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464B1 -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464B1
KR101591464B1 KR1020140061533A KR20140061533A KR101591464B1 KR 101591464 B1 KR101591464 B1 KR 101591464B1 KR 1020140061533 A KR1020140061533 A KR 1020140061533A KR 20140061533 A KR20140061533 A KR 20140061533A KR 101591464 B1 KR101591464 B1 KR 10159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called terminal
ring back
back t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596A (ko
Inventor
양우정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4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발신단말에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여 누적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신단말에서 발신단말들의 평가를 반영한 통화 연결음 변경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RINGBACK-TONE TRANSFORM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발신단말에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여 누적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존재하며, 이러한 부가서비스로는 다양한 음원을 포함하는 링백톤 신호를 발신단말에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는 통화 대기 시간에 발신단말에 음원을 제공하여 발신단말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함과 동시에, 착신단말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단말 사용자의 자기 표현 수단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헌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에서 다양한 AV 기능과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히 착신단말이 설정한 음원을 발신단말에 제공하는 방식보다는 통화 대기 시간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발신단말에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여 누적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신단말에서 발신단말들의 평가를 반영한 통화 연결음 변경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발신단말들의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변경 시점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에는, 상기 착신단말에서 통화 연결음을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시간 동안의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대비 상기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상기 누적된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비율이상 큰 경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양(+)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발신단말들 중 상기 평가시간 동안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나머지 발신단말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음(-)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특정 발신단말의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상기 음(-)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조정점수가 가산 또는 감산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가산하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은,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된 시점 이후로 설정되는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시간 동안,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상기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만큼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방법은, 발신단말들이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평가단계; 서비스장치가 상기 발신단말들이 입력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변경 시점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발신단말들의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변경 시점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에는, 상기 착신단말에서 통화 연결음을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시간 동안의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대비 상기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상기 누적된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비율이상 큰 경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양(+)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단계 이전에, 상기 발신단말들 중 상기 평가시간 동안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나머지 발신단말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음(-)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가중치부여단계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특정 발신단말의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상기 음(-)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조정점수가 가산 또는 감산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단계 이전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가산하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감산하는 조정점수반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은,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된 시점 이후로 설정되는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이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대기시간 동안,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상기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만큼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발신단말들의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변경 시점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은,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발신단말들; 및 상기 발신단말들이 입력한 평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변경 시점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이 변경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발신단말들의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하여 누적하고, 누적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신단말에서 발신단말들의 평가를 반영한 통화 연결음 변경 설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 시간 중 발신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은, 착신단말(100), 발신단말(200), 및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서비스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착신단말(100)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인 통화 연결음 서비스와 관련하여, 자신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단말(200)에서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링백 톤을 대신하여 청취할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하는 단말장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착신단말(1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상기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발신단말(200)은 통화 대기 시간 동안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청취하는 단말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위 착신단말(100)과 마찬가지로 통화 연결음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서비스 서버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서비스장치(300)는 이동통신망 상에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서버이거나, 상기 통화 연결음 서버와는 별도로 마련된 서버에 해당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화 연결음 서버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발신단말(200)에서 착신단말(10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통화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통화 대기 시간 동안,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단말(200)에서 청취하게 된다.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의 경우, 착신단말(100) 사용자의 자기 표현 수단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발신단말(200) 사용자의 취향과는 무관한 음원이 설정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한 음원이 발신단말(200)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일으킴에도 불구하고, 착신단말(100)에서는 이를 전혀 인지할 수 없어 기존 통화 연결음을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렇듯, 기존 통화 연결음 서비스의 경우, 발신단말(200)의 사용자의 취향을 전혀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설정함에 있어서, 발신단말(100)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서비스장치(300)는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발신단말(200)이 착신단말(10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확인되면,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측 교환기(도시안됨)로 제공함으로써, 통화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발신단말(200)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통화 연결음과 함께,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과 관련된 평가관련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로 제공함으로써, 발신단말(200)에서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청취와 동시에, 상기 평가관련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평가관련정보에는 예컨대,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된 음원 정보(예:노래 제목, 가수)와 상기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평가정보 입력창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300)는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발신단말(200)에서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변경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인 평가시간(예: 1주일, 2주일) 동안 발신단말(200)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렇게 수집된 평가정보는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로 환산되어 누적되게 된다.
여기서, 발신단말(200)로부터 수집된 평가정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긍정평가와 부정평가로 구분되는데, 예컨대, 긍정평가와 부정평가는 각각 '10점'의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로 환산되어 누적 저장된다.
또한,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되면,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긍정평가점수 대비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예: 30%)이상 높을 경우,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 미만으로 높거나, 반대로 긍정평가점수가 부정평가점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 점수보다 설정 비율이상 높다는 것은,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하여 발신단말(200) 사용자들의 부정적이 평가가 지배적이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이처럼,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일 경우에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이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착신단말(100)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연결음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이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통화 연결음 유지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설정되어 있는 통화 연결음이 발신단말(200)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는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제공부(310), 발신단말(200)의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320),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330), 및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에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 또는 통화 연결음 유지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하는 전송부(3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공부(310), 수집부(320), 결정부(330), 제어부(340) 및 전송부(350)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3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그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제공부(310)는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310)는 발신단말(200)이 착신단말(10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확인되면,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측 교환기(도시안됨)로 제공함으로써, 통화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발신단말(200)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공부(310)는 통화 연결음과 함께,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과 관련된 평가관련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로 제공함으로써, 발신단말(200)에서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청취와 동시에, 상기 평가관련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관련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수신한 발신단말(200)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음원 정보와 함께 표시되고 있는 평가정보 입력창을 통해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로서, 긍정평가(예: 좋아요)/부정평가(예: 나빠요)를 입력(선택)할 수 있다.
수집부(320)는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부(32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발신단말(200)에서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 수집부(320)는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변경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인 평가시간(예: 1주일, 2주일) 동안 발신단말(200)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렇게 수집된 평가정보는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로 환산되어 누적되게 된다.
여기서, 발신단말(200)로부터 수집된 평가정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긍정평가와 부정평가로 구분되는데, 예컨대, 긍정평가와 부정평가는 각각 '10점'의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로 환산되어 누적 저장된다.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330)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되면,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긍정평가점수 대비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330)는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예: 30%)이상 높을 경우,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 미만으로 높거나, 반대로 긍정평가점수가 부정평가점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 점수보다 설정 비율이상 높다는 것은,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하여 발신단말(200) 사용자들의 부정적이 평가가 지배적이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이처럼,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일 경우에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이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발신단말(200)의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 횟수를 기초로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양(+)의 가중치 내지는 음(-)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결정부(330)는 평가정보를 입력한 발신단말(100)들 중에서, 상기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해 나머지 발신단말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다는 것은,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접할 기회가 그만큼 많아 중요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에,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접할 기회가 많은 발신단말의 평가정보가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해당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해 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결정부(330)는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예: 20회)를 초과하는 특정 발신단말이 확인되는 경우,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환산된 상기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상기 음(-)의 가중치(예: 0.8)를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를 초과한다는 것은, 동일한 통화대상으로부터 평가정보가 필요 이상으로 중복 입력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디.
이에, 결정부(330)는 필요 이상으로 중복된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음(-)의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누적된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에 급격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패턴에 따라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에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가산 또는 감산하게 된다.
즉,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정점수(예: 50점)를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가산하게 된다.
여기서,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다는 것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발신단말의 중요도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헌데, 위에서 필요 이상으로 중복된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음(-)의 가중치를 부여하게 되는 경우,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발신단말의 중요도가 실질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적극 반영하지 못한 결과를 낳게된다.
때문에,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이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정점수(예: 50점)를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가산한 이후,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최종 결정함으로써, 결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정점수(예: 50점)를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감산(-)하게 된다.
여기서,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다는 것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통화 연결횟수가 적은 발신단말의 중요도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헌데, 위에서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접할 기회가 많은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해 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게 되는 경우, 통화 연결횟수가 적은 발신단말의 중요도가 실질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적극 반영하지 못한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이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정점수(예: 50점)를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감산한 이후,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최종 결정함으로써, 결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340)는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을 요청하기 위해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에 상기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시점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340)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된 시점 이후로 설정되는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대기시간 동안, 발신단말(100)들로부터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상기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예: 30%)만큼 미치지 못할 경우에 한해,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기시간 동안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만큼 미치지 못한다는 것은,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발신단말(200)의 관심도가 떨어졌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40)는 상기 대기시간 동안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만큼 미치지 못할 경우,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전송부(350)는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부(35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이 확인되면, 해당 시점에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착신단말(100)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연결음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송부(35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이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에, 별도의 대기시간 없이 통화 연결음 유지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설정되어 있는 통화 연결음이 발신단말(200)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에 따르면, 발신단말(200)들로 하여금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여, 누적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신단말(100)에서 발신단말(200)들의 평가를 반영한 통화 연결음 변경 설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비스장치(300)는 발신단말(200)이 착신단말(10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확인되면,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측 교환기(도시안됨)로 제공함으로써, 통화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발신단말(200)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S110-S120).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통화 연결음과 함께,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과 관련된 평가관련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로 제공함으로써, 발신단말(200)에서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청취와 동시에, 상기 평가관련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발신단말(200)에서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한다(S130-S150).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변경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인 평가시간(예: 1주일, 2주일) 동안 발신단말(200)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렇게 수집된 평가정보는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로 환산되어 누적되게 된다.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300)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되면,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긍정평가점수 대비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S160).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예: 30%)이상 높을 경우,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 미만으로 높거나, 반대로 긍정평가점수가 부정평가점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착신단말(100)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연결음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S170).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이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통화 연결음 유지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설정되어 있는 통화 연결음이 발신단말(200)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공부(310)는 발신단말(200)이 착신단말(10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확인되면, 착신단말(100)에서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측 교환기(도시안됨)로 제공함으로써, 통화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발신단말(200)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S210-S220).
이때, 제공부(310)는 통화 연결음과 함께,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과 관련된 평가관련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로 제공함으로써, 발신단말(200)에서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청취와 동시에, 상기 평가관련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수집부(32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발신단말(200)에서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한다(S230-S240).
이때, 수집부(320)는 착신단말(100)에서 통화 연결음을 변경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인 평가시간(예: 1주일, 2주일) 동안 발신단말(200)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렇게 수집된 평가정보는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로 환산되어 누적되게 된다.
그런 다음, 결정부(330)는 결정부(330)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되면, 발신단말(200)의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 횟수를 기초로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양(+)의 가중치 내지는 음(-)의 가중치를 부여한다(S260).
이때, 결정부(330)는 평가정보를 입력한 발신단말(100)들 중에서, 상기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해 나머지 발신단말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다는 것은,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접할 기회가 그만큼 많아 중요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에,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접할 기회가 많은 발신단말의 평가정보가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해당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해 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결정부(330)는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예: 20회)를 초과하는 특정 발신단말이 확인되는 경우,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환산된 상기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상기 음(-)의 가중치(예: 0.8)를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평가시간 동안 착신단말(100)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를 초과한다는 것은, 동일한 통화대상으로부터 평가정보가 필요 이상으로 중복 입력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디.
이에, 결정부(330)는 필요 이상으로 중복된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음(-)의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누적된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에 급격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패턴에 따라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에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가산 또는 감산한다(S270).
이때,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이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정점수(예: 50점)를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가산한 이후,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최종 결정함으로써, 결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반대로, 결정부(33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이 확인되는 경우, 기 설정된 조정점수(예: 50점)를 누적된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감산한 이후,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여부를 최종 결정함으로써, 결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결정부(330)는 누적된 긍정평가점수와 부정평가점수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긍정평가점수 대비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S280).
이때, 결정부(330)는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예: 30%)이상 높을 경우,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부정평가점수가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 비율 미만으로 높거나, 반대로 긍정평가점수가 부정평가점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4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 변경을 요청하기 위해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에 상기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시점인,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을 확인한다(S290-S310).
이때, 제어부(340)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된 시점 이후로 설정되는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대기시간 동안, 발신단말(100)들로부터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상기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예: 30%)만큼 미치지 못할 경우에 한해,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하게 된다.
이후, 전송부(35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 변경 시점이 확인되면, 해당 시점에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착신단말(100)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연결음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S320).
한편, 전송부(350)는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이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에, 별도의 대기시간 없이 통화 연결음 유지 요청 메시지를 착신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설정되어 있는 통화 연결음이 발신단말(200)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 변경 방법에 따르면, 발신단말(200)들로 하여금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여, 누적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100)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신단말(100)에서 발신단말(200)들의 평가를 반영한 통화 연결음 변경 설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발신단말에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평가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여 누적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착신단말
200: 발신단말
300: 서비스장치
310: 제공부 320: 수집부
330: 결정부 340: 제어부
350: 전송부

Claims (15)

  1.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발신단말들의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변경 시점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에는,
    상기 착신단말에서 통화 연결음을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시간 동안 상기 착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된 평가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에는,
    상기 착신단말에서 통화 연결음을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시간 동안의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대비 상기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상기 누적된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비율이상 큰 경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양(+)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발신단말들 중 상기 평가시간 동안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나머지 발신단말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음(-)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특정 발신단말의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상기 음(-)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조정점수가 가산 또는 감산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가산하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은,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된 시점 이후로 설정되는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시간 동안,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상기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만큼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7. 삭제
  8.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발신단말들의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변경 시점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에는,
    상기 착신단말에서 통화 연결음을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시간 동안 상기 착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 발신단말로부터 입력된 평가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평가정보에는,
    상기 착신단말에서 통화 연결음을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시간 동안의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에 대한 긍정평가점수 및 부정평가점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대비 상기 부정평가점수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통화 연결음에 대한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누적된 부정평가점수가 상기 누적된 긍정평가점수보다 설정비율이상 큰 경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양(+)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단계 이전에, 상기 발신단말들 중 상기 평가시간 동안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많은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나머지 발신단말보다 높은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에 따른 음(-)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가중치부여단계는,
    상기 평가시간 동안 특정 발신단말의 상기 착신단말과의 통화 연결횟수가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정횟수를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특정 발신단말의 긍정평가점수 또는 부정평가점수에 대하여 상기 음(-)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는,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조정점수가 가산 또는 감산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단계 이전에,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가산하며, 상기 착신단말의 통화 패턴으로부터 상기 착신단말이 동일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보다 신규한 발신단말과 통화한 횟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정점수를 상기 평가시간 동안 누적된 상기 긍정평가점수 및 상기 부정평가점수에 감산하는 조정점수반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은,
    상기 평가시간이 경과된 시점 이후로 설정되는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이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대기시간 동안, 상기 발신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평가정보의 누적 개수가 상기 평가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평가정보의 개수에 대해 설정비율만큼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을 상기 통화 연결음의 변경 시점으로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61533A 2014-05-22 2014-05-22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9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533A KR101591464B1 (ko) 2014-05-22 2014-05-22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533A KR101591464B1 (ko) 2014-05-22 2014-05-22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96A KR20150134596A (ko) 2015-12-02
KR101591464B1 true KR101591464B1 (ko) 2016-02-03

Family

ID=5488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533A KR101591464B1 (ko) 2014-05-22 2014-05-22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4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609A (ko) * 2008-03-31 2009-10-06 권장욱 통신 단말기의 동적 광고 컬러링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644421B1 (ko) * 2008-12-23 201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관심 정도에 기반한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96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0306B2 (ja) 音声検証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201701560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ain Microphone
CN104270595B (zh) 一种视频通话客户端视频语音切换系统及其切换方法
EP1633091B1 (en) Bandwidth control in a mobile group communication system
JP2017529711A5 (ko)
CN107770758A (zh) 蓝牙音箱的蓝牙回连方法、蓝牙音箱及存储介质
JP2016518744A (ja) 複数simモバイル電話において複数の音声通話を扱うこと
CN109101216B (zh) 音效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60090330A (ko) 컨퍼런스에서의 음성 합성 제어
WO20150142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ervice usage of a mobile terminal
KR20140094951A (ko) 통화호 수신 거절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3380634A (zh) 用于发送数据的方法和装置
CN110213425A (zh) 一种控制终端发起呼叫的方法及装置
CN105262881A (zh) 一种通信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5208221B (zh) 一种自动调节通话语音的方法及装置
US11553028B1 (en) Proactively determining and managing potential loss of connectivity in an electronic collaborative communication
JP2018521557A (ja) 通話音質改善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374648B2 (ja) 通信デバイスのデータフィルタリング
CN104349426A (zh) 建立通话连接的方法与装置
CN107682535A (zh) 基于智能手机平台远程控制计算机的方法
CN108513320B (zh) 一种编解码协商的方法及装置
KR101591464B1 (ko) 통화 연결음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802848B1 (ko) 생활 패턴에 따른 통화 연결음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4394283A (zh) Ivr菜单的动态调整方法及系统
CN104700830A (zh) 一种语音端点检测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