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406B1 -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 Google Patents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406B1
KR101589406B1 KR1020150056862A KR20150056862A KR101589406B1 KR 101589406 B1 KR101589406 B1 KR 101589406B1 KR 1020150056862 A KR1020150056862 A KR 1020150056862A KR 20150056862 A KR20150056862 A KR 20150056862A KR 101589406 B1 KR101589406 B1 KR 10158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present
artificial
vinegar
phyton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승희
Original Assignee
케이앤비준우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신
하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앤비준우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신, 하승희 filed Critical 케이앤비준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D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09D109/08Latex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를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 편백나무로부터 획득된 피톤치드 추출액과 목초액,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첨가된 인조잔디 코팅액을 사용하되 이러한 인조잔디 코팅액의 채택으로 인조잔디를 구현함에 따라 인조잔디 기포지에 대한 대상 인조잔디 파일의 인발력과 인발 유지율이 적극 극대화됨은 물론 피톤치드 추출액 및 목초액 성분으로부터 비롯되는 항균, 방충 등의 기능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하면서 안정상태의 고취가 유도되도록 효율적인 공간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와,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와, 산화아연(zinc oxide)과, 탄산칼슘(CaCO3)과, 증점제와, 물과, 충전제(Fillers)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되, 목초액 및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한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을 일정량 첨가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functional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실내·외에서 편의 또는 건강 증진을 위해 범용 시설되는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인조잔디를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 편백나무로부터 획득된 피톤치드 추출액과 목초액,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첨가된 인조잔디 코팅액을 사용하되 이러한 인조잔디 코팅액의 채택으로 인조잔디를 구현함에 따라 인조잔디 기포지에 대한 대상 인조잔디 파일의 인발력과 인발 유지율이 적극 극대화됨은 물론 피톤치드 추출액 및 목초액 성분으로부터 비롯되는 항균, 방충 등의 기능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하면서 안정상태의 고취가 유도되도록 효율적인 공간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
날로 늘어나고 있는 생활 체육활동 인구의 증가로 운동 경기력의 향상과 인체 부상방지, 운동장 사용장소와 사용시간의 제한을 탈피하기 위해 천연잔디를 대체할 수 있는 인조잔디의 보급이 계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인조잔디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과 같은 폴리머수지로 인조잔디 원사를 제조한 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기포지에 제직(tufting)하여 직립형태로 입모함으로써 인조잔디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인조잔디 파일이 인조잔디 기포지에서 뽑혀나가지 않도록 인발력을 형성하기 위해 인조잔디 기포지에 SBR(styrene butadiene rubber) 계열의 Latex 또는 폴리우레탄 재료로 조성된 코팅재를 인조잔디 기포지에 도포(백코팅)하여 인조잔디 매트를 제조한다.
상기 인조잔디 매트를 각종 운동경기장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골재,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기층이 형성되어야 하고, 배수를 위한 부속시설이 마련되어야 하며, 아울러 이러한 기층 위에 인조잔디 매트를 설치한 후 인조잔디 파일의 직립상태 유지와 경기력의 향상과 충격흡수력을 높여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인조잔디 파일 사이에 규사를 충전하는 규사충전층과 충격흡수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고무칩 충진재를 규사충전층 위에 포설하는 고무칩충전층으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295230호 "인조잔디용 발포형 친환경 충전재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를 비롯한 종래의 모든 기술사상에 의하면 인조잔디 매트의 배면코팅재 종류가 주로 라텍스와 폴리우레탄 두 가지뿐이고, 그 중 라텍스 코팅재의 경우에는 강한 접착력과 인발력을 발휘하는데 문제점이 있어왔고, 비, 눈, 고온, 저온 등의 장시간 기후조건에 노출됨으로 인해 그 인발력의 저하가 문제시 되어 왔으며, 고무화학제품 특유의 냄새로 인해 인조잔디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이는데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인조잔디가 사용수명에 도달한 경우 폐기시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 폴리우레탄의 경우 장시간의 기후조건에서도 내구성을 발휘하는 장점은 있으나 가격이 비싸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따라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인조잔디의 보급량과 인조잔디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인조잔디의 친환경성과 내구성을 증가시키면서 경제적이고 또한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인조잔디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인조잔디에 피톤치드 및 목초액 성분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항균, 방충 등의 기능성이 보유되는 인조잔디 코팅액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내구성의 극대화로 인한 재활용률을 적극 높이며 소정의 재료가 갖는 소재의 특성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인발력 내지 접착력이 보완 내지 강화된 형태의 인조잔디 코팅액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아울러, 전술한 인조잔디 코팅액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의 친환경 인조잔디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와,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와, 산화아연(zinc oxide)과, 탄산칼슘(CaCO3)과, 증점제와, 물과, 충전제(Fillers)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되, 목초액 및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한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을 일정량 첨가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물은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20 중량%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1 중량%와, 산화아연(zinc oxide) 1 중량%와, 탄산칼슘(CaCO3) 32 중량%와, 증점제 1 중량%와, 물 21 중량%와, 충전제(Fillers) 20 중량%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1 중량% 및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 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재료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파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기포지를 형성하는 제2단계;와, 터프팅, 라셀, 모켓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인조잔디 파일을 인조잔디 기포지에 제직 입모하는 제3단계;와, 인조잔디 파일이 입모된 인조잔디 기포지 전면 및 배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20 중량%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1 중량%와, 산화아연(zinc oxide) 1 중량%와, 탄산칼슘(CaCO3) 32 중량%와, 증점제 1 중량%와, 물 21 중량%와, 충전제(Fillers) 20 중량%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1 중량% 및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 3 중량%의 혼합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는 제4단계;와, 인조잔디 기포지에 도포된 코팅액을 열풍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60~175℃의 온도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경화시키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인조잔디에 피톤치드 및 목초액 성분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항균, 방충 등의 기능성이 보유되는 것은 물론 나아가 내구성의 극대화로 인한 재활용률을 적극 높이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갖는 소재의 특성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인발력 내지 접착력이 보완 내지 강화된 형태의 인조잔디 코팅액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인조잔디 코팅액으로 하여금 목적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의 기능성이 부가될 수 있는바, 동일 면적에 대한 기존 대비 60%의 코팅량만으로도 인발 강도의 향상은 물론 코팅량의 보다 적은 사용으로 인하여 생산 속도가 대략 1.5배 정도 증대되는 결과로 이어지는 이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구분 도시한 플로어 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실내·외에서 편의 또는 건강 증진을 위해 범용 시설되는 인조잔디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인조잔디를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 피톤치드 추출액과 목초액,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첨가된 인조잔디 코팅액을 사용하되 이러한 인조잔디 코팅액의 채택으로 인조잔디를 구현함에 따라 인조잔디 기포지에 대한 대상 인조잔디 파일의 인발력과 인발 유지율이 적극 극대화됨은 물론 피톤치드 추출액 및 목초액 성분으로부터 비롯되는 항균, 방충 등의 기능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하면서 안정상태의 고취가 유도되도록 효율적인 공간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와,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와, 산화아연(zinc oxide)과, 탄산칼슘(CaCO3)과, 증점제와, 물과, 충전제(Fillers)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되, 목초액 및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한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을 일정량 첨가하여서 구성된다.
즉, 상기 인조잔디 코팅액은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현저히 탈피하고자 피톤치드 추출액 및 목초액을 첨가하여 대상 인조잔디로부터 항균 물질을 비롯한 방충 성분이 외부로 방사되게 함으로써 진드기,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적극 보호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부가 혼합하는 방식에 기인하여 인조잔디 파일의 인발력 내지 내구성을 적극 극대화시킴으로써 인조잔디의 수명을 장구히 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사용상 안전의 문제와 함께 보다 적은 코팅량의 사용으로 인해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보유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하기에서 실시예 및 표를 참고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구성요소의 조합은 다음과 같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20 중량%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1 중량%와, 산화아연(zinc oxide) 1 중량%와, 탄산칼슘(CaCO3) 32 중량%와, 증점제 1 중량%와, 물 21 중량%와, 충전제(Fillers) 20 중량%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1 중량% 및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 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첨가물은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구분 도시한 플로어 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재료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파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기포지를 형성하는 제2단계;와, 터프팅, 라셀, 모켓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인조잔디 파일을 인조잔디 기포지에 제직 입모하는 제3단계;와, 인조잔디 파일이 입모된 인조잔디 기포지 전면 및 배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20 중량%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1 중량%와, 산화아연(zinc oxide) 1 중량%와, 탄산칼슘(CaCO3) 32 중량%와, 증점제 1 중량%와, 물 21 중량%와, 충전제(Fillers) 20 중량%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1 중량% 및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 3 중량%의 혼합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는 제4단계;와, 인조잔디 기포지에 도포된 코팅액을 열풍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60~175℃의 온도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경화시키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조잔디 파일 형성단계]
인조잔디(매트)를 조성하는 인조잔디 파일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를 사용하거나, 기타 특수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폴리아미드계 재료의 사용량은 폴리올레핀계에 비하여 극히 적은 양이어야 한다.
[인조잔디 기포지 형성단계]
인조잔디 파일을 식립하기 위한 인조잔디 기포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이러한 인조잔디 기포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조잔디 파일 입모단계]
인조잔디 파일을 인조잔디 기포지에 입모하는 방식은 터프팅, 라셀 또는 모켓 방식으로 제직 입모할 수 있으며, 이 중 라셀과 모켓 방식은 터프팅 방식에 비하여 사용 빈도는 낮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인조잔디 코팅재 형성단계]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20 중량%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1 중량%와, 산화아연(zinc oxide) 1 중량%와, 탄산칼슘(CaCO3) 32 중량%와, 증점제 1 중량%와, 물 21 중량%와, 충전제(Fillers) 20 중량%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1 중량% 및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 3 중량%의 혼합으로 인조잔디 코팅액을 제조한다.
[인조잔디 코팅재 도포단계]
인조잔디 파일이 입모된 인조잔디 기포지 전면 및 배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인조잔디 코팅액을 도포 실시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조잔디 코팅액을 보다 균등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배출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포방식은 도포식, 발포식, 분사식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는바, 인조잔디 코팅액을 인조잔디 기포지에 대해 침수방법, 발포방법,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로 도포함으로써 소정의 인조잔디(매트)를 제조하고, 상기에서 코팅액은 인조잔디 기포지에 500 ~ 650g/㎡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조잔디 경화단계]
코팅액이 도포된 인조잔디는 경화공정으로 연이어 이송되는데, 이때의 경화장치는 적외선 히터 또는 열풍이 제공되는 열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풍 방식을 취하고자 소정의 경화장치를 마련하였는바, 열풍기에서 발생하는 온도는 60~175℃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120℃로 설정하여 경화공정을 실행하였다. 만약, 이송공정이 아주 짧은 경우 경화시간을 더욱 단축하기 위해 열풍기 후단에 또 하나의 2차 열풍기를 설치하여 100~130℃ 온도 범위에서 2차 경화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경화장치라 함은 열풍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조잔디의 구조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한 인조잔디 원사(파일)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한 인조잔디 기포지에 터프팅, 또는 라셀 등과 같은 방식으로 제직하여 인조잔디 파일 형태로 입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조잔디 원사(파일)를 폴리에틸렌 재료를 사용한 원사로 채택하였고, 인조잔디 기포지는 폴리프로필렌 재료를 사용한 기포지를 선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원사(파일)를 기포지에 제직한 후에는 인조잔디 파일이 뽑히지 않도록 강한 인발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인조잔디 기포지 배면을 코팅액으로 도포하여야 하는바, 이러한 코팅액의 제공을 SBR 계열의 라텍스 소재를 활용하면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부가 채택으로 구현함에 따라 기존 라텍스가 보유한 문제점을 적극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라텍스는 재료의 가격이 저렴한 장점은 있지만 무게가 무겁고 강한 인발력을 장시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으로 인해 사용상 제약이 따랐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라텍스의 문제점을 불식시키고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주요 구성요소와 함께 소정의 배합비로 적절히 조합시켜 라텍스 및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지닌 해당 장점을 확보하게 된다.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20 중량%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1 중량%와, 산화아연(zinc oxide) 1 중량%와, 탄산칼슘(CaCO3) 32 중량%와, 증점제 1 중량%와, 물 21 중량%와, 충전제(Fillers) 20 중량%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1 중량% 및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 3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토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코팅액을 획득할 수 있었다.
상기 획득된 코팅액을 인조잔디 파일이 입모된 인조잔디 기포지의 전면 또는 배면 또는 전면과 배면 모두에 도포 실시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인조잔디 기포지의 배면에 대해서만 코팅액의 도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경화공정을 거친 후 인조잔디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전술한 조건으로 완성된 인조잔디에 대해 인발력과 관련한 시험결과를 표 1에 의거하여 제시한다.
이때, 시료명은 KBVSE55로 선택하였으며 시험방법은 ICS 코드 KSM 3888-1 군에 속하는 학교 체육 시설 - 인조잔디로 지정하였다.
Figure 112015106508189-pat00001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해당 인조잔디는 23±2℃와 35±10% R.H의 조건 하에서 72시간 동안의 상온 침수 후 인발력 116N 및 인발 유지율 99%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산화아연(zinc oxide), 탄산칼슘(CaCO3), 증점제, 물, 충전제(Fillers),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의 부가 혼합으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B;와,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 산화아연과, 탄산칼슘과, 증점제와, 물, 충전제, 방염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A;로 구분하여 인조잔디 기포지에 대한 대상 인조잔디 파일의 인발력과 인발 유지율을 각각 대비 측정하였다.
전술한 조건으로 완성된 각 인조잔디 A와 B에 대해 코팅량에 근거하여 인발력과 관련한 시험결과를 표 2에 의거하여 제시한다.
이때, 시료명은 KBVSE55로 선택하였으며 시험방법은 ICS 코드 KSM 3888-1 군에 속하는 학교 체육 시설 - 인조잔디로 지정하였다.
Figure 112015039340515-pat00002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해당 인조잔디는 인조잔디 파일이 입모된 인조잔디 기포지의 동일 면적에 대하여 기존 코팅량 950g/㎡ 대비 550g/㎡의 코팅량만으로도 상태 인발력 90N에서 119.2N, 침수 인발력 60N에서 118N, 인발 유지율 66%에서 99%로 각각 현저히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인조잔디의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톤치드 및 목초액 성분을 동시 함유되게 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하는바, 이와 관련하여서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산화아연(zinc oxide), 탄산칼슘(CaCO3), 증점제, 물, 충전제(Fillers),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의 부가 혼합으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B;와, 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 산화아연과, 탄산칼슘과, 증점제와, 물, 충전제, 방염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A;로 구분하여 동일 면적에 대한 피톤치드 및 목초액 성분의 발휘 정도를 각각 대비 측정하였다.
전술한 조건으로 완성된 각 인조잔디 A와 B를 기반으로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 및 목초액 성분에 의해 방충효과가 어느 정도 발휘되는지에 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 표는 3이다.
1. 시편의 구성
우선, 시편은 인조잔디 파일이 입모된 인조잔디 A의 인조잔디 기포지를 15cm×15cm의 크기로 절단한 대조군과 하기 표 1에 기재된 구성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인조잔디 B의 인조잔디 기포지를 15cm×15cm 또는 30cm×30cm의 크기로 절단한 실험군을 포함한다.

구분

대조군

실험군1

실험군2

실험군3

실험군4

실험군5

실험군6

인조잔디 기포지 크기
(cm)

.


15×15


15×15


15×15


30×30


30×30


30×30









목초액


.




×




×






피톤치드 추출액


.


×








×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험군 1 ~ 3은 인조잔디 기포지가 15cm×15cm의 크기로 구성되고, 실험군 4 ~ 6은 인조잔디 기포지가 30cm×30cm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상기 인조잔디 기포지의 크기 조건을 통해 목초액 성분이 방사되는 효율성을 방충효과의 측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피톤치드 성분의 함유 여부가 방충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관련하여 동시 관찰하고자 한다.
2. 실험 방법
우선, 본 실험에 사용되는 해충은 암컷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로 선정하였으며, 대조군/실험군1/실험군2/실험군3의 네 가지 시편을 수용하기 위한 실험상자 A와 대조군/실험군4/실험군5/실험군6의 시편을 수용하기 위한 실험상자 B로 분리 구성하였다. 두 실험상자 A,B는 각각 내부 공간이 별도로 구획화된 4개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각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에는 모기들이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쉬 형태의 망이 상단부에 일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실험상자 A,B의 각 분할된 공간의 상면에는 모기를 투입하기 위한 작은 투입구가 마련되고, 실험상자 A,B의 각 공간에 동일 개체수(10 마리/각 공간, 40 마리/각 실험상자)의 모기를 투입하여 각 공간에 남게 되는 모기의 개체수를 시간의 경과 후에 측정하여 방충효과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4는 상기의 실험 방법에 따라 시간별(초기, 20분, 40분, 60분) 경과 시점의 각 공간별(공간 a ~ h) 모기 개체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단위 : 마리)



구분

실험상자A

실험상자B

대조군
(공간a)

실험군1
(공간b)

실험군2
(공간c)

실험군3
(공간d)

대조군
(공간e)

실험군4
(공간f)

실험군5
(공간g)

실험군6
(공간h)

초기

10

10

10

10

10

10

10

10

20분 후

17

8

9

9

15

9

8

6

40분 후

26

6

8

8

22

7

4

3

60분 후

30

5

6

4

29

5

3

2
상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군이 비치된 실험상자의 분할 공간(공간a, 공간e)에 남아 있는 모기의 수가 점점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실험군 1 ~ 3에서도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을 모두 포함하는 실험군 3이 위치한 분할 공간(공간d)에서의 잔존 모기 개체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및 목초액 성분을 비롯한 각종 방충 성분이 유효한 수준의 방충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인조잔디 기포지의 크기에 따른 방충효과의 차이성을 실험상자 A와 실험상자 B에 따라 구분된 모기 개체수 변화로 파악한 결과, 미세하게나마 해당 크기가 큰 실험상자 B의 실험 결과에서 모기의 개체수가 좀 더 빨리 감소하고 최종 잔존하는 모기 개체수도 실험군 2 및 실험군 3의 개체수값과 실험군 5 및 실험군 6의 개체수값을 비교했을 때 기포지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 시편을 대상으로 한 실험군 5 및 실험군 6의 잔존 모기 개체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포지의 크기에 비례하여 피톤치드 및 목초액 함유율이 더 높은 경우 좀 더 넓은 방사 표면적을 지니고 있어 피톤치드와 목초액 성분이 발산되는 속도가 증가함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표 1 내지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조잔디의 기능과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인조잔디 형태의 안정성 및 그 유지성 또한 향상되고, 인조잔디를 제조하는 일련의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으로도 이득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인조잔디에 피톤치드 및 목초액 성분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항균, 방충 등의 기능성이 보유되는 것은 물론 나아가 내구성의 극대화로 인한 재활용률을 적극 높이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갖는 소재의 특성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인발력 내지 접착력이 보완 내지 강화된 형태의 인조잔디 코팅액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인조잔디 코팅액으로 하여금 목적으로 하는 인조잔디의 기능성이 부가될 수 있는바, 동일 면적에 대한 기존 대비 60%의 코팅량만으로도 인발 강도의 향상은 물론 코팅량의 보다 적은 사용으로 인하여 생산 속도가 대략 1.5배 정도 증대되는 결과로 이어지는 이점을 발휘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해당 사항 없음.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재료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파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재료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기포지를 형성하는 제2단계;와,
    터프팅, 라셀, 모켓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인조잔디 파일을 인조잔디 기포지에 제직 입모하는 제3단계;와,
    인조잔디 파일이 입모된 인조잔디 기포지 전면 및 배면에 대해서 선택적으로스틸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 20 중량%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 copolymer) 1 중량%와, 산화아연(zinc oxide) 1 중량%와, 탄산칼슘(CaCO3) 32 중량%와, 증점제 1 중량%와, 물 21 중량%와, 충전제(Fillers) 20 중량%와, 방염제(Flame retardant agent) 1 중량% 및 목초액과 피톤치드 추출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첨가물 3 중량%의 혼합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는 제4단계;와,
    인조잔디 기포지에 도포된 코팅액을 열풍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60~175℃의 온도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경화시키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KR1020150056862A 2015-04-22 2015-04-22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KR10158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62A KR101589406B1 (ko) 2015-04-22 2015-04-22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62A KR101589406B1 (ko) 2015-04-22 2015-04-22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406B1 true KR101589406B1 (ko) 2016-01-28

Family

ID=5530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62A KR101589406B1 (ko) 2015-04-22 2015-04-22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78B1 (ko) * 2016-11-17 2018-07-06 김영남 인조잔디 포설용 ps볼의 폴리우레아 도막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62B1 (ko) * 2007-08-03 2008-01-3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KR20120072617A (ko) * 2010-12-24 2012-07-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보행로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1323878B1 (ko) * 2011-10-11 2013-10-30 주식회사 한국발보린 침엽수 미세분말을 함유한 수성의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3360B1 (ko) * 2013-04-02 2014-02-17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인조잔디용 친환경 기능성 충진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62B1 (ko) * 2007-08-03 2008-01-3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KR20120072617A (ko) * 2010-12-24 2012-07-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보행로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1323878B1 (ko) * 2011-10-11 2013-10-30 주식회사 한국발보린 침엽수 미세분말을 함유한 수성의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3360B1 (ko) * 2013-04-02 2014-02-17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인조잔디용 친환경 기능성 충진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78B1 (ko) * 2016-11-17 2018-07-06 김영남 인조잔디 포설용 ps볼의 폴리우레아 도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8366B2 (en) Engineered surfaces
KR100833584B1 (ko)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바닥마감재
US20080050516A1 (en) Manufactured sport and recreational surfac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100203265A1 (en) Synthetic Turf Having Cooling Layer
AU2017304472B2 (en) Artificial turf infill comprising natural fibers embedded in a vulcanized portion
KR100870900B1 (ko) 방초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634B1 (ko)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한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인조잔디
KR100779925B1 (ko) 친환경 방초 매트
US20150191879A1 (en) Artificial Turf System
EP3180477A1 (en) Artificial turf with non-granular damping material
EP3868955B1 (en) Artificial turf having olive pit particles
KR101587741B1 (ko) 친환경 폴리우레탄 인조잔디 백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매트 제조방법
KR101589406B1 (ko)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US20200181854A1 (en) Artificial turf having fibers with different melting points
KR101799635B1 (ko) 해충 퇴치 기능을 보유한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인조잔디
KR101863374B1 (ko) 소프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농업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407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첨가된 친환경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JP5692852B2 (ja) 人工芝用充填材および人工芝構造体
US8889777B2 (en) Engineered earthen recreational and sport surface
KR101352535B1 (ko) 친환경 방초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EP3336252A1 (en) Artificial turf infill with a vulcanized portion and natural fibers
JP3616893B2 (ja) 防黴性クロスシート
US7060141B2 (en) Brush-type ma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401651B2 (ja) 人工芝生
US11946206B2 (en) Artificial turf system and support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