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762B1 -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 Google Patents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762B1
KR101585762B1 KR1020140035303A KR20140035303A KR101585762B1 KR 101585762 B1 KR101585762 B1 KR 101585762B1 KR 1020140035303 A KR1020140035303 A KR 1020140035303A KR 20140035303 A KR20140035303 A KR 20140035303A KR 101585762 B1 KR101585762 B1 KR 10158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skid rail
rail
furnace body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095A (ko
Inventor
김영식
차길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3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7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Tunnel Furnac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는, 내부에 스키드레일이 배치되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로본체; 상기 로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키드레일 상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하중제공수단; 및 상기 스키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스키드레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현장의 가열로에 스키드레일을 설치하기 전에 스키드레일의 열전달율과 내구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스키드레일의 품질을 파악하여 스키드레일의 교체시간을 파악함으로써, 스키드레일의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한 생산휴지발생 및 정비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한 실험을 통해 스키드레일의 신제품 개발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우수한 스키드레일을 개발하여 이를 현장에 적용함에 따라, 슬라브의 재로시간(적정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슬라브의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압연부하감소를 통한 생산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Heating furnace for experimenting skid rail}
본 발명은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로서, 현장의 가열로에 스키드레일을 설치하기 전에 스키드레일의 열전달율과 내구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는 제철공장등에서 반제품인 슬라브, 불륨, 빌렛 등의 압연소재를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대략 섭씨 1200 ~ 1300도의 적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설비인데, 열간압연공정에서 판재, 선재등의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열간압연공정의 전공정에 위치되어 있다.
가열소재를 가열하는 가열로 내에는 가열소재의 지지이동을 위한 스키드빔이 배치되고, 이와 같은 스키드빔에는 실제 가열소재와 접촉하는 스키드레일이 부착된다.
즉, 슬라브 등의 가열소재는 압연하기 전에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로 내를 이동하면서 가열되는데, 이와 같은 가열로는 가열로 내부에서 가열소재들을 받치면서 이송시키기 위한 스키드빔과 열원을 제공하는 다수의 버너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의 분위기 온도(가스)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덕트 설비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키드빔(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가열소재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받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키드서포트(9) 상에 배치되는데, 고정빔(11)과, 상기 고정빔(11) 사이에 배치되어 상승-전진-하강-후진의 동작을 반복하여 실질적으로 가열소재를 이동시키는 워킹빔(12)을 구비하는바, 이에 따라 가열소재는 가열로 내부에서 추출측으로 전진 이동된다.
가열소재가 스키드빔(10) 상에서 추출측으로 이동 완료되면, 상기 스키드빔(10)의 말단에 위치한 익스트랙터(20)가 스키드빔(10) 상에 놓여진 가열소재를 들어올려 추출롤러(30)로 옮긴 후 상기 추출롤러(3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열소재의 추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빔(11)이나 워킹빔(12)의 상부에는 실질적으로 가열소재(s)와 접촉하게 되는 스키드레일(20)이 구비된다.
상기 스키드레일(20)은 현장의 가열로에 기존사용품과 전문업체에서 개발한 신개발품을 취부하여 사용하지만 사용하기 전 사용조건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 검증을 할수 없어 화학성분표와 기계적성질에 대한 데이터시트만 단순하게 확인하고 사용하는 실정이다.
즉, 스키드레일(20)은 제품품질에 핵심역활을 하는 부재로서 사용하기 전에 부하하중유지 여부 및 열전달 능력에 대한 실험을 거쳐 사용해야 하는데, 세계 어느 나라에도 실험용 가열로가 없어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로 스키드레일(20)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열로 조업 중 스키드레일(20) 파손 등 이상에 의한 스키드빔(10) 설비파손에 의한 생산휴지 발생과 돌발설비 긴급 복구 등으로 생산성의 저하 및 정비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현장의 가열로에 스키드레일을 설치하기 전에 스키드레일의 열전달율과 내구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는, 내부에 스키드레일이 배치되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로본체; 상기 로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키드레일 상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하중제공수단; 및 상기 스키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스키드레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중제공수단은, 상기 로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본체의 내부로 하방 연장된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고정된 누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하방 연장된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와 누름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로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냉각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측정수단은, 상기 스키드레일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된 열전대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열전대는, 상기 스키드레일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장착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로본체 외부의 제어부에 연결된 리드선;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홀은 내화재로 충진되고, 상기 리드선은 세라믹울로 감겨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본체는, 일측부에 상기 스키드레일을 가열하도록 장착된 버너; 및 하부에 상기 스키드레일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키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키드부재는, 상기 스키드레일이 안착고정되는 스키드빔; 및 상기 로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방연장되어 상기 스키드빔을 상방지지하는 스키드서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스키드부재는 냉각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키드부재는, 외면에 스터드가 고정장착되며, 둘레가 세라믹울로 감싸지고 부정형 내화물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라인은, 상기 스키드부재로부터 배출된 냉각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 상기 유체탱크로부터 배출된 냉각유체를 냉각시키는 쿨링타워; 및 상기 스키드부재와 유체탱크 사이, 상기 유체탱크와 쿨링타워 사이, 및 상기 쿨링타워와 스키드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냉각유체를 유동시키는 펌프가 장착된 순환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로본체는, 상기 버너의 역화 시 압력 및 화염이 배출되도록 일측부에 퍼지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는, 현장의 가열로에 스키드레일을 설치하기 전에 스키드레일의 열전달율과 내구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스키드레일의 품질을 파악하여 스키드레일의 교체시간을 파악함으로써, 스키드레일의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한 생산휴지발생 및 정비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한 실험을 통해 스키드레일의 신제품 개발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우수한 스키드레일을 개발하여 이를 현장에 적용함에 따라, 슬라브의 재로시간(적정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슬라브의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압연부하감소를 통한 생산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키드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스키드부재에 슬라브가 안착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에서 누름부재의 상하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4의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의 스키드부재에서 내화재를 시공하기 전의 스키드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스키드빔에 스키드레일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도 8(b)의 스키드레일에 열전대가 장착을 위한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스키드레일의 장착홀에 열전대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9(b)의 열전대의 리드선이 세라믹울로 감겨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현장의 가열로에 스키드레일을 설치하기 전에 스키드레일의 열전달율과 내구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를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도 8(a)는 도 4의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의 스키드부재에서 내화재를 시공하기 전의 스키드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스키드빔에 스키드레일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스키드레일(20)이 배치되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로본체(100), 상기 로본체(100)에 설치되어 스키드레일(20) 상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하중제공수단(300), 및 상기 스키드레일(20)에 연결되어 스키드레일(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로본체(100)는 내부에 스키드레일(20)을 수용하여 가열하도록 가열로의 로본체(100)와 대응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로본체(100)는 일례로서 박스형태의 내부 체적을 가지면서 형태를 유지하는 철피를 견고하게 만들고, 나아가 내부의 바닥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벽돌(131)로 시공되고 내부의 상면과 측면에는 세라믹 내화재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본체(100)는 일측부에 스키드레일(20)을 가열하도록 장착된 버너(110)와, 하부에 스키드레일(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키드부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너(110)는 도 4에는 일측에만 도시되었지만 전측부과 후측부 각각에서 중앙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연료와 연소공기를 혼합, 점화하여 요구되는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기(101)가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가 측정관찰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10)의 역화 시 압력 및 화염이 배출되도록 일측부에 퍼지라인(14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퍼지라인(140)은 작동 시 에어를 흡입하도록 하는 기술구성으로서, 종래의 어떠한 퍼지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로본체(100)는 일측부에 작업자 및 자재가 출입할 수 있는 측부게이트(151)(도 5에 도시)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중량의 자재를 호이스트,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로본체(100) 내부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상부게이트(152)(도 4에 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키드부재(120)는 스키드레일(20)이 안착고정되는 스키드빔(121)과, 상기 로본체(100)의 하부로부터 상방연장되어 스키드빔(121)을 상방지지하는 스키드서포트(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키드빔(121)은 상면에 스키드레일(20)이 스토퍼(미도시)로 덧대어 용접됨으로써 안착고정되고, 이러한 스키드빔(121)은 하중제공수단(300)에 의해 실제의 슬라브와 같은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때 스키드서포트(122)에 의해 상기 하중을 견디면서 로본체(100) 내에서 일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키드부재(120)는 고온의 로본체(100)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냉각라인(200)과 연결됨으로써 일정 정도 냉각됨으로써 고온에 견딜 수 있다.
상기 냉각라인(200)은 순환파이프(230)에 의해 순환구조를 이루며, 이러한 순환파이프(230)에는 유체탱크(210), 쿨링타워(220), 펌프(240)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체탱크(210)는 스키드부재(120)로부터 배출된 냉각유체가 저장되는 탱크로서, 냉각유체가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인 경우 냉각수가 저장되는 수탱크이며, 다른 일례로서 냉각기체인 경우 냉각기체가 저장되는 에어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링타워(220)는 유체탱크(210)로부터 배출된 냉각유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순환파이프(230)는 스키드부재(120)와 유체탱크(210) 사이, 유체탱크(210)와 쿨링타워(220) 사이, 및 쿨링타워(220)와 스키드부재(120) 사이를 연결하며, 냉각유체를 유동시키는 펌프(240)가 장착된다. 물론, 이러한 순환파이프(230)에는 냉각유체의 온도, 압력,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계(251), 압력계(252), 유량계(253)가 장착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전체적으로 냉각유체의 유동을 온/오프하는 개폐밸브(254), 냉각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니들밸브(255)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키드빔(121)은 로본체(100) 내부의 고온에 견디기 위해, 외면에 스터드, 일례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 스터드(132)가 고정장착된 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울(133)로 감겨진 다음 부정형 내화물(134)로 시공될 수 있다. 즉, 반죽상태의 부정형 내화물(134)로 둘러싼 다음 양생시켜 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키드서포트(122)도 스키드빔(121)과 같은 내화처리를 하며, 이러한 처리가 완료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룬다.
한편, 상기 하중제공수단(300)은 스키드레일(2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실제의 슬라브의 중량을 구현하도록, 스키드레일(20) 상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중제공수단(300)으로 인하여, 현장의 가열로에 스키드레일(20)을 설치하기 전에, 스키드레일(20)의 내구성을 실험할 수 있으며, 나아가 후술되는 온도측정수단에 의한 열전달율을 실험 시 현장과 같은 슬라브 하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중제공수단(3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부(310), 상기 실린더부(310)에 장착되어 로본체(100)의 내부로 하방 연장된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고정된 누름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부(310)는 로본체(100) 외부의 상측에 설치된 실린더프레임(301)에 견고하게 고정된 구조를 이루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유압공급라인 또는 공압공급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는 실린더부(310)로부터 하방 연장된 피스톤로드(321), 상기 피스톤로드(321)와 누름부재(330)를 연결하며 로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축(322), 상기 연결축(322)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냉각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부는 로본체(100)의 외부 상측으로부터 로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될 홀을 통과하여 로본체(100) 내부로 연장된 구조를 이루는데, 이러한 피스톤부에서 피스톤로드(321)는 로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연결축(322)은 상기 피스톤로드(321)로부터 하방 연결되어 로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구조를 지닌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축(322)은 로본체(100) 내부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냉각파이프(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파이프는 냉각에어 공급라인 또는 냉각수 공급라인이 연결된 구조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330)는 연결축(322)의 하단부에 장착된 부재로서, 복수 개의 스키드레일(20) 상에서 하중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일례로서 바 형상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측정수단은 스키드레일(20)에 연결되어 스키드레일(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스키드레일(20)의 구조를 살펴보면, 스키드레일(20)이 부착된 스키드빔(121)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동 냉각함으로써 스키드빔(121)을 로본체(100) 내부의 고온으로부터 견디게 해주는데 반하여, 스키드레일(20)에 안착되는 슬라브(1)에는 스키드마크(저온부분)를 형성시킴으로써, 가열로 내에서 균일하게 가열되어야 하는 슬라브(1)의 제품품질저하 및 이후 진행되는 압연작업 시 부하증대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스키드레일(20) 하부의 저온부분이 상부의 슬라브 접촉부분에 저온 열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키드레일(20)에 중앙홀(20a)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중앙홀(20a)에 세라믹봉(21)을 삽입하여 열전달율을 저하시킨다.
이와 같은 스키드레일(20)을 현장에 적용하기 전에, 본 발명의 온도측정수단을 통해 실험으로써 스키드레일(20)의 열전달률을 파악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스키드레일(2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되는 열전대(410)가 활용되며, 특히 와이어 열전대가 활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대(410)는 스키드레일(2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된 장착홀(20b)에 삽입장착된 온도센서(411), 상기 온도센서(411)로부터 연장되어 로본체(100) 외부의 제어부(도 5의 C)에 연결된 리드선(4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로본체(100) 내부의 고온으로부터 열전대(41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장착홀(20b)은 내화재(421)로 충진되는데, 일례로서 열전대(410)의 온도센서(411)가 장착홀(20b)에 삽입된 후 세라믹분말을 넣고 물을 넣은 후, 반죽된 세라믹으로 장착홀(20b)을 막는다. 또한, 상기 리드선(412)은 세라믹울(422)로 감겨지고 아울러 스테인리스철사로 매어져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C)는 열전대(410)의 온도측정처리뿐만 아니라, 상술된 버너(110), 냉각라인(2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의 안전장치로서 실험용 가열로 폭발로 설비파손과 화재의 원인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버너(110) 소화, 냉각수 차단 등의 시퀀스 제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현장의 가열로에 스키드레일(20)을 설치하기 전에 스키드레일(20)의 열전달율과 내구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스키드레일(20)의 품질을 파악하여 스키드레일(20)의 교체시간을 파악함으로써, 스키드레일(20)의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한 생산휴지발생 및 정비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한 실험을 통해 스키드레일의 신제품 개발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우수한 스키드레일을 개발하여 이를 현장에 적용함에 따라, 슬라브의 재로시간(적정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슬라브의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압연부하감소를 통한 생산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스키드레일 100 : 로본체
110 : 버너 120 : 스키드부재
121 : 스키드빔 122 : 스키드서포트
131 : 내화벽돌 132 : 스터드
133 : 세라믹울 134 : 내화물
140 : 퍼지라인 151 : 측부게이트
152 : 상부게이트
200 : 냉각라인 210 : 유체탱크
220 : 쿨링타워 230 : 순환파이프
240 : 펌프 251 : 온도계
252 : 압력계 253 : 유량계
254 : 개폐밸브 255 : 니들밸브
300 : 하중제공수단 301 : 실린더프레임
310 : 실린더부 321 : 피스톤로드
322 : 연결축 330 : 누름부재
410 : 열전대 411 : 온도센서
412 : 리드선 421 : 내화재
422 : 세라믹울 C : 제어부

Claims (9)

  1. 내부에 스키드레일(20)이 배치되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로본체(100); 상기 로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스키드레일(20) 상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하중제공수단(300); 및 상기 스키드레일(20)에 연결되어 상기 스키드레일(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제공수단(300)은, 상기 로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부(310); 상기 실린더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로본체(100)의 내부로 하방 연장된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고정된 누름부재(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실린더부(310)로부터 하방 연장된 피스톤로드(321);
    상기 피스톤로드(321)와 누름부재(330)를 연결하며, 상기 로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축(322); 및
    상기 연결축(322)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냉각파이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수단은,
    상기 스키드레일(2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된 열전대(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410)는,
    상기 스키드레일(2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된 장착홀(20b)에 삽입장착된 온도센서(411); 및
    상기 온도센서(4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로본체(100) 외부의 제어부(C)에 연결된 리드선(412);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홀(20b)은 내화재(421)로 충진되고, 상기 리드선(412)은 세라믹울(422)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본체(100)는,
    일측부에 상기 스키드레일(20)을 가열하도록 장착된 버너(110); 및
    하부에 상기 스키드레일(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키드부재(120);를 구비하며,
    상기 스키드부재(120)는,
    상기 스키드레일(20)이 안착고정되는 스키드빔(121); 및
    상기 로본체(100)의 하부로부터 상방연장되어 상기 스키드빔(121)을 상방지지하는 스키드서포트(122);를 구비하며,
    상기 스키드부재(120)는 냉각라인(200)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부재(120)는,
    외면에 스터드(132)가 고정장착되며, 둘레가 세라믹울(133)로 감싸지고 부정형 내화물(134)로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200)은,
    상기 스키드부재(120)로부터 배출된 냉각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210);
    상기 유체탱크(210)로부터 배출된 냉각유체를 냉각시키는 쿨링타워(220); 및
    상기 스키드부재(120)와 유체탱크(210) 사이, 상기 유체탱크(210)와 쿨링타워(220) 사이, 및 상기 쿨링타워(220)와 스키드부재(120) 사이를 연결하며, 냉각유체를 유동시키는 펌프(240)가 장착된 순환파이프(2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본체(100)는,
    상기 버너(110)의 역화 시 압력 및 화염이 배출되도록 일측부에 퍼지라인(14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KR1020140035303A 2014-03-26 2014-03-26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KR10158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303A KR101585762B1 (ko) 2014-03-26 2014-03-26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303A KR101585762B1 (ko) 2014-03-26 2014-03-26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95A KR20150112095A (ko) 2015-10-07
KR101585762B1 true KR101585762B1 (ko) 2016-01-15

Family

ID=5434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303A KR101585762B1 (ko) 2014-03-26 2014-03-26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06B1 (ko) 2018-10-10 2019-11-20 부공산업 주식회사 가열로용 스키드 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1248A (ja) * 2019-02-21 2020-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圧延荷重予測方法、圧延荷重予測装置、及び圧延制御方法
KR102640013B1 (ko) * 2023-08-22 2024-02-22 황보위자 유도가열장치의 가열코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577B1 (ko) 2002-11-01 2005-08-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 패스롤의 크라운 제어장치
JP2007271199A (ja) 2006-03-31 2007-10-18 Tdk Corp 管状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5776B2 (en) * 2002-07-25 2005-09-20 Posco Method and a skid member for reducing temperature difference in a heating subject and a skid apparatus using them
KR100520895B1 (ko) * 2003-08-07 2005-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보온, 보냉성능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577B1 (ko) 2002-11-01 2005-08-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 패스롤의 크라운 제어장치
JP2007271199A (ja) 2006-03-31 2007-10-18 Tdk Corp 管状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06B1 (ko) 2018-10-10 2019-11-20 부공산업 주식회사 가열로용 스키드 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95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762B1 (ko) 스키드레일 실험용 가열로
KR100961065B1 (ko) 송전애자용 열충격 모의시험장치
JP7054433B2 (ja) 材料試験装置及び材料試験方法
US2016029890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tap of a metallurgical vessel in particular
CN103510816A (zh) 一种核电门
CN110440597A (zh) 500m2烧结机点火烘炉施工方法
JP3216188U (ja) 加熱炉付材料試験機
CN204356365U (zh) 一种强对流全氢罩式炉
CN112665864B (zh) 一种航空发动机随机热冲击载荷模拟装置及方法
JP5487730B2 (ja) 耐火物寿命予測方法、及び耐火物残厚推定方法
KR20190072975A (ko) 저온시험장치
CN204740073U (zh) 一种用于并流蓄热式双膛竖窑直通道处的测温装置
JP5906945B2 (ja) 取鍋の漏鋼防止方法
CN213361142U (zh) 一种耐高温耐磨纳米陶瓷阀板
US10442999B2 (en) Radiant tube support system for fired heaters
KR101428209B1 (ko) 산소랜싱 파이프장치
KR101168385B1 (ko) 냉각성능 측정장치
CN110411883B (zh) 一种热疲劳试验装置
CN112986053A (zh) 一种热态修补料流动性试验装置及试验方法
KR20080114501A (ko) 재하조건 콘크리트 폭렬실험장비
CN105424531B (zh) 一种蠕变持久试验机用加热炉故障更换设备
CN205786161U (zh) 一种测量金属材料变温硬度的硬度计
CN113008733B (zh) 一种上进料式热态修补料铺展性试验炉及试验方法
CN208776774U (zh) 一种生产左立梁用510l大梁板
CN210367798U (zh) 一种曲轴中频淬火温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