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468A -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468A
KR20100110468A KR1020090028802A KR20090028802A KR20100110468A KR 20100110468 A KR20100110468 A KR 20100110468A KR 1020090028802 A KR1020090028802 A KR 1020090028802A KR 20090028802 A KR20090028802 A KR 20090028802A KR 20100110468 A KR20100110468 A KR 20100110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speed command
firearms
high speed
weap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교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주)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주)
Priority to KR102009002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0468A/ko
Publication of KR2010011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에서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를 보관하는"통합형 간이무기고"에 관한 것으로, 현재는 총기보관함과 탄약/무기 보관함이 종류별로 별개의 함으로 임의 제작되어 재래식으로 분산 보관을 하고 있으며, 관리 또한 단순 열쇠 잠금 장치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 2008년 11월 23일 최전방 GP의 수류탄 투척 사건을 보면 무기 입고 및 보관, 관리의 허술함에서 발생된 일이며, 현재의 방법과 방식으로 무기를 보관, 관리시 제2, 제3의 무기 탈취사건은 계속될 것이다.
본발명에 의한 통합형 간이무기고는 종류별로 별개 분산 보관, 관리되는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의 보관과 관리를 일체형 보관함에 통합 보관, 관리를 하는 것으로 "통합형 간이무기고"에 입고, 보관, 출고 등을 근무, 훈련, 비상상황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특히 근무자의 총기류가 출고 후 근무지 도착, 근무, 복귀 상태를 주기적으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체크하여 근무 상황과 총기 피탈에 대한 즉각 대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총기 보관함에 보관된 총기류에 대한 정상적인 입고, 출고와 보관 중 도난, 비정상적인 출고에 대하여 통합관리하고, RFID 리더기에 의한 RFID 태그 정보를 근거로 총기류가 불출되는 것을 인식하여 총기류 불출 정보를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 전송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와; 초소 등의 경계근무 지역으로 이동된 총기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에 연결되어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기 및, 상기 리딩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와; 상기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에서 전송된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고속지령대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 전달하고, 그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서 전송된 정보를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정보와 통합하여 상급부대에 전달하는 고속지령대 주장비와; 상기 간이무기고 관리장치를 통해 간이무기고에 보관중인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의 불출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통제하고, 상기 총기류 불출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고속지령대 주장비를 통해 해당 총기의 RFID 태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비상발령정보를 출력하는 고속지령대 운용장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RFID 태그, 통합형 간이무기고, 총기, 탄약, 무기류, 고속지령대, 단말장비

Description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WEAPON WAREHOUSE}
본 발명은 군부대의 총기류 보관함과 탄약/무기류 보관함이 종류별로 별개의 함으로 임의 제작되어 재래식 보관과 단순 열쇠 잠금 장치로 관리하는 것을 통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합형 간이무기고에 보관중인 총기류 및 각종 탄약/무기류의 불법 유출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총기류가 불출되거나 불출 후 특정 지역으로 이동된 것을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체크하여 불법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군은 훈련 또는 비상시를 대비한 대량의 무기를 보관하고 있는 실제 무기고가 있으며, 근무 상황에 대비하여 항시 입, 출고가 용이하도록 총기보관함과 간이 무기고를 종류별로 임의 제작하여 지휘통제실과 행정실에서 분산 관리,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총기보관함과 간이무기고는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와 사람의 눈으로 확인하여 입, 출고하거나 단순 관리하게 되어 있었다.
더욱이, 간이무기고와 총기보관대에서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가 불출된 후 특정 지역에서 벗어나 무단 유출과 피탈되는 경우 그 사실을 즉시 인식하여 현지 부대는 물론 상급 부대에 실시간으로 보고하는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았다.
따라서, 부대에서 탈영병이나 불법 침입자에 의해 총기류나 탄약류가 무단 유출과 피탈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경우 상황실이나 지휘체계 상에서 그 사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소중한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입게 되는 등의 사회문제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총기류를 보관하는 총기보관함과 탄약/무기류를 보관하는 간이 무기고를 종류별로 임의 제작, 분산 보관하는 것을 일체형으로 제작, 통합 보관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통합형 간이무기고 내의 각종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의 보관 상태 실시간 감시 및 불법으로 유출되거나 정상적으로 불출되는 것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총기류가 불출되는 것을 체크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불출된 후 규정된 시간 이내에 수납되지 않거나 지정된 장소로 이동되지 않는 것을 체크하여 해당 상황을 상황실에 알림과 동시에 지휘체계상의 상급 부대에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각 보관함에 보관중인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에 대한 불법 유출이나 정상적인 불출에 대해 통합관리하고, RFID 태그 정보를 근거로 총기류가 불출되는 것을 인식하여 총기류 불출정보를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 전송하는 간이무기고 관리장치와;
초소 등의 경계근무 지역으로 이동된 총기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기 및, 상기 리딩된 RFID 태그 정보를 출력하는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와;
상기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에서 전송된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 전달하고, 그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서 전송된 불법침입에 따른 비상발령신호나 무기류 불법 유출에 따른 비상발령정보를 상급부대에 전달하는 고속지령대 주장비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를 통해 통합형 간이무기고에 보관중인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의 불출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통제하고, 상기 총기류 불출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고속지령대 주장비를 통해 해당 총기의 RFID 태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비상발령정보를 출력하는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와;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와 동일하게 동작하되, 상급부대와 연계되지 않고 해당 지역에서 단독으로 운용되는 원격제어 운용장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 별로 별도 제작하여 여러장소에 분산 보관하는 체계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한 장소에서 통합 보관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 고, 통합형 간이무기고 내의 각 보관함에 보관중인 각종 탄약/무기류 및 총기 보관대에 보관중인 총기류가 불법으로 유출되거나 정상적으로 불출되는 것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간이무기고나 총기보관대에서 무기류가 불출되는 것을 체크하여 상황실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불출된 후 규정된 시간 이내에 수납되지 않거나 경계근무 지역으로 이동되지 않는 것을 체크하여 그 사실을 상황실에 알림과 동시에 지휘체계상의 상급 부대에 실시간으로 통보함으로써, 정상으로 불출된 무기류가 불법 유출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어 피해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법침입에 의해 통합형 간이무기고에서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가 불법으로 유출되는 것을 감시하여 그 사실을 상황실에 알림과 동시에 지휘체계상의 상급 부대에 실시간으로 통보함으로써, 불법 침입에 대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어 피해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의 구현예를 보인 블 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110),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 원격제어 운용장비(130), 고속지령대 주장비(140), 각 초소에 설치된 고속지령대 단말장비(151) 및 RFID 리더기(152)로 구성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에는 무단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디지털도어락, 지문인식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통합형 간이무기고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통합형 간이무기고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총기류나 탄약류 등의 무기류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휘관 또는 당직사관 등의 관련자가 통합형 간이무기고를 작동하고자 접근을 하면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전면에 설치된 근접인식센서(304)와 CCD카메라(307)에서 먼저 인식을 하여 스피커(301)를 통한 자체 경보 및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와 별도의 원격제어 운용장치로 접근 신호와 영상을 통신인터페이스부(312) 및 허브(326)를 통해 전송, 표시한다.
이때, 지문인식을 위해 지문인식기(305)에 해당 손가락을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110) 내의 중앙처리장치(311)는 입력부(309)를 통해 상기 지문인식기(305)를 통해 인식된 지문형상을 기 저장된 지문형상과 비교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상기 비교 결과 지문형상이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키패드(303)에서 총기류, 탄약/무기류의 번호를 입력하여 도어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구동시켜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휘관 또는 당직사관 등의 관련자가 통합형 간이무기고를 작동시켜 원하는 총기류나 탄약/무기류 등을 정상적으로 불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무기류가 정상적으로 불출되고 있다는 정보를 출력하고, 이는 통신인터페이스부(312) 및 허브(326)를 통해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에 전송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격제어 운용장비(130)에도 전송된다.
하지만, 불법 침입자에 의해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도어가 강제로 열리는 경우 상기 올바른 지문형상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상기 입력부(309) 및 도어개폐 감지센서(322)를 통해 그 사실을 인식한 후, 출력부(308) 및 상기 스피커(301)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주변의 관련자들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상기와 같은 불법침입을 알리기 위한 비상발령신호를 통신인터페이스부(312) 및 허브(326)를 통해 고속지령 운용장비(1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불법침입자가 통합형 간이무기고에 접근하는 경우 근접인식센서(인체감지센서)(304)를 통해 인식한 후 상기와 같이 경고음을 출력하게 되므로 주변의 관련자들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상기 경로를 통해 비상발령신호를 고속지령 운용장비(120)에 전송한다.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110) 내의 콘트롤로(300)에 연결된 스피커(301), 표시장치(예: LCD)(302), 키패드(303), 근접인식센서(304), 지문인 식(305), 마이크(306), 및 CCD카메라(307)는 간이무기고의 외부에 있는 사람과 음성이나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합형 간이무기고(또는 내무반의 총기보관대)에 대해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와 원격제어 운용장비(130)를 운용한다.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와 원격제어 운용장비(130)는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110)를 통해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통제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상기 비상발령신호가 입력되거나, 무기고에서 무기류가 불출된 후 기설정된 시간내에 고속지령대 단말장비(151)로부터 해당 RFID 태그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비상 상황이 발생될 때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는 고속지령대 주장비(140)를 통해 비상발령정보를 상급부대에 보고하는 반면, 원격제어 운용장비(130)는 상황실이나 지휘통제소나 내무반 등에 설치되어 그와 같은 보고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것이 다른 점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 또는 원격제어 운용장비(130)의 관리자는 운용장비의 화면을 통해 현재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무기류 불출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며, 필요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내부의 동영상을 보고 무기류의 불출상황을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에는 권총류, 대검류, 수류탄류, 탄약류, 공포탄류, 비상열쇠 등을 각기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함(318A)-(318F)과 총기(예: 소총류) 보관부(318G)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보관함(318A)-(318F)에는 무기류를 해당 보관함에 고정시켜 보관하기 위한 실린더 잠금장치(319), 보관함을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320), 보관함 내부의 카메라조명을 위한 LED 조명장치(321), 보관함 도어의 개폐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센서장치(322), 보관함의 문을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동개폐장치(323)가 설치된다.
도 3은 상기 보관함(318A)-(318F)에 상기 CCD 카메라(320) 및 LED 조명장치(321)의 설치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벽변의 상부에 CCD 카메라(320)가 고정 설치되고, 양측 벽면의 상부에 LED 조명장치(3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총기 보관부(318G)에는 상기와 같은 실린더 잠금장치(319), 잠금장치 센서(325) 및 수동개폐장치(323)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총기 보관부(318G)에 보관되는 각각의 총기(154)에는 도 4에서와 같이 RFID 태그(153)가 부착되고, 그 RFID 태그(153)의 정보(예: 식별(ID) 코드)를 소정의 이격거리에서 읽어내기 위한 RFID 리더기(324)가 설치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도어가 정상적으로 열린 상태에서, 전자개폐장치(313)를 통해 상기 보관함(318A)-(318F) 및 총기 보관부(318G)의 실린더 잠금장치(319)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센서부(314)를 통해서는 그들의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고, 전자회로부(315)를 통해서는 상기 LED 조명장치(321)를 점등시키고, 비상부(316)를 통해서는 수동개폐장치(323)를 통해 도어를 개방시킨다.
그런데, 상기 간이무기고 관리장치(110) 내의 중앙처리장치(311)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한편으로는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와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원격제어 운용장비(13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와 원격제어 운용장비(13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를 통해 무기고의 무기류 불출을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RFID 리더기(324)는 소정의 주기(예: 수 초 또는 수 ms)로 상기 총기 보관부(318G)에 보관중인 총기(154)에 부착된 RFID 태그(153)로부터 식별코드를 비접촉방식으로 읽어내어 상기 입력부(309)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311)에 전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대의 RFID 리더기(324)를 이용하여 상기 총기 보관부(318G)에 보관되고 있는 여러 정의 총기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기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총기(154) 중에서 어떠한 총기의 식별코드가 상기 경로를 통해 입력되지 않는 경우 그 총기가 불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총기류 불출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운용장비(130)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황실이나 지휘통제소에서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무기류 불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무기류가 불법으로 유출되는 것을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제어 운용장비(130)는 도 7에서와 같이 제어용 피씨(130A)를 구비함과 아울러, 입력수단으로 마이크(MIC)와 키입력장치(130B)를 구비하고, 출력장치로 스피커(SPK)와 모니터(130C)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초병이 경계근무를 위해 상기 총기 보관부(318G)에서 자신의 총기를 불출하면 상기 RFID 리더기(324)에 의해 해당 주기에 그 총기에 부착된 RFID 태그(153)의 식별코드가 리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311)는 상기 총기가 불출된 시간정보 및 해당 총기의 식별코드를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에 전달한다.
통상적인 경우, 도 6과같이 상기 초병은 지정된 시간 이내에 자신의 경계근무 지역(예: 초소)으로 이동하여 거기에 설치되어 있는 RFID 리더기(152)의 유효 리딩범위로 접근한다. 이에 따라, 상기 RFID 리더기(152)는 상기 총기(154)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53)로부터 식별코드를 읽어내게 되고, 이는 고속지령대 단말장비(151) 및 고속지령대 주장비(140)를 통해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에 전송된다.
도 6은 상기 고속지령대 단말장비(151)의 구현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중앙처리장치(151A)는 상기 RFID 태그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그 인식된 식별코드를 접속회로(151B) 및 라인 인터페이스부(151C)를 통해 상기 고속지령대 주장비(14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는 상기 RFID 태그(153)의 식별코드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었는지 확인하여 그 시간 내에 수신된 것으로 판명되면 해당 총기가 정상적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해당 총기(154)의 위치 및 상태를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그 사실을 인식하도록 한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상기 초병이 상기와 같이 총기(154)를 불출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까지 자신의 경계근무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와 같이 RFID 리더기(152), 고속지령대 단말장비(151) 및 고속지령대 주장비(140)를 통해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에 그 총기의 RFID 태그(153)의 식 별코드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는 현재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모니터의 화면 상에 비상상황을 표시함과 아울러,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여 주변에 있는 관련자들로 하여금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120)는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비상발령정보를 상기 고속지령대 주장비(140)를 통해 상급부대에 전송하게 되므로 상급부대에서도 즉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간이무기고 관리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무기류 보관함의 사시도.
도 4는 RFID 태그의 부착예를 나타낸 총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기고의 무기류 보관함 및 총기 보관부의 개략도.
도 6은 도 1에서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의 상세 블록도.
도 7은 도 1에서 원격제어 운용장비의 상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간이무기고 관리장치 120 : 고속지령대 운용장비
130 : 원격제어 운용장비 140 : 고속지령대 주장비
151 : 고속지령대 단말장비 152 : RFID 리더기

Claims (6)

  1. 통합형 간이 무기고의 각 보관함에 보관중인 각종 탄약/무기류 및 총기 보관대에 보관중인 총기류에 대한 보관상태를 센서 및 영상으로 실시간 감시/확인과 불법 유출이나 정상적인 불출에 대해 통합관리하고, RFID 태그 정보를 근거로 총기류가 불출되는 것을 자동 인식하여 총기류 불출정보를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 전송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와;
    초소 등의 경계근무 지역으로 이동된 총기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리딩하는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와 접속된 RFID 리더기 및, 상기 리딩된 RFID 태그 정보를 고속지령대 주장비로 송신하는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와;
    상기 고속지령대 단말장비에서 전송된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 전달하고, 그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에서 전송된 불법침입에 따른 비상발령신호나 무기류 불법 유출에 따른 비상발령정보를 상급부대에 전달하는 고속지령대 주장비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를 통해 통합형 간이무기고에 보관중인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의 불출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통제하고, 상기 총기류 불출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고속지령대 주장비를 통해 해당 총기의 RFID 태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비상발령정보를 출력하는 고속지령대 운용장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와 동일하게 동작하되, 상급부대와 연계되지 않고 해당 지역에서 단독으로 운용되는 원격제어 운용장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는
    각종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에 대한 불법 유출이나 정상적인 불출에 대해 통합관리되는 총기류 보관부 및, 다수의 탄약/무기류 보관함과;
    총기류나 탄약/무기류를 해당 보관함에 고정시켜 보관하기 위한 자동 잠금장치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 자체에서 총기류 및 탄약/무기류를 개별, 전체 출고 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 표시장치를 포함한 조작반과;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에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접근 감지 센서의 동작에 따라 전체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자동 저장 및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와 별도의 원격제어 운용장비로 전송하는장치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탄약/무기류 보관함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탄약/무기류 보관함 내부의 카메라 조명을 위한 LED 조명장치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총기류의 개, 폐장치 및 탄약/무기류 보관함 도어의 개, 폐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센서장치와;
    상기 통합형 간이무기고의 총기류의 개, 폐장치와 탄약/무기류의 보관함의 문을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동 개,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탄약/무기류 보관함은
    보관함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상기 CCD 카메라의 촬영을 위한 LED 조명장치와;
    촬영된 영상을 자체 저장 및 고속지령대 운용장비/원격제어 운용장비로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장치는
    총기 보관부에 보관중인 다수의 총기에 각기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식별코드를 비접촉 방식으로 소정 주기로 읽어내어 중앙처리장치에 출력하는 RFID 리더기와;
    내부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총기 중에서 임의의 총기의 식별코드가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때 해당 총기에 대한 총기류 불출정보를 상기 고속지령대 운용장비 및 원격제어 운용장비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RFID 리더기는 경계근무지역에서 다수의 총기에 각기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식별코드를 비접촉 방식으로 소정 주기로 읽어내어 고속지령대 주장비/운용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시스템.
KR1020090028802A 2009-04-03 2009-04-03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KR20100110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02A KR20100110468A (ko) 2009-04-03 2009-04-03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02A KR20100110468A (ko) 2009-04-03 2009-04-03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468A true KR20100110468A (ko) 2010-10-13

Family

ID=4313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802A KR20100110468A (ko) 2009-04-03 2009-04-03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046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39Y1 (ko) * 2013-03-13 2014-11-25 케이아이씨시스템즈 (주)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총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KR101585508B1 (ko) * 2015-05-14 2016-01-19 국방과학연구소 군상황도 처리 장치 및 그것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25380A (ko) * 2014-08-27 2016-03-0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무기류 통제 시스템 및 무기류 보관장치
KR20160133297A (ko) 2015-05-12 2016-11-22 중소기업은행 총기 관리 시스템
CN107506673A (zh) * 2017-10-20 2017-12-22 中国人民解放军空军第航空学院 一种基于rfid的枪支可视化系统及其方法
KR20180007904A (ko) *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위치추적형 통합 무기관리시스템
CN107909702A (zh) * 2017-12-18 2018-04-13 速得尔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竞技射击运动枪支弹药赛时管理系统
KR101994872B1 (ko) * 2018-05-28 2019-07-01 정교선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
CN113610479A (zh) * 2021-08-27 2021-11-05 北京隐山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枪弹柜的控制管理系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39Y1 (ko) * 2013-03-13 2014-11-25 케이아이씨시스템즈 (주)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총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160025380A (ko) * 2014-08-27 2016-03-0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무기류 통제 시스템 및 무기류 보관장치
KR20160133297A (ko) 2015-05-12 2016-11-22 중소기업은행 총기 관리 시스템
KR101585508B1 (ko) * 2015-05-14 2016-01-19 국방과학연구소 군상황도 처리 장치 및 그것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80007904A (ko) *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위치추적형 통합 무기관리시스템
CN107506673A (zh) * 2017-10-20 2017-12-22 中国人民解放军空军第航空学院 一种基于rfid的枪支可视化系统及其方法
CN107506673B (zh) * 2017-10-20 2021-10-15 中国人民解放军空军第一航空学院 一种基于rfid的枪支可视化系统及其方法
CN107909702A (zh) * 2017-12-18 2018-04-13 速得尔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竞技射击运动枪支弹药赛时管理系统
KR101994872B1 (ko) * 2018-05-28 2019-07-01 정교선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
CN113610479A (zh) * 2021-08-27 2021-11-05 北京隐山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枪弹柜的控制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0468A (ko) 통합형 간이무기고 관리 시스템
US20150332528A1 (en) System for Defense Weapon Control Utilizing One or a Plurality of Intelligent Weapons Control Boxes
US11060813B2 (en) Smart firearm
US20160053526A1 (en) Tamper-proof wall safe with communications capabilities
US9691242B1 (en) Alarm system and enclosure
CN110647192B (zh) 一种枪械智能监控管理系统
US20060208857A1 (en) Use of rfid tags and readers to automate real time alert signals in a security system
KR101387469B1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CN205012847U (zh) 一种智能枪弹保险柜
US20070257987A1 (en) Gun incident recording device
US20190011206A1 (en) Firearm safety system
EP2235704A2 (en) Actively protecting an area
US10810846B1 (en) Firearm security system for securing a firearm and notifying an owner of unauthorized access of the firearm
KR100829179B1 (ko) 다목적 초기 진압용 무인 경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19303A (ko) 무인물류시스템 영상처리 및 제어방법
KR101601761B1 (ko) IoT 기반 무기류 통제 시스템 및 무기류 보관장치
US9979871B2 (en) Radio-frequency trigger signa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1972650B2 (en) Emergency equipment receptacle and alert notification system
KR101529909B1 (ko) 지능형 cctv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불법 무단 침입자 물리적 방지 방법
KR101387110B1 (ko) 총기 및 탄창 관리 시스템
KR100778083B1 (ko) 총기 관리 장치
KR101864592B1 (ko) 총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90200A1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mass shootings by Smart guns
CN101835031A (zh) 金库异地远程值守安全防范系统设备
WO2014054938A2 (en) Munition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11

Effective date: 201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