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937B1 -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937B1
KR101585937B1 KR1020140025765A KR20140025765A KR101585937B1 KR 101585937 B1 KR101585937 B1 KR 101585937B1 KR 1020140025765 A KR1020140025765 A KR 1020140025765A KR 20140025765 A KR20140025765 A KR 20140025765A KR 101585937 B1 KR101585937 B1 KR 10158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ompound
water
nitrogen
potas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994A (ko
Inventor
김우성
장인국
Original Assignee
(주)장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유산업 filed Critical (주)장유산업
Priority to KR102014002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937B1/ko
Priority to PCT/KR2015/002059 priority patent/WO2015133801A1/ko
Priority to US15/120,712 priority patent/US20170008812A1/en
Publication of KR2015010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1/00Other nitrogenous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carbocyclic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at least one ring not being a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00Ammonium nitrate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질소화합물 및 칼슘화합물을 총질소와 수용성칼슘 1 : 0.8 내지 1 : 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과일 또는 과채류 재배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이 특정 중량 비율 및 살포농도와 살포량으로 엽면살포가 될 시 약해가 실질적으로 생기지 않고 각 성분이 길항작용 없이 작물체내에서 질소와 칼슘의 상호작용(interaction)에 의해 열매 본연의 향미를 상승(synergistically increase)시키고, 식감을 좋게 하는 고품질 과일 또는 과채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영양제는 배 재배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중량 비율 및 농도에 칼륨이 혼합되어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을 생육기에 엽면시비할 때, 향미 상승 및 식감이 좋아지는 효과는 유지되고 과실비대를 억제하지 않으며 숙기촉진을 시킬 수 있다.
또한, 지베렐린을 이용한 배 재배시 지베렐린 처리와 병행하여 사용하면 지베렐린 처리로 인한 숙기촉진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어서 추석이 빠른 해에도 좋은 품질의 배를 조기에 수확할 수 있어 노동력 분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PLANT NUTRIENT COMPOSITION FOR SYNERGISTICALLY IMPROVING FLAVOR AND TEXTURE OF FRUITS AND VEGITABLE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일 또는 과채류의 향미 상승과 식감 향상, 또한 배의 비대를 억제하지 않고 향미 상승 및 식감 향상을 동반한 숙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 재배시 품질을 높이고 수확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성분을 균형있게 혼합한 것을 토양시비 또는 엽면시비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토양 내에서 각 영양소의 불균형, 길항작용 등으로 균형있게 영양소를 흡수하지 못했을 시 식물영양제를 물에 희석하여 줄기, 잎, 과실에 살포하는 엽면시비 방법이 이용된다. 이는 특정 영양성분의 결핍, 생육 저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영양소를 빠른 속도로 보충하고자 할 때 이용된다.
이러한 영양소로는 질소, 인산, 칼륨, 고토, 망간, 붕소, 철, 몰리브덴, 아연, 구리, 칼슘 등의 무기질과 요소, 고분자 질소화합물, 아미노산 비료, 유기인산, 유기산칼륨, 유기인, 탄수화물유도체, 아인산, 비타민, 당류, 해조추출물, 식물추출물 등의 유기화합물 등이 작물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성분들로 과실 및 과채류의 생육증진, 당도증가, 착색증진, 착과증진, 생리장애 예방, 과실비대, 결실향상, 품질향상, 내병성증진, 냉해 동해 예방, 수세회복, 발근향상, 도장억제, 저장성증진, 작물 스트레스 경감, 향미 증가 및 맛 증진이라는 효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 중 과실 및 과채류에서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맛’이다. 과실 및 과채류의 맛은 당도, 수분, 식감, 향에서 결정되는데 이 중 사람이 먹으면서 느끼는 향 즉, 향미(Flavor)에 따라 그 품질이 크게 좌우된다.
현재 시판 중에 있는 식물영양제 중 향, 맛, 향미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 제품들은 아미노산, 유기인산, 유기산 칼륨, 유기인, 탄수화물 유도체, 저분자 펩티드, 아인산, 수산화칼륨, 미량요소, 효력증진제, 식물생리활성물질, 복합비타민, 당류, 유황아미노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나 향미에 대한 효과가 미비하거나 오히려 향미가 저하되는 제품들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과수 농가에서는 토질이나 환경에 따라 향미를 증진시켰으나, 과수원의 경우 한번 조성이 되고 나면 토질이나 환경을 변화시키기엔 너무나 힘든 일이다. 따라서, 향미를 상승 시킬 수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과수재배에 있어, 배의 경우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에서 발간한 과수원 토양관리 및 병해충 방제(2002년)에 따르면 pH 5.5~6.5, 유기물 함량 25~35 g/kg, 인산 함량 200~300 mg/kg, 치환성양이온 중 칼슘 5~6 cmol/kg, 마그네슘 1.2~2.0 cmol/kg 및 칼륨 0.3~0.6 cmol/kg을 포함하도록 과수원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료 시비량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과수의 경우 토양 물리성, 나무 수세, 토양 경사도 등 다양한 여건에 따라 영양소의 흡수 및 이동에 따른 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배의 경우, 장마시 마사토 또는 사질 토양에서 질소질 양분이 과다하게 제거되어 결핍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요소 비료를 옆면 시비하는 방법이 있으나, 과수나무에 질소질 성분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가지가 번무하고 수관 내부의 광량이 적어져 오히려 과실의 발육이 억제되고, 과실의 맛이 저하되며, 과실로의 칼슘 축적량이 감소되어 여러 가지 생리 장해가 발생하고 저장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생육기간이 길어져 과실의 숙기가 지연된다.
또한, 식물체에서 칼슘은 각종 효소의 활성, 단백질 합성, 세포막에서 다른 이온의 선택적 흡수 조절 등의 생리적 작용에 관여하며, 세포벽에서 펙틴 화합물과 결합하여 세포벽의 견고성을 유지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칼슘이 결핍되면 잎의 선단이 황백화되고, 신초생장이 정지되고, 차차 갈변 고사될 수 있으며, 세포벽이 쉽게 붕괴되므로 분질화 되고 저장력이 저하된다. 또한, 칼슘 과다시 다른 영양소와의 길항작용으로 기타 영양소 결핍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농가에서는 칼슘의 흡수부족과 이동의 불균형으로 과실에 생리장해가 우려되면 염화칼슘을 물에 용해시켜 수용성 칼슘액을 엽면시비하고 있다.
또한, 노지에서 재배하지 않고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서 제철이 아닌 과실이나 과채류를 재배할 시, 작물 생리에 적절한 온도·습도·일조량 등의 환경에서 재배할 수 없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 많은 식물영양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되고 있는 식물영양제는 부족한 환경 요인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생육저하, 당도저하, 저장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다수의 경우에서 작물 본래의 향미를 저하시키거나, 심지어 당도는 올라가더라도 향미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식감마저 나빠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소와 칼슘은 식물체에 꼭 필요한 영양성분으로서, 종래 기술은 질소와 칼슘을 혼합하여 이 두 영양성분이 가지고 있는 역할과 기능을 상호 보충해 주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었으며, 오히려 향미가 떨어지는 작물이 재배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였다. 따라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비율 및 살포 농도와 살포량에 따라 배, 사과와 같은 과일 또는 과채류 재배뿐만 아니라 제철에 재배하는 것이 아닌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을 이용한 재배에서 열매가 가지는 본연의 향미를 상승시키고 식감을 좋게 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요소를 식물에 엽면 살포할 때, 잎 표면에 요소의 분해에 의해 생성하는 암모니아가 식물체에 약해를 입힐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제특허공개 제WO90/11262호는 안정화된 요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엽면 살포 비료를 제안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요소와 2가의 양이온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하는 액체 비료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등록 제4559076호, 국제특허공개 제WO90/11262호, 유럽특허 EP 0 463 075 B1, 한국특허공개 제2009-0018774호, 한국특허등록 제0812633호, 한국특허공개 제2003-0062520호 및 시판 중에 있는 질소와 칼슘이 혼합된 제품의 설명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비료 효과의 향상이나 엽면 살포시 약해가 없는 효과는 인정되지만,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비율 및 살포 농도와 살포량에 따라 과일 또는 과채류의 향미를 상승시키거나, 식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거나 언급한 바 없다.
그리고, 일본특허 제1996301679호에서는 제조방법상 50~100℃에서 요소를 먼저 용해시킨 후 염화칼슘을 혼합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나, 요소를 물에 용해 시킨 후 염화칼슘을 투입하면 염화칼슘과 물의 발열반응에 의해 저절로 온도가 상승하여 두 혼합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상승하므로 두 물질의 혼합 제조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에 의하면 요소와 염화칼슘의 배합 몰 비는 요소 1에 대하여 염화칼슘 1~1/4, 바람직하게는 요소를 약 1/2 또는 5% 정도 초과하는 조건에서 식물체의 흡수성이 양호해지고, 벼, 채소류, 과채류의 유묘기의 생육촉진, 병해충 저항성 증진, 화훼류의 줄기 잎 생장, 과수류의 칼슘 결핍증 방지 효과가 있으며, 실시예 역시 육묘, 잔디, 토마토에 대한 시험을 제시한바 있으나, 질소와 칼슘의 특정 비율 및 농도에 따라 과일 또는 과채류의 향미 상승 효과 및/또는 식감을 좋게 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배 과수의 경우, 2000년에 발간한 대한민국 원예학회지 41(5):517-522 ‘GA 도포제와 염화칼슘 처리가 신고 배나무의 생육과 과실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지베렐린 도포제만 처리한 것보다 지베렐린 도포제를 처리한 과실에 칼슘을 엽면시비 할 시 경도가 높아져 숙기가 지연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지베렐린의 숙기촉진 효과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칼슘 공급은 하되, 숙기는 단축 시킬 수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칼륨은 식물체의 여러 생리, 생화학 작용에 관여하고 ATP의 생성을 촉진하여 동화산물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과실의 발육을 양호하게 하며, 과실의 당도를 높인다. 그러나 칼륨이 과량으로 흡수되면 과실이 일찍 여물어 숙기가 촉진되는 현상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생육기간이 짧아져 소과가 생산될 수 있다.
위에 제시한 질소, 칼슘, 칼륨의 경우 토양 내에서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나오는 성분을 식물체의 뿌리가 흡수하여 이용하지만, 토양 내에서는 질소와 칼슘의 길항작용, 칼슘과 칼륨의 길항작용 때문에 균형 있는 흡수가 안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원인으로, 질소, 칼슘, 칼륨이 혼합되어 있는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향미를 상승시키거나 배의 숙기를 촉진 시키는 영향은 밝혀진 바 없고, 생육증진, 당도증가 등의 품질개선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생육증진이 숙기촉진으로 오인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과일의 생육증진이란 세포의 수가 늘어나고 비대해 지는 현상이며, 이러한 생육이 끝나갈 무렵 과일 안에 축적된 녹말이 당으로 변하여 익게 된다. 즉, 생육이 증진되어 생육 기간이 늘어나면 과실의 숙기는 늦어지게 된다. 또한 과실의 익음(ripening)은 식물호르몬 에틸렌이 관여하나 정확한 기작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한국특허공개 제2005-0053238호에서는 일반적으로 비료를 이용해서 착색촉진, 숙기단축을 하는 방안으로 비료에 질소질을 피하는 대신 인산과 칼륨 성분은 충분히 공급하고 천연물질 중 착색촉진 효과가 있는 부진산, 라이신, 해조추출물을 첨가하고 올리고당, 수크로스 등 당을 직접 공급하는 방법으로 착색을 촉진시켜 숙기단축을 유도하고 있으나, 이는 길항작용에 따라 칼륨 함량이 많을 시 식물생장에 꼭 필요한 질소와 칼슘을 공급받지 못해 생장이 빨리 멈춰지면서 과실이 익어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배, 사과, 파인애플 등의 과일은 생육이 마무리 되는 시점에 익어가므로 생육증진 효과가 높으면, 오히려 숙기는 지연될 수 밖에 없다. 즉, 배의 경우 위 설명처럼 질소질을 피하고 칼륨을 과잉 공급하여 칼슘함량이 떨어지면서 숙기가 촉진될 시 결국 무처리보다 비대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본연의 향미와 식감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총질소(N)와 수용성칼슘(CaO) 또는 총질소, 수용성칼슘과 수용성칼륨(K2O)의 특정 혼용비율 및 살포농도와 살포량을 조절하여 과일 또는 과채류에 향미를 상승적(synergistically)으로 증진시키고 식감을 향상시키며, 특히 배의 경우 상기 효과와 더불어 비대를 억제하지 않으면서 숙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과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일 또는 과채류에 향미를 상승시키고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과일의 향미를 상승시키고 식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과실비대를 억제시키지 않고 숙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지베렐린을 이용한 배 재배시 지베렐린 처리로 인한 숙기촉진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어서 추석이 빠른 해에도 좋은 품질의 배를 조기에 수확할 수 있어 노동력 분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질소화합물의 총질소(N) 및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CaO)을 1 : 0.8 내지 1 : 3,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2,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엽면살포시 살포액 내에 총질소 농도가 115~460 mg/L, 수용성칼슘 농도가 125~500 mg/L가 되도록 질소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배 재배의 경우에는 상기 질소화합물 및 칼슘화합물의 총질소 및 수용성 칼슘 특정 비율 및 농도에서 칼륨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 내에서 수용성 칼륨 농도가 10~200 mg/L이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과일 또는 과채류 재배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을 특정 비율 및 살포농도와 살포량으로 엽면살포할 때 약해가 실질적으로 생기지 않고, 각 영양소가 길항작용 없이 작물체 내에 특정 비율로 흡수되어 열매 본연의 향미를 상승시키고, 식감을 좋게 하는 고품질 과일 또는 과채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배 재배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비율 및 농도에 칼륨이 혼합된 식물영양제 조성물을 생육기에 엽면시비 할 때, 향미 상승 및 식감이 좋아지는 효과는 유지되고 과실비대를 억제하지 않으며 숙기촉진을 시킬 수 있다.
또한, 지베렐린을 이용한 배 재배시 지베렐린 처리와 병행하여 본 발명의 식물영양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지베렐린 처리로 인한 숙기촉진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어서 추석이 빠른 해에도 좋은 품질의 배를 조기에 수확할 수 있어 노동력 분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향미(Flavor)란, 입 안에서 용해된 물질이 미각세포에 의해 느끼는 미각과 휘발성 물질이 코의 후각세포에서 감지되는 후각에 의해 발생하며 개별적인 영향뿐 아니라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결과로 표현된다. 배, 사과와 같은 과일이 익는 동안 생화학적으로 알데하이드, 에스테르, 테르펜, 아민, 알코올, 케톤, 락톤, 치올 그룹 등과 같은 복합적인 화합물이 생합성되며, 일반적인 과일의 향미 성분은 과일에 존재하는 에스테라아제(esterase)가 생합성 조절에 의해 생성되는 에스테르(ester)에 기인한다. 에스테르와 같은 휘발성 성분은 과실을 입안에서 씹을 때 과실의 기질과 생성물이 교란되어, 가수분해 및 휘발성 물질이 미각세포와 후각세포에 감지되어 향미를 느끼게 한다. 이와 함께 당도와 산도가 어우러져 과일을 먹을 때 본연의 향미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과일 식감은 과실의 경도, 숙기, 무름, 석세포 함유량, 세포조직에 따라 좋고 나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총질소(T-N)와 수용성칼슘(CaO)의 특정 비율 및 살포농도와 살포량에 따라 식물체에서 나타나는 대사작용 및 생화학적 현상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실험하고, 질소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의 비율과 농도를 달리하여 식물체에 약해를 주지 않으며 배, 사과 재배시 향미 상승 및/또는 식감이 향상되는 범위에 대하여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철이 아닌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서 재배시 열매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향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질소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의 특정 비율 및 농도 조건에서 칼륨을 특정 함량 첨가하는 경우, 배 재배시 상기 상승(synergy) 효과와 더불어 과실비대를 억제하지 않으며 숙기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확인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질소화합물로는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는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농업용 요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질소 함량이 약 46%인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화합물로는 공업용, 식품용, 농업용 염화칼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염화칼슘 72%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륨화합물의 경우 염화칼륨 또는 해조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질소화합물, 칼슘화합물 및 칼륨화합물은 상술한 요소, 염화칼슘, 염화칼륨, 해조추출물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질소화합물은 요소,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질산칼슘, 질산칼륨, 석회질소, 또는 아미노산 등의 유기질 질소비료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칼슘화합물은 염화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산화칼슘, 초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인산이수소칼슘, 인산삼칼슘, 시안화칼슘, 질산칼슘, 플루오르화칼슘, 어패류 껍질 등 칼슘이 함유된 칼슘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칼륨화합물은 염화칼륨, 질산칼륨, 황산칼륨, 수산화칼륨, 인산칼륨, 해조추출물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과 유사한 화합물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식물체의 근권역, 특히 식물체의 줄기, 잎, 과실에 직접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약해가 발생하지 않으며, 물에 침전물 없이 쉽게 용해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총질소 함량과 수용성칼슘 함량이 1 : 0.8 내지 1 : 3,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2,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엽면살포시 살포액 내에 총질소 농도가 115~460 mg/L, 수용성칼슘 농도가 125~500 mg/L가 되도록 질소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향미 상승(synergy) 효과와 식감 개선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약해 방지 및 최상의 약효를 고려할 때 총질소 농도가 115~345 mg/L, 수용성칼슘 농도가 125~375 mg/L가 되도록 질소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질소 농도가 230mg/L, 수용성칼슘 농도가 250mg/L이 되도록 질소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배 재배의 경우에는 상기 총질소와 수용성칼슘 중량비 또는 농도 범위 내에서 칼륨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에서 향미 상승 및 식감 개선 효과와 함께 과실비대는 억제하지 않으며, 숙기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칼륨 농도는 10~150 mg/L, 바람직하게는 10~100 mg/L일 수 있다.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물에 희석하여 살포농도를 맞춘 뒤 살포량은 1600~2000m2 당 500L가 살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마그네슘, 망간, 붕소, 철, 몰리브덴, 아연,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량 대비 마그네슘의 경우 0.1~10 중량%, 망간의 경우 0.05~1 중량%, 붕소의 경우 0.01~3 중량%, 철의 경우 0.01~0.5 중량%, 몰리브덴의 경우 0.0005~0.1 중량%, 아연의 경우 0.01~0.5 중량%, 구리의 경우 0.01~0.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효과를 한 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전착제, 계면활성제, pH조정제 등의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은 지베렐린이 처리된 배 재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지베렐린 처리로 인한 숙기촉진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제형이 액상인 경우, 총질소 함량 3~30 중량%에 해당하는 질소화합물을 물에 용해 시킨 후, 얻어진 용액에 수용성칼슘 3~30 중량%에 해당하는 칼슘화합물을 용해 시키고, 숙기촉진 효과를 위하여 수용성 칼륨 0.5~20 중량%에 해당하는 칼륨화합물 또는 해조추출물을 더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제형이 고형인 경우에는 상기 액상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함량에 보조제를 함께 혼합하여 고상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사용 시기는 전 생육기간 중 사용될 수 있으며, 월 1회 또는 월 2회로 살포할 수 있다. 배, 사과와 같은 과수의 경우 만개일로부터 14~40일 사이에 1차 살포, 1차 살포 후 10~30일 사이에 2차 살포, 2차 살포 후 20~40일 사이에 3차 살포를 할 수 있으며, 나무의 영양 상태에 따라 1~2회 살포 횟수를 가감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실험 대상 및 물성 측정 방법
과수재배에 있어, 배와 사과의 경우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에서 발간한 과수원 토양관리 및 병해충 방제(2002년)에 따라 표준이 되는 과수원을 시험포장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실시예에서 행해진 포장시험들은 나무 1주를 1반복구로, 반복구당 동서남북 방향에 가능한 한 맞추어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가지를 선택하여 처리약제가 다른 처리구에 날리지 않도록 비닐막으로 막고 약액이 잎과 과실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하였다. 이때 살포량은 실질적으로 사용할 시 1600~2000m2당 500L가 살포되는 량이다. 그리고 수확 후 조사 또는 측정시 처리 내용을 알 수 없도록 맹(Blind) 시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기 실험 조사의 과중은 배 수확 후 평균 개당 무게를 나타내며, 당도는 ATAGO사의 PAL-1을 이용하여, 각 과일당 2곳(두 지점이 반대면이 되도록 함)에서 종으로(꼭지에서 기부 방향) 절단하여 과즙을 측정하였다. 경도는 경도계 프로브의 단면이 직경 7.8mm로 각 과일 당 최대 횡경 중앙 부위 한면과 반대면으로 총 2면을 측정하였다. 과일향미, 식감(육질), 숙도 테스트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 3인 이상을 대상으로 당도 및 경도 측정 부위 부근의 과육을 시식함으로써 비교하였다.
향미의 평가방법
통상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 3인은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 향미지수 0,1,2,3,4,5 에 해당하는 과실의 맛을 보아 그 수치에 대한 기준을 동일시 한 후 조사에 임했다. 그리고, 향미지수의 평균수치는 각 수치에 해당하는 과일수를 곱하여, 각각을 합한 뒤 총 수확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향미지수 0 : 향미가 없음..
1 : 향미가 있는지 분간하기 힘든 농도
2 : 향미의 인식강도의 변화를 느끼게 하는 최소향미 농도
3 : 향미가 있음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농도
(표준 토질과 환경에서 재배할 때 생산되는 보편적인 과실 향미)
4 : 향미가 쉽게 감지되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향미가 좋다고 평가할 수 있는 농도
5 : 향미 증가가 사람의 인식강도의 증가를 더 이상 일으키지 않는 최고의 농도
식감의 평가방법
통상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 3인은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 식감 3가지 분류에 해당하는 과실을 씹으며 그 수준에 대한 기준을 동일시 한 후 조사에 임했다.
식감(육질)은 ‘나쁨’, ‘보통’, ‘좋음’으로 3가지로 하기와 같이 분류하였다.
식감 ‘나쁨’ : 통상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배를 섭취할 때 거칠거나, 연해서 식감이 좋지 않다 라고 평가하는 경우
‘보통’ :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는 경우
‘좋음’ : 거친정도 연한정도 등이 우수하여 식감이 매우 좋은 경우
숙도의 평가방법
숙도 지수는 수확한 배들의 초기(수확 후 7일 전) 숙도이며, 1~6으로 하기와 같이 분류하였다.
숙도지수 1 : 육질이 전혀 풀리지 않고 생내가 나는 배
2 : 육질이 약간(20%) 풀렸으나 생내가 나는 배
3 : 육질이 50% 정도 풀렸으나 생내가 나는 배
4 : 육질이 80% 정도 풀렸으나 완숙이 안된 배
5 : 육질이 모두 풀리고 완숙된 배
6 : 육질이 물러버리고 과숙된 배
그러나, 일반적인 무처리 수확시기에 수확할 시 나올 수 있는 숙기지수는 4에서 5 범위이다. 따라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 3인은 4~5 범위에서 0.1 증가에 따른 숙기 차이를 동일한 기준에 맞춘 후 실험에 임했으며, 모든 조사 수치를 수확량으로 나누어 평균 수치를 구했다.
또한, 하기 그래프 1은 실험예 1~4의 과수원과 같은 소재지에서 재배하는 신고배의 만개후 경과일에 따른 숙도를 2005년 ~ 2009년까지 5년간 측정한 통계 분석치이다. 조사 방법은 경과일에 따른 횡경을 측정한 후 평균에 해당하는 과실의 숙도를 측정하여 변화 곡선을 만들었다. 그래프 1에서 보면 만개후 90일 까지는 배의 생장기간으로 숙도의 변화는 없지만 약 125일까지(숙도 4) 급격히 숙도가 변화하였으며, 다시 숙도 4에서 숙도 4.7 까지는 변화속도가 느려져 완만한 곡선을 이루었다. 따라서, 숙도조사를 한 후 숙도 지수에 따른 숙기촉진 일수를 회귀분석하여 그래프 1과 같이 구하였으며, 그래프 1의 만개후 125일 ~ 170일 사이의 2차 방정식 y = 0.0002x2 - 0.0378x + 5.4032 식에 따라 계산하여 숙기촉진 일수를 평가하였다.
[그래프 1] 신고배의 만개후 경과일에 따른 숙도변화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1

[실험예 1]
하기 표 1과 같은 농도로 엽면살포 되도록 질소는 요소로, 수용성칼슘은 염화칼슘으로, 수용성칼륨은 염화칼륨을 이용하여 혼합 제조하였다.
[표 1] 엽면살포시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성분 농도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2
이 실험은 2008년 충북 청원군 오창읍 여천리 소재에 있는 신고배(수령 17년생)에 한 나무당 방향별(남쪽, 북쪽)로 2가지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5나무 반복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엽면시비하기 전 ㈜장유산업의 GA4+7 2.4% 도포제(상표명:액셀린)를 5월 30일 전체 과실의 과경에 25mg 처리하였으며, 그 후 표 1의 농도로 6월 23일 1차, 7월 8일 2차 엽면살포 하였고, 8월 29일~9월 5일 2차에 걸쳐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 처리에 따른 배 품질 및 숙도지수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3
모든 처리구에서 약해 증상은 없었다. 액셀린과 IAP1084 엽면시비를 병행한 처리구의 결과와 같이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무게 비율 1:2 에 수용성칼륨이 혼합되어 있을 시 지베렐린(액셀린)만 도포처리 한 것보다 경도가 1.85kg 에서 1.69kg으로 약 8.6% 감소하였으며, 숙도 관능검사시 숙도지수 4.46에서 4.61로 그래프 1에 따른 식에 대입할 시 약 5.4일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물영양제 조성물로 인해 숙기가 단축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숙기촉진으로 인해 다른 부가적인 영향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조사결과 과실 비대 및 당도증가의 품질향상은 액셀린만 처리한 것 보다 증가되어, 지베렐린 도포제를 사용하는 농가에서 사용할 시 지베렐린 효과를 증진시키는 용도로 사용 될 수 있다.
[실험예 2]
하기 표 3의 농도로 엽면살포 되도록 질소는 요소를, 수용성칼슘은 염화칼슘을, 수용성칼륨은 캐나다에 유기농 자재로 등록된 수용성칼륨 17%를 함유한 해조추출물(상표명; Acadian)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표 3] 엽면살포시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성분 농도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4
이 실험은 2009년 충북 청원군 오창읍 여천리 소재에 있는 신고배(수령 16년생)에 한 나무당 방향별(남쪽, 북쪽)로 2가지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5나무 반복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상기 표 3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처리 방법은 만개 후 42일경 1차 살포, 1차 살포 48일 후 2차 살포를 하고, 10월 12일 무처리 및 모든 처리구를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 처리에 따른 배 품질 및 숙도지수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5
1) 향미부족(%)은 전체 수확량 중 향미지수 3미만(0,1,2)인 과일 비율(%) 이다.
2) 발효맛(%)은 과일이 발효될 때 생성되는 향, 즉 전체 수확량 중 알코올향이 느껴지는 과일 비율(%)이다.
모든 처리구에서 약해 증상은 없었다. 향미 부족과 발효맛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진 과실 수확 비율은 무처리가 69.5%, IAP1092 67.9%인데 반해 IAP1083은 38.1%, IAP1091은 37.3% 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무게 비율 1:1.1 및 특정 농도로 혼합되어 있는 처리구에서 향미부족(%) 과 발효맛(%) 과실비율이 줄었음에 따라, 향미 상승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IAP 1091과 같이 칼륨이 17% 함유된 해조추출물을 이용하여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무게 비율 및 살포농도에 수용성칼륨을 혼합할 시 경도가 1.61에서 1.52으로 약 5.6% 감소 되었으며, 숙도 지수는 4.71에서 4.83으로 높았음에 따라, 그래프 1의 식에 대입하여 보면 약 3.6일 숙기가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칼륨을 함유하고 있는 해조 추출물만 살포한 IAP1092에서 칼륨에 따른 숙기촉진이 되었지만, 향미 부족과 발효맛 조사에서 IAP1091보다 23% 이상 높게 나와 상품성이 떨어졌으며, IAP1092는 무처리 보다 오히려 과실비대가 덜 되었다. 이는 칼륨으로 인해 숙기촉진 효과는 있었으나, 향미 상승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한 무게 비율 및 살포농도에 칼륨이 혼합되어 살포될 때 향미와 식감이 좋은 배가 과실비대는 억제되지 않고 숙기가 촉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하기 표 5와 같은 농도로 엽면살포 되도록 질소는 요소를, 수용성칼슘은 염화칼슘을, 수용성칼륨은 염화칼륨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표 5] 엽면살포시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성분 농도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6
이 실험은 2011년 충북 청원군 오창읍 여천리 소재에 있는 신고배(수령 20년생)에 한 나무당 방향별(남쪽, 북쪽)로 2가지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5나무 반복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처리 농도는 표 5와 같으며, 처리 방법은 만개 후 35일경 1차 살포, 1차 살포 30일 후 2차살포, 2차 살포 30일 후 3차 살포를 하였다. 그리고, 10월 7일 무처리 및 모든 처리구를 수확하여 모든 수확물의 무게를 조사하였으며, 당도, 경도, 숙기, 향미, 식감은 수확 후 3일에 남쪽방향의 모든 과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북쪽 과실은 실온 저장을 한 후 75일 후 부패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 7과 같다.
[표 6]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에 따른 신고배의 잎과 과실 약해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7
상기 표 6에서 잎 얼룩, 잎 작음, 잎 경화의 경우, 약해 증상이 나타난 가지수를 기재하였다.
1) 잎 얼룩 1 : 생육에 지장이 없는 지수 (자연적으로 생길 수 있는 지수)
잎 얼룩 2 : 생육에 지장이 있을 수 있는 지수 (약한 약해로 인한 얼룩 지수)
잎 얼룩 3 : 생육에 지장이 있는 지수 (약해로 인한 얼룩이 확실한 지수)
2)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신고배의 경우 잎이 작다고 느끼는 경우
3) 잎의 가장자리가 마르면서 구부러지는 증상
4) 과실이 타는 경우와 약흔이 남아 있거나, 기형과 발생이 된 경우
과실 약해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IAP1112와 같이 염화칼슘만 높은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 잎이 경화되는 증상이 보였으나 처리구 IAP1117, IAP1118과 같이 질소가 추가 되었을 시 염화칼슘으로 나타난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잎얼룩 증상은 IAP1117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므로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중량비율 및 살포농도에 따라 약해증상이 경미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IAP1117의 농도 이하에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표 7]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 처리에 따른 배 품질 및 숙도지수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8
1) 무처리 대비 증가 = 처리구 향미평균 - 무처리 향미평균
2) 향미 상승 또는 상쇄효과 = 질소와 수용성칼슘 복합처리 향미 증가 지수 - (질소 처리 향미 증가지수 + 수용성칼슘 향미 증가지수)
계산의 예)는 하기와 같다.
IAP1083의 경우 무처리 대비 향미지수 증가는 0.96이며, 이에 해당하는 질소 농도만 처리한 IAP1081의 향미지수 0.38과 수용성 칼슘 농도만 처리한 0.5를 합한 수치 0.88이다.
따라서 0.96-0.88 = 0.08
IAP1116과 같이 총질소와 수용성 칼슘 중량 비율이 1:0.54 에서는 향미 상승이 오히려 떨어져 수용성 칼슘 비율이 0.54 이상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위 결과에 따르면 총질소와 수용성 칼슘의 특정 비율 1:1.1에서 총질소 230~460 mg/L 와 수용성칼슘 250~500mg/L 농도로 혼합 살포되었을 때 질소와 칼슘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과실향미 상승(synergy) 효과가 나타났으며, 1:1.1 비율에서 질소 230 mg/L와 수용성 칼슘 250mg/L의 농도로 살포되었을 시, 무처리 대비 향미 평균 지수가 0.96 포인트 증가하였다. 또한, 향미상승 또는 상쇄효과 계산에 따르면, 질소와 수용성 칼슘 한 영양소만 처리한 향미 증감지수를 더한 수치보다 IAP1083, IAP1118의 비율에서는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IAP1115, IAP1116, IAP1117와 같이 1:0.54의 경우에는 마이너스 값이 나오므로 상쇄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특정 비율에서 향미 상승 효과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온저장 부패율(%)에서 IAP1083, IAP1118에서 무처리 및 타 처리구보다 저장성이 좋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IAP1119 의 숙기가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비율일 지라도 특정범위의 농도로 살포되지 않으면 향미 상승 효과는 미약하여 숙기만 촉진됨을 알 수 있다. 즉, 조기출하를 목표로 향미가 우수한 배를 조기수확하기 위해선 실험예 2와 같이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비율 및 살포농도 범위에 칼륨이 혼합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실험예 3과 달리 염화칼슘 비율이 더 많은 경우를 고려하여 하기 표 8과 같은 농도로 엽면살포 되도록 질소는 요소로, 수용성칼슘은 염화칼슘으로, 수용성칼륨은 염화칼륨으로, 수용성붕소는 붕산을 이용하여 혼합 제조하였다. 또한, IAP1125 는 NH4Cl 을 이용하여 요소와 질소함량이 같도록 환산하여 사입하였다.
[표 8] 엽면살포시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의 성분 농도
Figure 112014021415899-pat00009
이 실험은 2012년 충북 청원군 오창읍 여천리 소재에 있는 신고배(수령 18년생)에 한 나무당 방향별(남쪽, 북쪽)로 2가지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5나무 반복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처리 농도는 표 9와 같으며, 처리 방법은 만개 후 38일경 1차 살포, 1차 살포 16일 후 2차살포, 2차 살포 30일 후 3차 살포를 실시 하였고, 10월 8일 무처리 및 모든 처리구를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과 같다.
[표 9] 각 식물영양제 조성물 처리에 따른 배 품질 및 숙도지수
Figure 112014021415899-pat00010
1) 무처리 대비 증가 = 처리구 향미평균 - 무처리 향미평균
2) 향미 상승 또는 상쇄효과 = 질소와 수용성칼슘 복합처리 향미 증가 지수 - (질소 처리 향미증가지수 + 수용성칼슘 향미증가지수)
계산의 예)는 하기와 같다.
IAP1083의 경우 무처리 대비 향미지수 증가는 0.88이며, 이에 해당하는 질소 농도만 처리한 IAP1081의 향미지수 -0.12와 수용성칼슘 농도만 처리한 -0.27을 합한 수치 -0.39이다.
따라서 0.88-(-0.39) = 1.27
모든 처리구에서 약해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위 결과에 따르면 총질소와 수용성칼슘 비율이 1:(1.1~2.2)에서 총질소 115~230mg/L와 수용성칼슘 250~500mg/L의 범위일 때 무처리보다 과실 향미가 상승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 1:1.1의 비율일 때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향미상승 또는 상쇄효과 계산에 따르면, 총질소와 수용성 칼슘 한가지 영양소만 처리한 향미 증감지수를 더한 수치보다 1: (1.1~2.2) 비율 처리구에서 향미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1:1.1의 비율일 때가 향미 상승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식감 ‘좋음’ 조사 결과 IAP1083과 IAP1124와 같이 1:1.1 비율에서 무처리 10% 대비 77.8%, 70.6%로 식감이 좋은 배를 더 수확 할 수 있었다. 그리고, IAP1124와 같이 실험예 3의 IAP1119와 달리 총질소와 수용성 칼슘의 특정 무게 비율 및 특정 농도 범위에서 칼륨이 혼합되어 있을 시 향미 와 식감이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무처리 숙도 4.56보다 4.70으로 상기 그래프 1의 식에 대입할 시 약 4.6일 숙기가 촉진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경도 또한 1.96kg에서 1.61kg으로 17.8% 감소되었다. 즉, 특정 무게 비율 및 농도에 칼륨이 혼합되어 있을 시 향미 상승 효과를 더 증가시키고, 식감이 좋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이를 동반한 숙기촉진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IAP1125와 같이 질소 보정을 요소 대신 염화암모늄을 사용해도 그 효과에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예 3과 4에서 중복된 처리구의 결과 수치를 보면, 실험한 시기의 환경, 토양, 나무상태, 기상 등의 조건에 따라 증진 및 상승 지수 범위가 달랐으나, 두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증진 및 상승효과는 모두 나타났으므로 반복 실험에 따른 효과가 인정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이 실험은 제철 작물이 아닌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서 재배할 시 열매 본연의 향미가 떨어지고 식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발명 조성물로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실험예 1, 2, 3, 4의 결과에 따라 요소(질소46%)와 염화칼슘(74%)을 하기 표 10과 같은 중량으로 물에 혼합하여 IAP1083 제품을 제조하였다.
[표 10] 요소와 염화칼슘 혼합 식물영양제 제품(IAP1083) 제조
Figure 112014021415899-pat00011
이 실험은 2013년 제주도 제주시 봉개동 소재에 있는 하우스 재배에 의한 신고배(수령 19년생)에 한 나무당 랜덤으로 3가지를 선택하여, 5나무 반복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처리 방법은 IAP1083을 500배 희석(w/v)하였다. 이때, 엽면살포 총질소 농도는 230mg/L, 수용성칼슘 농도는 252mg/L 가 된다. 처리방법은 만개 후 16일경 1차 살포, 1차 살포 20일 후 2차살포 하였고, 9월 12일 모두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과 같다.
[표 11] IAP1083 식물영양제에 따른 배(신고) 향미 상승 효과 및 식감 비교
Figure 112014021415899-pat00012
향미 지수 평균이 무처리구 2.53 인데 반해 총질소와 수용성칼슘의 특정 중량 비율과 살포농도에서 3.53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식감 평가에서 ‘좋음’이 무처리 6.1% 에 비해 발명품에서 32.4% 높았다. 따라서, 하우스 재배로 조기수확이 목표인 작물 또는 제철 과일 생산이 아닌 경우에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가 부족하거나 식감이 나쁜 경우가 많은데 이를 이용하면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실험예 6]
이 실험은 2013년 충북 보은군 삼승면 서원리 소재에 있는 후지사과(수령 15년생)에 한 나무당 랜덤으로 1가지를 선택하여, 10나무 반복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처리 방법은 표 11과 같이 제조한 IAP1083을 500배 희석(w/v)하였다. 이때, 총질소 농도는 230mg/L 수용성 칼슘 농도는 252mg/L 가 된다. 중심화 만개 후 20일경 1차 살포, 1차 살포 10일 후 2차 살포하였고, 10월 28일 모두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2와 같다.
[표 12] IAP1083 식물영양제에 따른 사과(후지) 향미 상승 효과 및 식감 비교
Figure 112014021415899-pat00013
실험예 6 결과에 따라 사과(후지)에 적용확대시 향미평균이 3.57에서 3.89로 향미가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식감이 좋은 사과 역시 무처리 62% 보다 26%가 더 많은 88%로 높았다. 따라서, 배뿐만 아니라 사과에서도 향미 상승 및 식감이 좋아지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Claims (15)

  1. 질소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와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의 중량비는 1 :0.8 내지 1 : 3이며,
    식물에 엽면살포시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 농도는 115~460 mg/L이며,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 농도는 125~500 mg/L인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 함량과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의 중량비는 1 : 1 내지 1 : 2이고,
    식물에 엽면살포시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 농도는 115~345 mg/L이며,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 농도는 125~375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칼륨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과실 및 과채류의 비대를 억제하지 않고, 향미 상승 및 식감 향상을 동반하며 숙기를 촉진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 함량과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의 중량비는 1 : 0.8 내지 1 : 3이고,
    엽면살포시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 농도는 115~460 mg/L이며,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 농도는 125~500 mg/L이며,
    상기 칼륨화합물의 수용성칼륨 농도는 10~150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 함량과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의 중량비는 1 : 1 내지 1 : 2이고,
    엽면살포시 상기 질소화합물의 총질소 농도는 115~345 mg/L이며,
    상기 칼슘화합물의 수용성칼슘 농도는 125~375 mg/L이며,
    상기 칼륨화합물의 수용성칼륨 농도는 10~100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는 제철 재배가 아닌 비닐하우스나 유리 온실에서 재배하는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 향상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화합물은 요소,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질산칼슘, 질산칼륨, 석회질소, 및 유기질 질소비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칼슘화합물은 염화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산화칼슘, 초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인산이수소칼슘, 인산삼칼슘, 시안화칼슘, 질산칼슘, 플루오르화칼슘, 및 어패류 껍질이 함유된 칼슘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륨화합물은 염화칼륨, 질산칼륨, 황산칼륨, 수산화칼륨, 인산칼륨, 및 해조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망간, 붕소, 철, 몰리브덴, 아연,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은 0.1~10 중량%, 상기 망간은 0.05~1 중량%, 상기 붕소는 0.01~3 중량%, 상기 철은 0.01~0.5 중량%, 상기 몰리브덴은 0.0005~0.1 중량%, 상기 아연은 0.01~0.5 중량%, 그리고, 상기 구리는 0.01~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전착제, 계면활성제, pH조정제, 그 외의 첨가물 중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13.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방법.
  14.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식물영양제 조성물과 지베렐린을 병행 사용하여 숙기를 촉진시키는 방법.
  15.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식물영양제 조성물을 과일 및 과채류의 줄기, 잎, 또는 과실에 사용하는 재배방법.
KR1020140025765A 2014-03-04 2014-03-04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KR10158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65A KR101585937B1 (ko) 2014-03-04 2014-03-04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PCT/KR2015/002059 WO2015133801A1 (ko) 2014-03-04 2015-03-04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US15/120,712 US20170008812A1 (en) 2014-03-04 2015-03-04 Plant nutrient composition for synergistically increasing flavors and improving textures of fruits and fruit vegetables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65A KR101585937B1 (ko) 2014-03-04 2014-03-04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994A KR20150103994A (ko) 2015-09-14
KR101585937B1 true KR101585937B1 (ko) 2016-01-15

Family

ID=5405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765A KR101585937B1 (ko) 2014-03-04 2014-03-04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08812A1 (ko)
KR (1) KR101585937B1 (ko)
WO (1) WO20151338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01B1 (ko) 2018-01-17 2019-07-19 주식회사 이지엠앤알바이오 패각추출물, 산호초추출물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0469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친환경적인 식물 보호 및 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6828B2 (en) 2017-06-01 2020-09-08 Compass Minerals América do Sul Indústria e Comércio S.A. Liquid fertilizer compositions comprising nickel, cobalt, and molybdenum,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the same
CN107382394A (zh) * 2017-08-22 2017-11-24 广西容县兴邦有机肥有限公司 一种有机肥堆晒发酵的方法
CN107721643A (zh) * 2017-11-21 2018-02-23 河北瑞安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梨树用生物有机肥
US11040920B2 (en) 2017-12-15 2021-06-22 Innovations For World Nutrition Llc Fertilizer and plant growth promoter to increase plant yield and method of increasing plant yield
CN110283019A (zh) * 2019-07-02 2019-09-27 山东亮点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有机活性多元素冲施肥制备方法
US11634366B2 (en) 2020-04-15 2023-04-25 Innovations for World Nutrition, LLC Plant growth enhancer using carbon dioxide to increase plant yield and method of increasing plant yield
US11192830B2 (en) 2020-04-15 2021-12-07 Innovations for World Nutrition, LLC Seed coating to promote plant growth and method of increasing plant yield
US11358909B2 (en) 2020-04-15 2022-06-14 Innovations for World Nutrition, LLC Fertilizer containing a seed grind and a method of using the fertilizer to enhance plant growth
US11787749B2 (en) 2020-04-15 2023-10-17 Innovations for World Nutrition, LLC Fertilizer and plant growth promoter to increase plant yield and method of increasing plant yield
KR102361589B1 (ko) * 2020-11-18 2022-02-15 주식회사 에코아그로 해충 방지 기능이 있는 과채류의 당도 향상용 비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524B1 (ko) * 2003-12-02 2006-01-20 (주)대 유 과실 및 과채류 착색촉진용 복합비료
JP2006176390A (ja) 2004-10-12 2006-07-06 Biagro Western Sales Inc 高カルシウム肥料組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283A (ko) * 1989-03-08 1990-10-23 김호연 식물재배용 배양액의 제조 방법
MY135185A (en) * 2004-10-08 2008-02-29 Cymax Industry Sdn Bhd Palletized slow-release fertilizer with zeolite compositions
WO2007114212A1 (ja) * 2006-03-31 2007-10-11 Otsuka Chemical Co., Ltd. 肥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KR101309928B1 (ko) * 2012-02-17 2013-09-1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종자의 개갑 및/또는 배 생장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524B1 (ko) * 2003-12-02 2006-01-20 (주)대 유 과실 및 과채류 착색촉진용 복합비료
JP2006176390A (ja) 2004-10-12 2006-07-06 Biagro Western Sales Inc 高カルシウム肥料組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01B1 (ko) 2018-01-17 2019-07-19 주식회사 이지엠앤알바이오 패각추출물, 산호초추출물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0469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친환경적인 식물 보호 및 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994A (ko) 2015-09-14
WO2015133801A1 (ko) 2015-09-11
US20170008812A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937B1 (ko) 과일 및 과채류의 향미 상승 및 식감을 향상시키는 식물영양제 조성물 및 방법
Heeb et al. Impact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on yield, taste, and nutritional quality of tomatoes
Kalbani et al. Effect of some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Milosevic et al. Tree vigor, yield,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apple (Malus× domestica Borkh.) influenced by different fertilization regimes: Preliminary results
KR20060047555A (ko)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셀레늄을함유하는 과수의 재배방법
Liu Influences of organic manure addition on the maturity and quality of pineapple fruits ripened in winter
KR101374501B1 (ko) 타우린을 함유하는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우린 함유 농작물 재배방법
KR102237162B1 (ko) L-메티오닌을 이용한 과일이나 과채류의 당도향상 수용성 분말비료 및 그 제조방법
Kaniszewski et al. Yield and quality traits of field grown tomato as affected by cultivar and nitrogen application rate
KR100688990B1 (ko) 셀레늄과 칼슘의 함량이 높은 채소의 재배방법
Mollapur et al. Comparison of foliar fertilizers and growth regulators on pre-harvest drop and fruit quality of ‘Thompson Navel’orange
US20190152871A1 (en) Plant nutrient composition for synergistically increasing flavors and improving textures of fruits and fruit vegetables and method therefor
Cummings et al. Factors Influencing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eaches1
Kumar et al. Effect of post-shooting spray of Sulphate of Potash (SOP) on yield and quality of banana cv. Robusta (AAA-cavendish)
Kolota et al. Yield potential and fruit quality of scallop squash (Cucurbita pepo L. var. patissonina Greb. f. radiata Nois.) cultivars grown for processing
de Queiroga et al. Melon fruit yield and quality as a function of doses and times of biostimulant application
Hailu et al. Effect of combined application of organic P and inorganic N fertilizers on post harvest quality of carrot
US11051464B2 (en) Reduction of nitrate content in plants
JP2010024105A (ja) 植物の生育促進剤とその製造方法
Qeyami et al. Effects of Calcium and Potassium application on growht, yield and quality of apple (Malus x domestica Borkh.) cv. Red Delicious
KR101002570B1 (ko) 기능성 사과 재배를 위한 베타카로틴 조성물
Kumar et al. Effect of Naa and Ga3 on growth, yield and quality attributes of phalsa (Grewia subinaequalisd. C) cv. Sharbati
JP2000159591A (ja) 有機物であるビタミン類と含硫アミノ酸と糖類入り肥料組成物
El-Mehrat et al. Effectiveness of compost and potassium silicate under low rate of mineral fertilizers on production, quality, marketability and NPK contents of banana plants
Melkamu et al. Effects of different cultivation practices and postharvest treatments on tomato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