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995B1 -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995B1
KR101749995B1 KR1020150115674A KR20150115674A KR101749995B1 KR 101749995 B1 KR101749995 B1 KR 101749995B1 KR 1020150115674 A KR1020150115674 A KR 1020150115674A KR 20150115674 A KR20150115674 A KR 20150115674A KR 101749995 B1 KR101749995 B1 KR 10174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arm
information
attachment
triggering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177A (ko
Inventor
정훈
정석
정홍
Original Assignee
(주) 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우 filed Critical (주) 하우
Priority to KR102015011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9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06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safe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30Multiple safeties, i.e. one safety element acting on at least one element of the firing mechanism and at least one other element of the gun, e.g. the moving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46Trigger safeties, i.e. means for preventing trigge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추적 장치에서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거나 총기 추적 장치의 분리 등 총기 사용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총기의 적법 사용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총기의 차단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및 시간 산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nd tracking the usage of gun}
본 발명은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추적 장치에서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거나 총기 추적 장치의 분리 등 총기 사용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총기의 적법 사용 여부 및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총기의 사용 조건에 따라 차단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렵, 조류 퇴치, 스포츠 등 다양한 용도로 엽총이나 공기총 등 총기류를 소지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국내외에서 총기류 사고가 빈발하면서 총기류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1465호(2007. 8. 16. 공개)에서는 총기류에 RFID용 태그(Tag)를 부착하여 인증되지 않은 총기류를 식별하거나, 총기류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며, 총기류의 이탈을 방지하는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 공개특허 문헌에 따른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의 경우, RFID용 태그(Tag)를 이용하여 총기류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거나 총기류의 반출 혹은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정도에 그칠 뿐, 사용자가 총기류를 반출한 이후의 격발 등 사용 내역을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총기사용이 미리 허가된 사용 허가 조건에 맞추어 적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등 총기를 체계적으로 추적 및 관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따라, 다수의 총기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총기 사고 등 사용자가 총기를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사용자의 총기 사용 허가 조건에 따라 총기의 격발 등 총기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총기에서의 격발 등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격발 등 총기 사용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보하여 총기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경우, 각 총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도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1465호(2007. 8. 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수의 총기에 대한 사용 내역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총기 추적 장치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총기의 격발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고, 격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총기의 사용 허가 조건에 따른 적법한 총기 사용 여부 및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총기 추적 장치의 분리 여부 및 분리시 장소 및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하여 저장함으로써, 총기 사고 발생 시 총기 사용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각 총기의 사용 허가 조건에 따라 총기의 총구를 개폐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총기에서의 격발 위치, 시간 및 총구의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총기 사고에 대한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는, 총기에 부착되어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총기 추적 장치로서,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및 시간 산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총기 관리 서버로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총기 관리 서버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의 비교 결과를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의 사용 허가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저장하는 허가 조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격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발 센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시에 나타나는 반동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 및 상기 총기의 격발시에 나타나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센서에서 감지하는 반동과 상기 음향 센서에서 감지하는 음향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 한정하여 격발이 있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총기의 총구 또는 방아쇠를 차단하는 차단 장치; 상기 차단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총구 또는 방아쇠를 개폐하는 차단 장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 장치가 상기 총구 또는 방아쇠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위치 또는 시간이 상기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벗어나는 상태임에도, 상기 총구의 차단 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경보 신호를 발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 센서가 상기 부착 장치가 해제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전원이 정상 동작을 위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부착 장치 해제 정보 또는 전원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의 총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 시 상기 총구의 방향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총기 추적 시스템은, 총기에 대한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총기 추적 시스템으로서, 상기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부착부; 및 상기 총기 부착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총기 부착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 추적부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및 상기 제어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총기 부착부와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부; 및 총기 관리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치 및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및 시간 센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는, 상기 총기 부착부 또는 제어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총기 부착부와 상기 제어 단말 간의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절 정보를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은, 총기에 대한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총기 추적부;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총기 관리 서버; 및 상기 총기의 관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총기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총기 추적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및 시간 산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총기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 추적부와 서버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이 단절되거나, 상기 부착 센서가 상기 부착 장치가 해제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부의 전원이 정상 동작을 위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총기의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관리 서버는,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지급받은 실탄 수량 및 반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추적부는 상기 총기의 총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총기 관리 서버는, 총기 사고 발생 정보와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시간 및 총구 방향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총기 사고에 대한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방법은, 총기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방법으로서, 총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총기의 격발 감지 데이터 및 상기 격발 시의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격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총기에 부착된 총기 부착부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 부착부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상기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방법에 기재된 각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추적 장치가 총기의 격발 시간 및 위치를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격발 정보를 각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총기 사용의 적법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다수의 총기에 대한 불법적인 사용 여부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총기의 격발을 감지함에 있어 격발에 따른 반동과 함께 총성의 음향을 감지하여 격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총기의 격발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총기의 사용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에서 관리하면서 총기에서의 격발 등 총기 사용에 대한 추적 및 관리, 총기류의 반출 및 반납 관리 등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으로 총기의 사용을 제어하거나, 추적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각 총기의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고려하여 각 총기의 총구를 개폐하는 차단 장치를 포함으로써, 각 총기의 총기 사용 허가 조건에 따라 총기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총기에 대한 격발 위치, 시간 및 총구의 방향 정보를 저장한 후 특정 총기 사고 정보와 대비함으로써, 특정 총기 사고에 대한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에 의한 총기 사용 위치 추적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 및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 및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에서의 격발 감지 메카니즘에 대한 설명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허가 지역을 벗어난 총기 사용 시의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고 발생시 정보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총기 추적 장치(120),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총기 관리 서버(110) 및 상기 총기의 관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총기를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는 상기 총기에 총기 추적 장치(120)를 부착시키고,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사용하여 상기 총기 및 총기 추적 장치(120)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연락처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총기에 대한 관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연락처도 입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가 반출한 실탄 수량,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 등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들은 각각 총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2), 총기 관리자 데이터베이스(114), 총기 사용 허가 조건 데이터베이스(118) 등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총기 관리 단말기(130)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 등 사용 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총기 사용 기록 데이터베이스(116)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검색하여 관리자 등에게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와 총기 관리 단말기(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5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와 총기 관리 단말기(130) 사이에서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망(150)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고, 상기 격발이 발생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총기에 대한 격발 허가 지역 및 기간 등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함으로써, 상기 격발의 적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나아가 상기 격발이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벗어나 부적법한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여 부적법한 총기 사용이 있었음을 알리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및 시간 산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여 총기 사용 기록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총기의 사용자가 총기를 보관 장소에서 반출하고 실탄을 수령한 후, 총기를 사용하고 반납하는 일련의 과정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핀다.
먼저, 사용자는 경찰관서 등 총기 보관 장소에서 총기를 반출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이때, 관리자는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총기 및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총기 추적 장치(120)가 부착된 총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는 상기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총기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 및 기간 등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는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실탄의 수량(판매 수량), 판매처 등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총기와 실탄을 지급받은 사용자는 수렵, 조류 퇴치, 스포츠 등의 용도로 상기 총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총기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서는 격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 정보 등 격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격발이 허용된 조건에 맞게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총기 관리 서버(110)로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총기 관리 서버(110)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부터 상기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의 비교 결과를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격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의 총기의 사용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추적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상기 총기의 격발시에 한정하여 격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총기 사용 정보 수집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적절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와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는 이동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전국 대부분의 영역에 대하여 이미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는 상용 이동 통신망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도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의 작동 영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이라면 특별한 제약없이 적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에는 상기 총기가 허가되지 않은 지역 및 시간에 격발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총기로부터 분리되는 등 총기의 불법적인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 등에게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총기 추적 장치(120) 또는 총기 관리 서버(110)는 이동 통신망(160)을 통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140)로 총기의 불법적인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총기 사용 위치 추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의 사용자는 수렵 등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일정 기간을 정하여 수렵 허가 내지는 총기 사용 허가를 받게 되는 바, 사용자가 총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소 및 기간이 정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총기를 사용한 위치 및 시간을 파악한 후,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총기 사용이 적법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통상적으로 수렵 허가는 11월 내지 2월의 겨울에 한하여 특정 지방자치단체 별로 허가를 내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A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공주 지역에서의 수렵 허가를 받은 경우, 사용자 A가 2014년 12월에 공주 지역에서 총기를 사용하는 경우, 적법한 총기 사용으로 판단될 수 있으나, 사용자 A가 2014년 12월에 경기도 지역에서 총기를 사용하거나, 사용자 A가 2015년 5월에 공주 지역에서 총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A의 총기 사용은 불법적인 총기 사용으로 판단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어기고 불법적으로 총기를 사용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하여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고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충전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않아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정상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의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저장하거나,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 위반 내역을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총기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충전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않는 등,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적절한 동작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총기 추적 장치 관리 지침을 위반한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총기의 사용 및 관리 현황을 확인하여 총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총기의 사용을 마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총기를 경찰관서 등 총기 보관 장소로 반납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는 총기 관리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반납된 총기, 총기 추적 장치(120) 또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 기록된 총기 사용 기록 등을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총기 사용 기록을 상기 총기 관리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된 실탄 수량 및 상기 사용자가 반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할 수도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실탄을 소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총기에 대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함으로써, 총기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 및 시스템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총기 추적 장치(120)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도 1에서의 총기 추적 장치(120)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총기 추적 장치(120) 뿐만 아니라, 도 3(b)에 도시된 총기 추적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120)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에 부착되는 일체형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에 부착되어 총기의 격발 등 총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총기 부착부(120a)와 상기 총기 부착부(120a)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총기 사용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 단말(120b)를 포함하는 총기 추적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단말(120b)은 기존에 사용자가 사용하던 스마트폰 등에 소정의 앱 등을 설치하거나 소정의 장치를 부가하여 구성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이동 통신망(160)을 통하여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연결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120) 및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3(a)와 같은 총기 추적 장치(12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12),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및 시간 산출부(126),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28),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122a), 상기 부착 장치(122a)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122b),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122a)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125, 1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격발 센서(121)는 모션 센서 등 총기의 순간적인 충격이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격발 센서(121)를 충격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총기에 순간적인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예를 들어, 총기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등)만으로도 격발이 있었다고 잘못 판단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격발 센서(121)를 총기의 격발에 따른 총성을 감지하는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주변의 순간적인 소음을 격발에 의한 음향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의 격발시에 나타나는 반동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121a) 및 상기 총기의 격발시에 나타나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센서(121b)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충격 센서(121a)에서 감지하는 반동과 상기 음향 센서(121b)에서 감지하는 음향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 한정하여 격발이 있었다고 판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격발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 센서(121a)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총기에서 순간적으로 특정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총기의 격발시에 나타나는 반동을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충격 센서(121a)로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로서 3차원 가속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3차원 가속도 센서는 충격 센서(121a)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상기 총기의 총구 방향을 감지하는 자세 센서(미도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속도 센서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상기 총기의 총구 방향 정보를 산출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어 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120) 및 시스템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위치 및 시간 산출부(126)에서는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거나, WiFi 등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및 시간 산출부(126)에서 산출되는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는, 상기 격발 센서(121)에서 격발이 있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격발에 대한 격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28)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28)에서는 총기 관리 서버(110)로 식별번호 저장부(129a)에 저장되어 있는 총기 추적 장치(12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총기 관리 서버(110)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부터 상기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의 비교 결과를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허가 조건 저장부(129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격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122a) 및 상기 부착 장치(122a)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12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총기에 항시적으로 부착되어, 총기의 격발 등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총기의 적법한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바, 상기 부착 장치(122a) 및 상기 부착 센서(122b)를 이용하여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총기에 항시적으로 부착되고 있는지 감시하고,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그 내역을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 저장하거나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 총기 관리 단말기(130) 또는 사용자, 관리자 단말기(160)과의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등 근거리 연결 수단(125)이나, CDMA, LTE 등 이동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연결 수단(1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8)에서는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함으로써, 부적법한 총기 사용 내역을 통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장치(120)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총기의 총구를 차단하는 차단 장치(123b)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차단 장치(123b)를 구동하여 상기 총구를 개폐하기 위한 차단 장치 구동부(12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단 장치(123b)는 상기 총구의 방아쇠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총기의 사용을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28)에서는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 장치(123b)를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 장치 구동부(123a)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8)에서는 상기 총기의 위치 또는 시간이 상기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벗어나는 상태임에도 상기 총구의 차단 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 구비되는 경보 장치(124)가 경보 신호를 발동하도록 하거나, 총기 관리 서버(110) 또는 사용자, 관리자 단말기(140)로 소정의 경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총기의 부적법한 사용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사용 허가 지역을 벗어난 지역에서의 부적법한 총기 사용에 대한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 관리 서버(110)는 총기 추적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부적법하게 사용된 총기의 격발 지역을 표시한다거나, 총기 및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거나, 총기 사고 발생 상황을 긴급하게 경보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부착 센서(122a)가 상기 부착 장치(122b)가 해제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의 전원이 정상 동작을 위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가 상기 이동통신망(160)으로부터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8)에서는 상기 총기의 부착 장치 해제 정보 또는 전원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 저장하고,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는 상기 총구의 총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세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128)는 상기 총기의 격발 시 상기 총구의 방향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총기 사고 발생시 총기 사고에 대한 정보와 대비함으로써, 상기 총기 사고에 대한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총기 사고 발생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시간 범위를 정하고 총기 사용 지역 및 시간을 검색하여, 상기 총기 사고와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총기 및 사용자를 산출할 수 있으며, 특히 총기의 총구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총기 사고와의 관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총기 사고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기 추적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시스템은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부착부(120a)와 상기 총기 부착부(120a)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제어 단말(12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총기 부착부(120a)에는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121), 상기 총기 추적부(120a)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122b), 상기 부착 장치(122b)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122a) 및 상기 제어 단말(120b)과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격발 센서(121)는 모션 센서 등 총기의 순간적인 충격이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충격 센서(121a)와 음향 센서(121b)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총기 부착부(120a)는 상기 총기에 항시적으로 부착되어, 총기의 격발 등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총기의 적법한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바, 상기 부착 장치(122a) 및 상기 부착 센서(122b)를 이용하여 상기 총기 부착부(120a)가 총기에 항시적으로 부착되고 있는지 감시하고, 상기 총기 부착부(120a)가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그 내역을 제어 단말(120b)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어 단말(120b)를 거쳐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총기 부착부(120a)는 제1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제어 단말(120b)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단말에 소정의 앱 등을 설치하거나 소정의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제어 단말(120b)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총기 부착부(120a)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CDMA, LTE 등 이동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총기 관리 서버(110) 등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단말(120b)로서는 총기 제어를 위한 전용 단말이 사용될 수도 있겠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폰 등 단말에 소정의 앱 등을 설치하거나 소정의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제어 단말(120b)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단말(120b)은 상기 총기 부착부(120a)와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부(미도시) 및 총기 관리 서버(11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125, 1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단말(120b)은 상기 총기 부착부(120a)에서 수집한 상기 총기 사용 정보를 처리하거나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달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및 시간 센서부(126),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28), 상기 총기, 사용자 또는 상기 총기 추적부(120a)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부(129a),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 등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이 저장되는 허가 조건 저장부(129b) 및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122b)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는 상기 총기 부착부(120a) 또는 제어 단말(120b)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8)는, 상기 총기 부착부(120a)와 상기 제어 단말(120b) 간의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통신 단절 정보를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 저장하고,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시스템(120)에서 총기 부착부(120a)는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총기의 총구를 차단하는 차단 장치(1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차단 장치(123b)를 구동하여 상기 총구를 개폐하기 위한 차단 장치 구동부(123a)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28)에서는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 장치(123b)를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 장치 구동부(123a)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8)에서는 상기 총기의 위치 또는 시간이 상기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벗어나는 상태임에도 상기 총구의 차단 장치(123b)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총기 추적 장치(120)에 구비되는 경보 장치(124)가 경보 신호를 발동하도록 하거나, 총기 관리 서버(110) 또는 사용자, 관리자 단말기(140)로 소정의 경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총기의 부적법한 사용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총기 부착부(120a)는 상기 총구의 총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세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128)는 상기 총기의 격발 시 상기 총구의 방향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총기 사고 발생시 총기 사고에 대한 정보와 대비함으로써, 상기 총기 사고에 대한 관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 추적 방법은 총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총기의 격발 감지 데이터 및 상기 격발 시의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격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810), 상기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20), 상기 총기에 부착된 총기 부착부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830),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 부착부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840) 및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8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810 단계에서는 총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총기의 격발 센서(121)에서의 격발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위치 및 시간 산출부(126)에 의하여 산출된 격발 시의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격발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이어서, S820 단계에서는 상기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총기 추적 시스템은 허가 조건 저장부(129b) 또는 총기 관리 서버(110)에 저장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사용하거나,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상기 격발 정보 등을 전송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830 단계에서는 상기 총기에 부착된 총기 부착부(120a)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총기 부착부(120a)는 상기 총기에 항시적으로 부착되어, 총기의 격발 등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총기의 적법한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바, 상기 부착 장치(122a) 및 상기 부착 센서(122b)를 이용하여 상기 총기 부착부(120a)가 총기에 항시적으로 부착되고 있는지 감시하고, 상기 총기 부착부(120a)가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그 내역을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 저장하거나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S840 단계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 부착부(120a)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129c)에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총기 사용 정보는 향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총기 관리 단말기(1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달되어 총기의 불법적 사용 여부 등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S850 단계에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총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여, 상기 총기의 부적법한 사용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거나, 향후 총기 사고에 대한 판단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앞서 살핀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서는 퍼스널 컴퓨터(PC)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휴대전화 등 중앙처리장치(CPU)를 구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일체의 정보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110 : 총기 관리 서버
112 : 총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14 : 총기 관리자 데이터베이스
116 : 총기 사용 기록 데이터베이스
118 : 총기 사용 허가 조건 데이터베이스
120 : 총기 추적 장치
120a : 총기 부착부
120b : 제어 단말
121 : 격발 센서
121a : 충격 센서
121b : 음향 센서
122a : 부착 센서
122b : 부착 장치
123a : 차단 장치 구동부
123b : 차단 장치
123c : 차단 센서
124 : 경보 장치
125 : 근거리 통신 연결 수단
126 : 위치 및 시간 산출부
127 : 이동통신망 연결 수단
128 : 제어부
129a : 식별번호 저장부
129b : 허가 조건 저장부
129c :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
130 : 총기 관리 단말기
140 : 사용자/관리자 단말기
150 : 통신망
160 : 이동통신망

Claims (17)

  1. 총기에 부착되어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총기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및 시간 산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총기 관리 서버로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추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번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총기 관리 서버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의 비교 결과를 전송받아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사용 허가 시간 및 지역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저장하는 허가 조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상기 격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 센서는,
    상기 총기의 격발시에 나타나는 반동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 및
    상기 총기의 격발시에 나타나는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센서에서 감지하는 반동과 상기 음향 센서에서 감지하는 음향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 한정하여 격발이 있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총구 또는 방아쇠를 차단하는 차단 장치;
    상기 차단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총구 또는 방아쇠를 개폐하는 차단 장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 장치가 상기 총구 또는 방아쇠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위치 또는 시간이 상기 총기 사용 허가 조건을 벗어나는 상태임에도,
    상기 총구의 차단 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경보 신호를 발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센서가 상기 부착 장치가 해제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 장치의 전원이 정상 동작을 위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부착 장치 해제 정보 또는 전원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총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 시 상기 총구의 방향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장치.
  10. 총기에 대한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총기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총기에 부착되는 총기 부착부; 및
    상기 총기 부착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총기 부착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격발 센서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및
    상기 제어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총기 부착부와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부; 및
    총기 관리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치 및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및 시간 센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는, 상기 총기 부착부 또는 제어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부착부와 상기 제어 단말 간의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절 정보를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추적 시스템.
  12. 총기에 대한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총기 추적부;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총기 관리 서버; 및
    상기 총기의 관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총기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총기 추적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을 감지하는 격발 센서;
    상기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및 시간 산출부;
    상기 총기의 격발이 이루어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격발 센서를 상기 총기에 부착시키는 부착 장치;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부착 센서;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부착 장치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총기 사용 정보 저장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기 추적부와 서버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이 단절되거나,
    상기 부착 센서가 상기 부착 장치가 해제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총기 추적부의 전원이 정상 동작을 위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총기의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관리 서버는,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로부터 산출된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사용한 실탄 수량을 상기 총기의 사용자가 지급받은 실탄 수량 및 반납한 실탄 수량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불법적인 실탄 소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추적부는 상기 총기의 총구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총기 관리 서버는,
    총기 사고 발생 정보와 상기 총기의 격발 위치, 시간 및 총구 방향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총기 사고에 대한 관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사용 추적 관리 시스템.
  16. 총기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총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총기의 격발 감지 데이터 및 상기 격발 시의 총기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격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격발 정보를 상기 총기에 대한 사용 허가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총기 사용 허가 조건과 대비하여 상기 격발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총기에 부착된 총기 부착부의 해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와 상기 총기 부착부의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총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총기의 격발이 부적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총기의 격발 정보를 총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의 사용 내역을 추적하는 방법.
  17. 컴퓨터에서 제16항에 기재된 각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50115674A 2015-08-17 2015-08-17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674A KR101749995B1 (ko) 2015-08-17 2015-08-17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674A KR101749995B1 (ko) 2015-08-17 2015-08-17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177A KR20170021177A (ko) 2017-02-27
KR101749995B1 true KR101749995B1 (ko) 2017-06-23

Family

ID=5831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674A KR101749995B1 (ko) 2015-08-17 2015-08-17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67619A1 (en) * 2017-08-04 2020-05-28 The Bullet 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mmunition
KR101977876B1 (ko) * 2017-12-11 2019-08-28 주식회사 와트로직 Gps 정보를 제공하는 총기용 블랙 박스 장치
KR102034168B1 (ko) * 2018-10-11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기 체계 및 워리어 플랫폼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625A (ja) 1999-02-11 2002-10-29 アフリカ アウトドアーズ エーシーエス (プロプリエタリ) リミテッド 火 器
KR101216477B1 (ko) 2012-06-28 2013-01-10 국방과학연구소 무기체계의 안전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101500479B1 (ko) 2013-11-12 2015-03-10 국방과학연구소 Rfid기반 개인화기 보안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465A (ko) 2007-07-26 2007-08-16 홍재욱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625A (ja) 1999-02-11 2002-10-29 アフリカ アウトドアーズ エーシーエス (プロプリエタリ) リミテッド 火 器
KR101216477B1 (ko) 2012-06-28 2013-01-10 국방과학연구소 무기체계의 안전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101500479B1 (ko) 2013-11-12 2015-03-10 국방과학연구소 Rfid기반 개인화기 보안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177A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9250B2 (en) Firearm safety system
US10750431B2 (en) Safety disarm for firearm
US8539590B2 (en) Protecting electronic devices from extended unauthorized use
US911594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firearm safety enhancement
US20150123795A1 (en) Firearms management system
US20060208857A1 (en) Use of rfid tags and readers to automate real time alert signals in a security system
US10789793B2 (en) Universal locking device and firearm locking device
US200602725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asting
US9797670B2 (en) Method of monitoring and trigger-locking a firearm
KR101749995B1 (ko) 총기 사용 제어 및 추적 관리를 위한 장치,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079830B2 (en) Lockable network testing device
JP2006524861A (ja) デッド・オン・デマンドディスク技術
US104969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an ecosystem for a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9960631B2 (en) Method of monitoring and inductively charging a firearm
US10810846B1 (en) Firearm security system for securing a firearm and notifying an owner of unauthorized access of the firearm
US2021004242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Security-Related Control Or Configuration Of A Digital System
WO2014142920A1 (en) Firearm safety system
KR101589450B1 (ko) 총기 사용 추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229147B1 (ko) 보안 태그 분리기 활성 시스템
KR101744525B1 (ko)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
KR101613131B1 (ko) 지능형 총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78083B1 (ko) 총기 관리 장치
WO2013043138A1 (en) Gun case with fingerprint reader
US2018012407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EP4042089B1 (en) Electronic holster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shoo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