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772B1 - 온열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온열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772B1
KR101584772B1 KR1020150131893A KR20150131893A KR101584772B1 KR 101584772 B1 KR101584772 B1 KR 101584772B1 KR 1020150131893 A KR1020150131893 A KR 1020150131893A KR 20150131893 A KR20150131893 A KR 20150131893A KR 101584772 B1 KR101584772 B1 KR 10158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human body
along
unit
applic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폰바이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폰바이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폰바이칼
Priority to KR102015013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6Screening or neutralising undesirable influences from or using, atmospheric or terrestrial radiation or fie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주파를 사용하여 인체를 가열할 수 있는 온열 치료 장치로서, 인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치료대; 인체에 고주파를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Y방향과, 상기 Y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인체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인체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치료대는, 일면이 인체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 전후에 환자가 치료대 위에 오르내리기 편리하며, 시술 중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상기 지지 부재 위에 누워 있을 수 있으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를 환자의 몸에 밀착시키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열 치료 장치{Apparatus for Hyperthermic Treatment}
본 발명은 온열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술 전후에 환자가 치료대 위에 오르내리기 편리하며, 시술 중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 있을 수 있으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를 환자의 몸에 밀착시키기 용이한 온열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암을 치료하기 위한 온열 치료법(Hyperthermic Treatment)은 암조직에 열을 가하여 암세포의 대사율을 증가시키면서 암 세포에 산소의 공급을 막음으로써,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암 세포의 자살을 유도하여 파괴하는 치료법이다.
이러한 온열 치료 장치는, i) 전기장 방식(Electric field: Capacitive), ii) 자기장 방식(Magnetic field: Inductive), iii) 전자기 방사 방식(Wave guided: Radiative) 등으로 나뉜다.
상기 전기장 방식의 온열 치료 장치는, 라디오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대역의 고주파 전자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강한 전기장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있는 두 전극 사이에 환자를 위치시키면, 환자의 몸이 일종의 커패시터(capacitor)의 역할을 함으로써, 직류 성분의 저항은 무한대에 가까워 직류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발열이 되지 않으나, 라디오 주파수 정도의 교류 전기장이 가해지면 약 5 내지 200Ω의 임피던스에 의해 인체의 내부에 발열이 되는 방식이다. 여기서 고주파란 주파수가 높은 전자기파를 의미하는데 대체로 3 내지 30MHz의 주파수를 가진 전자기파를 의미하며, 보통 13.56MHz 고주파 전류를 사용한다.
상기 전기장 방식의 온열 치료 장치는, 정상 조직에 피해를 주지 않고 암 조직에만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반복적으로 치료할 경우 어떻게 동일한 부위에 열을 가할 수 있는가, 어떤 방식으로 전달된 열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여 필요한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가, 개인별로 요구되는 열의 양과 치료 중에 견딜 수 있는 온도의 수준을 결정하는 문제 등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장시간에 걸친 치료 중에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것처럼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한 문제인데, 종래에는 일반 침대에 환자를 눕히고 한 쌍의 전극 모듈(module) 내지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를 벨트와 같은 부착 수단으로 환자의 몸에 부착시키는 제1 방식을 취하기도 하였는데, 이 제1 방식은 환자 및 치료 장치의 운용자 모두에게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제1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침대 상면 전체에 걸쳐서 전극 모듈을 배치한 후, 침대 상면 전체가 하부 전극 모듈로 기능하게 하고, 환자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 전극 모듈만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2 방식도 사용되었으나, 이 제2 방식은 침대 상면 전체에 전극 모듈이 배치됨으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가 분산되어 치료 부위에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제2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침대 상면을 복수 개의 분리된 타일로 제작한 후, 치료 부위에 대응하는 특정 타일만을 제거하고 그 빈 자리에 하부 전극 모듈을 배치시키는 제3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상기 제3 방식은 치료 장치의 운용자가 매번 특정한 타일과 하부 전극 모듈을 교체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해야만 하므로 매우 번거로우며, 환자도 다른 타일들과 차별화된 형상의 하부 전극 모듈을 몸으로 느끼게 될 수밖에 없어 편안하게 누워있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술 전후에 환자가 치료대 위에 오르내리기 편리하며, 시술 중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 있을 수 있으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를 환자의 몸에 밀착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열 치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열 치료 장치는, 고주파를 사용하여 인체를 가열할 수 있는 온열 치료 장치로서, 인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치료대; 인체에 고주파를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Y방향과, 상기 Y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인체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인체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치료대는, 일면이 인체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하나는, 상기 Y방향 및 상기 Z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X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동일한 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Y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Y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인체의 굴곡을 따라 밀착이 용이하도록 굽힘 강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하나인 제1 어플리케이터는, 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어플리케이터는, 인체의 하측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는, 인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에 의하여, 상기 근접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는, 미리 정한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인체의 어깨 넓이 정도의 X방향 폭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의 Y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전극의 X방향 폭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치료대의 상측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는 행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는, 미리 정한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행거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행거 유닛은, XY평면에 나란하게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가로 부재; 상기 Z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부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가로 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세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로 부재는,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용 위치와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세로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가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은 상기 세로 부재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는, 고정부, 인체와 근접하게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Z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를 상기 고정부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완충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치료대; 인체에 고주파를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Y방향과, 상기 Y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인체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인체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치료대는, 일면이 인체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하나인 제2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술 전후에 환자가 치료대 위에 오르내리기 편리하며, 시술 중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상기 지지 부재 위에 누워 있을 수 있으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를 환자의 몸에 밀착시키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온열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온열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열 치료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열 치료 장치(100)는, 3 내지 30MHz의 주파수를 가진 전자기파인 고주파를 사용하여 인체를 가열할 수 있는 온열 치료 장치로서, 치료대(10)와, 제1 어플리케이터(20)와, 제2 어플리케이터(30)와, 행거 유닛(40)과,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과,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과, Y방향 이송 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치료대(10)는, 인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침대형 치료대로서, 환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다.
상기 치료대(10)는, 치료대 본체(11)와 지지 부재(12)와 바퀴(13)와 커버 부재(14)와 거치봉(1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치료대 본체(11)는,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 프레임 구조물로서, 각종 장치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S)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12)는, 상면이 인체를 받쳐서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상단면에 배치되며, 인체의 굴곡을 따라 밀착이 용이하도록 굽힘 강성이 없고 전자기파가 잘 통과할 수 있는 그물형 내지 시트형 소재가 적합하다. 예컨대 캔버스(canvas) 천, 메쉬(mesh) 직물, 그물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12)로는, 텐트, 돛, 화폭 등을 만드는 데 쓰이는 질긴 캔버스 천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12)의 테두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상단부 테두리에 배치된 4개의 원형 봉인 거치봉(15)에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팽팽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바퀴(13)는,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하단부 코너에 장착되어 있는 원형 바퀴로서, 상기 치료대(10)의 이동을 위한 구름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바퀴(13)의 일부는, 상기 치료대(10)의 이동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바퀴(13)의 일부는, 상기 치료대(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부재(14)는,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Y방향 양단부에 장착되는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Y방향 양단부에 배치된 2개의 상기 거치봉(15)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는, 인체에 특정한 라디오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대역의 전자기파를 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치료 대상인 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는, 고정부(21)와, 이동부(22)와, 제1 전극(23)과, 완충 유닛(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21)는, 후술할 상기 행거 유닛(40)에 결합되어 있는 원뿔대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기 행거 유닛(40)에 대하여 Z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지 않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Z방향은 상기 Y방향과 서로 수직하다.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행거 유닛(40)의 길이 방향인 X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행거 유닛(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X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X방향은 상기 Y방향 및 상기 Z방향과 각각 수직하다.
상기 손잡이(26)의 하단부 내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형상의 잠금 스위치(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잠금 스위치(27)는, 상기 손잡이(26)로부터 돌출된 잠금 상태와 상기 손잡이(26)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며, 탄성 스프링(271)에 의하여 상기 잠금 상태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상기 잠금 스위치(27)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압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X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해제 상태가 되며, 상기 잠금 스위치(27)를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X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불가능한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 이동부(22)는, 상기 고정부(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인체와 근접하게 배치된 원반형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부(21)에 대하여 상기 Z방향을 따라 상하로 상대 이동 가능한 부분이다.
상기 제1 전극(23)은, 외부 발진기(미도시)와 연결되어 특정한 라디오 주파수(RF)의 전자기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판형 전극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23)은 13.56MHz의 전자기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전극(23)은 상기 이동부(22)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28)에 배치되어 있으며, 130 내지 170m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50mm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완충 유닛(2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1)와 상기 이동부(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22)를 상기 고정부(21)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유닛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24)은, 코일형 스프링(미도시)이 포함된 복수 개의 유닛으로,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22)를 들어올려 상기 고정부(21) 측으로 바이어스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부(22)의 내부 공간(28)에는 상기 제1 전극(23)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수용된다.
상기 이동부(22)의 양단부 상측에는, 상기 이동부(22)의 내부 공간(28)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냉각수 호스(2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29)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그리퍼(2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잠그면, 상기 이동부(22)가 상기 고정부(2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그리퍼(29)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내면, 상기 이동부(22)가 상기 고정부(2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그리퍼(29)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22)가 상기 고정부(21)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전극(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컨넥터들(미도시)도 자동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인체에 특정한 라디오 주파수(RF) 대역의 전자기파를 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와 쌍을 이루어 상하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내부 공간(S)에 숨겨짐으로써,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제2 전극(31)과 냉각수 용기(3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전극(31)은, 상기 제1 전극(23)과 협력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극으로서, 미리 정한 직사각형 판형 부재이다.
상기 제2 전극(31)과 상기 제1 전극(23)은, 상기 Z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동일한 선 상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31)은, 인체의 어깨 넓이 정도인 500 내지 600mm의 X방향 폭과 300 내지 400mm의 Y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전극(31)의 Y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전극(31)의 X방향 폭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전극(31)이 570mm의 X방향 폭과 340mm의 Y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냉각수 용기(32)는, 상기 제2 전극(31)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수용되는 주머니 형태의 용기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극(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냉각수 용기(32)는, 상기 지지 부재(12)와 상기 제2 전극(31)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2 전극(31)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행거 유닛(40)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상기 치료대(10)의 상측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는 장치로서, 가로 부재(41)와 세로 부재(42)와 세로 부재 수용부(43)와 조작 패널부(44)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 부재(41)는, XY평면에 나란하게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상기 치료대(10)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된 부재이다.
상기 가로 부재(41)의 일단부 하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고정부(2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가로 부재(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LM 가이드(미도시) 등에 의하여 상기 가로 부재(41)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세로 부재(42)는, 상기 Z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료대(10)의 좌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가로 부재(41)의 타단부는, 상기 세로 부재(42)의 상단부에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 부재(41)는,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용 위치와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C1)을 중심으로 90도만큼 회전 이동 가능하다.
상기 세로 부재 수용부(43)는, 상기 세로 부재(42)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통형 부재로서, 상기 Z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세로 부재(42)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세로 부재 수용부(43)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작 패널부(44)는, 상기 가로 부재(41)의 일단부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 패널부로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 및 제2 어플리케이터(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으로, 서보 모터(51)와, 동력전달부(52)를 구비한다.
상기 서보 모터(51)는, 회전형 서보 모터로서, 상기 세로 부재 수용부(43)의 하단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2)는, 상기 서보 모터(51)의 회전 운동을 상기 Z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세로 부재 수용부(4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2)는, 각종 베어링, 각종 기어, 볼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은, 상기 세로 부재(42)를 상기 세로 부재 수용부(43)에 대하여,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에 의하여 Z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함으로써, 인체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인체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으로, 서보 모터(61)와, 베이스부(62)와, 승강부(63)와, 로드셀(64)과, 연결 부재(65)와, 동력전달부(66)를 구비한다.
상기 서보 모터(61)는, 회전형 서보 모터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6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62)는,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 프레임 구조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내부 공간(S)의 하단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62)는, 상기 치료대 본체(11)에 대하여 상기 Y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63)는, 사각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2 전극(31)과 상기 베이스부(6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62)에 대하여 상기 Z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드셀(64)은, Z방향 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load cell)로서, 상기 제2 전극(31)과 상기 승강부(6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로드셀(64)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 전극(31)이 결합되고, 상기 로드셀(64)의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부(63)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63)가 Z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냉각수 용기(32)가 인체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로드셀(64)이 아래로 가압됨으로써 Z방향 힘을 감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셀(64)이 감지하는 Z방향 힘이 미리 정한 값 이상이 되면, 상기 서보 모터(61)가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65)는, X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부재로서, 상기 세로 부재 수용부(43)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부(62)를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62)가 상기 치료대 본체(11)에 대하여 상기 Y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행거 유닛(40)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상기 베이스부(62)와 함께 상기 Y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66)는, 상기 서보 모터(61)의 회전 운동을 상기 승강부(63)의 Z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부(6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에 의하여 Z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함으로써, 인체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인체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다.
상기 Y방향 이송 유닛(70)은,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를 상기 Y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유닛으로서, 서보 모터(71)와, 동력전달부(72)와, 가이드 레일(73)과, 케이블 캐리어(7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서보 모터(71)는, 회전형 서보 모터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내부 공간(S)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치료대 본체(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72)는, 상기 서보 모터(71)의 회전 운동을 상기 베이스부(62)의 Y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치료대 본체(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73)은, Y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형 막대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내부 공간(S) 바닥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62)의 하면은, Y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레일(73)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캐리어(74)는, 상기 서보 모터(51, 61)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일단부가 상기 치료대 본체(11)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 상기 Y방향 이송 유닛(70)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세로 부재 수용부(43)의 내부 또는 상기 치료대 본체(11)의 내부 공간(S)에 숨겨져 있다.
결국,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는,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 및 상기 X방향을 따라 3개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상기 Y방향, 상기 Z방향을 따라 2개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X방향 이동만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은, 상기 Y방향 이송 유닛(70)에 의하여 상기 Y방향을 따라 함께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상기 Y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항상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온열 치료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 유닛(40)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환자를 상기 지지 부재(12) 위에 눕힌 후,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행거 유닛(40)를 사용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손잡이(26)의 잠금 스위치(27)를 가압하여 해제 상태로 만들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X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6)를 잡고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상기 행거 유닛(40)의 길이 방향인 X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시술하고 싶은 부위의 X방향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는 환자의 몸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Z방향을 따라 충분히 상승된 상태여야 한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X방향을 따라 원하는 X방향 위치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상기 조작 패널부(44)를 조작하여 상기 Y방향 이송 유닛(70)을 작동시킴으로써, 시술하고 싶은 부위의 Y방향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이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시술하고 싶은 부위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 패널부(44)를 조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근접 위치로 하강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하강 위치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점진적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하강시키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환자의 몸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시킨다. 여기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하강과 정지를 수차례 반복할 수 있으며, 오히려 상승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환자의 몸에 접촉된 후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 패널부(44)를 조작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를 근접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를 육안으로 볼 수 없다.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미리 정한 속도로 천천히 환자의 몸을 향해 자동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냉각수 용기(32)가 환자의 몸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로드셀(64)이 Z방향 힘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로드셀(64)이 감지하는 Z방향 힘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가 상승할수록 점차 증가하게 되며, 상기 로드셀(64)이 감지하는 Z방향 힘이 미리 정한 값 이상이 되면, 상기 서보 모터(61)가 자동적으로 정지됨으로써,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의 상승이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가 정확한 시술 부위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전극(23) 및 제2 전극(31)이 13.56MHz의 전자기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상기 조작 패널부(44)를 조작하여, 미리 정한 시간 동안 환자의 몸을 가열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온열 치료 장치(100)는, 인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치료대(10); 인체에 고주파를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는, 상기 Y방향과, 상기 Y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인체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인체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치료대(10)는, 일면이 인체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12)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 중 하나인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상기 지지 부재(12)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술 전후에 환자가 상기 치료대(10) 위에 오르내리기 편리하며, 시술 중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상기 지지 부재(12) 위에 누워 있을 수 있으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를 환자의 몸에 밀착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 중 하나인 제1 어플리케이터(20)는, 상기 Y방향 및 상기 Z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X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시술하고 싶은 부위의 바로 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동일한 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Y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Y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항상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 각각의 Y방향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이,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Y방향 위치만 조절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의 Y방향 위치는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지지 부재(12)가, 인체의 굴곡을 따라 밀착이 용이하도록 굽힘 강성이 없는 것이므로, 환자는 마치 해먹(hammock) 또는 야전 침대(camp bed)에 누운 것처럼 편안하게 시술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가 상승하여 환자의 몸 아래에 밀착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 중 하나인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20, 30)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어플리케이터(30)가, 인체의 하측 및 상기 지지 부재(12)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 및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질 수 있어 전체적인 미관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는, 인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64)에 의하여, 상기 근접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의 상승 높이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을 수동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가, 미리 정한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전극(31)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31)은 인체의 어깨 넓이 정도의 X방향 폭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31)의 Y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전극(31)의 X방향 폭보다 짧으므로, 전기 에너지가 분산되지 않고 환자의 치료 부위에 집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30)의 X방향 이동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상기 치료대(10)의 상측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는 행거 유닛(40)을 구비하므로, 시술 전후에 환자가 상기 치료대(10) 위에 올라가거나 상기 치료대(10)로부터 내려올 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미리 정한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전극(23)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23)은 상기 행거 유닛(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제1 전극(23)을 구비한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상기 행거 유닛(40)에 간편하게 교체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23)의 크기는 환자의 치료 부위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행거 유닛(40)은, XY평면에 나란하게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가로 부재(41); 상기 Z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부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가로 부재(4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세로 부재(42);를 포함하므로, 환자가 치료대(10) 위에 올라가거나 내려오기 편리한 "ㄱ"자 형태의 행거 유닛(40)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가로 부재(41)가,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용 위치와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세로 부재(4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로 부재(41)를 상기 수납 위치에 두면 환자가 치료대(10) 위에 올라가거나 내려오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상기 가로 부재(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 부재(4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X방향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은 상기 세로 부재(42)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므로, 상기 가로 부재(41) 및 제1 어플리케이터(20)를 모두 Z방향을 따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을 상기 치료대(10)의 일측 외부에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열 치료 장치(10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고정부(21), 인체와 근접하게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부(21)에 대하여 상기 Z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이동부(22)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22)를 상기 고정부(21)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완충 유닛(24)을 구비하므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가 환자의 몸 위에 접촉한 상태에서 환자가 숨을 쉴 경우, 환자의 몸이 미세하게 위 아래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데, 상기 완충 유닛(24)이 상기 이동부(22)의 하중을 대부분 감당하여, 환자가 상기 이동부(22)에 의한 압박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20)의 X방향 이동이 사용자의 인력에 의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서보 모터나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50),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60), Y방향 이송 유닛(70)이 서보 모터(51, 61, 71)를 사용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있으나, 리니어 모터 등의 다른 직선 이동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온열 치료 장치 10: 치료대
11: 치료대 본체 12: 지지 부재
13: 바퀴 14: 커버 부재
15: 거치봉 20: 제1 어플리케이터
21: 고정부 22: 이동부
23: 제1 전극 24: 완충 유닛
25: 냉각수 호스 26: 손잡이
27: 잠금 스위치 28: 내부 공간
29: 그리퍼 30: 제2 어플리케이터
31: 제2 전극 32: 냉각수 용기
40: 행거 유닛 41: 가로 부재
42: 세로 부재 43: 세로 부재 수용부
44: 조작 패널부 50: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
51: 서보 모터 52: 동력전달부
60: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 61: 서보 모터
62: 베이스부 63: 승강부
64: 로드셀 65: 연결 부재
66: 동력전달부 70: Y방향 이송 유닛
71: 서보 모터 72: 동력전달부
73: 가이드 레일 74: 케이블 캐리어
271: 탄성 스프링 C1: 회전축
S : 내부 공간

Claims (14)

  1. 고주파를 사용하여 인체를 가열할 수 있는 온열 치료 장치로서,
    인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Y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치료대;
    인체에 고주파를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Y방향과, 상기 Y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인체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인체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치료대는, 일면이 인체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하나인 제1 어플리케이터는, 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어플리케이터는, 인체의 하측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는, 인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에 의하여, 상기 근접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 중 하나는, 상기 Y방향 및 상기 Z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X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Z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동일한 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Y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Y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인체의 굴곡을 따라 밀착이 용이하도록 굽힘 강성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터는, 미리 정한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인체의 어깨 넓이 정도의 X방향 폭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의 Y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전극의 X방향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치료대의 상측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는 행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는, 미리 정한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행거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유닛은,
    XY평면에 나란하게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가로 부재;
    상기 Z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부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가로 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세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는,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용 위치와 인체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세로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가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 승강 유닛은 상기 세로 부재를 상기 Z방향을 따라 자동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터는, 고정부, 인체와 근접하게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Z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를 상기 고정부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완충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치료 장치
KR1020150131893A 2015-09-17 2015-09-17 온열 치료 장치 KR10158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893A KR101584772B1 (ko) 2015-09-17 2015-09-17 온열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893A KR101584772B1 (ko) 2015-09-17 2015-09-17 온열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772B1 true KR101584772B1 (ko) 2016-01-12

Family

ID=5517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893A KR101584772B1 (ko) 2015-09-17 2015-09-17 온열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7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928B1 (ko) 2016-07-18 2017-05-12 주식회사 케이엠에치씨 고주파 온열암치료기
KR102126439B1 (ko) * 2020-02-03 2020-06-24 박성민 이동식 뜸기구
KR102134451B1 (ko) * 2020-04-16 2020-07-16 윤제필 다기능 물리치료용 베드를 이용한 물리치료시스템
KR20210119053A (ko) * 2020-03-24 2021-10-05 (주)바이오트코리아 자기장을 이용하여 척수를 치료하는 의료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4513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ピー・エイチ・ジェイ 温熱治療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4513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ピー・エイチ・ジェイ 温熱治療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928B1 (ko) 2016-07-18 2017-05-12 주식회사 케이엠에치씨 고주파 온열암치료기
KR102126439B1 (ko) * 2020-02-03 2020-06-24 박성민 이동식 뜸기구
KR20210119053A (ko) * 2020-03-24 2021-10-05 (주)바이오트코리아 자기장을 이용하여 척수를 치료하는 의료 시스템
KR102501457B1 (ko) * 2020-03-24 2023-02-21 (주)바이오트코리아 자기장 조사장치
KR102134451B1 (ko) * 2020-04-16 2020-07-16 윤제필 다기능 물리치료용 베드를 이용한 물리치료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72B1 (ko) 온열 치료 장치
CN103189104A (zh) 医疗器械
CN204562689U (zh) 一种骨科用肢体支撑架
CN110420104B (zh) 一种小儿外科手术体位固定器装置
CN112336587A (zh) 中医颈部护理仪
CN204192645U (zh) 骨科成像板固定架
CN105496682A (zh) 妇产科待产用病床
CN205144983U (zh) 一种护理用托盘安放装置
CN201223400Y (zh) 用于宫颈肿瘤电子束直接照射治疗的定位床
CN209846741U (zh) 多功能麦饭石远红外热疗枕套
CN210872969U (zh) 一种小鼠上肢批量艾灸装置
CN209404967U (zh) 一种应用在手术床上的肩托及手肘支架
CN208511193U (zh) 一种实用型医疗器械盛放盒
CN203089851U (zh) 手法按摩治疗床
CN209137781U (zh) 一种用于乳腺放疗体架装置
CN217661141U (zh) 一种可调式红外治疗仪
CN215608838U (zh) 一种多功能的智能红外经络理疗机器人
CN215461501U (zh) 一种肿瘤放疗用定位装置
CN216535646U (zh) 一种兽医用动物头部固定架
CN215132542U (zh) 一种术中头部保护装置
CN207611205U (zh) 一种影像科用阅片装置
CN214386620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电力电子技术实验装置
CN205286546U (zh) 一种可调节腿部固定装置
US20240066311A1 (en) Hyperthermia Electromagnetic Energy Applicator Housing and Hyperthermia Patient Support System
CN219579728U (zh) 一种基于柔性电极的等离子体治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