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062B1 -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062B1
KR101592062B1 KR1020117017044A KR20117017044A KR101592062B1 KR 101592062 B1 KR101592062 B1 KR 101592062B1 KR 1020117017044 A KR1020117017044 A KR 1020117017044A KR 20117017044 A KR20117017044 A KR 20117017044A KR 101592062 B1 KR101592062 B1 KR 10159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node
data
mobile
predetermined spatial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979A (ko
Inventor
폴 씨. 맨즈
페르난도 제이 메이미
마누엘 로드리구즈-마르티네즈
Original Assignee
유에스 아미 알디이씨오엠-에이알디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스 아미 알디이씨오엠-에이알디이씨 filed Critical 유에스 아미 알디이씨오엠-에이알디이씨
Publication of KR2011009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이동노드간 관련데이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제 1이동노드상에서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 1 이동노드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지형영역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은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설정된다. 본 방법은 제 1 이동노드의 추후 위치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외부에 있을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관련데이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의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이동노드에게 독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관련 데이타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과 관련된 관련데이타이다.

Description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DISTRIBUTED GEOSPATIAL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발명의 명칭을 "내장형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 아키텍쳐 및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 및 이들을 통한 통신방법"으로 하여 2008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가출원 61/140,12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가출원 61/140,129호는 그 전체로서 참고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대가나 실시료를 지불하지 않고 미국 정부를 위해서 또는 미국정부에 의해서 제조, 사용, 수입, 판매 및 실시허락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은, 포괄적으로는, 통신 및 데이타관리 분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상의 데이타관리 분야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국제적, 지역적 및 지방적 차원에서 오늘날의 현대사회의 현저한 특징중 하나는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시스템을 명령하고 관리하는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능력이다. 센서와 통신시스템을 통합시키는 기술의 발전은 이동수단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을 허용하는 다양한 현대적 정보시스템에는 공간, 비행, 육상 및 해양에 기초한 명령관리시스템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명령관리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수단은 위성항법시스템(GPS), 장거리무선항법시스템(LORAN)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공간지형 위치측정기술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보안무선연결을 이용해서 상위 명령 조직/시스템에 이동수단의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명령관리시스템이 구비된 이동수단은 또한 상위 명령 조직/시스템으로부터, 관련된 이동수단의 알려진 위치 및 알려지지 않았거나 의심되는 이동수단의 위치를 포함한 다양한 메세지를 받는다. 또한, 이동수단은 명령관리시스템에 의해서 경고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관련된 이동수단에게 발생하거나 진행중인 중요한 사건에 대해서 경고할 수 있다. 많은 미국특허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이동노드의 네트워킹을 개시한다. 본 분야에서의 2개의 관련된 미국특허를 이하에 기재한다. 미국 특허 제 7,049,952호는 각각 인접노드를 갖는 복수의 이격된 노드, 각각의 노드는 노드와 연관되며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센서를 가지고, 각각의 노드는 노드와 연관된 센서와 연결된 콘트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인접노드들 사이에 통신링크를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서 노드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각각의 콘트롤러는 인접노드의 상태와 통신링크를 평가하기 위해서 그 인접노드에게 질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6,930,596호는 각각 인접노드를 갖는 복수의 이격된 노드, 각각의 노드는 노드와 연관되며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센서를 가지고, 각각의 노드는 노드와 연관된 센서와 연결된 콘트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인접노드들 사이에 통신링크를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서 노드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각각의 콘트롤러는 인접노드의 상태와 통신링크를 평가하기 위해서 그 인접노드에게 질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위에 기재한 시스템은 통합 데이타베이스의 적절한 관리와 기능에 의존한다.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에 대한 현재의 대부분의 기술은 데이타의 대량 저장소를 구축하는 것 및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복잡한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내장형 분산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 분야에서는 몇몇 연구가 행해졌지만, 이들 내장형 장치는 전용서버로의 연결성이 없을 때 사용자의 데이타 수요를 해결하는 캐쉬로서 작동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현재 기술에서는, 분산 시스템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데이타 저장소(중앙서버와 통신하는 중앙 데이타베이스와 같은)에 접근하고 작동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중앙 데이타베이스(주 데이타베이스)에의 접근이 가능하지 않은 때에도 긴급하게 시스템(및 특히, 영향을 받는 개별노드, 즉 로컬노드)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에, 선행기술이 가지고 있는 결함을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용 중앙 데이타 저장소가 없을 때에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동노드들 간의 관련 데이타를 교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보다 효율적인 수단에 대한 수요가 있다.
미국 특허 제 7,049,952호 미국 특허 제 6,930,596호
본 발명의 구체예는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상에서 데이타 관리와 관련된 기술의 결함을 해소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이동노드간의 관련 데이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방법,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이동노드간 관련 데이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 1이동노드상에서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 1 이동노드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지형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설정된다. 이 방법은, 나아가, 제 1이동노드의 나중 위치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의 외부에 있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제 1이동노드에 존재하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과 관련된 관련 데이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에게 독점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이동노드간에 관련 데이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 1 이동노드상의 또 다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 1 이동노드에 의해서, 제 1 이동노드의 현위치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무선 네트워크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설정된다. 이 방법은 또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과 관련된 관련데이타에 대한 쿼리(query)를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에 독점적으로 전송하는 것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관련 데이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노드간에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과 관련된 데이타의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방법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 위치한 제 1이동노드와 제 2이동노드사이에 무선 네트워크 연결의 설정, 제 1이동노드가 나중에 상기 공간지형 영역의 외부에 있을 것인지의, 제 1이동노드에 의한 결정; 및 제 1이동노드로부터의 관련데이타를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경유하여 제 2이동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공간지형 영역에 관한 데이타는 공간지형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소정의 영역에 위치될 제 2 무선노드로 전송되거나 또는 핸드오프(handed off)된다. 이와 같은 진보된 방식 및 선행기술의 방법과 명확히 대비되는 방식으로, 데이타는 중앙집중화된 데이타베이스 없이도 제 1노드에서 제 2노드로 직접 전송되고, 이로 인해서 데이타는 공간지형 영역내에 거의 항상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일부는 이어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날 것이고, 일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 의해서 자명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해서 지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지정된 구성요소 및 조합에 의해서 이해되고 교시될 것이다. 상기의 일반적인 기재 및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 모두는 예시 또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이동노드간 관련데이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제 1이동노드상에서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 1 이동노드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지형영역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은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설정된다. 본 방법은 제 1 이동노드의 추후 위치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외부에 있을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관련데이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의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이동노드에게 독점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관련 데이타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과 관련된 관련데이타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에 도시된 구체예는 현재로서는 바람직한 구체예이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배열과 수단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아그램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진입했을 때 이동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제어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의 외부로 나갔을 때 이동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제어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예는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상에서 테이타 관리와 관련된 선행기술의 결함을 해결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이동노드간의 관련데이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신규하고 진보된 방법,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앙 데이타 저장소와 연결성이 있거나 또는 연결성이 없는 애드 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된 분산 데이타 저장소를 자발적으로 형성하도록 작동가능한 이동장치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한다. 이것은 중앙 데이타 저장소에 대한 요구를 제거하고 이에 의해서 전체 시스템에 추가의 자유도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선행기술에 비해서 이점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네트워크된 이동노드로 하여금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진입하거나 또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을 떠날 때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관련된 데이타를 자동으로 취하고 버릴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있을 때에는 관련 데이타가 항상 각각의 이동 장치의 수중에 있도록 담보한다.
이것은, 또한, 무선 통신망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유지, 공유 및 전파하는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나아가, 이는, 요구되는 데이타를 위한 검색공간을 줄이고 이에 의해서 관련 데이타를 찾는 프로세싱 부담을 줄이며 대역폭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점을 갖는다.
이제,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유사 도면 부호가 기재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아그램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은 회선 교환망, 패킷 교환망 및/또는 휴대폰 무선주파수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는 통신망(106)을 통해서 데이타저장소(120)과 함께 이동노드(100-102)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본 발명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통신망(106)는 중앙 인프라스트럭쳐를 갖는 중앙 집중형 통신망일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개개의 노드가 직접 상호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나타내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나 탱크와 같은 이동수단(112)이나 개인(112)과 함께 이동노드(100)을 도시한다. 이동노드(100)는 이동수단과 결합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개인에 의해서 제거되어 개인이 소지할 수 있다. 이동노드(100)는 프로세서(113), GPS 무선 장치와 같은 위치측정장치(1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송신기(11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신기(117)을 포함한다. 송신기(116) 및 수신기(117)과 함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는 통신망(106)과 접속된다. 이동노드(100)는 또한 공간지형 데이타, 시간 데이타, 상황 데이타등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분류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 저장소(118)를 포함한다. 이동노드(100)는 또한 프로세서(11)에 의해 접근가능한 프로그램 로직(119)을 포함하며, 프로그램 로직(119)은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지시를 생성하도록 컴파일된 컴퓨터 소스코드, 스크립 랭귀지 코드 또는 해석된 랭귀지 코드로 구성된다. 도 1은 이동노드(102)를 도시하는데, 이 이동노드(102)는 통신망(106)에 연결가능한 능력과 함께 무선 주파수 매체상에서 상호간에 직접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능력이 있는 임의의 개수의 추가 이동노드를 나타낼 수 있다.
데이타 저장소(12)은 데이타를 클라이언트 서버 패러다임의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수행하는 데이타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타 저장소(120)은 클라이언트에 의해서 제공된 검색 파라미터 또는 쿼리 정보에 기초한 데이타를 전달한다. 도 1에서는 단 하나의 전용 데이타 저장소(120)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통신망(106)을 통하여 연결된 수개의 전용 데이타 저장소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나아가, 데이타 저장소(120)는 한 장소에 중앙집중될 수 있고, 통신망(106)를 통해서 연결된 복수의 데이타 저장소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망(106)통신망(106)을통신망(106)을 전용 데이타 저장소를 뒷받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이동노드(100-102)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 부분과 데이타 저장소(120)에 존재하는 서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어플리케이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데이타저장소(120)은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 부분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동노드에 전달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데이타 저장소(120)는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진입하는 때의 이동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제어 흐름을 고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의 흐름도는 도 1과 연관되어 기재된 것인데,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아그램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노드(100)과 같은 제 1 이동노드가 소정의 육지영역과 같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으로 진입하는 단계(202)로부터 시작된다. 단계(204)에서는, 로직(119)이 노드(100)의 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는, 로직(119)는 단계(204)에서의 결정을 하기 위해서 GPS(114)에 의해 저장된 장소를 읽는다. 다음으로, 단계(206)에서는, 노드(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를 사용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서 노드(1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은 무선 통신망(106)상에서 설정된다. 단계(206)의 일구체예에서, 노드(100)는 소정의 공간지형영역내에만 있는 노드와 독점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208)에서는, 노드(100)의 로직(119)는 송신기(116)을 통해서 무선 통신망(106)상에서 관련 데이타의 쿼리를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 있는 노드(102)와 같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에 독점적으로 발신한다. 일 구체예에서, 관련 데이타라는 용어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과 관련된 데이타를 의미한다. 예를들면, 이 데이타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관한 것이거나 속한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관련데이타라는 용어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소정의 시간적 기재 및 소정의 상황에 대한 기재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타일 수 있다. 단계(210)에서는, 노드(100)는 수신기(117)을 통하여 무선통신망(106)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로부터 관련 데이타를 수신한다.
단계(212)에서는, 노드(100)의 로직(119)는 수신된 관련데이타를 저장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 결정은 노드(100)상의 자유 데이타 저장공간의 양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전 버젼의 관련 데이타가 노드(100)상에 존재하는지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노드(100)는, 만약, 새로운 관련데이타의 중요성이 이전 데이타보다 더 높거나 또는 이전 데이타보다 더 관련성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관련데이타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노드(100)의 데이타 저장소(118)내의 이전데이타를 삭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위에 기재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노드(100)는 파라미터에 의해 표현되는 관심있는 영역을 축소하는 것과 같이, 어떤 데이타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서 파라미터를 수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212)에서의 결정이 "예"인 경우, 단계(214)에서 노드(100)의 데이타 저장소(118)에 관련 데이타가 저정된다. 노드(100)는 노드(102) 대신에 전용 데이타 저장소(120)과 대안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부로 나갈 때, 이동노드에 의해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제어흐름을 기재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단계(302)로부터 시작되는데, 여기에서는, 노드(100)는, 네트위크 인터페이스(115)를 이용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서 노드(1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와 무선 네트워트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은 무선통신망(106)상에서 설정된다. 단계(302)의 한 구체예에서는, 노드(100)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만 있는 노드와의 독점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한다.
단계(304)에서는, 노드(100)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의 외부쪽으로 이동한다. 단계(306)에서는, 로직(119)는 노드(100)의 추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로직(119)는 단계(304)의 결정을 하기 위해서 현 위치 및 GPS에 의해서 저장된 속도를 판독한다. 단계(308)에서, 로직(119)는 추후 위치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308)에서의 결정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310)에서는, 노드(100)의 로직(119)이 송신기(116)을 통해서 무선통신망(106)을 통해서 노드(100)의 데이타 저장소(118)내의 모든 관련 데이타를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내의 노드(1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동노드에 독점적으로 전송한다. 단계(312)에서는, 노드(102)는 무선통신망(106)을 통해서 노드(102)가 노드(100)으로부터 관련 데이타를 수신한다. 단계(314)에서는 노드(102)의 로직은 단계(212)와 유사하게, 수신된 관련테이타를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저장하기로 결정한 경우, 데이타는 단계(316)에서 저장된다. 노드(100)는 노드(102)대신에 전용데이타저장소(120)과 대안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유의해야 할 특징중에 하나는, 위 단계(310)에서 관련데이타를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102)에 전송할 수 있는 노드(100)의 능력이다. 일 구체예에서, 관련 데이타는 노드(100)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안에서 노드(100)과 네트워크 연결된 모든 다른 노드로 중계된다. 복수의 수신 노드에 의해서 수신되면, 수신 노드는,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어떤 노드가 관련 데이타를 저장할지를 결정한다. 수신된 관련 데이타를 저장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노드(100)의 로직(119)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단계(212)에 보다 자세하게 기재되었다.
한 구체예에서, 노드(100-102)는 데이타 저장소(120)과 같은 중앙 데이타 저장소가 없어도, 상호간에 직접 네트워킹을 하는 능력을 갖는다. 나아가, 노드(100-102)는 관련 데이타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 및 어떤 노드가 관련 데이타를 중계하기에 가장 적당한지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이에 의해서 이동노드간에서 신속하게 중요도에 관한 사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노드(100-102)는 주위의 로컬 노드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시스템에 질의하도록 작동가능하다. 현재 전용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로컬 노드가 쿼리를 통해서 인접한 노컬노드가 어떤 전용서버와도 연결할 수 없다는 것을 검출했다고 결정된 경우에는, 전용서버가 연결되어 있는 노드는 선택적으로 중앙 서버를 위한 데이타의 중계를 하거나 또는 어떤 서버에도 연결할 수 없는 인접한 노드를 위하여 스스로 서버의 역할을 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애드 혹 네트워크 파티셔닝과 관계없이, 시스템내에서 모든 노드의 데이타 수요를 해소하는 것을 보장한다.
추가로, 각각의 노드는 그 안에 저장된 모든 데이타 또는 데이타의 일부를 통상의 데이타 저장소(데이타 저장소(120) 또는 이와 연관된 저장소)와 선택적으로 동기화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전통적인 데이타 저장 수단 및 시스템(데이타 저장소(120)과 연결된 것과 같은)은 개별적인 노드보다 상당히 큰 저장능 및 처리능을 제공하므로, 이것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 필요성이 있는 때에는, 통상적인 중앙집중식 데이타 저장 시스템(중앙집중식, 고정식 컴퓨터 데이타 저장 수단(120)과 같은)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시간 중요한 데이타(time critical data)가 시스템의 특정 지정된 부분에만 전송되도록 환경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몇몇의 시간 중요한 정보가 모든 노드에 도착하는 것이 필요한 반면, 다른 정보는 특정 지역내 또는 특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에만 관련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관련된 노드에게만 중계될 수 있다. 이 구체예는 중요한 대역폭의 보존 및 결과적으로 시스템을 통한 높은 전송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각각의 정보 항목(예를들면, 데이타 저장소(120) 또는 노드(100-102)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타 패킷)은 필요한 메타데이타와 함께 태그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타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데이타(정보)의 중요성, 데이타 소스의 주체, 공간지형 영역 및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된 시간 간격 및 데이타의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타는 수신 노드가 보다 신속하게 수신되는 데이타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행동가능한 결과를 생성하게 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은 노드의 탑재된 데이타 저장수단으로부터 정보가 삭제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이 결정이 적절한 경우 삭제하도록 조치를 취하도록 작동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이 시스템 데이타 저장소로부터 정보를 삭제해야 할 것으로 결정한 때에는, 시스템은 그 정보의 삭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모든 인접한 노드에 송출한다. 이 송출된 메세지는 데이타 항목 그 자체를 포함하고, 인접노드는 이를 저장하거나 중계할 수 있다. 이 기능은 기존의 정보 항목이 폐기되어야 하고, 새로운 항목이 보다 높은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 때 새로운 항목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서 반복될 수 있는 이와 같은 송출은, 정보가 소실될 가능성을 감소키시고, 보다 새로운 데이타 및 보다 중요한 데이타의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위 특징으로 기재된 시스템내에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현실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시스템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 중앙 집중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다른 구성요소가 몇몇의 상호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분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다른 장치-는 모두 적합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상의 조합은, 로딩되거나 수행될 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비한 일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의 수행을 가능케 하는 모든 특징을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로딩되었을 때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수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란 특정 기능을 직접 수행하거나 또는 a) 다른 랭귀지, 코드 또는 표기로의 전환; 및 다른 형태로의 복제의 어느 한쪽이나 양쪽을 행한 후에 수행하는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시스템을 유발하도록 의도된 일련의 지시의 어떤 랭귀지에서의 모든 표현, 코드 또는 표기를 나타낸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데이타, 지시, 메세지나 메세지 패킷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를 판독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CD-ROM 및 다른 관련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들면,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버퍼, 캐쉬 메모리 및 네트워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를 판독하게 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크워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링크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일시적 매체의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컴퓨터 이용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주 메모리 제거가능 저장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에 인스톨된 하드 디스크 및 신호와 같은 매체를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시스템이 데이타, 지시, 메세지나 메세지 패킷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판독가능한 다른 컴퓨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면, 플로피, ROM, 플래쉬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기타 관련 저장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간에 데이타 및 컴퓨터 명령어와 같은 정보를 보내는데 유용하다. 나아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가 컴퓨터 판독가능정보를 판독하게 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링크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일시적 매체내의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가 개시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구체예에 변경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내에서 어떤 그리고 모든 응용, 변경 및 구현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0-102 : 이동노드
113 : 프로세서
114 : 공간지형 위치측정 장치
11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6 : 송신기
117 : 수신기
119 : 프로그램 로직
120 : 데이타 저장소

Claims (14)

  1. 복수의 P2P(peer-to-peer) 이동노드들 사이의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이동노드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의한 결정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속도에 기초하여 미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또한, 가까운 미래에 상기 제1 이동 노드의 상기 미래(future position)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에 위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상기 미래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에 위치할 것이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상기 복수의 이동노드들 중 제 2 이동노드와의 직접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그 다음에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관련 데이타를 상기 확립된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 2 이동노드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데이타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소정의 시간 기재(predefined temporal description), 및 소정의 상황 기재(predefined subject matter description)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고,
    상기 전송된 관련 데이타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의 각각의 이동노드에게 이용가능하도록 남아있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관련 데이타의 전송은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에 위치하는 동안 수행되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노드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상기 관련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제 2 이동노드에게만 배타적으로 수행되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노드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에 위치하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노드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에 위치한 복수의 이동노드 중 하나이고,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의해서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상기 관련 데이타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이동노드로 결정되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노드를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의 위치로 재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8. 복수의 P2P(peer-to-peer) 이동노드들 사이의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제 1 이동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동노드는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의한 결정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속도에 기초하여 미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동노드는 또한, 가까운 미래에 상기 제1 이동 노드의 상기 미래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에 위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상기 미래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에 위치할 것이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이동노드는 상기 복수의 이동노드들 중 제 2 이동노드와의 직접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확립하고;
    상기 제 1 이동노드는 그 다음에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관련 데이타를 상기 확립된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 2 이동노드로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련 데이타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소정의 시간 기재, 및 소정의 상황 기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고;
    상기 전송된 관련 데이타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의 각각의 이동노드에게 이용가능하도록 남아있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9. 삭제
  10. 삭제
  11. 복수의 P2P(peer-to-peer) 이동노드들 사이의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이동노드가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외에 위치한다는 상기 제 1 이동노드에 의한 결정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속도에 기초하여 미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또한, 가까운 미래에 상기 제1 이동 노드의 상기 미래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에 위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동노드의 상기 미래 위치가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에 위치할 것이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상기 복수의 이동노드들 중 제 2 이동노드와의 직접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노드가 상기 미래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제2 이동 노드가 상기 제 2 이동노드에 존재하는 관련 데이타를 상기 확립된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 1 이동노드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데이타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소정의 시간 기재, 및 소정의 상황 기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고,
    상기 전송된 관련 데이타는 상기 소정의 공간지형 영역 내의 각각의 이동노드에게 이용가능하도록 남아있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노드는 공간지형 위치측정 장치에 의해 저장된 위치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인,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이동노드 상의 여유 데이타 저장 공간의 양, 상기 제 1 이동노드 상의 상기 관련 데이타 구버젼의 존재, 상기 제 1 이동노드 상의 만료된 데이타를 삭제하는 능력, 및 데이타를 관련성있는 것으로 인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는 상기 제 1이동노드의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된 관련 데이타를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간지형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117017044A 2008-12-23 2009-12-23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 KR101592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12908P 2008-12-23 2008-12-23
US61/140,129 2008-12-23
US12/639,279 US8891444B2 (en) 2008-12-23 2009-12-16 Distributed geospatial communications system
US12/639,279 200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979A KR20110097979A (ko) 2011-08-31
KR101592062B1 true KR101592062B1 (ko) 2016-02-05

Family

ID=4226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044A KR101592062B1 (ko) 2008-12-23 2009-12-23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91444B2 (ko)
KR (1) KR101592062B1 (ko)
IL (1) IL213603A (ko)
WO (1) WO20100754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0700B2 (en) * 2011-04-13 2013-02-19 Cisco Technology, Inc. Ad hoc geospatial directory of users based on optimizing non-Turing complete executable application
US9083650B2 (en) * 2012-10-16 2015-07-14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Overlay network
WO2015021286A2 (en) * 2013-08-07 2015-02-12 Apd Holdings, Llc Two zone disposable process contact centrifuge for bio-separations
CN103685521A (zh) * 2013-12-16 2014-03-26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物品位置记忆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5808A1 (en) * 2007-03-02 2008-12-11 Aegis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geospatial context associat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135B1 (en) * 1998-05-11 2003-09-23 Cargenie Mell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s
US7113090B1 (en) 2001-04-24 2006-09-26 Alarm.Co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security systems to a wireless device
US6930596B2 (en) * 2002-07-19 2005-08-16 Ut-Battelle System for detection of hazardous events
US7609644B2 (en) 2003-07-04 2009-10-2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lc Ad hoc communications system
US7091902B2 (en) 2003-12-17 2006-08-15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the coverage of ad hoc sensor networks
WO2005089261A2 (en) 2004-03-15 2005-09-29 Sysdm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 a distributed network
US7053770B2 (en) 2004-09-10 2006-05-30 Nivis ,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larm conditions in a mesh network
US7613119B2 (en) 2005-04-11 2009-11-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elf-configurab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node
US7301455B2 (en) 2005-09-20 2007-11-27 Vulano Group, Inc. Self-configuring emergency event alarm network
US7880604B2 (en) 2005-09-20 2011-02-01 Selflink, Llc Self-configuring emergency event alarm system with autonomous output devices
US7889066B2 (en) 2005-09-20 2011-02-15 Selflink Llc Self-configuring emergency event alarm system having connection to a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EP2047652B1 (en) * 2006-07-28 2010-10-20 Telecom Italia S.p.A. Communications method between a combinational terminal and a multimedia terminal
US8274377B2 (en) * 2007-01-10 2012-09-25 Decision Sciences International Corpo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nd decision making via tiered information network systems
US7881340B2 (en) * 2007-10-22 2011-02-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ecentralized media access control for ad-hoc mobile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5808A1 (en) * 2007-03-02 2008-12-11 Aegis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geospatial context associat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13603A0 (en) 2011-07-31
US9980088B2 (en) 2018-05-22
US20150237474A1 (en) 2015-08-20
WO2010075493A3 (en) 2010-09-23
KR20110097979A (ko) 2011-08-31
US8891444B2 (en) 2014-11-18
WO2010075493A2 (en) 2010-07-01
US20100157899A1 (en) 2010-06-24
IL213603A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345B2 (en) Techniques for caching Wi-Fi access point data on a mobile client device using tiles
JP5755812B2 (ja) 期待されるルートに基づくモバイルデバイスへのワイヤレス送信機アルマナック情報の提供
US20180376448A1 (en) Wi-fi protocol enhancement techniques for low power networking for the internet-of-things
JP6169601B2 (ja) 選択可能な電力モードを有するデバイスにおける電力節約技術
US20090061862A1 (en) Peer to peer service discovery sharing
KR20090088113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가상 싱크 노드를 이용한 통신 방법및 장치
US20160219409A1 (en) Methods, Wireless Device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Positioning Method Based on Prediction
KR101592062B1 (ko) 분산 지형공간 통신시스템
US20240155714A1 (en) Methods for improved federated machine learning in wireless networks
GB2472537A (en) Selecting a network connection for data communication
Basaran et al. Fireworks: an intelligent location discovery algorithm for vehicular ad hoc networks
JP6646606B2 (ja) 同期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Ali et al.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enhancing the vehicular Ad-Hoc network communication
JP2018170628A (ja) 車載クラウドレット
EP3567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 application to detect specified circumstances
JP6649015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5692854B2 (j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464480A (en) Selecting a network connection for data communication
CN113938812A (zh) 应用服务的重定向方法、装置及存储介质
Bromage MASTER OF SCIENCE in COMPUTER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