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049B1 -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049B1
KR101591049B1 KR1020140148906A KR20140148906A KR101591049B1 KR 101591049 B1 KR101591049 B1 KR 101591049B1 KR 1020140148906 A KR1020140148906 A KR 1020140148906A KR 20140148906 A KR20140148906 A KR 20140148906A KR 101591049 B1 KR101591049 B1 KR 10159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blades
disk
plat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637A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정
Priority to KR102014014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04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637A/ko
Priority to PCT/KR2014/012037 priority patent/WO20150882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fans or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유체공급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제2유체 중에 배치된 디스크판으로서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인 디스크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디스크판의 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면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판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체인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복수개의 탄성부재 또는 하나의 탄성판에 의해 상기 디스크판에 가압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비탄성판에 의해 상기 디스크판에 접촉되게 지지되되 상기 디스크판의 면 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탄성부재로 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전체가 탄성부재로 되어 있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apparatus for mixing second fluid into first fluid}
본 발명은 제1유체(기체 또는 액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유체를 미세 방울 또는 버블로 만들어서 제2유체에 혼입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버블발생기를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된 한국특허등록 제10-1231689호에 개시한 바 있다.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로서,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관에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관을 외접시킨 상태에서 내관을 회전시켜 내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을 강제적으로 절단함으로써, 미세 버블을 대량 발생시킴과 동시에 내관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버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는 수중에 공급되는 기체가 내관의 관통구멍과 외관의 관통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미세 버블을 발생시키지만, 내관과 외관이 진원으로 제조될 수도 없고, 수중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처짐이 발생되고, 수중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수류의 힘에 의해 변형이 발생어 내관과 외관 사이에 균일하지 않은 틈새들이 발생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제대로 개폐하지 못하여서, 미세 버블을 발생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버블발생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공개된 한국특허공개 제10-2014-003029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버블발생기는 선단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기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선단면에 미끄럼 접촉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는 내관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고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관 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회전시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가로질러 지나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에서는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내관의 선단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지 못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확실하게 개폐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버블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에서는, 내관 전체가 회전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이를 구동시키는 동력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유체공급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제2유체 중에 배치된 디스크통으로서 선단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디스크통;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디스크통의 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면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통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체인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복수개의 탄성부재 또는 하나의 탄성판에 의해 상기 디스크통의 선단면에 가압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비탄성판에 의해 상기 디스크통의 선단면에 접촉되게 지지되되 상기 디스크통의 면 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탄성부재로 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전체가 탄성부재로 되어 있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유체공급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제2유체 중에 배치된 디스크판으로서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인 디스크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디스크판의 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면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판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체인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복수개의 탄성부재 또는 하나의 탄성판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가압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비탄성판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접촉되게 지지되되 상기 디스크판의 면 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탄성부재로 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전체가 탄성부재로 되어 있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갖고서 디스크통 또는 디스크판의 회전속도에 의해 디스크판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제2유체 속으로 빠져나가는 버블 또는 방울을 상기 디스크통 또는 디스크판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된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확실하게 그리고 미세하게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발생한 버블 또는 방울의 크기가 미세면서도, 자유롭게 조절되어,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아울러 회전축선 방향으로 기다란 내관을 회전시키는 것 대신에 회전축선 방향으로 짧은 디스크통 또는 디스크판을 회전시켜서, 구조가 단순하고 회전을 위한 구동력이 작게 소요되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및
도 5는 제2실시예의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결합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9는 제5실시예의 복수개의 블레이드의 결합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실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체인 외기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제2유체인 액체의 저장조(1) 내의 액중에 배치되어서 하우징(6)에 베어링(61)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디스크통(2)으로서 선단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통(2);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통(2)의 선단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면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통(2)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 내에 회전가능하지 않게 장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통(2)은 액중에 침지되어 상기 하우징(6)의 일단에 케이스(81)가 고정된 모터(80)의 회전축(85)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의 타단은 상기 디스크통(2)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이 액체의 저장조(1) 내의 액중에 혼입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외기를 상기 디스크통(2)에 공급하는 제1유체공급수단(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유체공급수단(5)은 상류단이 수면 위에 노출된 흡입관(91); 상기 케이스(81)의 상류단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91)의 하류단과 모터(80)의 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공간에 유통가능한 복수개의 관통구멍(89); 상기 케이스(81)의 하류단측 벽에 형성되어 모터(80)의 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상기 공간에 유통가능한 복수개의 관통구멍(90); 상기 흡입관(91),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89), 모터(80)의 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디스크통(2) 내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상기 회전축(85)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팬(86); 및 상기 관통구멍(90)을 통하여 토출된 외기를 상기 디스크통(2) 내부에 공급하기 위해,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89)과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하류단이 상기 디스크통(2)에 베어링(52)과 시일(53)을 개재하여 내접되어 있는 공급관(5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통(2)의 회전시에 상기 블레이드(3)에 의해 상기 디스크통(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반복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통(2)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와 마주하는 내면으로서 상기 공급관(54)의 하류단과 마주하는 내면의 중앙에는 모터(80)의 회전축(85) 쪽으로 들어간 분산유동보어(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54)에는, 역류방지수단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체크밸브가 개재되거나 또는 상기 공급관(54)의 도중이 액면 위로 배치되는 배치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54)의 도중에는 상기 디스크통(2)에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V1)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54)의 도중에 상기 압력조절밸브(V1)가 개재되어 있으면,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설치될 장소마다 상이하게 요구되는 버블의 크기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설치될 액심에 따른 상기 디스크통(2)에 대한 제1유체공급압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54)의 도중이 액면 위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압력조절밸브(V1)가 상기 액면 위에 배치된 상기 공급관(54)의 부위에 개재되어 있으면, 유지보수 및 압력조절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관(91)의 상류단은 수면을 향하게 절곡되어 있어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며, 더욱이 상기 흡입관(91)의 상류단에는 고형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F)가 개재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관(91)의 상류단은 제1유체인 외기를 용이하게 흡입하기 위해 확경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의 바닥에는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액체의 저장조(1)에 안정적으로 침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다리부(9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상기 디스크통(2)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62)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디스크통(2)과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그리고 회전축선 방향에서 탄성적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반경방향 양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들어가고 회전축선방향과 반경바깥방향으로 개방된 요부(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부(64)에 삽입되어 상기 요부(64)에서 회전축선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철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부가 하우징(6)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철부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수족관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하우징(6)이 디스크통(2)을 에워싸고 있어서, 수족관에 서식하는 어류를 보호할 수 있다는 관점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모터(M)를 가동하여 디스크통(2)과 팬(85)을 회전시키면, 외기가 상기 흡입관(91),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89), 모터(80)의 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공간,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90)으로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모터(80)를 냉각하게 되고 그 냉각에 의해 가온된 외기가 공급관(54)을 경유하여 상기 디스크통(2) 내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디스크통(2)과 미끄럼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디스크통(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의해 반복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디스크통(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액체의 저장조(1) 내의 액중으로 분출되는 상기 디스크통(2)에 존재하는 외기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의해 절단되게 되면서, 액중으로 공급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 상기 분산유동보어(2c)는 상기 공급관(54)으로부터 공급된 외기가 부딪쳐서 방사 바깥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압축스프링(62)은 상기 디스크통(2)이 회전할 시에 항상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통(2)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미끄럼접촉되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외기를 확실하게 절단시켜, 발생한 버블의 크기가 일정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모터에 의한 디스크통(2)의 회전속도에 따라 및/또는 압력조절밸브(V1)에 의한 공급관(54)의 공급압력에 따라 발생한 버블의 크기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미세 버블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제2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하우징(6)에 고정된 브래킷(66)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관통구멍(66a)에 회전축선 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토큰형 탄성판(67)이 면접촉하고 있고, 상기 토큰형 탄성판(67)이 토큰형 가압판(68)의 슬리브(68a)에 외접되어 상기 토큰형 가압판(68)에 면접촉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66)에 고정된 토큰형 지지판(69)과 상기 토큰형 가압판(68) 사이에 압축스프링(62)이 개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토큰형 지지판(69) 및 상기 토큰형 가압판(68)이 상기 공급관(54)에 외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상기 토큰형 지지판(69) 및 상기 토큰형 가압판(68)이 상기 공급관(54)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62)이 상기 토큰형 가압판(68)을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토큰형 가압판(68)과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토큰형 탄성판(67)이 상기 토큰형 가압판(68)에 의해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되고, 상기 토큰형 탄성판(67)에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토큰형 탄성판(67)에 의해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되어서, 상기 디스크통(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에서 균등한 분포를 갖고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들이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통(2)의 외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어서, 탄성적으로 그리고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외기를 더 더욱 확실하게 절단시켜, 발생한 버블의 크기가 일정하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토큰형 탄성판(67)은 탄성과 가요성을 가진 고무, 폴리우레탄재질, 등의 쿠션패드재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통(2)의 면에 면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6)에 고정된 브래킷(66)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관통구멍(66a)에 회전축선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지만, 상기 디스크통(2)의 면의 모두가 동일한 레벨을 갖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리고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돌출 길이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토큰형 탄성판(67) 쪽으로 돌출된 양은 서로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로 편차된 돌출량을 갖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쿠션패드재로 된 토큰형 탄성판(67)의 가요성에 의해 상기 돌출량 편차가 흡수되면서 접촉하게 되고, 상기 토큰형 탄성판(67)이 토큰형 지지판(69)에 의해 면접촉되어 지지를 받기 때문에, 항상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상기 디스크통(2)이 회전할 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통(2)의 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발생하는 버블의 크기가 미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쿠션패드재로 된 토큰형 탄성판(67)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을 받게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비탄성판에 의해 회전축선방향으로 지지되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통(2)의 면 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쿠션패드재로 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전체가 탄성부재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는 제3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디스크통(2)과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통(2)은 액중에 침지되어 상기 하우징(6)의 하부의 일단에 케이스(81)가 고정된 모터(80)의 회전축(85)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의 하부의 타단은 상기 디스크통(2)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이 액체의 저장조(1) 내의 액중에 혼입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외기를 상기 디스크통(2)에 공급하는 제1유체공급수단(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유체공급수단(5)은 모터(80)의 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상태에서 관형으로 되어 상기 디스크통(2)에 하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디스크통(2)을 회전시키는 회전축(85); 상류단이 수면 위에 노출된 흡입관(91); 상기 흡입관(91)의 하류단에 상부가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모터(80)의 케이스(81)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85)의 일단이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6)의 상부; 상기 회전축(85)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하우징(6)의 상부에 내장된 팬(86); 및 상기 팬(86)에 의해 상기 하우징(6)의 상부 내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회전축(85) 내로 유도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89)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체공급수단(5)은 상기 디스크통(2)의 내부 외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류단이 상기 디스크통(2)에 베어링(52)과 시일(53)을 개재하여 내접되어 있고 하류단이 상기 액체저장조(1)의 액면 위에 배치되어 있고 하류단에 압력조절밸브(V1)가 개재된 기체배출관(55)을 포함하고 있다.
역류방지수단으로서, 상기 관형의 회전축(85)의 하단에, 도시되지 않은 체크밸브가 개재되거나 또는 상기 관형의 회전축(85)의 복수개의 관통구멍(89)이 수면 위로 배치되는 배치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기체배출관(55)의 하류단에 상기 압력조절밸브(V1)가 개재되어 있으면,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설치될 장소마다 상이하게 요구되는 버블의 크기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설치될 액심에 따른 상기 디스크통(2)에 대한 외기공급압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관(91)의 상류단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상기 제3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모터(M)를 가동하여 디스크통(2)과 팬(85)을 회전시키면, 외기가 상기 흡입관(91),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89), 회전축(85)을 경유하여 상기 디스크통(2) 내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디스크통(2)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디스크통(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의해 반복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디스크통(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액체의 저장조(1) 내의 액중으로 분출되는 상기 디스크통(2)에 존재하는 외기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의해 절단되게 되면서, 액중으로 공급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이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의 구성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들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 모터에 의한 디스크통(2)의 회전속도에 따라 및/또는 압력조절밸브(V1)에 의한 기체배출관(55)의 개도에 다른 외기공급압력에 따라 발생한 버블의 크기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미세 버블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평형수처리장치, 하수종말처리장치 등의 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 디스크통(2)의 회전수가가 빠르면 빠를수록 버블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늦으면 늦을수록 버블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 디스크통(2)에 형성된 관통구멍(12)이 많으면 많을수록 발생한 버블의 양은 증대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제1유체가 외기 즉 공기이고 제2유체가 액체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제1유체가 산소, 오존 등의 기체 또는 액체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체가 제1유체의 액체와 다른 액체 또는 상기 제1유체와 다른 기체가 될 수 있다.
제1유체가 기체이고 제2유체가 액체인 경우에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의해 제2유체 중에 발생하는 것은 기포 또는 버블이고, 그리고 제1유체가 액체이고 제2유체가 기체인 경우에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의해 제2유체 중에 발생되는 것은 방울이다.
또한, 상기 제1유체가 외기가 아닌 다른 기체인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제1유체공급수단(5) 대신에, 예를 들면 상기 다른 기체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있는 제1유체공급원인 봄베의 토출구가 상기 디스크통(2)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체가 액체가 아닌 기체인 경우에는 제1 및 제3실시예의 역류방지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모터(80)가 제2유체 중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80)가 제2유체 밖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제1 및 제3실시예의 역류방지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특히 제1유체가 외기가 아닌 다른 기체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체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모터(80)의 내부를 경유하여 디스크통(2)에 공급되지 않고 바로 봄베에 일단이 접속된 공급관(54)의 타단이 바로 디스크통(2)에 접속될 수도 있고, 또한 제3실시예에서 기체공급관(55)이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체공급관(55)이 배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판(67)과 상기 가압판(68)은 토큰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모터(80)에 디스크통(2)이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6)에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비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80)가 제2유체 밖에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크통(2)이 고정체이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회전체로 될 수 있다. 이때에는 모터(80)의 회전축(85)이 하우징(6)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6)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디스크통(2)이 모터(80)의 케이스(81)나 저장조(1)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브래킷에 고정되여야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디스크통(2)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그 반대로, 즉 상기 디스크통(2)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키이(key) 결합 방식으로 회전축(85)에 상기 디스크통(2)을 회전축(85)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키이 결합을 위해 상기 회전축(85)과 디스크통(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키이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키이 사이에 압축스크링(62)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키이 결합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4 및 제5실시예들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에는 제4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4실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체인 외기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제2유체인 액중에 배치되어서 하우징(6)에 베어링(61)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디스크판(2')으로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판(2');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판(2')의 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판(2')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 내에 회전가능하지 않게 장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판(2')은 액중에 침지되어, 상기 하우징(6)의 상부에 케이스(81)가 고정된 모터(80)의 회전축(85)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의 일단은 상기 디스크판(2')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이 제2유체 중에 혼입되도록 침지되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외기를 상기 디스크판(2')에 공급하는 제1유체공급수단(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유체공급수단(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80)의 회전축(85)에 장착된 팬(86); 상기 팬(86) 주위를 에워싸서 상기 하우징(6)에 장착된 챔버(40); 외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챔버(40)에 형성된 흡입구(41); 및 상기 하우징(6)과 상기 챔버(40)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6)에 형성된 유통구(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유체공급수단(5)은 팬(86) 대신에 일단이 도시되지 않은 유체공급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유통구(42)에 접속된 유체공급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크판(2')의 회전시에 상기 블레이드(3)에 의해 상기 디스크판(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반복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4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상기 디스크판(2')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62)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디스크판(2')과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그리고 회전축선방향에서 탄성적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반경방향 양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들어가고 회전축선방향과 반경바깥방향으로 개방된 요부(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의 내주면과 중앙에는 상기 요부(64)에 삽입되어 상기 요부(64)에서 회전축선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철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부가 하우징(6)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철부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4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수족관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하우징(6)이 디스크판(2')을 에워싸고 있어서, 수족관에 서식하는 어류를 보호할 수 있다는 관점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모터(80)를 가동하여 디스크판(2')과 팬(85)을 회전시키면, 외기가 상기 흡입구(41), 상기 유통구(42)을 경유하여 상기 디스크판(2') 내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디스크판(2')과 미끄럼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디스크판(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의해 반복적으로 개폐되어, 외기가 상기 디스크판(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제2유체인 액중으로 분출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의해 절단되어, 액중으로 공급되어서,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 상기 압축스프링(62)은 상기 디스크판(2)이 회전할 시에 항상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판(2')의 면에 탄성적으로 미끄럼접촉되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외기를 확실하게 절단시켜, 발생한 버블의 크기가 일정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모터에 의한 디스크판(2')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한 버블의 크기가 자유롭게 조절되어,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미세 버블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도 8 및 도 9에는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5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제2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하우징(6)에 고정된 브래킷(66)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관통구멍(66a)에 회전축선 방향 양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탄성판(67)이 면접촉하고 있고, 상기 탄성판(67)이 가압판(68)의 슬리브(68a)에 외접되어 상기 가압판(68)에 면접촉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66)에 고정된 지지판(69)과 상기 가압판(68) 사이에 압축스프링(62)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5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는, 상기 압축스프링(62)이 상기 가압판(68)을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판(68)과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탄성판(67)이 상기 가압판(68)에 의해 회전축선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되고, 상기 탄성판(67)에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탄성판(67)에 의해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되어서, 상기 디스크판(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에서 균등한 분포를 갖고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들이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판(2')의 외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어서, 탄성적으로 그리고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외기를 더 더욱 확실하게 절단시켜, 발생한 버블의 크기가 미세하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제4실시예의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판(67)은 탄성과 가요성을 가진 고무, 폴리우레탄재질, 등의 쿠션패드재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판(2')의 면에 면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6)에 고정된 브래킷(66)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관통구멍(66a)에 회전축선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지만, 상기 디스크판(2')의 면의 모두가 동일한 레벨을 갖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리고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돌출 길이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탄성판(67) 쪽으로 돌출된 양은 서로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로 편차된 돌출량을 갖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쿠션패드재로 된 탄성판(67)의 가요성에 의해 상기 돌출량 편차가 흡수되면서 접촉하게 되고, 상기 탄성판(67)이 지지판(69)에 의해 면접촉되어 지지를 받기 때문에, 항상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상기 디스크판(2)이 회전할 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판(2')의 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발생하는 버블의 크기가 미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5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쿠션패드재로 된 탄성판(67)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을 받게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비탄성판에 의해 회전축선방향으로 지지되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상기 디스크판(2')의 면 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쿠션패드재로 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전체가 탄성부재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는 평형수처리장치, 하수종말처리장치 등의 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 디스크판(2')의 회전수가가 빠르면 빠를수록 버블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늦으면 늦을수록 버블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서 디스크판(2')에 형성된 관통구멍(12)이 많으면 많을수록 발생한 버블의 양은 증대되게 된다.
상기 제4 및 제 5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제1유체가 외기 즉 공기이고 제2유체가 액체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제1유체가 산소, 오존 등의 기체 또는 액체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체가 제1유체의 액체와 다른 액체 또는 상기 제1유체와 다른 기체가 될 수 있다.
제1유체가 기체이고 제2유체가 액체인 경우에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의해 제2유체 중에 발생되는 것은 기포 또는 버블이고, 그리고 제1유체가 액체이고 제2유체가 기체인 경우에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의해 제2유체 중에 발생되는 것은 방울이다.
또한, 상기 제1유체가 외기가 아닌 다른 기체인 경우에는 제4 내지 제5실시예의 제1유체공급수단(5) 대신에, 예를 들면 상기 다른 기체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있는 제1유체공급원인 봄베의 토출구가 상기 디스크판(2')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가 버블발생기이고, 제1유체가 산소이고 그리고 제2유체가 물인 경우에는 제1유체공급수단(5)이 배제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모든 물에는 용존산소가 존재하게 되고, 상기 디스크통(2) 또는 디스크판(2)이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회전하게 되면, 수중에서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여, 수중에서 미세 버블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4 및 제 5실시예들에서 모터(80)에 상기 디스크판(2')이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6)에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비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크판(2')이 고정체이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회전체로 될 수 있다. 이때에는 모터(80)의 회전축(85)이 하우징(6)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6)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디스크판(2')이 모터(80)의 케이스(81)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브래킷에 고정되여야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및 제5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상기 디스크판(2')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그 반대로, 즉 상기 디스크판(2)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키이(key) 결합 방식으로 회전축(85)에 상기 디스크판(2)을 회전축(85)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키이 결합을 위해 상기 회전축(85)과 디스크판(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키이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키이 사이에 압축스크링(62)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키이 결합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탄성체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와 마주하는 디스크통(2)의 선단면이나 디스크판(2')이 탄성체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회전축(85)이 연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또는 경사방향으로 뻗어 있어도 되며,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에 의해 발생된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이 일정 크기를 갖게 하려면 연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크판, 3; 복수개의 블레이드

Claims (6)

  1. 제2유체 중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6)에 베어링(61)을 개재하여 내접되어 제1유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선단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통(2)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판(2'); 및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디스크통(2)의 선단면 또는 디스크판(2')에 면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통(2) 또는 디스크판(2')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6)에 장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통(2) 또는 디스크판(2')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중 어느 하나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이며,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들이 디스크통(2)의 선단면 또는 디스크판(2')에 미끄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통(2) 또는 디스크판(2')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중 어느 하나는 회전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6)에 장착되어 탄성체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상기 디스크통(2) 또는 디스크판(2')의 선단면 쪽으로 돌출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부위는 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전체는 또는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 또는 디스크판(2')은 회전축선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로 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블레이드(3)에 의해 상기 디스크통(2) 또는 디스크판(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반복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와 면접촉되는 하나의 쿠션 패드이거나,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각각에 마련된 쿠션 패드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각각의 자체가 쿠션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와 면접촉되는 하나의 쿠션 패드, 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각각에 마련된 쿠션 패드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각각의 자체가 또는 디스크통(2)의 선단면 또는 디스크판(2')이 쿠션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가 하우징(6)에 고정된 브래킷(66)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관통구멍(66a)에 회전축선 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에 탄성판(67)이 면접촉하고 있고,
    상기 탄성판(67)이 가압판(68)의 슬리브(68a)에 외접되어 상기 가압판(68)에 면접촉되어 있고,
    상기 가압판(68)이 고정체 또는 상기 회전체와 동심으로 회전하는 다른 회전체에 지지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다른 회전체와 상기 가압판(68) 사이에 압축스프링(62)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6. 삭제
KR1020140148906A 2013-12-10 2014-10-30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159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06A KR101591049B1 (ko) 2014-10-30 2014-10-30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PCT/KR2014/012037 WO2015088215A1 (ko) 2013-12-10 2014-12-09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06A KR101591049B1 (ko) 2014-10-30 2014-10-30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637A KR20140134637A (ko) 2014-11-24
KR101591049B1 true KR101591049B1 (ko) 2016-02-02

Family

ID=5245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906A KR101591049B1 (ko) 2013-12-10 2014-10-30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0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1854A (ja) * 2008-08-26 2010-03-11 Toshiba Corp 微小気泡発生装置
JP2012024647A (ja) * 2010-07-20 2012-02-09 Toray Ind Inc 浸漬型膜分離装置および微細気泡散気管
KR101231689B1 (ko) 2012-11-16 2013-02-08 이춘우 기포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1854A (ja) * 2008-08-26 2010-03-11 Toshiba Corp 微小気泡発生装置
JP2012024647A (ja) * 2010-07-20 2012-02-09 Toray Ind Inc 浸漬型膜分離装置および微細気泡散気管
KR101231689B1 (ko) 2012-11-16 2013-02-08 이춘우 기포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637A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695B1 (ko) 다단펌프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2093837B1 (ko) 나노버블 발생 및 기체혼합 장치
JP2009008291A (ja) 加湿器
WO2004011811A1 (ja) 加圧遠心ポンプの気体等の混入構造
JP2009028579A (ja) 気泡発生装置
BR112013001997B1 (pt) a bomba de auto-escorvamento verticias
KR101660422B1 (ko) 블록형 날개를 구비한 에어레이터
KR101591049B1 (ko)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KR20160023069A (ko)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1620392B1 (ko) 유체를 액체에 혼입하는 장치
JP6797424B2 (ja) 微細気泡混合液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160043646A (ko)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JP5176946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150134538A (ko) 버블발생기
KR101147702B1 (ko) 나노버블 발생장치를 이용한 탈취탑
JPWO2015029118A1 (ja) 塗布装置
JP2017113687A (ja) 気液混合装置
JP2004073953A (ja) 液体と気体との撹拌混合装置
US20230040870A1 (en) Air injection device for hydraulic turbine
KR101631612B1 (ko) 유체를 액체에 혼입하는 장치
WO2008059909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décharger une matière liquide
KR20220150537A (ko) 나노버블 발생 장치
DK200601370A (da) Fordeler til at fordele en hovedström af en væske op i et antal delströmme
JP4157517B2 (ja) 空気と水から成るマッサージ作用を奏する流れを生成するための衛生槽用機器
KR20160059639A (ko)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