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454B1 -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454B1
KR101592454B1 KR1020140173299A KR20140173299A KR101592454B1 KR 101592454 B1 KR101592454 B1 KR 101592454B1 KR 1020140173299 A KR1020140173299 A KR 1020140173299A KR 20140173299 A KR20140173299 A KR 20140173299A KR 101592454 B1 KR101592454 B1 KR 10159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component
reactive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문
김현준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의 순환전류를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 차이 때문에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에 발생하는 순환전류를 저감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수명 효율을 높이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의 DROOP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과 3상 출력 전류를 입력받아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부와 상기 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유효전력을 입력받아 위상각을 생성하는 유효전력 제어부와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과 3상 출력 전류에 상기 유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을 적용하여 직류 유효전류성분, 직류 무효전류성분, 직류 유효전압성분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으로 동기회전 변환하는 동기회전좌표 변환부와 상기 직류 유효전류성분과 상기 직류 무효 전류성분을 입력받아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선로 임피던스를 보상하는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와 상기 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무효 전력과 상기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를 통해 보상된 선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최종 교류전압 피크치인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무효전력 제어부와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와 상기 동기회전좌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유효전류성분, 직류 무효전류성분, 직류 유효전압성분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을 입력받아 직류 유효전압과 직류 무효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전류 제어부 및 상기 전압 전류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과 직류 무효전압에 상기 유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을 적용하여 3상 교류전압 지령값으로 변환하는 역 동기회전좌표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CIRCULATION CURRENT REDUCTION TYPE DROOP CONTROL SYSTEM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 차이 때문에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에 발생하는 순환전류를 저감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수명 효율을 높이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은 계통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또는 도서 산간 지역과 같이 전력망이 없는 경우에도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력 저장 시스템은 시스템의 단가와 효율을 고려하여 인버터를 병렬로 연계하여 운영한다.
인버터를 기반을 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병렬 운전 방법은 부하에 적절한 분담을 가능하게 해야 하는 동시에 병렬 운전에서 발생되는 순환전류를 저감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수명 효율을 높여야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394712호는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단상 BESS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병렬 운전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은 기존의 동기발전기에서 병렬운전을 위해 사용되는 DROOP 제어 시스템을 인버터에 적용하여 사용한다. 이때, 인버터에 적용된 DROOP 제어 시스템은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전압 강하 가져오게 되어 인버터 사이에 순환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 관리가 제대로 수행 되지 않아 배터리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에 직접 인덕터를 삽입하여 선로의 유도성 성분을 크게 하여 순환전류를 저감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전류를 미분하여 가상의 인덕터 값을 곱하여 최종전압 레퍼런스에서 감해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시스템의 사이즈 및 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후자의 경우 출력전류를 미분하기 때문에 고주파 노이즈에 약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4712호.
따라서 본 발명은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 차이 때문에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에 발생하는 순환전류를 저감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수명 효율을 높이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의 DROOP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과 3상 출력 전류를 입력받아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부와 상기 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유효전력을 입력받아 위상각을 생성하는 유효전력 제어부와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과 3상 출력 전류에 상기 유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을 적용하여 직류 유효전류성분, 직류 무효전류성분, 직류 유효전압성분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으로 동기회전 변환하는 동기회전좌표 변환부와 상기 직류 유효전류성분과 상기 직류 무효 전류성분을 입력받아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선로 임피던스를 보상하는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와 상기 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무효 전력과 상기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를 통해 보상된 선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최종 교류전압 피크치인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무효전력 제어부와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와 상기 동기회전좌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유효전류성분, 직류 무효전류성분, 직류 유효전압성분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을 입력받아 직류 유효전압과 직류 무효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전류 제어부 및 상기 전압 전류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과 직류 무효전압에 상기 유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을 적용하여 3상 교류전압 지령값으로 변환하는 역 동기회전좌표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는, 상기 선로 임피던스의 저항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성분은 직류 유효전류성분을 곱하고, 상기 선로 임피던스의 유도성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성분은 직류 무효전류성분을 곱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보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은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 차이 때문에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에 발생하는 순환전류를 저감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수명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병렬 운전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등가회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불균형 선로 저항에서 측정한 실험 파형이다.
도 7 내지 8은 불균형 선로 리액턴스에서 측정한 실험 파형이다.
도 9 내지 10은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서 측정한 실험 파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선로 임피던스를 고려한 병렬 운전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등가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병렬 연결된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부하에 유효 및 무효 전력이 공급되면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의해 E1과 E2의 전압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따른 서로 다른 전압 강하를 동기회전좌표계를 사용하여 3상 출력전류를 2상의 직류성분인 유효 및 무효 전류성분으로 변환한다면, 저항성분에 의한 전압강하는 유효전류에 의존하고 유도성성분에 의한 전압 강하는 무효전류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효 및 무효 전력공급에 따른 전압강하 성분을 Q-V Droop의 최종전압 레퍼런스에 전향보상을 하면 전압차이를 상쇄하여 순환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Droop 제어 시스템(100)은 전압강하 성분을 Q-V Droop의 최종전압 레퍼런스에 전향보상 하는 것이다.
먼저, 전술한 내용을 수식을 통해 증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Q-V Droop 수식은 <식1>과 같다.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1
<식1>
<식1>을 통해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의해 발생된 전압의 차이는 <식2>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병렬 운전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에 전압차이가 발생하면 순환전류가 흘러 원치 않는 무효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2
<식2>
<식3>은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서 발생되는 전압 강하 성분을 3상의 출력전류에서 2상의 직류성분으로 변환하고, 이를 유효 및 무효 전류성분으로 나타낸 것이다. <식3>을 통해 유효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강하는 저항에 의존하고, 무효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강하는 유도성성분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3
<식3>
따라서, 기존의 Q-V Droop 수식에 유효 및 무효 전압강하 성분을 <식4>와 같이 독립적으로 전향 보상한다면, 전압의 차이를 상쇄시켜 순환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4
<식4>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Droop 제어 시스템(100)은 전력계산부(110), 유효전력 제어부(120),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140), 무효전력 제어부(150), 전압 전류 제어부(160) 및 역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70)를 포함한다.
전력계산부(110)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5
)과 3상 출력 전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6
)를 입력받아 유효전력(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7
)과 무효전력(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8
)을 계산한다.
유효전력 제어부(120)는 전력계산부(110)를 통해 계산된 유효전력(
Figure 112014118307997-pat00009
)을 입력받는다. 이후, 유효전력 제어부(120)는 입력받은 유효전력(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0
)을 유효전력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1
)과 비교(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2
)하고, 비교된 값에 유효전력 드룹계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3
)를 곱해주며, 곱해진 값에 주파수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4
)으로 감해준 후 나온 AC교류 주파수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5
)을 적분하여 위상각(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6
)을 생성한다.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7
)과 3상 출력 전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8
)에 유효전력 제어부(120)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
Figure 112014118307997-pat00019
)을 적용하여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0
)과 3상 출력 전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1
)을 직류 유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2
), 직류 무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3
), 직류 유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4
)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5
)으로 동기회전 변환한다.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140)는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를 통해 변환된 직류 유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6
)과 직류 무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7
)을 입력받아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선로 임피던스(R,X)를 보상한다. 즉,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140)는 선로 임피던스(R,X)의 저항 성분(R)에 의한 전압강하 성분은 직류 유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8
)을 곱하고, 유도성 성분(X)에 의한 전압강하 성분은 직류 무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29
)을 곱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보상한다.
무효전력 제어부(150)는 전력계산부(110)를 통해 계산된 무효전력(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0
)과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140)를 통해 보상된 선로 임피던스(R,X)를 입력받아 최종 교류전압 피크치인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1
)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효전력 제어부(150)는 입력받은 무효전력(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2
)을 무효전력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3
)과 비교(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4
)하고, 비교된 값에 유효전력 드룹계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5
)를 곱해주며, 곱해진 값에 전압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6
)으로 감해준다.
이후, 무효전력 제어부(150)는 전압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7
)으로 감해져 구해진 값에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140)를 통해 보상된 선로 임피던스(R,X)를 적용하여 최종 교류전압 피크치인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8
)를 생성한다.
전압 전류 제어부(160)는 무효전력 제어부(150)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39
)와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를 통해 변환된 직류 유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0
), 직류 무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1
), 직류 유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2
)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3
)을 입력받아 직류 유효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4
), 직류 무효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5
)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압 전류 제어부(160)는 무효전력 제어부(150)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6
)를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를 통해 변환된 직류 유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7
)과 비교하여 비교 값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비교 값은 전압 PI제어기를 통해 직류 유효전류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8
)로 변환된다.
한편,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를 통해 변환된 직류 무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49
)은 Droop 제어에서 필요치 않다. 따라서 직류 무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0
)은 지령치 제로 값과 비교하여 비교 값을 생성한 후, 생성된 비교 값은 전압 PI제어기를 통해 직류 무효전류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1
)로 변환된다.
이후, 전압 전류 제어부(160)의 전압 PI제어기를 통해 각각 변환된 직류 유효전류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2
)와 직류 무효전류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3
)는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를 통해 변환된 직류 유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4
)과 직류 무효전류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5
)에 각각 비교되어 비교 값을 생성한다. 전류 PI제어기는 상기 비교 값을 입력받아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6
)와 직류 무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7
)를 생성한다.
그뒤, 전압 전류 제어부(160)는 전류 PI제어기에서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8
)와 직류 무효전압 지령치(
Figure 112014118307997-pat00059
)에 과도상태 향상을 위한 전향보상 값인 직류 유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0
)과 직류 무효전압성분(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1
)을 합하고,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의 변환에 의해 발생되는 디커플링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2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3
을 각각 합하여 직류 유효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4
)과 직류 무효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5
)을 생성한다. 역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70)는 전압 전류 제어부(160)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6
)과 직류 무효전압(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7
)에 유효전력 제어부(120)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8
)을 적용하여 3상 교류전압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69
)으로 변환한다.
역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70)에서 생성된 3상 교류전압 지령값(
Figure 112014118307997-pat00070
)은 PWM인버터에 입력되어 3상 교류전압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DROOP 제어 시스템(100)은 동기회전좌표계를 통해 3상 출력 전류를 2상의 직류성분인 유효 및 무효 전류성분으로 변환하고, 저항성분에 의한 전압강하는 유효전류로 보상하고, 유도성성분에 의한 전압 강하는 무효전류로 각각 독립적으로 보상한다. 따라서,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 의해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 사이에 발생되는 순환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직류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Droop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식보다 제어의 동특성이 빠르며, 노이즈에 강인한 효과를 갖는다.
도 5 내지 6은 불균형 선로 저항에서 측정한 실험 파형이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Droop 제어 시스템은 불균형 선로 저항에서 병렬 운전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경우 부하에 유효 전력이 공급되는 전 구간에 순환전류가 흐르게 되어 원치 않는 무효전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roop 제어 시스템(100)은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를 통해 변환된 유효 전류성분으로 불균형 선로 저항에 의해 발생된 전압 차이를 전향 보상한다. 따라서 전압 차이가 상쇄되어 순환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무효전력분담이 정확히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8은 불균형 선로 리액턴스에서 측정한 실험 파형이다. 불균형 선로 리액턴스에 의한 전압강하는 무효전력이 부하에 공급되는 구간에서 발생한다. 병렬로 운전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에 무효전력이 공급 될 경우, 종래의 Droop 제어 시스템은 유도성성분에 의해 전압차이가 발생하여 순환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roop 제어 시스템(100)은 동기회전좌표 변환부(130)를 통해 변환된 무효 전류성분으로 유도성성분에 의해 발생된 전압 차이를 전향 보상한다.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전류가 저감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9 내지 10은 불균형 선로 임피던스에서 측정한 실험 파형이다. 부하에서 유효 및 무효 전력을 소비할 경우, 임피던스 성분으로 인해 전 구간에서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이때는 선로의 저항성분과 유도성성분이 선로에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Q-V Droop의 최종전압 레퍼런스에 유효 및 무효전류 성분으로 모두 전향 보상하여 전압차를 상쇄한다. 즉,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전류가 저감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 110 : 전력계산부
120 : 유효전력 제어부 130 : 동기회전좌표 변환부
140 :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 150 : 무효전력 제어부
160 : 전압 전류 제어부 170 : 역 동기회전좌표 변환부

Claims (2)

  1. 전력공급계통과 병렬로 연결되어 가동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BESS)의 DROOP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과 3상 출력 전류를 입력받아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부;
    상기 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유효전력을 입력받아 위상각을 생성하는 유효전력 제어부;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3상 출력 전압과 3상 출력 전류에 상기 유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을 적용하여 직류 유효전류성분, 직류 무효전류성분, 직류 유효전압성분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으로 동기회전 변환하는 동기회전좌표 변환부;
    상기 직류 유효전류성분과 상기 직류 무효 전류성분을 입력받아 상기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선로 임피던스를 보상하는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
    상기 전력 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무효 전력과 상기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를 통해 보상된 선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최종 교류전압 피크치인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무효전력 제어부;
    상기 무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 지령치와 상기 동기회전좌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유효전류성분, 직류 무효전류성분, 직류 유효전압성분 및 직류 무효전압성분을 입력받아 직류 유효전압과 직류 무효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전류 제어부;
    상기 전압 전류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유효전압과 직류 무효전압에 상기 유효전력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위상각을 적용하여 3상 교류전압 지령값으로 변환하는 역 동기회전좌표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임피던스 보상부는,
    상기 선로 임피던스의 저항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성분은 직류 유효전류성분을 곱하고, 상기 선로 임피던스의 유도성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성분은 직류 무효전류성분을 곱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KR1020140173299A 2014-12-04 2014-12-04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KR10159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99A KR101592454B1 (ko) 2014-12-04 2014-12-04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99A KR101592454B1 (ko) 2014-12-04 2014-12-04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454B1 true KR101592454B1 (ko) 2016-02-12

Family

ID=5535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299A KR101592454B1 (ko) 2014-12-04 2014-12-04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5000A1 (en) * 2022-09-28 2024-04-04 Power Research And Development Pty Ltd Energy storage and supply to electrical gr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537A (ja) * 1989-12-19 1991-08-20 Fujitsu Ltd 充電器の過電流制御方法
JPH10314939A (ja) * 1997-05-14 1998-12-02 Hideki Ikegami バッテリー・エンジン駆動発電機併用溶接機
KR101394712B1 (ko) 2012-11-13 2014-05-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단상 bess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537A (ja) * 1989-12-19 1991-08-20 Fujitsu Ltd 充電器の過電流制御方法
JPH10314939A (ja) * 1997-05-14 1998-12-02 Hideki Ikegami バッテリー・エンジン駆動発電機併用溶接機
KR101394712B1 (ko) 2012-11-13 2014-05-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단상 bess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5000A1 (en) * 2022-09-28 2024-04-04 Power Research And Development Pty Ltd Energy storage and supply to electrical gr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466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including an AC/DC converter and a DC/DC converter
EP28116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eactive current on a common DC bus with multiple inverters
EP3522355B1 (en) Control device for direct power converter
JP2013069267A5 (ko)
JP5562504B1 (ja) 交流モータ駆動システム
WO2016059734A1 (ja) 変換装置
JP6475002B2 (ja) 蓄電池付き分散型電源システム
JPWO2010050086A1 (ja) 電力変換装置
CN102255545B (zh) 两相逆变电源系统及其综合控制方法
EP2706652B1 (en) Regenerative inverter device and inverter device using power cell unit
CN107749639B (zh) 配有电能质量补偿的混合型并网发电逆变器系统
Georgakas et al. Harmonic reduction method for a single-phase DC–AC converter without an output filter
Rosekeit et al. Smoothing power ripple in single phase chargers at minimized dc-link capacitance
JP6372201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3009509A (ja) 充電システム
WO2012117642A1 (ja) 電力変換装置、電力変換システム、およびモータインバータ
JP2014192992A (ja) 無効電力比率制御器、無効電力比率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電システム
KR20140039389A (ko) 계통연계형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변동 저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321282B2 (ja) 電力制御装置
KR101592454B1 (ko)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의 순환전류 저감형 droop 제어 시스템
KR100707081B1 (ko) 순시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7079509A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avadi et al. Three-phase power quality device tor weak Systems based on SRF and pq theory controller
TWI505597B (zh) 智慧型微電網電力品質管理的操作系統
Bhat et al. Supply perturbation compensated control scheme for three-phase neutral-point clamped bi-directional rect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