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922B1 - 표시판 - Google Patents

표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922B1
KR101591922B1 KR1020090099912A KR20090099912A KR101591922B1 KR 101591922 B1 KR101591922 B1 KR 101591922B1 KR 1020090099912 A KR1020090099912 A KR 1020090099912A KR 20090099912 A KR20090099912 A KR 20090099912A KR 101591922 B1 KR101591922 B1 KR 10159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interface
transverse portion
color filter
boundary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006A (ko
Inventor
곽창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22B1/ko
Priority to US12/828,896 priority patent/US8325300B2/en
Publication of KR2011004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은 기판,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역을 구획하고, 언더 컷이 형성된 제1 격벽, 제1 격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색필터, 그리고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격벽, 친수성, 소수성, 언더 컷, 색필터

Description

표시판{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투과한 빛을 이용해서 색상을 표시하는 색필터를 포함한다. 색필터는 통상 적색, 녹색, 청색을 포함하기 때문에, 두 표시판을 결합할 때에 각 화소에 대응하는 색상이 마주보도록 잘 정렬하여야 한다. 그러나, 두 표시판의 정렬 오차를 고려하여 화소 사이의 차광 부재를 넓게 형성해야 하므로 개구부가 좁아지고 이에 따라 개구율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색필터를 잉크젯법을 이용해서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색필터를 잉크젯법으로 형성하게 되면, 노광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잉크젯법은 액체 상태의 잉크를 사용하므로, 액체의 특성상 색필터 가 한 화소 내에 잘 채워지지 않거나, 이웃하는 화소로 넘치는 오버 플로우(over-flow) 불량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색필터를 화소 내 충분히 채워지게 하고, 색필터가 이웃한 화소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은 기판,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역을 구획하고, 언더 컷이 형성된 제1 격벽, 제1 격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색필터, 그리고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제1 격벽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격벽은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제1 격벽은 기판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 격벽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고, 세로부는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가로부는 제1 격벽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가로부의 경계면은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색필터는 가로부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로부의 두께와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가로부의 경계면과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가로부의 폭의 비는 1:5 일 수 있다.
제2 격벽의 경계면은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색필터는 제2 격벽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격벽의 두께와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제2 격벽의 경계면과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제2 격벽의 폭의 비는 1: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은 기판,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게이트선 및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를 구획하고, 언더 컷이 형성된 제1 격벽, 제1 격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격벽에 의해 구획된 화소 내에 위치하는 색필터, 그리고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벽이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격벽과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제1 격벽에는 언더 컷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격벽은 제1 격벽 위에 위치하므로, 색필터를 화소 내 충분히 채워지게 하고, 색필터가 이웃한 화소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격벽의 경계면이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므로, 색필터의 평탄화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은 기판(210) 위에 형성된 격벽(360)을 포함한다.
격벽(360)은 색필터(230)가 형성될 영역을 구획하며, 그 영역에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고, 격벽(360) 및 색필터(230) 위에는 덮개막(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막(250) 위에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격벽(360)은 친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격벽(361)과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362)을 포함한다.
제1 격벽(361)에는 언더 컷 및 기판(210)을 노출하는 개구부(365)가 형성되 어 있고, 제2 격벽(362)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는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격벽(362)의 세로부가 개구부(365)에 위치하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는 제1 격벽(361)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경계면은 제1 격벽(361)의 경계면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이 때,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두께와 제1 격벽(361)의 두께의 비는 1:3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경계면과 제1 격벽(361)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폭의 비는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격벽(361)이 친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격벽(361)에 언더 컷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젯 법에 의해 적하된 색필터(230)의 이동이 용이하여 색필터(230)가 격벽(360) 사이에 잘 채워지고, 제2 격벽(362)이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색필터(230)가 격벽(360)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경계면은 제1 격벽(361)의 경계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색필터(230)가 제2 격벽(362)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평탄화에 용이하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도 1의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참고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 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 전극(124)를 포함하고,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154)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154)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3, 165)가 형성되어 있고,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3, 165)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데이터선(171)과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데이터선(171)은 게이트 전극(124)을 향하여 뻗어 있는 소스 전극(173)을 포함하며, 소스 전극(173)은 게이트 전극(124)을 중심으로 드레인 전극(175)과 마주한다.
게이트 전극(124),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반도체(154)와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이루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154)에 형성된다.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3, 165)는 그 아래의 반도체(154)와 그 위의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사이에만 존재하며 이들 사이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준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노출된 반도체(154) 부분 위에는 만들어진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막(180) 위에는 접촉구(185)를 통하여 드 레인 전극(175)과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부 표시판(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연 기판(210) 위에 격벽(360)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360)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색필터(230R, 230G, 230B)가 형성되어 있고, 격벽(360) 및 색필터(230R, 230G, 230B) 위에는 덮개막(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막(250) 위에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360)은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친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격벽(361)과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362)을 포함한다.
제1 격벽(361)에는 언더 컷 및 기판(210)을 노출하는 개구부(365)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격벽(362)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는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격벽(362)의 세로부가 개구부(365)에 위치하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는 제1 격벽(361)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경계면은 제1 격벽(361)의 경계면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색필터(230R, 230G, 230B)가 제2 격벽(362)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360)은 빛을 차단하는 차광 부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표시판(200)과 하부 표시판(100) 사이에 액정층(3)이 위치한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 비슷하지만, 하부 표시판에(100)에 격벽(360) 및 색필터(230R, 230G, 230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이들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우선, 하부 표시판(100)을 설명하면,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 전극(124)을 포함하는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154)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154)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3, 165)가 형성되어 있고,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3, 165)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소스 전극(173)을 포함하는 데이터선(171)과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노출된 반도체(154) 부분 위에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360)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360)은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친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격벽(361)과 소수성 물질로 형 성되어 있는 제2 격벽(362)을 포함한다.
제1 격벽(361)에는 언더 컷 및 기판(210)을 노출하는 개구부(365)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격벽(362)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는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격벽(362)의 세로부가 개구부(365)에 위치하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는 제1 격벽(361)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경계면은 제1 격벽(361)의 경계면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이 때,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두께와 제1 격벽(361)의 두께의 비는 1:3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경계면과 제1 격벽(361)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폭의 비는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격벽(360)은 빛을 차단하는 차광 부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보호막(180) 위의 화소 영역에는 색필터(230R, 230G, 23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격벽(361)이 친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격벽(361)에 언더 컷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젯 법에 의해 적하된 색필터(230R, 230G, 230B)의 이동이 용이하여 색필터(230R, 230G, 230B)가 격벽(360) 사이에 잘 채워지고, 제2 격벽(362)이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색필터(230R, 230G, 230B)가 격벽(360)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격벽(362)의 가로부의 경계면은 제1 격벽(361)의 경계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색필터(230R, 230G, 230B)가 제2 격벽(362)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평탄화에 용이하다.
색필터(230R, 230G, 230B) 및 보호막(180)에는 드레인 전극(175)을 노출하는 개구부(184)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360) 및 색필터(230R, 230G, 230B) 위에는 덮개층(188)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층(188)에는 개구부(184) 내에서 드레인 전극(175)을 노출하는 접촉구(185)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층(188) 위에는 접촉구(185)를 통하여 드레인 전극(175)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부 표시판(2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절연 기판(210) 위에 공통 전극(270)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의 구조는 도 1의 표시판의 구조와 비교했을 때, 격벽의 구조만 다르고,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격벽(460)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격벽(461)과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격벽(462)을 포함한다.
제1 격벽(461)에는 언더 컷 형성되어 있고, 제2 격벽(462)은 제1 격벽(461)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격벽(462)의 경계면은 제1 격벽(361)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색필터(230)가 제2 격벽(462)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2 격벽(462)의 두께와 제1 격벽(461)의 두께의 비는 1:3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격벽(462)의 경계면과 제1 격벽(461)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제2 격벽(462)의 폭의 비는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도 7의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도 7의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 비교했을 때, 격벽의 구조만 다르고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격벽(460)은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친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격벽(461)과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462)을 포함한다.
제1 격벽(461)에는 언더 컷 형성되어 있고, 제2 격벽(462)은 제1 격벽(461)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격벽(462)의 경계면은 제1 격벽(461)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색필터(230R, 230G, 230B)가 제2 격벽(462)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2 격벽(462)의 두께와 제1 격벽(461)의 두께의 비는 1:3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격벽(462)의 경계면과 제1 격벽(461)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제2 격벽(462)의 폭의 비는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격벽(460)은 빛을 차단하는 차광 부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는 도 5 및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 비교했을 때, 격벽의 구조만 다르고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격벽(460)은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친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격벽(461)과 소수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462)을 포함한다.
제1 격벽(461)에는 언더 컷 형성되어 있고, 제2 격벽(462)은 제1 격벽(461)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격벽(462)의 경계면은 제1 격벽(461)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색필터(230R, 230G, 230B)가 제2 격벽(462)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2 격벽(462)의 두께와 제1 격벽(461)의 두께의 비는 1:3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격벽(462)의 경계면과 제1 격벽(461)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제2 격벽(462)의 폭의 비는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격벽(460)은 빛을 차단하는 차광 부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게이트선 171: 데이터선
230: 색필터 360, 460: 격벽
361, 461: 제1 격벽 362, 462: 제2 격벽

Claims (24)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역을 구획하고, 언더 컷이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색필터, 그리고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기판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격벽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가로부는 상기 제1 격벽 위에 위치하고,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은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표시판.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격벽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격벽은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표시판.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서,
    상기 가로부의 두께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과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상기 가로부의 폭의 비는 1:5 인 표시판.
  6.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역을 구획하고, 언더 컷이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색필터, 그리고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격벽은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은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표시판.
  7. 제6항에서,
    상기 제2 격벽의 두께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과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상기 제2 격벽의 폭의 비는 1:5 인 표시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를 구획하고, 언더 컷이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격벽,
    상기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구획된 화소 내에 위치하는 색필터, 그리고
    상기 색필터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
    을 포함하는 표시판.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격벽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격벽은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판.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기판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격벽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가로부는 상기 제1 격벽 위에 위치하는 표시판.
  16. 제15항에서,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은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표시판.
  17. 제16항에서,
    상기 가로부의 두께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과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상기 가로부의 폭의 비는 1:5 인 표시판.
  18. 제14항에서,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은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표시판.
  19. 제18항에서,
    상기 제2 격벽의 두께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과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상기 제2 격벽의 폭의 비는 1:5 인 표시판.
  20. 제13항에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기판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격벽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가로부는 상기 제1 격벽 위에 위치하는 표시판.
  21. 제20항에서,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은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표시판.
  22. 제21항에서,
    상기 가로부의 두께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상기 가로부의 경계면과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상기 가로부의 폭의 비는 1:5 인 표시판.
  23. 제13항에서,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은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표시판.
  24. 제23항에서,
    상기 제2 격벽의 두께와 상기 제1 격벽의 두께의 비는 1:3 이고,
    상기 제2 격벽의 경계면과 상기 제1 격벽의 경계면 사이의 폭과 상기 제2 격벽의 폭의 비는 1:5 인 표시판.
KR1020090099912A 2009-10-20 2009-10-20 표시판 KR101591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12A KR101591922B1 (ko) 2009-10-20 2009-10-20 표시판
US12/828,896 US8325300B2 (en) 2009-10-20 2010-07-01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12A KR101591922B1 (ko) 2009-10-20 2009-10-20 표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006A KR20110043006A (ko) 2011-04-27
KR101591922B1 true KR101591922B1 (ko) 2016-02-05

Family

ID=4387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912A KR101591922B1 (ko) 2009-10-20 2009-10-20 표시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25300B2 (ko)
KR (1) KR101591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350B1 (ko) * 2018-01-09 2023-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218A (ja) 2003-12-11 2005-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遮光層付き光学シート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6072176A (ja) 2004-09-06 2006-03-16 Seiko Epson Corp バンク、カラーフィルタ、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014588B2 (ja) 2004-09-10 2007-11-28 株式会社フューチャービジョン 表示装置用の基板およびこの基板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6184535A (ja) 2004-12-27 2006-07-13 Sharp Corp 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体の製造方法
JP2006251783A (ja) 2005-02-10 2006-09-21 Toray Ind Inc 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60115778A (ko) * 2005-05-06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와 그제조 방법
KR100790866B1 (ko) 2006-01-06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필터용 블랙 매트릭스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84363A1 (en) 2006-02-04 2007-08-09 Kim Sung-Woong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ck matrix of color filter
KR20080001029A (ko)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기판 제조방법
KR101225217B1 (ko) 2006-06-29 2013-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8165092A (ja) 2006-12-29 2008-07-17 Toray Ind Inc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79390B2 (en) 2007-05-30 2011-02-0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urface energy control methods for color filter printing
KR20090012725A (ko) 2007-07-31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컬러필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TWI370270B (en) * 2008-08-06 2012-08-11 Au Optronics Corp Color filter sustrat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006A (ko) 2011-04-27
US20110090435A1 (en) 2011-04-21
US8325300B2 (en)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87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239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9482917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698308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4005877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71550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901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2154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512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111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12288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0460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507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8959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2079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38950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775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3513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4735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2890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91922B1 (ko) 표시판
US20160161794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9074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17025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17785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