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58B1 -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58B1
KR101585658B1 KR1020150150993A KR20150150993A KR101585658B1 KR 101585658 B1 KR101585658 B1 KR 101585658B1 KR 1020150150993 A KR1020150150993 A KR 1020150150993A KR 20150150993 A KR20150150993 A KR 20150150993A KR 101585658 B1 KR101585658 B1 KR 10158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ape
main body
tape measu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철
Original Assignee
(주)그린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그린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15015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 형상을 이루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나사홀(11a)을 구비한 체결부(11)와, 상기 체결부(1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수평부(12,13)와, 상기 체결부(11)와 마주보도록 제1 및 제2수평부(12,13)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수직부(14,15)를 갖춘 브라켓(10)과;
전면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a1)이 형성된 본체부(21a),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1)이 형성되며 본체부를 덮는 커버부(21b)를 구비한 줄자본체(21)와, 내부에 전후방으로 나사홀(22a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나사산(22a2)이 형성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나사홀(11a)에 삽입체결되는 체결부(22a), 상기 체결부(22a)의 중단 둘레부에 구비되며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 내면과 맞대어져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를 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고정하는 고정부(22b)를 구비한 고정부재(22)와, 눈금테이프(23a)가 설치되며 눈금테이프(23a)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고정부재(22)의 체결부(22a)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23)을 갖춘 줄자(20)와;
브라켓(10)의 체결부(11a)와 브라켓(10)의 제1 및 제2수직부(14,15) 사이에 삽입되며, 지하시설물(P1)이 배치된 굴착홈(G)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로지지대(30)와;
브라켓(10)의 제1수평부(12) 및 브라켓(10)의 제2수평부(13) 사이로 삽입되고, 가로지지대(30)의 후방에 위치하며, 하단이 지하시설물(P1)에 안착되는 세로스타프(40)와;
줄자(20)의 고정부재(22)의 나사홀(22a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체결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단이 줄자(20)의 커버부(21b)의 관통홀(21b1)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51)와, 볼트(51)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52)와, 볼트(51)의 전단에 설치되며 세로스타프(40)를 가압하는 가압부(53)를 갖춘 조임부재(50)와;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61)와, 상방으로 돌출되며 지지부(61)에 좌우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62)와, 제1연결부(62)의 상단에 설치되며 좌측방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부(63)와, 제2연결부(63)에 설치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3연결부(64)와, 제3연결부(64)에 상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연결부(65)를 갖추고서, 줄자(20) 보다 좌측방에 위치하는 지지부재(60)와;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우측단에 구비되는 초음파센서(70)와;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좌측단에 구비되는 조명기구(80)와;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90)와;
브라켓(10)에 설치되며, 조도센서(90)로부터 주변이 어둡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초음파센서(70)로부터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를 감지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기구(80)를 구동하는 제어유닛(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로스타프(4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지하시설물(P1)에 대한 심도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으며, 심도를 측량함과 함께 줄자(20)를 통해 주변 지상시설물(P2)과 지하시설물(P1) 간의 수평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측량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부재(22)를 통해 줄자(20)를 브라켓(10)에 고정하면서, 조임부재(50)가 세로스타프(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P1)과 지상시설물(P2) 간의 이격 거리를 측량할 시,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지더라도,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의 주변을 신속하게 밝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측량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줄자(20)를 사용함과 동시에 구동된 조명기구(80)를 통해 다양한 위치를 조명할 수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측량 작업 또는 측량 작업 이외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정확하고 다양한 지하시설물(P1)에 대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지하시설물(P1)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DEVICE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Y}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공간정보 활성의 증대로 인해 데이터의 정확도 및 최신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DB갱신을 실측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지하시설물의 실측이라 함은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공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직접측량(심도 측량)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지하시설물의 실측을 정확히 해야만 지하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을 실측할 시 스타프를 이용한 측량장치를 사용하였다.(대한민국 등록번호 10-1477729 참조)
그러나 종래의 측량장치는 지하시설물의 심도만 측량할 수 있었을 뿐, 주변 구조물(예를 들어 전봇대)과의 거리를 측량할 수 없어, 지하시설물의 측량 데이터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77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시설물의 심도 및 주변 구조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량하는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 형상을 이루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나사홀(11a)을 구비한 체결부(11)와, 상기 체결부(1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수평부(12,13)와, 상기 체결부(11)와 마주보도록 제1 및 제2수평부(12,13)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수직부(14,15)를 갖춘 브라켓(10)과;
전면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a1)이 형성된 본체부(21a),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1)이 형성되며 본체부를 덮는 커버부(21b)를 구비한 줄자본체(21)와, 내부에 전후방으로 나사홀(22a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나사산(22a2)이 형성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나사홀(11a)에 삽입체결되는 체결부(22a), 상기 체결부(22a)의 중단 둘레부에 구비되며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 내면과 맞대어져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를 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고정하는 고정부(22b)를 구비한 고정부재(22)와, 눈금테이프(23a)가 설치되며 눈금테이프(23a)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고정부재(22)의 체결부(22a)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23)을 갖춘 줄자(20)와;
브라켓(10)의 체결부(11a)와 브라켓(10)의 제1 및 제2수직부(14,15) 사이에 삽입되며, 지하시설물(P1)이 배치된 굴착홈(G)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로지지대(30)와;
브라켓(10)의 제1수평부(12) 및 브라켓(10)의 제2수평부(13) 사이로 삽입되고, 가로지지대(30)의 후방에 위치하며, 하단이 지하시설물(P1)에 안착되는 세로스타프(40)와;
줄자(20)의 고정부재(22)의 나사홀(22a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체결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단이 줄자(20)의 커버부(21b)의 관통홀(21b1)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51)와, 볼트(51)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52)와, 볼트(51)의 전단에 설치되며 세로스타프(40)를 가압하는 가압부(53)를 갖춘 조임부재(50)와;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61)와, 상방으로 돌출되며 지지부(61)에 좌우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62)와, 제1연결부(62)의 상단에 설치되며 좌측방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부(63)와, 제2연결부(63)에 설치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3연결부(64)와, 제3연결부(64)에 상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연결부(65)를 갖추고서, 줄자(20) 보다 좌측방에 위치하는 지지부재(60)와;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우측단에 구비되는 초음파센서(70)와;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좌측단에 구비되는 조명기구(80)와;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90)와;
브라켓(10)에 설치되며, 조도센서(90)로부터 주변이 어둡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초음파센서(70)로부터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를 감지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기구(80)를 구동하는 제어유닛(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로스타프(4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지하시설물(P1)에 대한 심도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으며, 심도를 측량함과 함께 줄자(20)를 통해 주변 지상시설물(P2)과 지하시설물(P1) 간의 수평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측량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부재(22)를 통해 줄자(20)를 브라켓(10)에 고정하면서, 조임부재(50)가 세로스타프(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P1)과 지상시설물(P2) 간의 이격 거리를 측량할 시,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지더라도,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의 주변을 신속하게 밝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측량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줄자(20)를 사용함과 동시에 구동된 조명기구(80)를 통해 다양한 위치를 조명할 수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측량 작업 또는 측량 작업 이외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정확하고 다양한 지하시설물(P1)에 대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지하시설물(P1)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초음파센서, 조명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초음파센서, 조명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는 브라켓(10)과, 줄자(20)와, 가로지지대(30)와, 세로스타프(40)와, 조임부재(50)와, 지지부재(60)와, 초음파센서(70)와, 조명기구(80)와, 조도센서(90)와, 제어유닛(100)를 포함하여, 지하시설물(P1; 예를 들어 관로)의 심도 및 지하시설물(P1)과 지상시설물(P2; 예를 들어 전주) 간의 거리를 측량한다.
브라켓(10)은 체결부(11)와, 제1수평부(12)와, 제2수평부(13)와, 제1수직부(14)와, 제2수직부(15)를 갖추고서,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로지지대(30)에 안착된다.
브라켓(10)의 체결부(11)는 판 형상을 이루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나사홀(11a)을 갖춘다.
제1수평부(12)는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2수평부(13)는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우측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1수직부(14)는 브라켓(10)의 체결부(11)와 마주보도록 제1수평부(12)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2수직부(15)는 브라켓(10)의 체결부(11)와 마주보도록 제2수평부(13)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줄자(20)는 줄자본체(21)와, 고정부재(22)와, 보빈(23)을 갖추고서, 브라켓(10)에 고정된다.
줄자본체(21)는 전면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a1)이 형성된 본체부(21a)와,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1)이 형성되며 본체부를 덮는 커버부(21b)를 갖춘다. 이때 커버부(21b)는 본체부(2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재(22)는 체결부(22a)와, 고정부(22b)를 갖추고서, 줄자본체(21)를 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고정한다.
고정부재(22)의 체결부(22a)는 내부에 전후방으로 나사홀(22a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나사산(22a2)이 형성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나사홀(11a)에 삽입체결된다.
고정부(22b)는 고정부재(22)의 체결부(22a)의 중단 둘레부에 구비되며,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 내면과 맞대어져,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를 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고정한다.
보빈(23)은 눈금테이프(23a)가 설치되며, 눈금테이프(23a)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고정부재(22)의 체결부(22a)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보빈(23)에 태엽 스프링이 내장되며, 태엽 스프링은 고정부재(22)에 끼워진다. 이때 태엽 스프링의 일단은 고정부재(22)에 설치되고, 태엽 스프링의 타단은 보빈(23)에 설치된다. 따라서 일단이 보빈(23)에 설치된 눈금테이프(23a)를 외측방으로 당기면 눈금테이프(23a)는 보빈(23)에서 풀리고, 눈금테이프(23a)의 당김을 해제하면 눈금테이프(23a)는 태엽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보빈(23)에 감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눈금테이프(23a)가 보빈(23)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기술은 널리 공지된 줄자 구조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가로지지대(30)는 브라켓(10)의 체결부(11a)와 브라켓(10)의 제1 및 제2수직부(14,15) 사이에 삽입되며, 지하시설물(P1)이 배치된 굴착홈(G)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지지대(30)는 각목 또는 스타프가 적용될 수 있다.
세로스타프(40)는 브라켓(10)의 제1수평부(12) 및 브라켓(10)의 제2수평부(13) 사이로 삽입되고, 가로지지대(30)의 후방에 위치하며, 하단이 지하시설물(P1)에 안착된다.
조임부재(50)는 줄자(20)의 고정부재(22)의 나사홀(22a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체결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단이 줄자(20)의 커버부(21b)의 관통홀(21b1)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51)와, 볼트(51)의 후단에 구비되며 볼트(51)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손잡이(52)와, 볼트(51)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로스타프(40)를 가압하는 고무 재질의 가압부(53)를 갖춘다. 이때 가압부(53)는 헛돌게 볼트(5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의 예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7729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지지부재(60)는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61)와, 상방으로 돌출되며 지지부(61)에 좌우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62)와, 제1연결부(62)의 상단에 설치되며 좌측방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부(63)와, 제2연결부(63)에 설치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3연결부(64)와, 제3연결부(64)에 상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연결부(65)를 갖추고서, 줄자(20) 보다 좌측방에 위치한다.
초음파센서(70)는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우측단에 구비되어,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의 이동 여부를 감지한다.
조명기구(80)는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좌측단에 구비되어, 줄자(20)의 주변을 조명한다.
조도센서(90)는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주변 밝기를 감지한다.
제어유닛(100)은 브라켓(10)에 설치되며, 조도센서(90)로부터 주변이 어둡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초음파센서(70)로부터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를 감지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기구(80)를 구동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십자형태로 교차된 가로지지대(30)와 세로스타프(40)에 브라켓(10)을 걸어, 가로지지대(30)와 세로스타프(40)를 고정한 상태에서 조임부재(50)를 살짝 회전하면, 세로스타프(40)가 조임부재(50)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의해 가로지지대(30)가 제1 및 제2수직부((14,15)에 맞대어지게 된다.
이때, 가로지지대(30)는 수평을 이루도록 지면에 얹혀지고, 세로스타프(40)는 굴착홈(G)에 배치된 지하시설물(P1)의 상단에 위치시켜준다.
이와 같이 세팅이 완료되면, 조임부재(50)를 강하게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시켜, 가로지지대(30)와 세로스타프(40)가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레벨기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P1)의 심도를 측량하고, 도 7과 같이 주변에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지상시설물(P2)이 존재할 경우 또 다른 작업자는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를 잡아당겨 지하시설물(P1)로부터 지상시설물(P2) 간의 직선 거리를 측량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세로스타프(40)를 통해 지하시설물(P1)의 심도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지하시설물(P1)이 주변 지상시설물(P2)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보다 다양한 지하시설물에 대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지면, 제어유닛(100)은 조도센서(90)로부터 주변이 어둡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때 작업자가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를 잡아당겨 제어유닛(100)이 초음파센서(70)로부터 눈금테이프(23a)를 감지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100)은 도 8과 같이 조명기구(80)를 구동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갑자기 어두워진 환경에서 눈금테이프(23a)의 눈금을 정확히 읽을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를 회전시키거나, 지지부재(60)의 제1연결부재(62)를 회전시켜 조명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측량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로스타프(4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지하시설물(P1)에 대한 심도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으며, 심도를 측량함과 함께 줄자(20)를 통해 주변 지상시설물(P2)과 지하시설물(P1) 간의 수평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측량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부재(22)를 통해 줄자(20)를 브라켓(10)에 고정하면서, 조임부재(50)가 세로스타프(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P1)과 지상시설물(P2) 간의 이격 거리를 측량할 시,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지더라도,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의 주변을 신속하게 밝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측량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줄자(20)를 사용함과 동시에 구동된 조명기구(80)를 통해 다양한 위치를 조명할 수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측량 작업 또는 측량 작업 이외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정확하고 다양한 지하시설물(P1)에 대한 측량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지하시설물(P1)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브라켓 20; 줄자
30; 가로지지대 40; 세로스타프
50; 조임부재 60; 지지부재
70; 초음파센서 80; 조명기구
90; 조도센서 100; 제어유닛

Claims (1)

  1. 판 형상을 이루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나사홀(11a)을 구비한 체결부(11)와, 상기 체결부(1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수평부(12,13)와, 상기 체결부(11)와 마주보도록 제1 및 제2수평부(12,13)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수직부(14,15)를 갖춘 브라켓(10)과;
    전면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a1)이 형성된 본체부(21a),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홀(21b1)이 형성되며 본체부를 덮는 커버부(21b)를 구비한 줄자본체(21)와, 내부에 전후방으로 나사홀(22a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나사산(22a2)이 형성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나사홀(11a)에 삽입체결되는 체결부(22a), 상기 체결부(22a)의 중단 둘레부에 구비되며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 내면과 맞대어져 줄자본체(21)의 본체부(21a)를 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고정하는 고정부(22b)를 구비한 고정부재(22)와, 눈금테이프(23a)가 설치되며 눈금테이프(23a)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고정부재(22)의 체결부(22a)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23)을 갖춘 줄자(20)와;
    브라켓(10)의 체결부(11a)와 브라켓(10)의 제1 및 제2수직부(14,15) 사이에 삽입되며, 지하시설물(P1)이 배치된 굴착홈(G)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굴착홈(G)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로지지대(30)와;
    브라켓(10)의 제1수평부(12) 및 브라켓(10)의 제2수평부(13) 사이로 삽입되고, 가로지지대(30)의 후방에 위치하며, 하단이 지하시설물(P1)에 안착되는 세로스타프(40)와;
    줄자(20)의 고정부재(22)의 나사홀(22a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체결되며 전단이 브라켓(10)의 체결부(1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단이 줄자(20)의 커버부(21b)의 관통홀(21b1)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51)와, 볼트(51)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52)와, 볼트(51)의 전단에 설치되며 세로스타프(40)를 가압하는 가압부(53)를 갖춘 조임부재(50)와;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61)와, 상방으로 돌출되며 지지부(61)에 좌우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62)와, 제1연결부(62)의 상단에 설치되며 좌측방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부(63)와, 제2연결부(63)에 설치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3연결부(64)와, 제3연결부(64)에 상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연결부(65)를 갖추고서, 줄자(20) 보다 좌측방에 위치하는 지지부재(60)와;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우측단에 구비되는 초음파센서(70)와;
    지지부재(60)의 제4연결부(65)의 좌측단에 구비되는 조명기구(80)와;
    브라켓(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도센서(90)와;
    브라켓(10)에 설치되며, 조도센서(90)로부터 주변이 어둡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초음파센서(70)로부터 줄자(20)의 눈금테이프(23a)를 감지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기구(80)를 구동하는 제어유닛(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KR1020150150993A 2015-10-29 2015-10-29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KR10158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93A KR101585658B1 (ko) 2015-10-29 2015-10-29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93A KR101585658B1 (ko) 2015-10-29 2015-10-29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658B1 true KR101585658B1 (ko) 2016-01-15

Family

ID=5517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993A KR101585658B1 (ko) 2015-10-29 2015-10-29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284B1 (ko) * 2021-06-14 2021-09-27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469500B1 (ko) * 2022-06-27 2022-11-23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식별 기능이 향상된 측량용 스타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902A (ja) * 1992-09-21 1994-07-08 Shinkouyou Kensetsu Kk 地中埋設物の埋設状態測定装置
KR101324881B1 (ko) * 2012-06-08 2013-11-01 양흥모 매립관용 측정자
KR101477729B1 (ko) 2014-07-16 2014-12-31 (주)그린공간정보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 고정장치
KR20150049207A (ko) * 2013-10-29 2015-05-08 한국광해관리공단 지하공동 3차원 형상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902A (ja) * 1992-09-21 1994-07-08 Shinkouyou Kensetsu Kk 地中埋設物の埋設状態測定装置
KR101324881B1 (ko) * 2012-06-08 2013-11-01 양흥모 매립관용 측정자
KR20150049207A (ko) * 2013-10-29 2015-05-08 한국광해관리공단 지하공동 3차원 형상화 장치
KR101477729B1 (ko) 2014-07-16 2014-12-31 (주)그린공간정보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284B1 (ko) * 2021-06-14 2021-09-27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469500B1 (ko) * 2022-06-27 2022-11-23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식별 기능이 향상된 측량용 스타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755B1 (ko)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측량 장치
KR101217602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351070B1 (ko) 국가수준점을 기초로 한 지표면의 표고 측량 전용 수준 측량 시스템
KR101477729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 고정장치
US8183867B2 (en) Localization system for an earth moving machine
KR101967712B1 (ko)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US10048069B2 (en) Utility locating tool
KR101347859B1 (ko)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KR10134937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585658B1 (ko)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KR100928662B1 (ko) 다용도 측량기
KR101494857B1 (ko) 수준측량이 용이한 수준점 측량시스템
KR101721248B1 (ko)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CN106017435B (zh) 一种激光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479604B1 (ko)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KR101324881B1 (ko) 매립관용 측정자
JP2010078407A (ja) レーザーレベル用スタッフ
KR101830955B1 (ko)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KR101213605B1 (ko) 지상의 지형데이터 대비 지하구조에 대한 측지측량값 처리가 가능한 지아이에스 기반 지점별 측량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092153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철골기둥 수직도 측정장치
KR101949725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KR101896644B1 (ko)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1494852B1 (ko) 오차요인 확인을 통한 정밀성 향상 수준측량시스템
KR101487017B1 (ko) 자기마커식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US20040118001A1 (en) Combined laser level tape for fenc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