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450B1 -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450B1
KR101589450B1 KR1020150034645A KR20150034645A KR101589450B1 KR 101589450 B1 KR101589450 B1 KR 101589450B1 KR 1020150034645 A KR1020150034645 A KR 1020150034645A KR 20150034645 A KR20150034645 A KR 20150034645A KR 101589450 B1 KR101589450 B1 KR 10158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arm
user
gun
tracking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
이석경
이원종
Original Assignee
(주) 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우 filed Critical (주) 하우
Priority to KR102015003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격발 등 총기의 사용을 감지하고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총기 사용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불법적인 총기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총기에서 사용된 실탄의 수량과 지급받은 실탄 및 반납한 실탄의 수량을 관리하여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를 방지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에 대한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총기 추적 장치; 및 상기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별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검출한 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nd controlling the usage of gun}
본 발명은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격발 등 총기의 사용을 감지하고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총기 사용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불법적인 총기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총기에서 사용된 실탄의 수량과 지급받은 실탄 및 반납한 실탄의 수량을 관리하여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를 방지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국내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총기류의 소지 및 사용이 제한적이어서 총기류 사고가 빈발하지는 않았으나, 수렵, 조류 퇴치, 스포츠 등 다양한 용도로 엽총이나 공기총 등 제한된 총기류를 소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었고, 특히 최근 들어 국내외에서 총기류 사고가 발생되면서 총기류의 사용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1465호(2007. 8. 16. 공개)에서는 총기류에 RFID용 Tag를 부착하여 인증되지 않은 총기류를 식별하거나, 총기류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며, 총기류의 이탈을 방지하는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 공개특허 문헌에 따른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의 경우, RFID용 Tag를 이용하여 총기류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거나 총기류의 반출 혹은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칠 뿐, 사용자가 총기류를 반출한 이후의 격발 등 사용 내역을 확인하거나, 총기류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는 등 구체적인 총기류의 사용 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추적 및 관리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대하여, 총기에서의 격발 등 총기 사용에 대한 추적 및 관리, 총기류에서 사용되는 실탄에 대한 관리, 총기류의 반출 및 반납 관리 등을 통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총기류를 관리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아직 이에 대한 적절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총기류의 불법적인 사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총기류에서 사용되는 실탄의 구입, 사용, 반납을 추적하여 실탄 사용 내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를 방지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총기류에 부착되는 총기 추적 장치의 분리 여부 및 충전 상태 등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리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총기의 사용 위치 및 시간, 실탄 사용 내역, 총기 추적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 등을 고려하여 불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총기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 가능한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은 서버가 총기에 부착된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총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총기 사용을 추적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에 대한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총기 추적 장치; 및 상기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별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검출한 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 중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과 대비하여 상기 총기 사용의 적법성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지급받은 실탄 수량 및 반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전원을 적절하게 공급하지 않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은 서버가 총기에 부착된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총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총기 사용을 추적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한 격발 정보를 전송받는 격발 정보 전송 단계; 서버가 상기 격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총기 사용 적법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검출한 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총기 사용 적법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 중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과 대비하여 상기 총기 사용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지급받은 실탄 수량 및 반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하는 실탄 소지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실시간 추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전원을 적절하게 공급하지 않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받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는 총기에 부착되어 총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총기 추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하는 것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총기에 부착시키는 잠금 장치의 고정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 상기 격발 센서, 위치 센서 및 잠금 센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총기의 격발 시간 및 위치 정보 등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을 저장하거나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을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총기 격발시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하며, 이때, 상기 통신부가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에는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총기를 사용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제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전원을 적절하게 공급하지 않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 추적 장치가 총기의 격발 시간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서버로 전송하여 총기 사용의 적법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총기류의 불법적인 사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 추적 장치의 격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탄 사용 내역을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지급된 실탄 및 반납된 실탄과 비교함으로써, 총기류에서 사용되는 실탄의 구입, 사용, 반납을 추적하여 실탄 사용 내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를 방지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추적 장치의 분리 여부 및 충전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추적 장치의 분리 여부 및 충전 상태에 따른 정상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리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의 사용 위치 및 시간, 실탄 사용 내역, 총기 추적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해당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함으로써, 총기 사용 위치 및 시간, 실탄 사용 내역, 총기 추적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 등을 고려하여 불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총기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 가능한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에 의한 총기 사용 위치 추적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총기 추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라 총기류에 RFID용 Tag를 부착하여 총기류를 관리하는 경우, 총기류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거나 총기류의 반출 혹은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칠 뿐, 사용자가 총기류를 반출한 이후의 격발 등 사용 내역을 확인하거나, 총기류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는 등 총기의 불법적인 사용에 대한 추적 및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격발 등 총기의 사용을 감지하고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총기 사용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불법적인 총기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총기에서 사용된 실탄의 수량과 지급받은 실탄 및 반납한 실탄의 수량을 관리하여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를 방지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에 대한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총기 추적 장치(120) 및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별하는 서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110)에서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검출한 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나아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에는 상기 총기 사용 기록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총기 사용 기록 데이터베이스(112), 총기 사용 허가 조건 데이터베이스(114), 총기 관리 단말기(130) 및 실탄 관리 단말기(14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총기의 사용자가 총기를 보관 장소에서 반출하고 실탄을 수령한 후, 총기를 사용하고 반납하는 일련의 과정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핀다.
먼저, 사용자는 경찰관서 등 총기 보관 장소에서 총기를 반출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이때, 관리자는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총기 식별 번호 및 총기 추적 장치(120)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입력한 후, 상기 사용자에게 총기 추적 장치(120)가 부착된 총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총기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 및 기간이 함께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총포사 등에서 실탄을 구입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사용자에게 실탄을 지급하는 자는 실탄 관리 단말기(14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적법하게 총기를 반출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실탄 관리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한 실탄의 수량(판매 수량), 판매처, 실탄을 구입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총기와 실탄을 지급받은 사용자는 수렵, 조류 퇴치, 스포츠 등의 용도로 상기 총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총기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서는 격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총기 식별 번호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11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전송 중 데이터의 유실 또는 통신망의 두절 등에 대비하거나 검증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격발 센서(122)는 모션 센서 등 총기의 순간적인 충격이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로부터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총기 식별 번호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의 식별 정보 등 격발 정보를 전달받은 서버(110)는 상기 격발 정보를 총기 사용 기록 데이터베이스(112)에 기록한 후,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총기 식별 번호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총기 사용 허가 조건 데이터베이스(114)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검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검출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 중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과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총기 사용의 적법성을 판별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의 총기의 사용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상기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추적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상기 총기의 격발시에 한정하여 격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총기 사용 정보 수집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적절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총기 사용 위치 추적을 설명하는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의 사용자는 수렵 등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일정 기간을 정하여 수렵 허가 내지는 총기 사용 허가를 받게 되는 바, 사용자가 총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소 및 기간이 정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총기를 사용한 위치 및 시간을 파악한 후,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이 적법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통상적으로 수렵 허가는 11월 내지 2월의 겨울에 한하여 특정 지방자치단체 별로 허가를 내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A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공주 지역에서의 수렵 허가를 받은 경우, 사용자 A가 2014년 12월에 공주 지역에서 총기를 사용하는 경우, 적법한 총기 사용으로 판단될 수 있으나, 사용자 A가 2014년 12월에 경기도 지역에서 총기를 사용하거나, 사용자 A가 2015년 5월에 공주 지역에서 총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A의 총기 사용은 불법적인 총기 사용으로 판단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110)에서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불법적으로 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110)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로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고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가 총기를 적법하게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반드시 상기 서버(110)에서 판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서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번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총기 격발시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사용자가 총기를 불법적으로 사용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110)로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110)에서는 상기 총기의 불법 사용 여부 및 상기 총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단말기(130) 또는 상기 실탄 관리 단말기(140)로 전송하여 상기 총기 및 실탄의 관리에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충전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않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110)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자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총기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충전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않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한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총기의 사용 및 관리 현황을 확인하여 총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총기의 사용을 마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총기를 경찰관서 등 총기 보관 장소로 반납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는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반납된 총기의 식별 번호, 사용자의 식별 번호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의 식별 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 기록된 총기 사용 내역, 총기 추적 장치(120) 관리 지침 위반 내역 등을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된 실탄 수량 및 상기 사용자가 반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할 수도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실탄을 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총기에 대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함으로써, 총기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총기 추적 장치(120)의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120)는 총기에 부착되어 총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총기 추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하는 것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122), 상기 총기의 격발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121),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총기에 부착시키는 잠금 장치(124)의 고정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123), 상기 격발 센서(122), 위치 센서(121) 및 잠금 센서(123)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총기의 격발 시간 및 위치 정보 등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을 저장부(127)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26)로 전달하는 제어부(125) 및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을 서버(110)로 전송하는 통신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25)에서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번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총기 격발시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126)가 서버(110)로 전송하는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에는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총기를 사용했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서버가 상기 총기 사용 허가 조건 위반 내역을 파악하고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서버(110)와 통신이 두절되더라도 총기 추적 장치(120) 자체적으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의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 센서(123)에서 상기 잠금 장치(124)가 해제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총기로부터 분리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110)로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충전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않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110)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동작에 사용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에 위반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서버(110)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추적 관리 장치(12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 등 총기 사용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27)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은 서버(110)가 총기 추적 장치(120)로부터,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한 격발 정보를 전송받는 격발 정보 전송 단계(S410) 및 서버(110)가 상기 격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총기 사용 적법 여부 판단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110)에서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검출한 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총기 사용 적법 여부 판단 단계(S420)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 중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과 대비하여 상기 총기 사용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전송 중 데이터의 유실 또는 통신망의 두절 등에 대비하거나 검증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에는 상기 서버(110)에서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실시간 추적 단계(S430)를 더 포함하여, 불법적으로 사용된 총기에 대한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에는 상기 서버(110)가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120)로부터 산출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지급받은 실탄 수량 및 반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하는 실탄 소지 검증 단계(S440)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실탄 사용 내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실탄을 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총기에 대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함으로써, 총기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110 : 서버
112 : 총기 사용 기록 데이터베이스
114 : 총기 사용 허가 조건 데이터베이스
120, 120a, 120n : 총기 추적 장치
130 : 총기 관리 단말기
140 : 실탄 관리 단말기

Claims (13)

  1. 서버가 총기에 부착된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총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총기 사용을 추적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에 대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총기 추적 장치; 및
    상기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총기의 격발에 대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별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격발 정보 중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을 검출한 후, 상기 총기의 격발에 대한 위치 및 시간 정보와 대비하며,
    상기 총기 추적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여, 총기 추적 장치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지급받은 실탄 수량 및 반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서버가 총기에 부착된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총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총기 사용을 추적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총기 추적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전송받는 격발 정보 전송 단계;
    서버가 상기 총기를 격발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총기 사용 적법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격발 정보에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용 장소 및 허용 기간을 검출한 후, 상기 총기를 격발한 위치 및 시간 정보와 대비하며,
    상기 총기 추적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여, 총기 추적 장치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지급받은 실탄 수량 및 반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하는 실탄 소지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실시간 추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방법.
  10. 삭제
  11. 총기에 부착되어 총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총기 추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총기를 격발하는 것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총기에 부착시키는 잠금 장치의 고정 여부를 감지하는 잠금 센서;
    상기 격발 센서, 위치 센서 및 잠금 센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총기의 격발 시간 및 위치 정보 등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을 저장하거나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총기의 사용 기록을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총기 추적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총기 격발시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에 대한 적법 여부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여, 총기 추적 장치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34645A 2015-03-12 2015-03-12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58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45A KR101589450B1 (ko) 2015-03-12 2015-03-12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45A KR101589450B1 (ko) 2015-03-12 2015-03-12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450B1 true KR101589450B1 (ko) 2016-01-29

Family

ID=5531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645A KR101589450B1 (ko) 2015-03-12 2015-03-12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4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25B1 (ko) * 2016-09-02 2017-06-12 주식회사비엠테크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
KR102621108B1 (ko) 2023-01-02 2024-01-10 최진호 위치 기반의 수렵용 총기 사고 방지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723A (ko) * 2004-05-26 2007-04-25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무기 안전 시스템 및 발사 설비
KR20100052109A (ko) * 2008-11-10 2010-05-19 (주)기술과디자인 총기 모니터링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총기 모니터링 방법
JP2014002572A (ja) * 2012-06-19 2014-01-09 Hitachi Systems Ltd Gps機能を利用した相互認証システム及び相互認証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723A (ko) * 2004-05-26 2007-04-25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무기 안전 시스템 및 발사 설비
KR20100052109A (ko) * 2008-11-10 2010-05-19 (주)기술과디자인 총기 모니터링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총기 모니터링 방법
JP2014002572A (ja) * 2012-06-19 2014-01-09 Hitachi Systems Ltd Gps機能を利用した相互認証システム及び相互認証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25B1 (ko) * 2016-09-02 2017-06-12 주식회사비엠테크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
KR102621108B1 (ko) 2023-01-02 2024-01-10 최진호 위치 기반의 수렵용 총기 사고 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3032B2 (en) Apparatus for firearm safety
US9341424B2 (en) Firearm locking assembly
US20060208857A1 (en) Use of rfid tags and readers to automate real time alert signals in a security system
US20180058786A1 (en) Firearm safety system
CN201924745U (zh) 一种枪弹柜智能管理装置
CN205879007U (zh) 一种智能手枪
US10670358B2 (en) Firearm with user authentication to remove or add components
US20210080208A1 (en) Firearm with User Identification System
CN110647192B (zh) 一种枪械智能监控管理系统
KR101589450B1 (ko)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202548898U (zh) 一种枪支管理的装置
WO2018232885A1 (zh) 一种智能枪械管理方法和装置
WO2008151402A2 (en) Electronic lock system of firearms trigger
CN102663567A (zh) 一种基于枪弹柜的管理系统及方法
KR101749995B1 (ko)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3106566A (zh) 枪弹的存放管理控制方法及其存放管理控制系统
KR20100110468A (ko)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KR101613131B1 (ko) 지능형 총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8599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rearm safety
KR100778083B1 (ko) 총기 관리 장치
CN102819781A (zh) 枪支出入自动化信息管理系统
JP5295409B2 (ja) 銃火器管理システム及び銃火器管理プログラム
Kempen Tech To Track Your Firearm
KR20070081465A (ko)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
KR101613248B1 (ko) 총기 잠금장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