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644B1 -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644B1
KR101896644B1 KR1020170163079A KR20170163079A KR101896644B1 KR 101896644 B1 KR101896644 B1 KR 101896644B1 KR 1020170163079 A KR1020170163079 A KR 1020170163079A KR 20170163079 A KR20170163079 A KR 20170163079A KR 101896644 B1 KR101896644 B1 KR 10189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pole
ban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태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상측 및 하측에 후방으로 개구된 제1,2라운드부가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형성되는 제1브라켓과; 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어, 제1브라켓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브라켓과; 제1브라켓의 좌측 상부와 제2브라켓의 좌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3브라켓을 갖춘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제2브라켓을 관통하여 제2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공간정보 활성의 증대로 인해 데이터의 정확도 및 최신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DB갱신을 실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지하시설물 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할 시,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폴대를 직립시키는 데, 이때 폴대가 고정브라켓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지 못해, 폴대가 안정적으로 직립설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77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상측 및 하측에 후방으로 개구된 제1,2라운드부가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형성되는 제1브라켓과; 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어, 제1브라켓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브라켓과; 제1브라켓의 좌측 상부와 제2브라켓의 좌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3브라켓을 갖춘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제2브라켓을 관통하여 제2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제1,2라운드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측삽입홈 및 하측삽입홈과; 후방으로 개구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갖추고서, 제1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기구가 더 포함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가로바에 안착되고, 폴대가 안착기구의 라운드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게 가로바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기구가 가로바를 가압고정하여, 안착기구에 의해 폴대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과제의 해결수단은,
상기 제1과제의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착기구는, 제1브라켓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추고,
상기 안착기구의 라운드부는, 삽입부의 후측에 형성되되, 상측이 삽입부의 상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삽입부의 하측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2플랜지부가, 상측삽입홈 및 하측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안착기구의 라운드부의 상측 및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과제의 해결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수단 또는 제2과제의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착기구의 좌측 및 우측, 또는 제1브라켓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밴드걸이기구와; 전후로 개구된 제1,2걸이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걸이부가 하나의 밴드걸이기구에 걸리고 제2걸이부가 다른 하나의 밴드걸이기구에 걸려, 안착기구의 라운드부에 안착되는 폴대를 감싸고정하는 고정밴드가 더 포함되어,
상기 고정밴드에 가로바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기구가 가로바를 가압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과제의 해결수단은,
제3과제의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밴드걸이기구는 제1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안착기구의 좌우면에 각각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폴대를 고정브라켓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면서 폴대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을 수행할 시 편리하게 폴대 설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기구를 통해 폴대의 손상을 방지하고, 밴드걸이기구 및 고정밴드를 통해 폴대를 고정하여 1인 작업 시 작업자가 폴대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기구를 제1브라켓에 삽입할 시, 안착기구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어, 안착기구를 제1브라켓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브라켓에 삽입된 안착기구가 좌우로 이탈하지 않아, 안착기구의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고, 밴드걸이기구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가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고정브라켓 부분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폴대 대신 스타프(표척)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서 고정밴드를 생략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는 고정브라켓(10)과, 고정기구(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제1브라켓(11)과, 제2브라켓(12) 및, 제3브라켓(13)이 연결되어, 'ㄷ'자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브라켓(10)은 스틸재질로 이루어지지만,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1브라켓(11)은 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상측 및 하측에 후방으로 개구된 제1,2라운드부(11a,11b)가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브라켓(11)은 제1,2라운드(11a,11b)에 폴대(PB)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함으로써, 고정기구(20)에 의해 폴대(PB)가 가압될 시 폴대(PB)의 위치 고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브라켓(12)은 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어, 제1브라켓(11)과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3브라켓(13)은 제1브라켓(11)의 좌측 상부와 제2브라켓(12)의 좌측 상부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브라켓(13)은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고정기구(20)는 고정브라켓(10)의 제2브라켓(12)을 관통하여 제2브라켓(1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기구(20)는 제2브라켓(1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볼트부(21)와, 볼트부(21)의 후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2) 및, 볼트부(21)의 전측에 구비되는 가압부(23)를 갖춘다. 여기서 가압부(2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가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고정브라켓 부분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폴대 대신 스타프(표척)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홈(DG)을 형성한다. 그리고 굴착홈(DG) 내에서 지하시설물이 설치될 위치를 측량(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을 측량)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굴착홈(DG)의 상측에는 가로바(BB)가 배치되고, 고정브라켓(10)이 가로바(BB; 가로바로는 스타프를 사용해도 됨)에 삽입 안착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0)의 제3브라켓(13)은 가로바(BB)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폴대(PB)는 가로바(BB)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고정브라켓(10)의 제1브라켓(11)의 라운드부(11a)에 안착된다.
이후, 고정기구(20)의 손잡이부(22)를 통해 고정기구(20)를 회전시켜, 고정기구(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고정기구(20)의 가압부(23)가 가로바(BB)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폴대(PB) 및 가로바(BB) 및 고정브라켓(10)이 상호 고정된다.
이때, 고정기구(20)에 의해 폴대(PB)가 가압력을 받을 시, 폴대(PB)는 제1브라켓(11)의 라운드부(11a)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폴대(PB)가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폴대(PB)는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폴대(PB)의 상단에 GPS측량기(GS)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GPS측량기(GS)와 통신하는 입출력기(TS)가 GPS측량기(GS)의 하방에 위치하여 폴대(PB)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GPS측량기(GS)와 입출력기(TS) 사이에 고정브라켓(10)이 위치한다. 여기서 입출력기(TS)는 입출력기(TS)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폴대(PB)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는, 스타프를 직립하여 지하시설물의 매설 깊이를 측량할 시에도 사용가능하다.
즉, 도 4와 같이 폴대(PB) 대신에 스타프(ST)를 배치한 후, 상기와 같이 폴대(B)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스타프(ST)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서 고정밴드를 생략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안착기구(30), 밴드걸이기구(40) 및 고정밴드(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기구(30)는 삽입부(31)와, 라운드부(32)와, 제1플랜지부(33) 및, 제2플랜지부(34)를 갖춘다.
상기 삽입부(31)는 제1브라켓(11)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31)는 제1브라켓(11)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31)는 탄성재질로이루어지면 제1브라켓(11)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삽입될 시 고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32)는 삽입부(31)의 후측에 후방으로 개구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측이 삽입부(31)의 상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삽입부(31)의 하측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브라켓(11)의 라운드부(11a)와 전후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라운드부(32)는 폴대(PB)보다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플랜지부(33)는 상측삽입홈(33a)이 형성되도록 안착기구(30)의 라운드부(32)의 상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브라켓(11)의 상측이 상측삽입홈(33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2플랜지부(34)는 하측삽입홈(34a)이 형성되도록 안착기구(30)의 라운드부(32)의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브라켓(11)의 하측이 하측삽입홈(34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안착기구(30)는 폴대(PB)보다 연질로 이루어져 폴대(PB)의 표면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브라켓(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착기구(30)가 손상될 시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밴드걸이기구(40)는 안착기구(30)의 삽입부(3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걸이기구(40)는 'ㄱ'자 형상을 이루어 삽입부(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밴드(50)는 전후로 개구된 제1,2걸이부(51,5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걸이부(51)가 하나의 밴드걸이기구(40)에 걸리고 제2걸이부(52)가 다른 하나의 밴드걸이기구(40)에 걸려, 안착기구(30)의 라운드부(32)에 안착되는 폴대(PB)를 감싸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50)는 탄성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50)로는 실리콘 밴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밴드걸이기구(40) 및 고정밴드(50)는 폴대(PB)를 안착기구(30)에 안착시키고, 밴드걸이기구(40) 및 고정밴드(50)를 통해 폴대(PB)를 고정한 후, 가로바(BB)를 폴대(P)의 후방에 배치시킴으로써, 가로바(BB) 배치 이전에 폴대(PB)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고정밴드(50)는 폴대(P)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폴대(P)가 쉽게 위치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같이 폴대(PB)를 안착기구(30)의 후방에 배치시킨 후, 고정밴드(50)를 당겨 도 8과 같이 고정밴드(50)의 제2걸이부(52)를 밴드걸이기구(40)에 걸어, 폴대(PB)가 제1브라켓(11)의 라운드부(11a)에 안착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도 9와 같이 가로바(BB)에 고정브라켓(10)을 안착시킨 후, 고정기구(20)를 통해 가로바(BB)를 가압하여, 폴대(PB)가 안정적으로 직립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폴대(PB)를 고정브라켓(10) 및 가로바(BB)를 이용해 직립시킬 시, 한명의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밴드걸이기구(40) 및 고정밴드(50)를 통해 폴대(PB)를 고정할 시, 폴대(PB)의 직립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는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밴드걸이기구(40)의 설치위치가 변형실시된다.
상기 밴드걸이기구(40)는 제1브라켓(11)에 설치되되, 안착기구(3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걸이기구(40)는, 제1브라켓(11)의 일부를 제1브라켓(1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펀칭한 후 절곡하여, 제1브라켓(11)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밴드걸이기구(40)는 고정밴드(50)의 걸이 기능을 함은 물론, 안착기구(30)를 제1브라켓(11)에 삽입할 시, 안착기구(3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 기능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고정밴드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는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밴드걸이기구(40)의 설치 구조가 변형실시된다.
상기 밴드걸이기구(40)는 제1브라켓(11)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안착기구(30)의 좌우면에 각각 밀착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걸이기구(40)는 밴드걸이기구(40)의 전측에 구비되어 전단이 제1브라켓(11)의 수직판을 관통하는 볼트체(41)와, 상기 수직판을 관통한 볼트부(41)의 전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체(42)를 갖춘다.
이와 같은 상기 밴드걸이기구(40)는 고정밴드(50)의 걸이 기능을 함은 물론, 안착기구(30)를 제1브라켓(11)에 삽입할 시, 안착기구(3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 기능을 하며, 제1브라켓(11)에 삽입된 안착기구(30)가 좌우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밴드걸이기구(40) 손상시 교체가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폴대(PB)를 고정브라켓(10)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면서 폴대(PB)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을 수행할 시 편리하게 폴대(PB) 설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안착기구(30)를 통해 폴대(PB)의 손상을 방지하고, 밴드걸이기구(40) 및 고정밴드(50)를 통해 폴대(PB)를 고정하여 1인 작업 시 작업자가 폴대(PB)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안착기구(30)를 제1브라켓(11)에 삽입할 시, 안착기구(3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어, 안착기구(30)를 제1브라켓(11)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1브라켓(11)에 삽입된 안착기구(30)가 좌우로 이탈하지 않아, 안착기구(30)의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고, 밴드걸이기구(40)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구라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로 정의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고정브라켓 11; 제1브라켓
11a; 라운드부 12; 제2브라켓
13; 제3브라켓 20; 고정기구
30; 안착기구 31; 삽입부
32; 라운드부 33; 제1플랜지부
33a; 상측삽입홈 34; 제2플랜지부
34a; 하측삽입홈 40; 밴드걸이기구
50; 고정밴드

Claims (4)

  1. 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상측 및 하측에 후방으로 개구된 제1,2라운드부가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형성되는 제1브라켓과; 전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어, 제1브라켓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브라켓과; 제1브라켓의 좌측 상부와 제2브라켓의 좌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3브라켓을 갖춘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제2브라켓을 관통하여 제2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제1,2라운드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측삽입홈 및 하측삽입홈과; 후방으로 개구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갖추고서, 제1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기구가 더 포함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가로바에 안착되고, 폴대가 안착기구의 라운드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게 가로바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기구가 가로바를 가압고정하여, 안착기구에 의해 폴대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기구는, 제1브라켓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추고,
    상기 안착기구의 라운드부는, 삽입부의 후측에 형성되되, 상측이 삽입부의 상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측이 삽입부의 하측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2플랜지부가, 상측삽입홈 및 하측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안착기구의 라운드부의 상측 및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기구의 좌측 및 우측, 또는 제1브라켓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밴드걸이기구와; 전후로 개구된 제1,2걸이부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걸이부가 하나의 밴드걸이기구에 걸리고 제2걸이부가 다른 하나의 밴드걸이기구에 걸려, 안착기구의 라운드부에 안착되는 폴대를 감싸고정하는 고정밴드가 더 포함되어,
    상기 고정밴드에 가로바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기구가 가로바를 가압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걸이기구는 제1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안착기구의 좌우면에 각각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20170163079A 2017-11-30 2017-11-30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189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79A KR101896644B1 (ko) 2017-11-30 2017-11-30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79A KR101896644B1 (ko) 2017-11-30 2017-11-30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644B1 true KR101896644B1 (ko) 2018-09-18

Family

ID=6371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079A KR101896644B1 (ko) 2017-11-30 2017-11-30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178B1 (ko) 2019-07-31 2019-10-22 (주)도명이엔지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2416103B1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휴대용 레벨 측정 클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97Y1 (ko) * 2006-02-22 2006-05-04 허성환 건축 거푸집 지주 연결용 만능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97Y1 (ko) * 2006-02-22 2006-05-04 허성환 건축 거푸집 지주 연결용 만능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178B1 (ko) 2019-07-31 2019-10-22 (주)도명이엔지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2416103B1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휴대용 레벨 측정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644B1 (ko)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1477729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 고정장치
EP2095155B1 (de) Lokalisierungssystem für eine geländebearbeitungsmaschine
KR101586755B1 (ko)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측량 장치
US4993160A (en) Pipe alignment device and method
US5649600A (en) Sensor mount for an excavator
KR20190106827A (ko) 수직상태 측정용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드릴링 리그
KR101256344B1 (ko) 표준 관입 시험 자동 측정 장치
KR200478527Y1 (ko) 개량 수평계
KR101812470B1 (ko) 도로대장 및 지하시설물도 작성을 위한 스타프 설치용 보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중관체 측량장치
JP4725950B2 (ja) 地表面変位測定装置
US7150277B1 (en) Pivoting guide pulley stand for wire saw
KR101585658B1 (ko) 지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CN211373625U (zh) 一种建筑工程检测仪器模板垂直度测架
CN208704731U (zh) 一种墙面垂直度检测仪
CN102465517A (zh) 地基钎探器
KR102035178B1 (ko)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JP2013060756A (ja) 杭材の傾斜測定装置及び杭材の鉛直精度の確認方法
CN211926716U (zh) 一种地质灾害裂缝测量装置
KR100807825B1 (ko) 매설위치확인이 용이한 전선관
KR101848326B1 (ko) 촬영된 지하시설물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영상처리시스템
US3304041A (en) Adjustable support for excavation batter boards
CN212363920U (zh) 一种基于建筑的后置埋件抗拔强度检测装置
CN205348238U (zh) 一种明挖基坑简易测量装置
CN210243367U (zh) 一种拉扭一体化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