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496B1 -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 Google Patents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496B1
KR101584496B1 KR1020140152523A KR20140152523A KR101584496B1 KR 101584496 B1 KR101584496 B1 KR 101584496B1 KR 1020140152523 A KR1020140152523 A KR 1020140152523A KR 20140152523 A KR20140152523 A KR 20140152523A KR 101584496 B1 KR101584496 B1 KR 101584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
stand
line pressure
rolling
pressure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희
박재훈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5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8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for step-by-step or planetary rolling; pendulum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48Tension control; Compre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열간압연하는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장치는 크롬의 함량이 1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압연재로 하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마무리압연기를 포함하고,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HOT ROOLING APPARUTUS AND HOT ROOLING MOTHOD}
본 발명은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열간압연하는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롬의 함유량이 높은 페라이트계 열연강판의 열간압연에서는 압연롤과 고온의 압연소재간의 눌어붙음 현상(스티킹 현상)이 발생하여 압연롤과 압연강판의 표면은 심각한 표면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스티킹 현상으로 인해 압연롤을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진행중인 압연작업을 중지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전 라인의 중지를 야기하여 생산성의 심각한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손상된 압연롤을 연마가공하는 때에 여분의 부하가 가해짐은 몰론 압연롤의 교체 계획이 어긋나는 경우 전체적인 롤 운용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스티킹 현상으로 인해 표면손상을 입은 열연강판의 손상된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 코일 그라인딩 공정을 추가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손상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스크랩 처리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일 예로,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가운데 고광택 냉연재로 사용되는 열연강판의 경우 코일 그라인딩 처리한 소재는 고광택 표면품질의 냉연제품 제조에 부적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연롤, 압연소재, 압연롤과 압연소재간에 개재되는 윤활 등 열간 트라이볼러지(tribology) 측면에서 다양한 방안이 고안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해결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에서 트라이볼러지란,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2개의 면의 마찰, 마모, 또는 윤활을 취급하는 과학기술을 의미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2956호는 열간 압연 시 스티킹 포면결함을 저감시킨 고크롬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2956호(2009. 05. 2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케일 특성과 압연롤의 변화 거동을 모두 고려하여 스티킹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롬의 함량이 1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압연재로 하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마무리압연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9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압연기는 7개의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마지막 일곱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6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압연기 중 두번째 스탠드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85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압연기 중 네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85ton/mm 초과, 1.0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압연기는 7개의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마지막 일곱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6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크롬의 함량이 1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압연재로 하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마무리압연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는 나머지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보다 높게 마련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보다 네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가 더 높게 마련되는 열간압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크롬의 함량이 1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압연재로 하고,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1.2ton/mm으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0.5ton/mm 이상, 0.9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 스탠드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0.5ton/mm 이상, 0.85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네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0.85ton/mm 초과, 1.0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스탠드에 치입되기 전의 압연재의 스케일 두께는 30㎛ 이상, 50㎛ 이하로 마련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스탠드 내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열간압연 중에 압연롤을 연마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네번째 스탠드 이하에서의 열간압연 공정에 유압연을 실시하는 열간압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장치는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간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압연롤과 압연소재 간의 스티킹을 방지하여, 공정의 중단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상된 압연롤의 추가 연마와 손상된 소재의 코일 그라인딩에 사용되는 노력을 저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 마무리압연 스탠드에 일률적인 선압한계를 설정하는 대신에, 압연소재의 스케일 특성, 사용중의 압연롤 표면거침상태 및 압연롤 마모상태를 고려하여 각 스탠드에 적용하는 선압기준을 달리 설정하여 스티킹 발생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장치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마무리압연 스탠드에 따른 스케일 두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무리압연 스탠드의 선압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무리압연 스탠드의 선압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장치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열간압연장치는 장입되는 슬라브(S, slab)를 가열하는 가열로(10)와, 가열로(10)로부터 추출되는 슬라브(S)를 조압연하는 조압연기(20)와, 조압연을 마친 압연재(S1)를 마무리압연하는 마무리압연기(30)와, 마무리압연을 마친 압연재(S2)를 권취하는 권취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의 열간압연은 두께 200~250mm, 폭 1000~1600mm, 길이 10m 전후의 치수를 가진 슬라브(S)를 가열로에서 1000~1300℃로 가열한 후 추출하여 조압연(RM, Roughing Mill)공정에서 라인 상에 중간중간 배치된 3~4대의 조압연 스탠드를 통해 30~40mm 두께의 바(bar) 형태로 조압연하고, 이어 마무리압연(FM, Finishing Mill)공정에서 라인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6~7대의 마무리압연 스탠드를 통해 최종 두께까지 연속적으로 압연을 행하여 두께를 줄인 다음, 권취기(40)에서 코일(coil) 형태로 감아낸다.
가열로(10)는 열간압연을 위해 슬라브(S)를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장입대(charging zone), 예열대(preheating zone), 가열대(heating zone), 및 균열대(soaking zon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로(10)에서는 장입된 슬라브(S)의 초기 온도, 추출시의 최종 온도에 따라 장입대, 예열대, 가열대 내에서의 승온 속도 및 체류 시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에는 마무리압연기(30)의 스탠드를 도시하였지만, 조압연기(20)의 스탠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스탠드는 한 쌍의 압연롤(31)과 지지롤(32)이 상, 하로 적층 배열된 4단 형식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위치한 한 쌍의 압연롤(31)은 압연재와 직접 접촉되어 압연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롤일 수 있으며, 각 압연롤(31) 외측에 위치한 지지롤(32)은 압연롤(31)에 하중을 부여하여 압연롤(31)을 통한 압연재의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중 부여용 피구동롤일 수 있다.
스테인리스강 중에서 크롬의 함유량이 18중량% 이상, 35중량% 이하 범위인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하, ?斫㈆柰?이라 함)을 열간압연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간압연에 비해 절반 이하의 압연하중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압연롤과 압연소재간의 스티킹 현상이 발생하여 압연롤과 압연소재 표면에 치명적인 표면결함을 야기한다.
스티킹 현상은 열간압연 중에 압연롤과 압연소재의 표면이 서로 달라붙었다가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표면손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티킹 현상은 마무리압연과정에서 주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장치는 고크롬강을 열간압연하면서도 마무리압연과정에서 스티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부는 마무리압연공정에 있으므로, 이하에서의 스탠드는 마무리압연기(30)의 스탠드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마무리압연기(30)의 일 예로, 7개의 스탠드(압연재가 치입되는 입구에서부터 순서대로 F1 내지 F7)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스탠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개 또는 8개의 스탠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마무리압연공정에서 사용되는 스탠드의 압연롤(31)은 고온에서 저온까지 단계별로 사용조건이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F1 내지 F3 스탠드와 같은 전단 스탠드에서는 900℃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마무리압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간압연에 의한 열부하를 많이 받고 압연하중도 크게 걸리기 때문에 압연롤(31)의 손상이 심하여 표면거침이 문제된다. 일반적으로 거칠어진 압연롤(31)에서는 마찰이 증가하므로 스티킹 발생이 증가한다.
한편, F4 내지 F7 스탠드와 같은 후단 스탠드의 압연롤(31)은 전단 스탠드보다 낮은 온도영역에서 압연되므로 열부하를 적게 받고, 압연하중도 적게 걸리기 때문에 압연롤의 표면상태는 매끄럽게 마모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장치는 이러한 압연소재의 스케일 특성과 압연롤(31)의 표면거침상태 및 마모상태 등을 모두 고려하여 마무리압연과정 전 구간에서 스티킹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마무리압연 스탠드에 따른 스케일 두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고크롬강의 열간압연에서 마무리압연기(30)의 F1 스탠드에 치입되기 전 압연소재 표면의 스케일 두께는 30~50㎛ 정도이기 때문에 F1 스탠드에서는 타 스탠드에 비해 강압하가 가능하다.
두꺼운 스케일을 가지는 압연소재의 경우 선압하중을 크게 하여도 압연소재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케일이 파괴되거나 연신되는 이른바 스케일 윤활효과에 의해 스티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따라서 스케일의 두께가 40㎛ 근방인 F1 스탠드에서는 선압한계가 1.2 ton/mm 정도까지 가능하다. 한편, 실험에 의해 스케일 두께가 20㎛ 이하인 스테인리스강 압연소재를 열간압연하는 경우 F1 스탠드에서 스티킹이 발생하여 선압한계 1.2 ton/mm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밝혀 냈다.
F1 스탠드를 지난 압연소재 표면의 스케일 두께는 20㎛ 정도이고, F2 스탠드를 지난 압연소재 표면의 스케일 두께는 15㎛ 정도이며, F3 스탠드를 지나고부터는 스케일의 두께가 10㎛ 정도로 일정하다. 즉, F4 스탠드부터는 압연소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던 스케일이 대부분 파괴되어 압연롤(31)과 압연소재의 표면이 직접 금속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지 못한다.
따라서 압연소재의 표면 스케일 두께가 20㎛ 이하로 떨어지는 F2 스탠드부터는 F1 스탠드와 같은 강압하가 불가능하게 된다. 즉, F2 내지 F7 스탠드에서는 스케일로 인한 윤활 효과가 감소하여 선압한계 1.0 ton/mm 정도가 상한이 된다.
한편, 롤단위 편성에서 초반에 편성하는 경우와 중반 내지 후반에 편성하는 경우에 따라 선압의 기준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 연속적으로 열간압연이 진행할수록 압연롤(31)의 표면이 손상되어 거칠어지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F2 스탠드 이하에서 1.0 ton/mm를 선압한계로 하는 열간압연조건은 표면이 손상되지 않은 새로운 압연롤(31)이 투입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안전하나, 압연 매수가 증가하여 압연롤(31)의 표면이 거칠어지기 시작하면 스티킹 발생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중반 내지 후반에 편성되는 롤단위에서는 F2 내지 F3 스탠드의 선압한계가 0.9 ton/mm로 내려가게 된다. 반면, F4 내지 F7 스탠드의 경우 여전히 압연롤(31)의 표면이 곱게 마모되므로 1.0 ton/mm 또는 그 이상의 선압한계에서도 안전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방법의 일 예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강종 STS441을 이용하여 열연바의 두께가 30mm이고, 너비가 1285mm를 만족하는 상태에서 실험하였다. 여기서 STS441 강종의 함량은 Cr 18.0중량%, Si 0.3중량%, Ti 0.2중량%, Nb 0.53중량%이고, 그밖에 소량의 C와 N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F1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1.2 ton/mm로 하고, F2 내지 F6 스탠드까지는 0.9 ton/mm를, F7 스탠드는 0.6 ton/mm를 선압한계로 한다.
F1 F2 F3 F4 F5 F6 F7 스티킹 발생유무
비교예 1.0 1.0 1.0 0.9 0.8 0.7 0.5 발생
제1실시예 1.2 0.9 0.9 0.9 0.9 0.9 0.6 미발생
F1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인 1.2ton/mm는 스티킹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의 선압한계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선압하중은 선압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해질 수 있으므로, 선압한계가 1.2ton/mm 인 경우 선압하중은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선압하중의 최소값인 1.0ton/mm는 이후의 스탠드(F2 이하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과 관계되어 설정된다. 즉, 선행하는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이 필요 이상으로 낮은 경우 후행하는 스탠드에서는 선압하중의 부담이 발생하여 스티킹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F2 스탠드부터는 스케일의 두께가 20㎛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F2 스탠드부터 F6 스탠드까지의 선압한계는 0.9 ton/mm로 설정된다. F2 내지 F6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인 0.9ton/mm는 스티킹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0.5ton/mm 초과, 0.9ton/mm 이하의 선압한계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선압한계의 최소값인 0.5ton/mm는 마무리압연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선압하중으로 결정된다.
한편, 선압하중은 선압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해질 수 있으므로, 선압한계가 0.9ton/mm 인 경우 선압하중은 0.5ton/mm 초과, 0.9ton/mm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F1 스탠드와 F2 및 F3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가 달라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F1 스탠드에서는 선압하중을 크게 가하더라도 소재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케일이 파괴되고 연신되는 과정에서 스케일의 윤활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반면, F2 내지 F7 스탠드에서는 스케일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압연롤(31)과 압연소재 간의 직접접촉을 방지할 수 없어 선압의 제약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F1 스탠드의 선압하중을 F2 내지 F3 스탠드의 선압하중 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도 스티킹 발생 위험이 없다.
F7 스탠드는 마무리압연의 마지막 단계이기 때문에 선압한계가 비교적 낮은 0.6ton/mm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F2 스탠드와 F3 스탠드의 선압한계를 높게 설정한 것으로, 새로운 압연롤(31)을 교체하거나 압연롤(31)의 표면을 연마하여 압연롤(31)의 표면이 매끄러운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F1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1.2 ton/mm로 하고, F2 및 F3 스탠드는 0.85 ton/mm를, F4 내지 F6 스탠드는 1.0 ton/mm를, F7 스탠드는 0.6 ton/mm를 선압한계로 한다.
F1 F2 F3 F4 F5 F6 F7 스티킹 발생유무
비교예 1.0 1.0 1.0 0.9 0.8 0.7 0.5 발생
제1실시예 1.2 0.85 0.85 1.0 1.0 1.0 0.6 미발생
F1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인 1.2ton/mm는 스티킹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의 선압한계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선압하중은 선압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해질 수 있으므로, 선압한계가 1.2ton/mm 인 경우 선압하중은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선압하중의 최소값인 1.0ton/mm는 이후의 스탠드(F2 이하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과 관계되어 설정된다. 즉, 선행하는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이 필요 이상으로 낮은 경우 후행하는 스탠드에서는 선압하중의 부담이 발생하여 스티킹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F2 스탠드부터는 스케일의 두께가 20㎛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F2 스탠드와 F3 스탠드의 선압한계는 0.85 ton/mm로 설정된다. F2 스탠드와 F3 스탠드의 선압한계인 0.85ton/mm는 스티킹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0.5ton/mm 초과, 0.85ton/mm 이하의 선압한계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선압한계의 최소값인 0.5ton/mm는 마무리압연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선압하중으로 결정된다.
한편, 선압하중은 선압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해질 수 있으므로, 선압한계가 0.85ton/mm 인 경우 선압하중은 0.5ton/mm 초과, 0.85ton/mm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실시예에서는 F2 스탠드와 F3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F4 내지 F6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1.0ton/mm로 하여 제1실시예 보다 상향 설정하게 된다.
F7 스탠드는 마무리압연의 마지막 단계이기 때문에 선압한계가 비교적 낮은 0.6ton/mm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방법은 F2 스탠드와 F3 스탠드의 선압한계를 F4 내지 F6 스탠드의 선압한계보다 낮게 설정한 것으로, 계속되는 열간압연에 의해 압연롤(31)의 표면이 거칠어진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압연롤(31)의 표면이 매끄러운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이 거칠수록 선압한계는 내려가게 된다.
다만, F2 스탠드와 F3 스탠드에서 낮아진 선압한계만큼 F4 내지 F6 스탠드에서 선압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F2 스탠드와 F3 스탠드의 선압한계는 F4 내지 F6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가 1.0ton/mm를 넘지 않는 한도에서 설정하여야 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방법은 압연롤(31)을 연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선단 스탠드인 F1 내지 F3 스탠드는 표면이 쉽게 거칠어져 스티킹 발생 우려가 있다. 따라서 F1 내지 F3 스탠드의 압연롤(31)에 대해 압연 작업 중에도 온라인 롤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압연롤(31)을 연마하면서 압연을 행하면 스티킹 발생 방지에 유효하다. 온라인 롤그라인더는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공정중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열간압연방법은 유압연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후단 스탠드인 F4 내지 F7 스탠드의 압연롤(31)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압연을 실시할 수 있다. 유압연을 행하면 표면거칠기가 줄어든 매끈한 압연롤(31)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십매의 고크롬강을 계속해서 열간압연을 행하여도 스티킹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가열로, 20: 조압연기,
30: 코일박스, 40: 접합기,
50: 마무리압연기, 60: 유압연기,
70: 권취기.

Claims (16)

  1. 크롬의 함량이 1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압연재로 하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마무리압연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는 나머지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 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9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기는 7개의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마지막 일곱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6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압연기 중 두번째 스탠드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85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압연기 중 네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85ton/mm 초과, 1.0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기는 7개의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마지막 일곱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하중은 0.5ton/mm 이상, 0.6ton/mm 이하로 제공되는 열간압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보다 네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가 더 높게 마련되는 열간압연장치.
  9. 크롬의 함량이 18중량% 초과, 35중량% 이하인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압연재로 하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는 나머지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 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1.0ton/mm 초과, 1.2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1.2ton/mm으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0.5ton/mm 이상, 0.9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두번째 스탠드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0.5ton/mm 이상, 0.85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기 중 네번째 이후의 스탠드에서의 선압한계를 0.85ton/mm 초과, 1.0ton/mm 이하로 제공하는 열간압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스탠드에 치입되기 전의 압연재의 스케일 두께는 30㎛ 이상, 50㎛ 이하로 마련되는 열간압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스탠드 내지 세번째 스탠드에서의 열간압연 중에 압연롤을 연마하는 열간압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네번째 스탠드 이하에서의 열간압연 공정에 유압연을 실시하는 열간압연방법.
KR1020140152523A 2014-11-05 2014-11-05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KR10158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23A KR101584496B1 (ko) 2014-11-05 2014-11-05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23A KR101584496B1 (ko) 2014-11-05 2014-11-05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496B1 true KR101584496B1 (ko) 2016-01-14

Family

ID=5517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523A KR101584496B1 (ko) 2014-11-05 2014-11-05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677B1 (ko) * 2016-11-08 2018-01-16 주식회사 포스코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2171B2 (ja) 2000-07-25 2011-0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常温加工性および高温での機械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2171B2 (ja) 2000-07-25 2011-0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常温加工性および高温での機械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677B1 (ko) * 2016-11-08 2018-01-16 주식회사 포스코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898B1 (ko) 연속 압연 또는 반 연속 압연에 의한 강 스트립들의 제조 방법
TWI615210B (zh) 根據csp-槪念的設備以及用於操作此種設備的方法
KR101584496B1 (ko)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CN109562421B (zh) 钢板的冷轧方法以及钢板的制造方法
US8850860B2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andem rolling mi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t-roll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Wang et al. VCR back-up roll and negative work roll contour design for solving roll spalling and transfer bar profile problems in hot strip mill
JP2845087B2 (ja) 鋳造熱間圧延連続設備
CN117000763A (zh) 柔性精轧机组、连铸连轧柔性生产线以及对应的生产方法
JP5768468B2 (ja) 金属帯の冷間圧延機および冷間圧延方法
KR101592470B1 (ko)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JP2008264786A (ja) 厚鋼板の製造方法
JP2010179321A (ja) 粗圧延におけるスリップ防止方法
KR101818677B1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방법
KR101051295B1 (ko) 열간압연설비
CN107755431B (zh) 一种热轧高强钢的轧制方法
JP5821575B2 (ja) 冷延鋼板の圧延方法および極薄鋼板の製造方法
EP3023167B1 (en) Method for preparing hot-rolled semifinished steel rolled stock for cold rolling
CN113811402B (zh) 用轧制机架的灵活的配置进行热轧
JP3815245B2 (ja) 高硬度高炭素薄鋼板の製造方法
RU2343020C2 (ru) Непрерывный стан холодной прокатки стальных полос
KR101438774B1 (ko) 극후강판 압연 설비와 압연 방법
US20230060110A1 (en) Hot-rolling stand for a hot-rolling mill and for producing a flat metal product, hot-rolling mill and method for operating a hot-rolling mill
JP2018069275A (ja) 冷間圧延用ワークロール及び冷間圧延方法
JP5761071B2 (ja) 高張力鋼板の調質圧延方法、調質圧延設備及び圧延ライン
RU2093285C1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опорного прокатного валк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