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296B1 -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296B1
KR101586296B1 KR1020090013756A KR20090013756A KR101586296B1 KR 101586296 B1 KR101586296 B1 KR 101586296B1 KR 1020090013756 A KR1020090013756 A KR 1020090013756A KR 20090013756 A KR20090013756 A KR 20090013756A KR 101586296 B1 KR101586296 B1 KR 10158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indoor
relay function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672A (ko
Inventor
아와타히로시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2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가 수신된 유닛은 자신에게 전송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한 데이터가 아니면 자신에게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의 통신 기능에 중계 기능을 포함시킴으로써 별도의 중계기를 배선 사이에 설치할 필요없어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시간도 절약할 수 있으며, 통신 거리나 실내 유닛 수에 관계없이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간에 안정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Multi 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토출시켜 특정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장치로, 복수의 독립된 실내 공간을 가지는 건물에는 다수의 독립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각각 조화시키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공기조화기는 독립된 실내 공간에 각각 설치된 복수 실내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에 연결된 하나의 실외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사이에는 전원/통신선(즉, 배선)이 연결되어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회로를 통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하고, 또한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사이에는 냉매배관이 설치되어 냉매사이클에 따라 상호간 냉매가 순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멀티 공기조화기는 최초 설치 시에 설치자가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을 배선 및 냉매배관으로 연결하고, 각 실내 유닛에 마련된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각 실내 유닛에 연결된 냉매배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실외 유닛 마이컴 또는 실내 유닛 마이컴에서 각 실내 유닛에 연결된 냉매배관번호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공기 조화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이 연결되면 그 전송 길이가 길어지고, 또한 실내 유닛 수가 많아질수록 통신 신호의 감쇠가 커지며 배선 사이에서의 노이즈의 영향도 커지기 때문에 통신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선을 짧게 단락지고 그 사이에 중계 장치를 설치하여 통신 신호를 중계 전송함으로써 통신 거리의 연장이나 안정적 통신을 확보하는 방법을 취했다. 그러나, 이 경우 별도의 중계 장치 설치 및 한 구간의 배선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대규모화에 따라 현지에서의 설치 공사가 매우 번잡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송신 대상 유닛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실외 유닛; 실외 유닛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송신 대상 유닛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 실내 유닛을 포함하고, 실외 유닛 및 복수 실내 유닛 간의 데이터 전송 시, 각각의 유닛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 전송은, 복수 실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 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 간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 사이에 마련된 유닛이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데이터 수신 시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면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중계 기능을 설정하는 중계기능 설정부를 각각 더 포함하고,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데이터 수신 시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면 중계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며, 중계 기능이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하여 차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이미 송수신된 데이터인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실외 유닛; 실외 유닛과 냉매배관을 통해 통신하는 복수 실내 유닛을 포함하고, 실외 유닛 및 복수 실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하나의 유닛이 냉매배관을 통한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하나의 유닛 사이에 마련된 유닛이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송신 대상 유닛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데이터 수신 시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면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은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가 수신된 유닛은 자신에게 전송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한 데이터가 아니면 자신에게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가 수신된 유닛은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데이터를 파기하고,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중계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중계 기능이 설정된 경우 자신에게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배선 또는 냉매배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은,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다른 유닛으로 데이터 전송 시 자신과 다른 유닛 사이에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 유닛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중계 유닛의 경로를 가지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가 수신된 유닛은 중계 유닛의 경로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확인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검색된 중계 유닛의 경로를 가지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중계 유닛의 경로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것은, 중계 유닛의 경로에 자신의 아이디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계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중계 유닛의 경로에 자신의 아이디가 있으면 다른 유닛의 아이디와 자신의 아이디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다른 유닛의 아이디와 자신의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유닛의 아이디와 자신의 아이디가 일치하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배선 또는 냉매배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 따르면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의 통신 기능에 중계 기능을 포함시킴으로써 별도의 중계기를 배선 사이에 설치할 필요없어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시간도 절약할 수 있으며, 통신 거리나 실내 유닛 수에 관계없이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간에 안정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 및 복수 실내기가 중계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유닛에 고장, 또는 정전이 발생하여 중계 기능을 상실해도 다른 실내 유닛이 중계 기능을 대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장치나 공사를 수행하지 않고 통신 거리와 유닛의 수를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중계 경로에 기초하여 중계 송신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통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중계 기능을 설정하는 중계기능 설정부가 포함되어 있어, 중계 기능을 가진 유닛을 사용자 또는 설치자 임의대로 용이하게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로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공간에 각각 설치되되 실외 유닛(10)과 연결 설치된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을 포함한다. 여 기서 하나의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은 각각 냉매배관(30) 및 배선(즉, 전원/통신선: 40)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실외 유닛(10)은 작동유체인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시키는 압축기(11)와,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액상으로 변환시키면서 내부 잠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2)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액상으로 변환된 냉매의 유량 조절로 압력을 저하시키는 모세관과 같은 팽창수단(13)과, 실외 열교환기(12)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14)과, 각 실내 유닛(21 내지 26)의 실내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외팬(14) 및 압축기(1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각 실내 유닛을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을 분배 및 제어하고, 서로 다른 두 유닛 간의 데이터 송수신 시 두 유닛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실외 마이컴(15), 실외 유닛의 식별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ID 설정부(16) 및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의 ID를 저장하고 송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기(11), 실외 열교환기(12), 팽창수단(13)은 냉매배관(3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팽창수단(13)에 연결된 냉매배관(30)은 외부 냉매배관을 통해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과 연결되고, 실외팬(14), 실외 마이컴(15), ID설정부(16), 저장부(17)는 배선(4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실외 마이컴(15)에 연결된 배선(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과 연결된다.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은 실내 열교환기, 실내팬, 키입력부, 실내 마이컴, ID 설정부를 각각 포함한다.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 중 제1실내 유닛(2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내 유닛(21)은 냉매배관(30)을 통해 실외 유닛(10)와 각각 연결되어 실외 유닛(10)의 팽창수단(13)에서 팽창되어 이송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로 증발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실내 열교환기(21a), 실내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21a)로 송풍시키는 실내팬(21b),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21c), 키 입력부(21c)의 신호에 대응하여 자신(즉, 제1실내 유닛(2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서로 다른 두 유닛 간의 데이터 송수신 시 두 유닛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중계를 수행하는 실내 마이컴(21d), 자신의 식별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ID 설정부(21e) 및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의 ID를 저장하고 송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21f)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 열교환기(21a)는 냉매배관(30)이 연결되어 있고 이 냉매배관은 외부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 유닛(10) 및 다른 실내 유닛(22 내지 26)과 연결되고, 실내팬(21b), 키입력부(21c), 실내 마이컴(21d), ID설정부(21e), 저장부(21f)는 배선(4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실내 마이컴(12d)에 연결된 배선(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실외 유닛(10) 및 다른 실내 유닛(22 내지 26)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실내 유닛(21)의 실내 마이컴(21d)은 실외 마이컴(15) 및 다른 실내 유닛(22 내지 26)의 실내 마이컴과 배선(40)을 통해 연결되어 실외 마이컴(15) 및 다른 실내 유닛(22 내지 26)의 실내 마이컴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상호 송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자신(즉, 제1실내 유닛)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1실내 유닛(21)의 실내 마이컴(21d)은 서로 다른 두 유닛 간의 데이터 송수신 시 두 유닛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외 유닛(10) 및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의 ID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ID는 다른 유닛과 통신 시 상대 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ID를 마이컴에 전송하고, 해당 마이컴은 이 식별번호를 저장한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유닛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하나의 유닛(즉, 송신유닛)에서 다른 유닛(즉, 수신유닛)으로 전송 시 송신유닛과 수신유닛 사이의 통신 거리가 멀어 통신이 불가능 한 경우 송신유닛과 수신유닛 사이에 연결된 유닛이 중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송신유닛에서 수신유닛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즉, 실외기(10)의 저장부(17)와 복수 실내기(21 내지 26)의 저장부에는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데, 각 유닛의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에서 "○"는 자신과 통신이 가능한 유닛, "×"는 자신과 통신이 불가능한 유닛으로, 각 유닛의 마이컴을 통해 자신과 통신이 가능한 유닛이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으로 설정되면 각 유닛의 저장부는 이 때 설정된 유닛을 저장한다.
즉, 도 2는 배선(40)에 의해 연결된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 간의 물리적인 통신 신호의 송수신 상태 및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 간의 물리적인 통신 신호의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물리적인 통신 신호의 송수신 상태는 두 유닛 사이에 연결된 배선(40) 마다 통신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를 접속시키고 테스트 통신을 수행한 후 테스트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에 따라 판단한 것이다. 그리고, 물리적인 통신 신호의 송수신 상태는 하나의 유닛에서 송신한 신호가 나머지 유닛에 미리 설정된 최저 수신 강도 이상의 신호 강도로 수신되는지에 대한 수신 여부이다. 이때 최저 수신 강도는 유닛 간의 통신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유닛 간의 통신 거리가 기준 거리를 벗어나면 최저 수신 강도 미만의 신호가 수신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유닛과 나머지 유닛과의 통신 거리를 기초로 하여 각 유닛의 데이터 송신 유닛을 설정 및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유닛은 나머지 유닛과의 테스트 통신을 수행한 후 테스트 통신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이 유닛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 통신 시 데이터 송수신의 펜스 차트로, 도 1,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외 유닛(10)의 ID는 0, 제1실내 유닛(21)의 ID는 1, 제2실내 유닛(22)의 ID는 2, 제3실내 유닛(23)의 ID는 3, 제4실내 유닛(24)의 ID는 4, 제5실내 유닛(25)의 ID는 5, 제6실내 유닛(26)의 ID는 6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며, 각 유닛은 중계 기능 수행 시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이 도 2와 같이 설정 및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
아울러, 두 유닛 간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5는 통신 데이터 패킷의 포맷 구조로, 통신 데이터 패킷의 포맷 구조는 수신 유닛이 신호 동기를 잡기 위한 동기 헤더(HEADER), 전체의 데이터의 길이를 수신 유닛에 알려 주기 위한 데이터 길이, 통신 데이터가 어느 ID를 가지는 유닛으로부터 어느 ID를 가지는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송신유닛 ID, 수신유닛 ID, 송수신되는 모든 통신 데이터를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별로 생성되는 데이터 식별번호, 송신유닛으부터 수신유닛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정보를 가지는 전달 데이터, 통신 데이터가 올바르게 송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섬(CHECK SUM) 데이터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송신유닛은 실외 유닛 또는 복수 실내 유닛 중 데이터를 최초 전송하는 유닛이고, 수신유닛은 송신유닛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최종으로 수신받는 유닛이다. 그리고, 송신유닛과 수신유닛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의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을 중계유닛이라 한다.
실외 유닛(10)에서 제6실내 유닛(26)으로 식별번호 00001을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각 유닛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실외 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 대상 유닛, 즉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에 식별번호 00001을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실외 유닛(10)은 데이터의 식별 번호(00001)를 실외 유닛의 저장부(17)에 저장한다.
다음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데이터를 수신(101)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체크 섬(CHECK SUM)을 통해 확인하고 체크 섬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102)한다. 이때 데이터에 이상이 있으면 이 데이터를 파기(103)하고, 체크 섬이 정상이면 데이터가 가지는 정보 중 수신 유닛 ID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104)한다.
이때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면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이 데이터를 저장(105)하고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유닛을 구동시키지만,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 데이터를 송신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즉, 수신 유닛의 ID는 6으로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의 ID와 모두 일치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수신된 데이터의 중계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다음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이미 중계된 데이터인지 판단(106)한다. 이때, 수신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이미 중계된 데이터로 판단하여 이 데이터를 파기(107)하고, 반면 수신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중계된 적이 없는 데이터로 판단하여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각각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으로 이 데이터를 송신(108)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고, 이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108)한다.
여기서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식별 번호는 자신이 자발적으로 송신한 통신 데이터 또는 중계 기능에 의해서 송신한 통신 데이터의 식별 번호이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삭제된다. 즉 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해당 유닛이 과거에 송신한 적이 있는 통신 데이터로, 이중으로 중계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계 기능 수행 시 제1실내 유닛(21)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실외 유닛(10),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실내 유닛(22)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제3실내 유닛(23)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데이터의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송신 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와 같은 통신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 간의 우선 순위를 정한 후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시 충돌을 방지한다. 즉, 세 유닛의 데이터 송신 순위가 정해지고, 세 유닛은 정해진 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되 어느 하나의 유닛이 데이터 송신 시 나머지 유닛은 보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만약 나머지 유닛이 데이터의 송신을 보류한 상태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새로 수신된 데이터와 보류 중인 데이터의 식별 번호를 비교하고, 이때 두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같으면 새로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하고 두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다르면 새로 수신된 데이터의 송신도 보류시키며, 해당 유닛의 데이터 송신 순서가 되면 기존의 데이터를 송신한 후 새로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하되 다른 유닛과 송신이 충돌되지 않는 시간에 송신한다.
제3실내 유닛(23)이 최우선 순위를 가진 경우, 제3실내 유닛(23)은 미리 설 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은 체크섬을 확인한 후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은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보류 또는 저장된 데이터의 식별번호와 동일하다고 판단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하고,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은 체크섬이 정상이고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면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유닛을 구동시킨다. 반면,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으로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즉, 수신 유닛의 ID는 6으로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의 ID와 모두 일치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은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유닛으로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다음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은 수신 유닛 ID는 6으로 자신의 ID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이미 중계된 데이터인지 판단한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는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에는 최초로 수신된 것으로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식별번호를 가진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으로 데이터를 각각 송신하고 저장한다.
즉, 제4실내 유닛(24)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 제5실내 유닛(25), 제6실내 유닛(26)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5실내 유닛(25)은 미리 설정된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제5실내 유닛(25)이 우선 순위를 가진 경우, 제5실내 유닛(25)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는 수신된 데이터의 체크 섬을 확인하고, 체크섬이 정상이면 자신의 ID와 수신 유닛의 ID를 비교한 후 두 ID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에 수신된 데이터는 제3실내 유닛(23)에서 중계된 데이터이고 제4실내 유닛(24)에서 보류된 데이터로 그 식별번호가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은 이 데이터를 파기한다.
그리고 제6실내 유닛(26)은 데이터가 수신(101)되면 체크섬을 확인하여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102)한다. 이때 체크섬에 이상이 있으면 데이터를 파기(103)하고 체크섬이 정상이면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 를 판단(104)한다. 즉, 수신 유닛의 ID는 6이고 자신의 ID도 6으로 두 ID가 일치하므로 제6실내 유닛(26)은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105)하고,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6실내 유닛(2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 제1실내 유닛(21) 및 제2실내 유닛(22)은 보류 중인 데이터를 각각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1실내 유닛(21)이 우선 순위를 가진 경우, 제1실내 유닛(21)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실외 유닛(10),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실외 유닛(10),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실외 유닛(10),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체크섬 및 ID 비교를 수행하고,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확인한다. 이때 데이터의 식별번호는 실외 유닛(10),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어 실외 유닛(10),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한다.
다음 제2실내 유닛(22)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체크섬 및 ID 비교를 수행하고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에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각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은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미 중계가 이루어진 데이터로 판단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한다.
다음 제4실내 유닛(24)은 물리적 통신이 가능한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 제5실내 유닛(25), 제6실내 유닛(26)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 제5실내 유닛(25), 제6실내 유닛(26)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체크섬 및 ID 비교를 수행하고 이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각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 제5실내 유닛(25), 제6실내 유닛(26)은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미 중계가 이루어진 데이터로 판단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와 같이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의 마이컴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 유닛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는 모든 실내 유닛에 전달 가능하고 반대로 모든 실내 유닛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는 실외 유닛에 전달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로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공간에 각각 설치되되 실외 유닛(10)과 연결 설치된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은 각각 냉매배관(30) 및 전원선과 통신선으로 이루어진 배선(4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구성부 이외에 중계기능설정부(18, 21g)를 더 포함한다. 즉, 동일한 구성부에 있어서는 동일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실외 유닛(10)에 마련된 중계기능설정부(18)는 실외 유닛의 중계 기능을 설 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중계 기능 조작에 따른 중계 기능 설정 신호를 실외 마이컴(15)에 전송한다.
그리고 복수 실내 유닛 중 제1실내 유닛(21)에 마련된 중계기능설정부(21g)는 제1실내 유닛(21)의 중계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중계 기능 조작에 따른 중계 기능 설정 신호를 실내 마이컴(21d)에 전송한다.
즉, 실외 유닛(10)의 실외 마이컴과 실내 유닛(21 내지 26)의 실내 마이컴은 중계기능설정부(18, 21g)로부터 전송된 중계기능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의 수행을 제어한다.
아울러, 각 유닛의 중계 기능 설정은 각 유닛의 마이컴 간의 통신을 수행한 후 통신 여부에 따라 설정하는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간 통신 시 데이터 송수신의 펜스 차트로 이를 참조하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은 중계 기능이 설정되지 않았고, 제3실내 유닛(23), 제5실내 유닛(25)은 중계기능설정부를 통해 중계 기능이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실외 유닛(10)에서 제6실내 유닛(26)으로 식별번호 00001을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각 유닛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실외 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에 식별번호 00001을 가지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의 식별 번호(00001)를 저장부(17)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데이터가 수신되고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데이터의 체크 섬(CHECK SUM)을 통해 확인하여 체크 섬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수신 데이터에 이상이 있으면 이 데이터를 파기하고, 체크 섬이 정상이면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수신 유닛의 ID는 6으로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의 ID와 모두 일치하지 않는다.
즉,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수신유닛 ID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이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유닛으로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자신이 중계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는 중계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중계 기능은 수행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는 중계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3실내 유닛(23)은 중계 기능이 설정되었다고 판단하고 이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송신하기 위한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3실내 유닛(23)은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이미 중계된 데이터인지 판단한다. 즉 제3실내 유닛(23)은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이미 중계된 데이터로 판단하여 이 데이터를 파기하고, 반면 데이터의 식별 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중계된 적이 없는 데이터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으로 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기능을 수행하고, 이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제3실내 유닛(23)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4실내 유닛(24), 제5실내 유닛(25)은 데이터가 수신되고 수신된 데이터의 체크섬을 확인하고 수신 유닛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자신의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저장부에 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은 제3실내 유닛(23)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실외 유닛(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다시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한다. 그리고 제4실내 유닛(24) 및 제5실내 유닛(25)은 제3실내 유닛(23)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최초 수신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 이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4실내 유닛(24) 및 제5실내 유닛(25)은 중계 기능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실외 유닛(10),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4실내 유닛(24)은 중계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송신 대 상 유닛으로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5실내 유닛(25)은 중계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으로 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고 이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한다.
즉, 제5실내 유닛(25)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은 수신된 데이터의 체크 섬을 확인하고, 체크섬이 정상이면 자신의 ID와 수신 유닛의 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자신의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저장부에 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은 제5실내 유닛(25)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이미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제5실내 유닛(25)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한다. 그리고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은 중계 기능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은 중계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중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6실내 유닛(26)은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 시 수신 유닛의 ID와 자신의 ID가 모두 6으로 일치한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6실내 유닛(26)은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6실내 유닛(2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중계 기능이 설정된 제3, 5실내 유닛(23, 25)을 통해 실외 유닛(10)으로부터 제6실내 유닛(26)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의 순서도로,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각 유닛의 저장부는 해당 유닛과 다른 유닛과의 통신 시 두 유닛의 통신을 위한 두 유닛 사이의 중계 기능을 수행할 중계 유닛의 경로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다.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실외 유닛(10)은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과 통신 시 직접 통신이 가능하여 중계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외 유닛(10)은 제4실내 유닛(24)과 통신 시 제2실내 유닛(22) 또는 제3실내 유닛(23)의 중계 기능을 통해 제4실내 유닛(24)과의 통신이 가능하고, 실외 유닛(10)은 제5실내 유닛(24)과 통신 시 제3실내 유닛(23)의 중계 기능을 통해 제5실내 유닛(25)과의 통신이 가능하며, 실외 유닛(10)은 제6실내 유닛(26)과 통신 시 제3실내 유닛(23)와 제4실내 유닛(24)의 중계 기능을 통해 제6실내 유닛(26)과의 통신이 가능하거나 또는 제3실내 유닛(23)와 제5실내 유닛(25)의 중계 기능을 통해 제6실내 유닛(26)과의 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실외 유닛과 각 실내 유닛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 유닛의 경로 정보로, 각 유닛의 저장부에는 자신과 상대 유닛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중계 유닛의 경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유닛의 마이컴은 저장부에 저장된 중계 유닛의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두 유닛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이때 경로 유닛의 정보를 가진 통신 데이터 패킷의 포맷 구조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통신 데이터 패킷의 포맷 구조는 수신 유닛이 신호 동기를 잡기 위한 동기 헤더(HEADER), 전체의 데이터의 길이를 수신 유닛에 알려 주기 위한 데이터 길이, 통신 데이터가 어느 ID를 가지는 유닛으로부터 어느 ID를 가지는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송신유닛 ID, 수신유닛 ID, 경로 정보, 송신유닛으부터 수신유닛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정보를 가지는 전달 데이터, 통신 데이터가 올바르게 송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섬(CHECK SUM) 데이터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시 중계 유닛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송신유닛 ID와 수신유닛 ID는 중계 유닛에서 중계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변경된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정보의 구조는 데이터를 최초 송신한 최초 송신 유닛 ID, 이 데이터를 최종 수신할 최종 수신 유닛 ID, 최초 송신 유닛으로부터 최종 수신 유닛까지 데이터 전송 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2, 3 중계 유닛 ID, 중계 유닛의 정보의 마지막을 알리는 Null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각 유닛 간 통신 시 데이터 송수신의 펜스 차트로, 이를 참조하여 도 8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실외 유닛(10)의 ID는 0, 제1실내 유닛(21)의 ID는 1, 제2실내 유닛(22)의 ID는 2, 제3실내 유닛(23)의 ID는 3, 제4실내 유닛(24)의 ID는 4, 제5실내 유닛(25)의 ID는 5, 제6실내 유닛(26)의 ID는 6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실외 유닛(10)에서 제6실내 유닛(26)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실외 유닛(10)은 제6실내 유닛(26)으로 식별번호 00001을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중계 기능을 수행해야 할 중계 유닛이 있는지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3실내 유닛(23)과 제5실내 유닛(25)을 중계 유닛이 검색되고, 실외 유닛(10)은 통신 데이터의 패킷 포맷 구조에서, 송신 유닛 ID를 0, 수신 유닛 ID를 3으로 설정하고, 경로 정보에서 최초 송신 유닛 ID를 0, 최종 수신 유닛 ID를 6, 제1 중계유닛 ID를 3, 제2중계유닛ID를 5로 설정하여 중계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실외 유닛(10)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에 식별번호 00001을 가지는 중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의 식별 번호(00001)를 실외 유닛의 저장부(17)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 제3실내 유닛(23)은 실외 유닛(1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201)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데이터의 체크 섬(CHECK SUM)을 통해 확인하고 체크 섬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202)한다. 이때 데이터에 이상이 있으면 이 데이터를 파기(203)하고, 체크 섬이 정상이면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204)한다. 이때 수신 유닛의 ID는 3으로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의 ID와는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1실내 유닛(21), 제2실내 유닛(22)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데이터를 파기한다.
그리고 제3실내 유닛(23)은 수신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한다고 판단하고 최종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205)한다.
이때 최종 수신 유닛의 ID는 6으로 제3실내 유닛(23)의 ID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3실내 유닛(23)은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해야 할 데이터로 판단하고, 통신 데이터 패킷 포맷 구조에 자신이 중계 유닛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즉, 제3실내 유닛(23)은 통신 데이터 패킷 포맷 구조에서 자신이 제1중계유닛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한 후 그 다음인 제2중계유닛을 확인하고 제2중계유닛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3실내 유닛(23)은 중계 기능을 수행한 중계 수행 정보를 가지는 중계 송신 데이터를 생성(207)한다. 즉, 통신 데이터의 패킷 포맷 구조에서 송신 유닛 ID를 3, 수신 유닛 ID를 5로 설정하여 중계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제4실내 유닛(24) 및 제5실내 유닛(25)에 데이터를 송신(208)한다.
다음 제4실내 유닛(24) 및 제5실내 유닛(25)은 제3실내 유닛(23)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201)하고 데이터의 유효성을 수신 데이터의 체크 섬(CHECK SUM)을 통해 확인하고, 체크 섬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202)한다. 이때 수신 데이터에 이상이 있으면 이 데이터를 파기(203)하고, 체크 섬이 정상이면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204)한다.
이때 수신 유닛의 ID는 5로 제4실내 유닛(24)의 ID와는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4실내 유닛(24)는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데이터를 파기(203)한다. 그리고 제5실내 유닛(25)은 수신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한다고 판단하고, 최종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205)한다.
이때 최종 수신 유닛의 ID는 6으로 제5실내 유닛(25)은 자신의 ID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해야 할 데이터로 판단하고, 통신 데이터 패킷 포맷 구조에 자신이 중계 유닛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즉, 제5실내 유닛(25)은 통신 데이터 패킷 포맷 구조에서 자신이 제2중계유닛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하고, 그 다음 제3중계유닛이 설정되어 있는 확인한다. 이때 제3중계유닛은 설정되어 있지 않고 Null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5실내 유닛(25)은 자신이 마지막 중계유닛이라고 판단하고 최종 수신유닛ID를 확인하여 최종 수신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5실내 유닛(25)은 중계 기능을 수행한 중계 수행 정보를 가지는 중계 송신 데이터를 생성(207)한다. 즉 통신 데이터의 패킷 포맷 구조에서, 송신 유닛 ID를 5, 수신 유닛 ID를 6으로 설정하여 중계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인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및 제6실내 유닛(25)에 데이터를 송신(208)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 제6실내 유닛(26)은 제5실내 유닛(25)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201)되면 데이터의 유효성을 데이터의 체크 섬(CHECK SUM)을 통해 확인하여 체크 섬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202)한다. 이때 수신 데이터에 이상이 있으면 이 데이터를 파기(203)하고, 체크 섬이 정상이면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204)한다.
이때 수신 유닛의 ID는 6으로 제3실내 유닛(23), 제4실내 유닛(24)은 자신의 ID와는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데이터 를 파기(203)한다.
그리고 제6실내 유닛(26)은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함을 확인하고, 최종 수신 유닛 ID와 자신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205)한다. 이때 최종 수신 유닛의 ID는 6으로 제6실내 유닛(26)은 자신의 ID와 일치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6실내 유닛(26)은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206)하고,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6실내 유닛(2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로서, 하나의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공간에 각각 설치되되 실외 유닛(10)과 연결 설치된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유닛(21, 22, 23, 24, 25, 26)은 각각 냉매배관(30)에 의해 연결되고, 각 유닛은 이 냉매배관(3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 유닛(10)과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구성부 이외에 변복조부(19a, 21h) 및 결합부(19b, 21i)를 더 포함한다. 즉, 동일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든 유닛들을 연결하는 냉매 배관(30)은 구리 등의 도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기적인 통신 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유닛(10) 및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에 각각 마련된 변복조부(19a, 21h)는 마이컴에서 출력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예를 들어, 수MHz의 단파대의 주파수의 신호)로 변조시켜 결합부(19b, 21i)에 출력하고, 결합부(19b, 21i)는 변조된 신호를 전자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냉매배관(30)에 출력한다. 또한 결합부(19b, 21i)는 냉매배관(30)을 통해 전송된 전자기신호를 변복조부(19a, 21h)로 전송하고, 변복조부(19a, 21h)는 결합부(19b, 21i)에서 전송된 전자기적 신호를 복조한 후 마이컴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실외 유닛(10) 및 복수 실내 유닛(21 내지 26)의 마이컴은 냉매배관(30)을 통해 전송된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두 유닛 간 통신 시 중계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해당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두 유닛 간 통신 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 통신 시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 통신 시 데이터 송수신의 펜스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송수신 데이터의 패킷 포맷의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 통신 시 데이터 송수신의 펜스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송수신 데이터 패킷의 포맷 구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유닛 간 통신 시 데이터 송수신의 펜스 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실외 유닛 21 내지 26: 실내 유닛
30: 냉매배관 40: 배선

Claims (19)

  1. 송신 대상 유닛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실외 유닛;
    상기 실외 유닛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송신 대상 유닛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 실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 유닛 및 복수 실내 유닛 간의 데이터 전송 시, 각각의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상기 데이터 수신 시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송신 대상 유닛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은, 상기 복수 실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 간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 간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 사이에 마련된 유닛이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중계 기능을 설정하는 중계기능 설정부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 유닛과 상기 복수 실내 유닛은, 상기 데이터 수신 시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면 중계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중계 기능이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유닛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상기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저장하여 차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이미 송수신된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7. 실외 유닛;
    상기 실외 유닛과 냉매배관을 통해 통신하는 복수 실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 유닛 및 복수 실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하나의 유닛이 상기 냉매배관을 통한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유닛과 다른 하나의 유닛 사이에 마련된 유닛이 중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송신 대상 유닛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데이터 수신 시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송신 대상 유닛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8. 삭제
  9. 삭제
  10.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유닛은 자신에게 전송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자신에게 전송한 데이터가 아니면 자신에게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유닛은 상기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를 파기하고,
    상기 데이터의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중계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중계 기능이 설정된 경우 자신에게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배선 또는 냉매배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4.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다른 유닛으로 데이터 전송 시 자신과 다른 유닛 사이에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 유닛의 경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중계 유닛의 경로를 가지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유닛은 상기 중계 유닛의 경로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중계 유닛의 경로를 가지는 데이터를 송신하 는 것은,
    미리 설정된 송신 대상 유닛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유닛의 경로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중계 유닛의 경로에 자신의 아이디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중계 유닛의 경로에 자신의 아이디가 있으면 상기 다른 유닛의 아이디와 자신의 아이디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다른 유닛의 아이디와 자신의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유닛의 아이디와 자신의 아이디가 일치하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유닛과 복수 실내 유닛은 배선 또는 냉매배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방법.
KR1020090013756A 2009-02-19 2009-02-19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 KR10158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56A KR101586296B1 (ko) 2009-02-19 2009-02-19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56A KR101586296B1 (ko) 2009-02-19 2009-02-19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672A KR20100094672A (ko) 2010-08-27
KR101586296B1 true KR101586296B1 (ko) 2016-02-02

Family

ID=4275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756A KR101586296B1 (ko) 2009-02-19 2009-02-19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5970B (zh) * 2016-11-24 2019-05-0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室内外机的联控板集中控制电路系统
KR102043065B1 (ko) * 2017-12-2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43064B1 (ko) * 2017-12-2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76426B1 (ko) * 2017-12-28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672A (ko)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9087B (zh) 空调的无线控制方法和空调无线网络系统
US7979164B2 (en) Low voltage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climate control system
CN100495462C (zh) 用于测试空调的设备
US6290141B1 (en) Communication module and initialization method for multi-air conditioner system
US6865898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060090483A1 (en) Communication system of a multi-type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US7721558B2 (en) Multi-air conditioner and group-unit control method thereof
US20040117069A1 (en) Central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air conditio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497207B2 (ja) リンク確立方法及び伝送装置
KR101586296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 방법
EP4328511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based pairing method and device for air conditioner, and storage medium
EP1321722B1 (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CN113203189B (zh) 空调器基于电力线通讯的配对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0594340C (zh) 空调系统的通信错误检测装置及其方法
JP2021067375A (ja) 空調システム、通信装置、空調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300738B (zh) 跨相通讯器、通讯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1275561B1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1108284A (ja) 伝送変換方法および伝送変換装置
CN113218041B (zh) 空调器基于电力线通讯的配对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220099324A1 (en) Network system
JP2008051357A (ja) 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遠隔管理装置
KR2014010065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WO2024070492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22014264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75092B1 (ko) 교회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