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496B1 -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496B1
KR101592496B1 KR1020140178748A KR20140178748A KR101592496B1 KR 101592496 B1 KR101592496 B1 KR 101592496B1 KR 1020140178748 A KR1020140178748 A KR 1020140178748A KR 20140178748 A KR20140178748 A KR 20140178748A KR 101592496 B1 KR101592496 B1 KR 10159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mobile web
calling
compatible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경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4017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3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r coping with limited storage space, e.g. in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72Access to data in other repository systems, e.g. legacy data or dynamic Web p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7Printer code translation, conversion, emulation, compression; Configuration of printer parameters
    • G06F3/1298Printer language recognition, e.g. programme control language, page description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7Embedded application
    • G06F2212/171Portable consumer electronics, e.g. mobile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65Details of virtual memory and virtual address translation
    • G06F2212/655Same pa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가, 서로 다른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구동하는 호출 단말기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 단말기를 호출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를 호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하여,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가지면서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상단 및 하단의 구성만을 동일하게 포함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웹 브라우징을 시작한 모바일 웹 페이지 출처에 관한 혼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Appratus for generating mobile web page having interface compatibility and system for providing it}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호출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상단 및 하단을 포함하여 일관성 있는 화면 구성을 유지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 곳곳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고 모바일 기기가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 뿐만 아니라 다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있다. 때와 장소를 불문한 인터넷 접속 기회의 증대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상생활에서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공공기관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정부는 전자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축이라는 구호아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지침을 마련하였다. 상기 지침에 따라, 모바일 전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모바일 웹 사이트가 만들어 지고 있다. 이러한 공공기관 모바일 웹 사이트는 자체 컨텐츠 이외에, 타 모바일 웹 사이트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타 모바일 웹 사이트에 포함된 모바일 웹 페이지들을 제공해 주는 것은, 사용자에게 우수한 타 모바일 웹 페이지를 공동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타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업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홍보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공기관과 기업들에게 상호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공공기관의 모바일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터치 등으로 타 모바일 웹 페이지를 호출할 때, 사용자들은 자신이 어떤 모바일 웹 사이트에서 출발하였는지 그 출처를 혼동하기도 한다. 이것은
현재 자신이 보고 있던 모바일 웹 페이지에서 호출되는 모바일 웹 페이지로 바뀌는 현상 때문에, 모바일 웹 사이트를 계속 찾아가는 동안 혼란이 오기 때문이다. 이에, 출원인은 타 모바일 웹 페이지가 호출될 때, 사용자가 출발한 처음 모바일 웹 사이트의 출처를 분명히 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시작한 모바일 웹 사이트의 출처혼동을 방지하기 위한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및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관련 선행기술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4-0078676호(웹 페이지의 맞춤 최적화 기법)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출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구성과 동일하고 컨텐츠만 상이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호출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구성에 따른 함수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프로그래밍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가, 서로 다른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구동하는 호출 단말기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 단말기를 호출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를 호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하여,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에 상응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 집합인 라이브러리를 추출하고, 상기 라이브러리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상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헤더 및 하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정의된 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항목명을 가지는 복수의 항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항목 버튼의 개수에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수는 상기 항목 버튼의 유무, 상기 항목 버튼의 항목명, 상기 항목 버튼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URL 및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선택 항목 버튼의 항목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프레임은 카테고리 및 검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검색 버튼의 유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호출 단말기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의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 단말기가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구동 중에,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 받은 항목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에 기 저장된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되어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구동하는 호출 단말기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출 단말기를 호출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전송받고,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를 호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전송받는 호출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출처를 나타내는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하여,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지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 및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가 호출될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구동하고,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구동 중에,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받은 항목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호출하며,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에 기 저장된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되어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가지면서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상단 및 하단의 구성만을 동일하게 포함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웹 브라우징을 시작한 모바일 웹 페이지 출처에 관한 혼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작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개발유지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모바일 웹페이지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모바일 웹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중 헤더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페이지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구성에 상응하는 함수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중 호출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과정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는 호출 단말기(210)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를 포함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200)과 연결되어 있다.
호출 단말기(21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구동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상세하게, 호출 단말기(210)는 자체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웹 페이지 뿐만 아니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에 저장된 모바일 웹 페이지를 불러들여서 호출 단말기(210)로 디스플레이한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보유하고 호출 단말기(210)에 보유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상세하게,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는 호출 단말기(210)의 호출을 받으면, 자체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웹페이지를 호출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호출 단말기(210)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는 모바일 통신 전용 웹 페이지를 대상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출 단말기(210)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는 모바일 통신(모바일 기기가 사용하는 통신) 방법 즉, 이동성을 가진 기기들의 통신 방법인 이동통신(3G, 4G, Wi-fi)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호출 단말기(210)는 모바일 웹 페이지의 제공 보다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를 호출하여 저장된 호환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구동하는 PDA, 스마트폰 및 태블릿(Tablet)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모바일 통신 전용 웹 페이지를 구현할 수 있는 기기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는 모바일 웹 페이지의 구동 보다는 호출 단말기(210) 또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의 호출시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 웹 페이지는 모바일 기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내의 웹 브라우저에 최적화된 웹 페이지를 의미한다. 모바일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의 기술을 통해 일반 웹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상기 모바일 기기에 보여진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웹 브라우저는 사파리(safari), 크롬(chrome), 오페라(opera)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웹 페이지는 호출 단말기(210)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에서 각각 저장 또는 구현되는데, 호출 단말기(210)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라고,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라고 정의한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310a)을 적용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라고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모바일 웹페이지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모바일 웹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중 헤더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구성 및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중 헤더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는 서울시청의 모바일 웹 사이트(m.seoul.go.kr)를 예시로 한다.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는 호출 단말기(210)가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로서, 헤더(311a), 푸터(313a) 및 컨텐츠(320a)로 구성된다.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은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가 어떤 모바일 웹 사이트에서 비롯되었는지 표시하여 사용자가 어디서부터 모바일 웹 브라우징을 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헤더(311a) 및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푸터(313a)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을 구성한다.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헤더(311a)는 모바일 웹 사이트 이름인 카테고리(410), 로그인 버튼(420), 검색 버튼(430) 또는 전체 항목 버튼(440) 등의 사용자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푸터(313a)는 로그인 버튼, 일반 웹 페이지 전환 버튼, 이용안내 버튼, 최상단 이동의 스크롤 이동 버튼 또는 언어선택 버튼 등의 모바일 웹 페이지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헤더(311a)는 사용자 설정 기능을 나타내는 버튼 하단에 각 카테고리(410)에 따른 컨텐츠를 구분해놓은 항목 버튼(45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컨텐츠(320a)는 각 모바일 웹 페이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웹 브라우징 하는 동안,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컨텐츠(320a)는 바뀌지만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헤더(311a) 및 푸터(313a)는 변경되지 않고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출처를 나타낸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기본 프레임(310b)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가 어떤 모바일 웹 사이트에서 비롯되었는지 표시한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헤더(311b)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푸터(313b)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기본 프레임(310b)을 구성한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헤더(311b), 푸터(313b) 및 컨텐츠(320b)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헤더(311a), 푸터(313a) 및 컨텐츠(320a)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헤더(311b), 푸터(313b) 및 컨텐츠(320b)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헤더(311a), 푸터(313a) 및 컨텐츠(320a)로 대체되어,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로 생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가 보유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에 호출 단말기(210)가 보유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310a)을 포함시켜서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지는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는 호출 단말기(210)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를 각각 호출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를 전송받아 가공하여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는 호출부(110), 추출부(120), 생성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호출부(110)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와 외부의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200) 사이에 정보 송수신을 담당한다. 호출부(110)는 호출 단말기(210)를 호출하여 호출 단말기(210)에서 구동되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를 호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에서 구동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를 각각 전송받는다. 호출부(110)는 전송받은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를 추출부(120)로 전달한다.
호출부(110)는 생성부(130)에서 생성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독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로 전송한다.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로 전송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는 호출 단말기(210)에 의해서 호출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추출부(120)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를 호출부(110)로부터 전달받고,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로부터 기본 프레임(310a) 정보를 추출하며, 기본 프레임(310a) 정보로부터 라이브러리를 추출한다. 추출부(120)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121) 및 기본 프레임(310a) 정보로부터 라이브러리를 추출하는 라이브러리 추출부(123)를 포함한다. 추출부(120)는 추출된 상기 라이브러리를 생성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프로그래밍 명령어들로 구성된 함수들의 집합으로서, 일정 기능별로 자주 쓰이는 함수들을 모아 놓은 것이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의 구성에 따라 상이한 함수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함수들의 구성은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생성부(130)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 정보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적용하여,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생성한다. 상세하게, 생성부(130)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에 상응하는 라이브러리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프로그래밍한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부(130)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소스 중 일부에 상기 라이브러리를 삽입코딩하여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생성한다.
저장부(140)에는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가 저장되고, 호출부(110)는 필요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독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로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페이지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러 가지의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의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는 서울시청의 모바일 웹 사이트(m.seoul.go.kr)를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로 하고,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서울시청의 모바일 웹 사이트(m.seoul.go.kr)의 기본 프레임(310a)을 적용한 것이다.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는 상단에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헤더(311a)와 동일한 버스, 지하철, 도로소통, 최단경로와 같은 항목 버튼(450)을 포함하고, 각 항목 버튼(450)에 상응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를 컨텐츠(320b)로 포함하고 있다. 상세하게, 호출 단말기(210)는 사용자로부터 지하철이라는 항목을 선택받으면,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로부터 서울시청의 모바일 웹 사이트(m.seoul.go.kr)의 기본 프레임(310a)인 헤더(311a)와 푸터(313a)가 적용되고, 지하철 안내 정보와 관련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사이트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호출 단말기(210)는 지하철 안내 정보와 관련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지하철 안내 정보와 관련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차례대로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측면에서 본 발명의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보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호출 단말기(210)에서 서울시청의 모바일 웹 사이트(m.seoul.go.kr)인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를 구동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교통이라는 카테고리(410)를 선택하고, 하단에 표시되는 버스, 지하철, 도로소통, 최단경로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 버튼(450)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로부터 호출되어 도시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보면서 교통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S201단계에서,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의 호출부(110)는 호출 단말기(210)를 호출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를 전송받는다.
S203단계에서, 호출부(110)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를 호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를 전송받는다.
S205단계에서, 추출부(120) 중 정보 추출부(121)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로부터 기본 프레임(310a) 정보를 추출한다.
S207단계에서, 추출부(120) 중 라이브러리 추출부(121)는 기본 프레임(310a) 정보로부터 기본 프레임(310a)의 구성에 관한 라이브러리를 추출한다.
S209단계에서, 생성부(130)는 상기 라이브러리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적용하여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생성한다. 상세하게, 생성부(130)는 상기 라이브러리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 소스에 삽입 코딩 및 프로그래밍하여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생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과정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가 생성되는 과정이 도식화 되어 있다.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결합으로 생성된다. 상세하게,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100)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 중 기본 프레임(310a) 부분을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프로그래밍하여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생성하고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에 전송하며, 호출 단말기(210)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로부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 라이브러리가 적용되고,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의 상하단이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상하단으로 교체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는 출처의 일관성 즉, 화면 구성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출발한 위치에 대한 혼동이 없게 느끼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구성에 상응하는 함수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 중 헤더(311a)의 구성에 따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적용될 함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함수는 항목 버튼(450) 개수에 따라서 getHeaderMenuOne, getHeaderMenuTwo, getHeaderMenuThree, getHeaderMenuFour, getHeaderMenuFive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함수는 카테고리(410), 검색 버튼(430)의 유무, 항목 버튼(450)의 유무, 항목명, 항목 버튼(450)에 링크된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의 URL,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항목 버튼(450)의 항목명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세하게, 본 도면을 참조하여, 기본 프레임(310)의 항목 버튼(450) 개수가 2개인 경우의 함수 구조를 설명한다. getHeaderMenuTwo가 사용되고, getHeaderMenuTwo라는 함수는 시청안내라는 카테고리(410), 검색 버튼(430) 존재, 항목 버튼(450) 존재, 부서안내, 청사안내라는 2개의 항목명, 부서안내, 청사안내에 링크된 2개의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의 URL, 사용자가 선택한 청사안내라는 항목명 또는 항목번호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항목번호는 항목 버튼(450) 개수에 상응하여 매겨진 번호로서, 상기 예에서는 부서안내가 1, 청사안내가 2로 결정된다.
라이브러리는 기본 프레임(310a)의 푸터(313a)에 관한 함수도 포함한다.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a) 중 푸터(313a)의 구성에 따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b)에 적용될 함수는 헤더(311a) 구성과는 상이하게 동일한 함수가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200) 중 호출 단말기(210)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01단계에서, 호출 단말기(2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를 구동한다. S703단계에서, 호출 단말기(210)는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300a)의 기본 프레임(310) 항목 버튼(450)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다. S705단계에서, 호출 단말기(210)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220)로부터 항목 버튼(450)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호출한다. S707단계에서, 호출 단말기(210)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500)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110 : 호출부
120 : 추출부
130 : 생성부
140 : 저장부
200 :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210 : 호출 단말기
220 : 피호출 단말기
300a :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300b :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500 :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Claims (20)

  1.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가, 서로 다른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구동하는 호출 단말기 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 단말기를 호출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를 호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하여,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에 상응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 집합인 라이브러리를 추출하고, 상기 라이브러리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프로그래밍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상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헤더 및 하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정의된 함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항목명을 가지는 복수의 항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항목 버튼의 개수에 따라 정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상기 항목 버튼의 유무, 상기 항목 버튼의 항목명, 상기 항목 버튼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URL 및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선택 항목 버튼의 항목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카테고리 및 검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검색 버튼의 유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방법.
  8.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호출 단말기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의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 단말기가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구동 중에,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받은 항목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정보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에 기 저장된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되어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생성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에 상응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 집합인 라이브러리를 추출하고, 상기 라이브러리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상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헤더 및 하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정의된 함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항목명을 가지는 복수의 항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항목 버튼의 개수에 따라 정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상기 항목 버튼의 유무, 상기 항목 버튼의 항목명, 상기 항목 버튼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URL 및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선택 항목 버튼의 항목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카테고리 및 검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검색 버튼의 유무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방법.
  15. 서로 다른 모바일 웹 페이지를 각각 구동하는 호출 단말기및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출 단말기를 호출하여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전송받고,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를 호출하여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전송받는 호출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출처를 나타내는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를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하여,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16.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및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지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 및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가 호출될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구동하고,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구동 중에,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적으로 입력받은 항목에 상응하는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호출하며,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가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 서버에 기 저장된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적용되어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과 동일한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는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생성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 정보에 상응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 집합인 라이브러리를 추출하고, 상기 라이브러리를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상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헤더 및 하단 부분의 출처를 나타내는 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의 기본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정의된 함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피호출 모바일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항목명을 가지는 복수의 항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항목 버튼의 개수에 따라 정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KR1020140178748A 2014-12-11 2014-12-11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 KR10159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48A KR101592496B1 (ko) 2014-12-11 2014-12-11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48A KR101592496B1 (ko) 2014-12-11 2014-12-11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496B1 true KR101592496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748A KR101592496B1 (ko) 2014-12-11 2014-12-11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191B1 (ko) * 2020-12-28 2021-12-10 (주)하이태성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95B1 (ko) 2013-12-13 2014-07-03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인스턴트 웹 앱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95B1 (ko) 2013-12-13 2014-07-03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인스턴트 웹 앱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191B1 (ko) * 2020-12-28 2021-12-10 (주)하이태성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353B1 (ko) 챗봇 빌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7813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젯 제작 장치 및 방법
CN102917144B (zh) 广告出资的电话呼叫
JP201451963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起動
RU2016100989A (ru) Извлечение значений атрибутов на основе идентифицированных записей
KR20140092873A (ko) 적응식 입력 언어 전환
CN101861740A (zh) 使用与移动应用的集成的移动设备上的广告
JP2010020770A (ja) ウェブページ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80309703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2831150A (zh) 浏览器与本地应用的交互方法、系统及终端
CN108449255B (zh) 评论交互方法、设备、客户端装置及电子设备
JP2011141617A (ja) webページ閲覧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中継サーバ
KR20130130869A (ko) 열람 시스템, 단말기, 화상 서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방법
KR101592496B1 (ko)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장치 및 제공 시스템
KR101789331B1 (ko) 가상 공간에서의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JP6378263B2 (ja) イメージを用いた翻訳文提供方法、ユーザ端末、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533176A (zh) 开启应用的方法和终端
JP2007323537A (ja) 広告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
JP2012249266A (ja) テレビ電話通訳システム、サーバー、ユーザー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7533522B (zh) 信息链接系统、信息链接程序和操作信息链接系统的方法
KR20070027996A (ko) 이동 통신 단말, 게이트웨이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CN110309454B (zh) 一种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8059142A (ja) 通信システム
CN113687901B (zh) 界面显示方法及界面显示装置
WO2018172883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