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72B1 -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 Google Patents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72B1
KR101592172B1 KR1020140062555A KR20140062555A KR101592172B1 KR 101592172 B1 KR101592172 B1 KR 101592172B1 KR 1020140062555 A KR1020140062555 A KR 1020140062555A KR 20140062555 A KR20140062555 A KR 20140062555A KR 101592172 B1 KR101592172 B1 KR 10159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alt
salt storage
storage tank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978A (ko
Inventor
이은철
Original Assignee
이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철 filed Critical 이은철
Priority to KR102014006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을 보관할 수 있는 소금 보관장에 관련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의 소금 저장조; 상기 소금 저장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측벽 내부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간수배수공; 상기 간수배수공과 연통되도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상기 소금 저장조의 바닥부재 상면 가장자리 부근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수용 경사면; 상기 소금 저장조의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소금 저장조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전방으로부터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간수배수공을 따라 배출되는 간수가 낙하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간수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으로서, 소금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보관시 발생되는 간수를 안전하게 받아 처리할 수 있어 주위 환경을 더럽히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SALT STORAGE BOX WHICH IS CAPABLE OF DISCHARGING SALTWATER}
본 발명은 소금을 보관할 수 있는 소금 보관장에 관련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금 보관시에 발생되는 간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으며, 보다 위생적으로 소금 보관이 가능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에 관한 기술이다.
인간 생존의 필수적인 성분중 하나가 소금이며, 역사적으로도 소금은 중요한 거래 대상이 되기도 했었다. 자연의 음식재료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의 소금을 섭취할 수 있지만 인간의 중요한 욕구 중 하나인 식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음식 요리시 소금을 이용하여 맛을 조절해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동서양의 어떤 나라보다도 나트륨 섭취를 많이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각 가정에서는 포대에 담긴 소금을 장기간 보관하면서 필요시 조금씩 소금을 덜어 사용하여왔다.
인공염과 달리 천일염을 상온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자연 발생적으로 간수가 빠져 나오게 되는데, 간수에는 황산마그네슘(사리염)·염화마그네슘·브롬화마그네슘 등이 함유되어 있어 쓴맛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금을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간수를 제거하면 소금이 지나치게 짜지 않아 음식물 조리시에 더 좋은 맛을 낼 수 있고 사람에게도 덜 해롭다.
일반 가정 등에서 소금을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간수가 흘러내려 주위 환경을 더럽히기도 하고 간수의 접촉으로 인해 부식이 심하게 발생하기도 하여 적절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금으로부터 발생되는 간수 때문에 소금을 실내 주방 등에 보관할 수 없으므로 보통은 창고나 베란다 등에 아무렇게나 방치하듯이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소금 보관 방식은 위생적으로 좋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고, 언급한 간수의 흘러 내림으로 인한 주위 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소금 저장시 발생되는 간수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데, 대표적으로 두부 제조시 천연 응고제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외 놋그릇을 만들때 사용하는 방자유기의 빛을 내는 용도 및 무기나 화학약품제조시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소금 저장시 발생되는 간수를 청결하게 수집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었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5255호(2014.02.13 등록)의 "간수 빼기 소금저장 서랍장"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간수 빼기 소금저장 서랍장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가구 구조와 같이 보관 설합장 몸체(10)를 그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부재(16,17,18)를 결합하여 구분 공간을 만들어 각 공간에 제1서랍, 제2서랍, 제3서랍 및 간수 회수서랍을 끼우도록 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부로부터 흘러 내리는 간수가 곧바로 간수 회수서랍으로 모이지 않고 일부는 보관 설합장 몸체나, 하부에 위치되는 서랍을 적시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5255호(2014.02.13 등록)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대용량으로 포대에 담아 유통되는 소금을 보다 위생적이면서 주위 환경을 더럽히지 않도록 소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소금 저장중에 발생되는 간수가 불필요하게 외부 혹은 타 부위로 흘러내리지 않고 간수저장용기로 낙하될 수 있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수 발생이 보다 원활하도록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금 저장조를 다단 적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생된 간수가 하부로 흐를 때 하측에 위치되는 소금 저장조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구조의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은,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의 소금 저장조; 상기 소금 저장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측벽 내부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간수배수공; 상기 간수배수공과 연통되도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상기 소금 저장조의 바닥부재 상면 가장자리 부근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수용 경사면; 상기 소금 저장조의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소금 저장조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전방으로부터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간수배수공을 따라 배출되는 간수가 낙하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간수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상기 측벽 하단 내측 모서리는 테이퍼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간수배수공의 하단부에 내접되는 형태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간수배수공보다 좁은 상하 관통되는 유로를 갖는 간수유도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소금 저장조의 바닥부재 위에 소정 두께를 갖는 격자상의 받침망이 놓여져 상기 바닥부재 상면과 소금포대의 하부간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상기 소금 저장조의 측벽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 및 상기 공기유입공은 상기 간수배수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통기공은, 수평 혹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소금 알갱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거나 길다란 슬릿형상을 이루고, 상기 공기유입공은, 경사진 형상이되 간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간수배수공과 맞닿는 부분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유입공은 상기 통기공 보다 직경이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상기 측벽은,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벽의 일측면에 간수배수공용 절개홈과 상기 간수배수공용 절개홈과 연결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이 상기 끼움홈을 통해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끼움홈은 걸림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제2측벽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소금 저장조의 측벽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지지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간수배수공의 직하부에 해당되는 구간이 하향 경사지는 슬로프면 또는 오목유도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간수배수공의 직하부에 해당되는 구간이 하향 경사지는 슬로프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로프면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간수차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은 구조적 개선을 통해 흘러 내리는 간수가 소금 저장조 등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금 보관장의 외관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소금 저장조 내부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수 발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보다 용이하며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부가적인 수단없이도 다단으로 소금 저장조를 적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반 가구와 같이 실내에 설치하더라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장기간 소금을 저장하여 간수를 뺀 소금을 섭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발생된 간수를 두부 제조시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간수 빼기 소금저장 서랍장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간수유도팁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6은 간수배수공을 위한 좌우측벽 하단부에 형성되는 간수차단홈의 예시도.
도 7은 소금 저장조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소금 저장조 내부에 받침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측벽의 사시도.
도 10은 제1측벽의 사시도.
도 11은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측벽의 단면도.
도 12는 또 다른 형태의 측벽에 대한 사시도.
도 13은 또 다른 형태의 통기공에 대한 예시도.
도 14는 또 다른 제1측벽의 사시도.
도 15는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측벽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16은 받침대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7은 받침대의 지지턱에 슬로프면이 형성된 경우에 대한 사시도.
도 18은 지지턱의 하면에 간수차단홈이 형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는 소금 저장조가 다단 적재되는 경우에 대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도록 한다. 단, 제시되는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따른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간수유도팁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간수배수공을 위한 좌우측벽 하단부에 형성되는 간수차단홈의 예시도이며, 도 7은 소금 저장조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소금 저장조 내부에 받침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측벽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1측벽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측벽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또 다른 형태의 측벽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또 다른 형태의 통기공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14는 또 다른 제1측벽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측벽의 세로방향 단면도이며, 도 16은 받침대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받침대의 지지턱에 슬로프면이 형성된 경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지지턱의 하면에 간수차단홈이 형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9는 소금 저장조가 다단 적재되는 경우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대용량으로 공급되는 포대 단위의 소금을 담아 장기간 보관하면서 간수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크게 소금 저장조(100), 간수배수공(200), 배수용 경사면(300), 덮개(400), 받침대(500) 및 간수저장용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금 저장조(10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이 적합하며, 네개의 측벽(110)과 바닥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도면상 전방에 위치하는 측벽을 전방측벽(110a)이라 하며,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후방측벽(110b)이라 하고, 좌측에 위치되는 것을 좌측측벽(110c)이라 하고, 우측에 위치되는 것을 우측측벽(110d)이라 부르도록 한다.
소금 저장조(10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벽(110) 내부에 상하 관통되는 간수배수공(200)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좌측측벽(110c) 및 우측측벽(110d)에 간수배수공(200)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한다.
두께가 두껍지 않은 판상 형태의 나무에 상하 관통되는 형상의 간수배수공(200)을 가공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 된다. 물론 어떠한 방식으로든 상하 관통되는 형태의 간수배수공(200)이라면 무방하나, 작업성, 조립성, 제조원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측벽(110c) 및 우측측벽(110d)에 간수배수공(200)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좌측측벽(110c) 및 우측측벽(110d) 각각이 두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결합됨으로써 간수배수공(2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좌측측벽(110c) 또는 우측측벽(110d) 각각은 제1측벽(110-1)과 제2측벽(110-2)의 결합에 의해 간수배수공(200)을 형성하게 되는데, 제1측벽(110-1) 또는 제2측벽(110-2)의 일측면에 간수배수공용 절개홈(111)이 형성되고, 제2측벽(110-2) 또는 제1측벽(110-1)이 결합됨으로써 간수배수공용 절개홈(111)은 상하 방향으로만 개구되는 형태가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측벽(110-1)과 제2측벽(110-2)의 조립 용이성을 위해 제1측벽(110-1)의 일측면에 간수배수공용 절개홈(111)을 형성시키며, 간수배수공용 절개홈(111)의 끝단에서 연결되는 끼움홈(112)이 더 형성되도록 한다. 제1측벽(110-1)과 결합되는 제2측벽(110-2)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끼움홈(112)에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113)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1측벽(110-1)과 제2측벽(110-2)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끼움홈(112)은 걸림턱(117)이 있는 타입이거나 걸림턱(117)이 없는 타입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걸림턱(117)이 있는 끼움홈(112)인 경우에는 제2측벽(110-2)에 끼움돌기(113)를 마련해야 하나, 걸림턱(117)이 없는 끼움홈(112)인 경우에는 별도의 끼움돌기(113)를 두지 않아도 된다.
물론 제1측벽(110-1)과 제2측벽(110-2)의 접합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접착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것을 활용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간수배수공(200)이 좌측측벽(110c)이나 우측측벽(110d)에 형성되는 것을 제시했지만, 전방측벽(110a)이나 후방측벽(110b)에도 간수배수공(200)이 형성되도록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간수배수공(200)이 형성되는 좌우측벽(110c,110d)의 하단부 내측 모서리 부위는 테이퍼(T) 처리되도록 한다. 간수배수공(200)을 따라 흘러내린 간수 중 일부는 곧바로 낙하되지 못하고 좌우측벽(110c,110d) 하면을 따라 흐르기도 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좌우측벽(110c,110d)의 하단부 내측 모서리를 테이퍼(T) 처리하면 간수는 중력의 영향으로 쉽게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간수배수공(200)이 형성되는 좌우측벽(110c,110d) 하단부는 간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간수차단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간수차단홈(G)은 상방으로 오목한 반원형상, 쇄기형상, 사각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에 있어 간수배수공(200)의 하단에 간수유도팁(130)이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간수유도팁(130)은 간수배수공(200)의 하단부에 내접되는 형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며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로(131)가 형성되고, 간수배수공(200)에 끼워지는 특성상 간수유도팁(130)에 형성되는 유로(131)는 간수배수공(200)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간수배수공(200)의 끝단으로부터 간수유도팁(130)의 돌출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간수유도팁(130)의 끝단과 간수배수공(200)의 끝단이 동일 수평면상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간수유도팁(130)을 간수배수공(200)에 끼우게 되면 간수의 낙하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곳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간수가 불필요하게 받침대(500) 등에 접촉되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금 저장조(100)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간수유도팁(130)은 매우 유용하다. 간수배수공(200) 하단에 내접되는 형태로 압입되는 간수유도팁(130)은 소금 저장조(100)를 쌓을 때 간수유도팁(130)이 하부측 소금 저장조(100)의 간수배수공(200)에 자연스럽게 끼워지므로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상부측 간수배수공(200)을 통해 흐르는 간수는 간수유도팁(130)을 타고 하부측 간수배수공(200) 내부로 곧바로 유입되므로 소금 저장조(100)와 소금 저장조(100)의 접합면을 통해 간수가 흘러 넘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간수유도팁(130)이 없다고 가정하면 유체의 특성상 간수의 일부는 하부 소금 저장조(100a)와 상부 소금 저장조(100b)의 접합면을 통해 흐르게 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간수유도팁(130)을 두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소금 저장조(100)의 바닥부재(120)가 마련되며, 소금 저장조(100) 내부에 소금을 집어 넣어 보관하게 되면 자연 발생적으로 간수가 생성된다. 소금 저장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간수는 안전하고도 위생적으로 배출되어 수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발생된 간수는 간수배수공(20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우측측벽(110d) 또는 좌측측벽(110c)에 형성된 간수배수공(200)으로 간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각각의 제1측벽(110-1) 하단 부근에 소금 저장조(100) 내부에서 간수배수공(200)으로 연통되는 연통구(114)가 형성되도록 한다.
소금 저장조(100)의 바닥부재(120)에는 발생된 간수가 간수배수공(200)으로 원활하게 흘러 내릴 수 있도록 좌우 끝단 부근에 하향 경사지는 형상의 배수용 경사면(300)이 형성되도록 한다. 하향 경사지는 형상의 배수용 경사면(300)으로 인해 소금 저장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간수는 자연스럽게 배수용 경사면(300)을 따라 흘러 연통구(114)를 거쳐서 간수배수공(200)으로 배출된다.
한편, 소금 저장조(100)의 바닥부재(120) 위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격자 형상의 받침망(140)을 둘 수 있다. 받침망(140)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며, 어느 정도 두께를 갖는 망구조인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목재를 이용하여 직사각 혹은 정사각 형태의 구멍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받침망(140)을 제작할 수 있다.
소금 저장조(100) 내부에 받침망(140)을 두고 그 위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금포대를 넣어두게 되면 소금포대의 하면과 소금 저장조(100)의 바닥부재(120)간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공기의 소통이 보다 원활해져 간수생성 및 간수 배출에 유리하게 된다.
소금 저장조(100)의 상부를 덮는 덮개(400)가 마련되며, 소금 저장조(100)는 필요에 따라 다단 적층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최상부의 소금 저장조 상부를 덮는 덮개만 두도록 한다.
소금 저장조(100)를 다단 적층하여 사용할 시에는 각 소금 저장조(100)의 간수배수공(200)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소금 저장조(100)를 다단 적층하여 사용하더라도 각 소금 저장조(100)에서 발생되는 간수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간수배수공(20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소금 저장조(10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500)가 마련되며, 받침대(500)에는 간수배수공(200)을 따라 낙하되는 간수를 받아 모으기 위한 간수저장용기(60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간수저장용기(600)는 받침대(500)의 전방으로부터 끼워져 장착되어 서랍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500)는 상부가 개구되어 소금 저장조(100)의 하단부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소금 저장조(100)의 좌우측벽(110c,110d)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지지턱(510)이 마련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턱(510)은 좌우측벽(110c,110d)을 이루는 제2측벽(110-2) 하단면을 지지하는 정도로 돌출되는 것이 좋다. 즉, 지지턱(510)은 간수배수공(200)을 막지 않는 형상 및 크기를 가져야 한다.
도 3 또는 도 16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지지턱(510)의 중간 부분에 간수배수공(200)을 통해 낙하되는 간수를 받아 간수저장용기(600)로 유도하기 위해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유도홈(511a)을 둘 수 있다.
또한, 도 17과 같이 간수배수공(200)의 직하부에 해당되는 구간의 지지턱(510)에는 하향 경사지는 형상의 슬로프면(51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슬로프면(511)을 두게 되면 간수배수공(200)을 통해 낙하되는 간수는 슬로프면(511)을 따라 흘러 간수저장용기(600)로 정확히 낙하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도 18과 같이 슬로프면(511)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간수차단홈(G)이 형성되도록 한다. 슬로프면(511)을 따라 흘러내리는 간수는 지지턱(510) 하면으로도 흐르게 되는데, 간수차단홈(G)을 두게 되면 간수는 더 이상 지지턱(510) 하면으로 흐르지 못하고 하방으로 낙하된다. 슬로프면(511) 하면에 간수차단홈(G)과 같은 것이 없으면 소량이나마 불필요한 간수의 외부 누출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과 같이 지지턱(510)의 돌출 정도는 간수저장용기(600)의 좌우 내벽면보다 안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하되는 간수가 곧바로 간수저장용기(600) 속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간수저장용기(600)는 통상적인 서랍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고, 간수저장용기(600)의 상부는 오목하게 개구된 형태로 간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간수저장용기(600)의 좌우측면에는 받침대(500)에 끼워져 직선 슬라이딩 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도홈(610)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받침대(500)에는 유도홈(610)에 대응하여 돌출되어 간수저장용기(600)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유도가이드(530)가 마련되도록 한다.
소금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간수가 잘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또 다른 방안으로 간수배수공(200)이 형성되는 소금 저장조(100)의 좌측측벽(110c) 및/또는 우측측벽(110d)의 내면 혹은 외면에 간수배수공(200)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공(115) 및 통기공(116)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좌우측 측벽(110c,110d)을 이루는 제1측벽(110-1)에는 공기유입공(115)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제2측벽(110-2)에는 통기공(116)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공기유입공(115)은 간수배수공(200)을 따라 흐르는 간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향 경사지는 빗살 형태로 마련하도록 하는데, 간수배수공(200)과 맞닿는 부분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방향성을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기공(116)은 수평 혹은 경사진 형상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며, 소금 알갱이가 통기공(116)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통기공(116)의 사이즈는 소금 알갱이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기유입공(115)은 통기공(116) 보다 직경이 크도록 하여 외부 공기가 소금 저장조(10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소금 저장조(100) 내부에 저장되는 소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지만 외기가 소금 저장조(10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간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통기공(116)의 또 다른 변형 형태로 도 13과 같이 슬릿형태로 길다란 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길다란 슬릿형태의 통기공(116)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보다 원활한 공기흐름을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소금 저장조(100)는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소금 저장조(100)를 적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받침대(500)를 준비하고 받침대(500)에 간수저장용기(600)를 끼워 장착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받침대(500) 위에 하부 소금 저장조(100a)를 끼워 안착시키도록 한다. 하부 소금 저장조(100a)의 하단이 받침대(500)의 지지턱(510)에 걸리는 형태로 안착된다.
상하부 소금 저장조(100a,100b)의 바닥부재(120) 위에 받침망(140)을 둘 수도 있다. 소금 저장조(100) 속에 보관하고자 하는 소금이 든 포대를 집어넣도록 한다. 소금 저장조(100)의 사이즈는 시중에 주로 유통되는 소금 포대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최소 하나의 소금 포대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소금 저장조(100a) 위에 상부 소금 저장조(100b)를 올려 적층할 수 있는데, 이때 하부 소금 저장조(100a)의 간수배수공(200)과 상부 소금 저장조(100b)의 간수배수공(200)이 서로 일치되게 상부 소금 저장조(100b)를 하부 소금 저장조(100a) 위에 올려두도록 한다.
상부 소금 저장조(100b)의 간수배수공(200) 하단에 간수유도팁(130)이 마련되므로 간수유도팁(130)이 하부 소금 저장조(100a)의 상단 간수배수공(200) 속으로 들어가도록 맞추면 상부 소금 저장조(100b)는 올바르게 하부 소금 저장조(100a) 위에 놓져진 것이다. 상부 소금 저장조(100b)의 위치를 잡은 후에는 또 다른 소금 포대를 상부 소금 저장조(100b) 내부에 넣도록 한다.
상부 소금 저장조(100b) 위에 또 다른 소금 저장조를 더 올려둘 수도 있을 것이나, 본 사용예의 경우 상부 소금 저장조(100b)를 안착시킨 후에는 덮개(400)로 상부 소금 저장조(100b)를 닫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소금 저장조(100)에 소금 포대를 넣은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게 되는데, 소금 저장조(100)의 소금은 외부 공기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여 서서히 간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하부 및 상부 소금 저장조(100a,100b)에서 발생되는 간수는 소금 저장조의 바닥부재(120)로 흐른 뒤 바닥부재(120)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배수용 경사면(300)을 따라 간수배수공(200)으로 유입하게 된다.
특히, 상부 소금 저장조(100b)의 간수배수공(200)으로 흐른 간수는 간수유도팁(130)을 거쳐서 하부 소금 저장조(100a)의 간수배수공(200)으로 유입된다.
하부 소금 저장조(100a)의 간수배수공(200)으로 유입된 간수는 낙하되어 간수저장용기(600)에 모이게 된다.
간수저장용기(600)에 모인 간수는 잘 보관하여 두부 제조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은 외관상으로는 일반 가구와 같은 형상이므로 실내에 두더라도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간수의 외부 누출 가능성을 없애도록 함으로써 주위 환경을 더럽히는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그리고 실내 주방 등에 본 발명의 소금 보관장을 배치하여 소금을 장기간 보관하면서 간수는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몸에 좋은 소금을 언제든지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소금을 장기간 보관하면서 간수를 빼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소금 저장조 110 : 측벽
110a: 전방측벽 110b: 후방측벽
110c: 좌측측벽 110d: 우측측벽
110-1: 제1측벽 110-2: 제2측벽
111 : 간수배수공용 절개홈 112 : 끼움홈
113 : 끼움돌기 114 : 연통구
115 : 공기유입공 116 : 통기공
117 : 걸림턱
120 : 바닥부재 130 : 간수유도팁
131 : 유로 140 : 받침망
200 : 간수배수공 300 : 배수용 경사면
400 : 덮개 500 : 받침대
510 : 지지턱 511 : 슬로프면
G : 간수차단홈 520 : 절개부
530 : 유도가이드 600 : 간수저장용기
610 : 유도홈 100a: 하부 소금 저장조
100b: 상부 소금 저장조 T : 테이퍼
511a : 오목유도홈

Claims (13)

  1.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의 소금 저장조;
    상기 소금 저장조의 제1측벽과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벽 내부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간수배수공;
    상기 간수배수공의 하단부에 내접되는 형태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간수배수공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며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로를 갖는 간수유도팁;
    상기 간수배수공과 연통되도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상기 소금 저장조의 바닥부재 상면 가장자리 부근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수용 경사면;
    상기 소금 저장조의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소금 저장조의 측벽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지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턱의 간수배수공 직하부에 해당되는 구간이 하향 경사지는 슬로프면 또는 오목유도홈으로 이루어진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전방으로부터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간수배수공을 따라 배출되는 간수가 낙하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간수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상기 측벽 하단 내측 모서리는 테이퍼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 저장조의 바닥부재 위에 소정 두께를 갖는 격자상의 받침망이 놓여져 상기 바닥부재 상면과 소금포대의 하부간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수배수공이 형성되는 상기 소금 저장조의 측벽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 및 상기 공기유입공은 상기 간수배수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수평 혹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소금 알갱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거나 길다란 슬릿형상을 이루고,
    상기 공기유입공은, 경사진 형상이되 간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간수배수공과 맞닿는 부분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공은 상기 통기공 보다 직경이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의 일측면에 간수배수공용 절개홈과 상기 간수배수공용 절개홈과 연결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이 상기 끼움홈을 통해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걸림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제2측벽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간수배수공의 직하부에 해당되는 구간이 하향 경사지는 슬로프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로프면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간수차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KR1020140062555A 2014-05-23 2014-05-23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KR10159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555A KR101592172B1 (ko) 2014-05-23 2014-05-23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555A KR101592172B1 (ko) 2014-05-23 2014-05-23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978A KR20150134978A (ko) 2015-12-02
KR101592172B1 true KR101592172B1 (ko) 2016-02-05

Family

ID=5488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555A KR101592172B1 (ko) 2014-05-23 2014-05-23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916A (zh) * 2016-05-18 2016-07-13 天津创智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定量盐盒
KR101850004B1 (ko) 2017-11-01 2018-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오름착한식품 간수 배출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26Y1 (ko) * 2008-12-26 2012-03-19 (유)서해푸드 천일염 용기
KR101212285B1 (ko) * 2011-12-27 2012-12-13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용기
KR101365255B1 (ko) 2012-08-08 2014-02-20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 서랍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26Y1 (ko) * 2008-12-26 2012-03-19 (유)서해푸드 천일염 용기
KR101212285B1 (ko) * 2011-12-27 2012-12-13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용기
KR101365255B1 (ko) 2012-08-08 2014-02-20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 서랍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916A (zh) * 2016-05-18 2016-07-13 天津创智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定量盐盒
KR101850004B1 (ko) 2017-11-01 2018-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오름착한식품 간수 배출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978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13B2 (en) Cutting board assembly
US7325695B2 (en) Dish rack with water drainage mechanism
KR101592172B1 (ko)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US20110278430A1 (en) Enclosed ice cube tray and server
US20120031278A1 (en) Liquid overflow platform and container for small appliances
KR20090002388U (ko) 화분 받침대
KR101365255B1 (ko) 간수 빼기 소금저장 서랍장
KR200474989Y1 (ko)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
AU2015100899A4 (en) The Drawer Pot.
CN203575199U (zh) 储水花盆
JP2013023361A (ja) 生ごみ収容容器
CN202234978U (zh) 多功能菜板
KR101107941B1 (ko) 다목적 위생 도마 받침대
EP1731683B1 (en) Separating device
JP2006314757A (ja) 水切り容器
CN104921647A (zh) 一种免冲洗自洁式蹲便器
CN205697433U (zh) 多功能便捷切菜板
KR101607430B1 (ko) 트랜치가 구비된 배수트랩
US10653159B1 (en) Apparatus to brine turkey
JP3087683U (ja) ナイフスタンド
KR20060066535A (ko) 도마
KR200419553Y1 (ko) 종지 일체형 접시
CN210144027U (zh) 一种新型餐盒
CN204950407U (zh) 餐具沥水盒
KR100591888B1 (ko) 조리도구 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