel cell knock out drain
US20200321637A1 (en) Fuel cell system
KR20180075908A (ko) 연료전지용 가습냉각 장치
US9831509B2 (en) Separating device for a fuel cell system, fuel cell system with the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parating device
KR101129196B1 (ko)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 시스템
JP200610010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移動体
CN113013445B (zh) 燃料电池系统及其吹扫方法
KR20150070882A (ko) 이젝터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1673769B1 (ko) 연료전지용 공기 가습 장치 및 방법
CN104733751B (zh) 用于控制氢排放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