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604B1 -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604B1
KR101583604B1 KR1020140128449A KR20140128449A KR101583604B1 KR 101583604 B1 KR101583604 B1 KR 101583604B1 KR 1020140128449 A KR1020140128449 A KR 1020140128449A KR 20140128449 A KR20140128449 A KR 20140128449A KR 101583604 B1 KR101583604 B1 KR 10158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frame
measuring
soil
nutri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이엔
Priority to KR102014012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60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토양 재료와 식물체에 대한 이산화탄소 저감율, 변화율, 그리고 이를 종합한 탄소수지(Carbon Flux)를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측정 장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사각 입방체의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단에 하단이 분해 가능한 상태로 밀폐되게 장착되고, 개구된 외면에 투명창이 설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직육면 골조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투명창의 외면과 상기 상부커버의 측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커버를 개폐시키는 한 쌍의 작동실린더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 내측에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측으로 유동시키는 외기흡입팬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에 수용되는 토양 재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토양호흡량 측정센서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CARBON DIOXIDE OF PLANT AND SOIL MATERIAL}
본 발명은 식물체 및 토양 재료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토양 재료와 식물체에 대한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는 탄소나 그 화합물이 완전 연소하거나, 생물이 호흡 또는 발효할 때 생기는 기체로 대기의 약 0.03%를 차지한다.
상기한 이산화탄소를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 가스의 일종으로 현대 사회의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화석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근 온실가스의 저감을 위하여 세계 각국에서 대략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고 저장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식물체나 토양 재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기술은 다른 물리, 화학적 회수 방법들과 달리 투자 비용이 저렴하고, 환경 유해 물질의 발생으로 인한 2차 처리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경관 조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탄소 저감에 유리한 식생 발굴 및 개발, 탄소 저감형 농원예 또는 조경 소재, 즉 탄소 저감형 토양 개량제 등의 개발이 여러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최근의 상황에 비추어 식물체 및 토양 재료에 대한 이산화탄소 저감율, 변화율, 그리고 이를 종합한 탄소수지(Carbon Flux)를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382535호 "외기 및 토양 환경 측정장치"(2014.04.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토양 재료와 식물체에 대한 이산화탄소 저감율, 변화율, 그리고 이를 종합한 탄소수지(Carbon Flux)를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양 재료 및 측정 장치 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온도와 습도에 따른 토양 내 미생물 호흡 변화와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측정하거나 토양 재료에 의한 식물체의 생육 변화량 그리고 식물체의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 장치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고 외부의 대기 질과도 동일성을 띄게 하여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이고 식물체의 생육 환경이 보다 개선되도록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액공급부를 통해 식물체의 생육에 필요한 양액이 손쉽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사각 입방체의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단에 하단이 분해 가능한 상태로 밀폐되게 장착되고, 개구된 외면에 투명창이 설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직육면 골조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투명창의 외면과 상기 상부커버의 측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커버를 개폐시키는 한 쌍의 작동실린더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 내측에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측으로 유동시키는 외기흡입팬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에 수용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호흡에 의해 변화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토양호흡량 측정센서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에 수용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와 대기 중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투명창 및 상기 상부커버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과 상기 프레임의 최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가 개방될 때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측정 장치 내부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공기순환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에 수용된 토양 재료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상기 양액공급부는, 상기 수용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양액이 수용되는 양액저장조와, 상기 양액저장조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공급펌프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며 양액이 배출되도록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는 양액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토양 재료와 식물체에 대한 이산화탄소 저감율, 변화율, 그리고 이를 종합한 탄소수지(Carbon Flux)를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탄소 저감형 식물체의 발굴 및 토양 재료의 개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장치 내부 및 토양 재료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온도와 습도에 따른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저감율, 변화율, 그리고 이를 종합한 탄소수지(Carbon Flux)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순환팬을 통해 밀폐된 공간에서 이산화탄소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측정 장치 내부와 외부의 대기 질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고, 토양 재료에 식묘된 식물체의 생육 환경이 보다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공급부를 통해 식물체의 생육에 필요한 양액이 손쉽게 공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식물체의 생육 관리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케이스(10)와, 상기 수용케이스(10)의 상단에 장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커버(30)와, 상기 상부커버(30)에 설치되는 작동실린더(40)와,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외기흡입팬(50)과, 상기 수용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토양호흡량 측정센서(60)와,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7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케이스(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사각 입방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실험용 식물체 및 토양 재료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용케이스(10)는 상기 프레임(20)의 하단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프레임(20)에서 상기 수용케이스(10)를 분해하여 상기 수용케이스(10)의 내부로 식물체 및 토양 재료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수용케이스(10)의 상단에 하단이 분해 가능한 상태로 밀폐되게 장착되고 개구된 외면에 투명창(21)이 설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직육면 골조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명창(21)에 의해 개구된 부분이 밀폐되면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밀폐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0)은 바람직하게는 철골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명창(2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외기흡입팬(50)을 포함하는 제반 기기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명창(21)은 태양광이 손쉽게 투과되어 상기 수용케이스(10)에 수용된 실험용 식물체 및 토양 재료에 대한 미생물의 생장이나 상기 토양 재료에 식묘된 식물체의 생장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3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20)과 투명창(21)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실린더(40)는 상기 투명창(21)의 외면과 상기 상부커버(30)의 측면 사이에 한 쌍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상부커버(3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기흡입팬(50)은 상기 상부커버(30)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상단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소형 팬이 일렬로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에 상기 프레임(20)과 투명창(21)의 내부에서 하부측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외기흡입팬(50)은 밀폐된 공간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에 대한 측정이 완료된 후에 새로운 외기를 상기 프레임(20)과 투명창(21)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밀폐된 공간에서 대기의 흐름(대류)이 안정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측정한 이후 상부커버(30)가 개방될 때 상기 외기흡입팬(50)을 통해 측정 장치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밀폐되었던 공간의 대기 질과 외부의 대기 질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이산화탄소 측정값의 신뢰도를 떨어트리고 식물체 및 토양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양호흡량 측정센서(60)는 상기 수용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케이스(10)에 수용되는 토양 재료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지의 측정기기이다.
상기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70)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지의 측정기기이다.
이와 같은 상기 토양호흡량 측정센서(60)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70)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데이터는 유선통신 혹은 바람직하게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어 컴퓨터와 같은 외부기기에 저장되고, 그에 따라 실험자가 상기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수용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온습도센서(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습도센서(80)는 상기 수용케이스(10)에 수용되는 토양 재료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공지의 측정기기이다. 이와 같이 상기 온습도센서(80)를 설치함으로써, 온도와 습도에 따른 상기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저감율, 변화율, 그리고 이를 종합한 탄소수지(Carbon Flux)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온습도센서(80)와 상기 토양호흡량 측정센서(60)를 통해 토양 재료 및 측정 장치 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온도와 습도에 따른 토양 내 미생물 호흡 변화와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측정하거나 토양 재료에 의한 식물체의 생육 변화량 그리고 식물체의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공기순환팬(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팬(90)은 상기 프레임(20)과 투명창(21) 및 상기 상부커버(30)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폐쇄된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폐쇄된 공간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균일해지고 상기 토양 재료에 식묘된 식물체나 상기 토양 재료에 있는 미생물 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생육하게 된다.
또한, 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양액공급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양액공급부(1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에 수용된 토양 재료에 양액을 공급하여 식물체의 생육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양액공급부(1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양액이 수용되는 양액저장조(101)와, 상기 양액저장조(101)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20)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관(102)과, 상기 연결관(10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공급펌프(103)와, 상기 프레임(20)의 내측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관(102)과 연결되며 양액이 배출되도록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는 양액배출관(104)을 포함한다.
상기 양액공급부(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상기 공급펌프(103)가 작동되면서 상기 양액저장조(101)에 있는 양액을 상기 연결관(102)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양액배출관(104)으로 공급하면 상기 양액배출관(104)에서 양액이 미세하게 배출되면서 상기 토양 재료에 양액이 공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케이스(10)의 내부에 토양 재료(S)를 수용한 후에 상기 토양 재료(S)에 식물체(P)를 식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실린더(40)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커버(30)를 열고 상기 외기흡입팬(50)을 작동시켜 상기 프레임(20)과 투명창(21)의 내부로 상기 식물체(P)를 향해 외기를 공급하게 된다.
외기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외기흡입팬(50)을 중지시키고, 상기 작동실린더(40)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커버(30)를 닫아 상기 프레임(20)과 투명창(21)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순환팬(90)을 작동시켜 밀폐된 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토양호흡량 측정센서(60)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70) 및 온습도센서(80)를 통해 상기 식물체 및 토양 재료(S)의 이산화탄소 흡수율과 공기에 대한 식물체(P)의 이산화탄소 흡수율과 상기 토양 재료(S)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어 컴퓨터 등에 저장되어 실험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물체(P)에 대한 양액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나 공급 시간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공급펌프(103)가 작동되면서 상기 양액저장조(101)에 수용된 양액을 상기 연결관(102)을 통해 상기 양액배출관(104)에 공급하여 상기 양액배출관(104)에서 상기 토양 재료(S)로 양액이 배출되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토양 재료(S)에 공급된 양액은 상기 식물체(P)의 뿌리에 전달되어 상기 식물체(P)의 생장에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수용케이스
20 : 프레임
21 : 투명창
30 : 상부커버
40 : 작동실린더
50 : 외기흡입팬
60 : 토양호흡량 측정센서
70 :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80 : 온습도센서
90 : 공기순환팬
100 : 양액공급부
101 : 양액저장조 102 : 연결관
103 : 공급펌프 104 : 양액배출관
S : 토양 재료
P : 식물체

Claims (5)

  1. 식물체 및 토양 재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사각 입방체의 수용케이스(10)와;
    상기 수용케이스(10)의 상단에 하단이 분해 가능한 상태로 밀폐되게 장착되고, 개구된 외면에 투명창(21)이 설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직육면 골조 형태의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부커버(30)와;
    상기 투명창(21)의 외면과 상기 상부커버(30)의 측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커버(30)를 개폐시키는 한 쌍의 작동실린더(40)와;
    상기 상부커버(30)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상단 내측에 일렬로 다수개가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측으로 유동시키는 외기흡입팬(50)과;
    상기 수용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0)에 수용되는 토양 재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토양호흡량 측정센서(60)와;
    상기 프레임(2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측정센서(70)와;
    상기 수용케이스(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0)에 수용되는 토양 재료 및 측정 장치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80)와;
    상기 프레임(20)의 내부 중앙에 일렬로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과 투명창(21) 및 상기 상부커버(30)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0)에 수용된 토양 재료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공급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공급부(1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양액이 수용되는 양액저장조(101)와,
    상기 양액저장조(101)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20)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관(102)과,
    상기 연결관(10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공급펌프(103)와,
    상기 프레임(20)의 내측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관(102)과 연결되며 양액이 배출되도록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는 양액배출관(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KR1020140128449A 2014-09-25 2014-09-25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KR10158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449A KR101583604B1 (ko) 2014-09-25 2014-09-25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449A KR101583604B1 (ko) 2014-09-25 2014-09-25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604B1 true KR101583604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449A KR101583604B1 (ko) 2014-09-25 2014-09-25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6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39B1 (ko) * 2017-07-24 2018-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 테스트가 가능한 진공 챔버를 구비한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KR20180043967A (ko) * 2016-10-21 2018-05-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연속 광합성 및 호흡 측정장치
CN109738614A (zh) * 2019-01-31 2019-05-10 浙江农林大学 一种毛竹林土壤异养呼吸和自养呼吸速率的间接测定方法
CN110687247A (zh) * 2019-10-30 2020-01-14 江西农业大学 无土体扰动收集和测定根系和土壤co2呼吸的试验装置
KR20220095672A (ko) * 2020-12-30 2022-07-07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독립형 탄소 분석 멀티 유니트
KR20240010258A (ko) 2022-07-15 2024-01-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끼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저감 측정시스템
CN117907579A (zh) * 2024-03-19 2024-04-19 山西省地质调查院有限公司 一种持续监测土壤碳通量的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907579B (zh) * 2024-03-19 2024-06-07 山西省地质调查院有限公司 一种持续监测土壤碳通量的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35B1 (ko) 2011-12-12 2014-04-10 대한민국 외기 및 토양 환경 측정장치
KR101402744B1 (ko) * 2012-07-24 2014-06-03 대한민국 무벤치 저면매트를 이용한 원예작물 수경 재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35B1 (ko) 2011-12-12 2014-04-10 대한민국 외기 및 토양 환경 측정장치
KR101402744B1 (ko) * 2012-07-24 2014-06-03 대한민국 무벤치 저면매트를 이용한 원예작물 수경 재배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lish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19.2: 283-291 (2010) *
Polish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19.2: 283-291 (2010)*
원예과학기술지 제29권 제3호, pp. 211-216 (2011. 6월)* *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967A (ko) * 2016-10-21 2018-05-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연속 광합성 및 호흡 측정장치
KR101816239B1 (ko) * 2017-07-24 2018-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 테스트가 가능한 진공 챔버를 구비한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WO2019022428A1 (ko) * 2017-07-24 2019-01-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 테스트가 가능한 진공 챔버를 구비한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US11014694B2 (en) 2017-07-24 2021-05-25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Testing apparatus having vacuum chamber, capable of ground testing, and testing method using same
CN109738614A (zh) * 2019-01-31 2019-05-10 浙江农林大学 一种毛竹林土壤异养呼吸和自养呼吸速率的间接测定方法
CN110687247A (zh) * 2019-10-30 2020-01-14 江西农业大学 无土体扰动收集和测定根系和土壤co2呼吸的试验装置
KR20220095672A (ko) * 2020-12-30 2022-07-07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독립형 탄소 분석 멀티 유니트
KR102426011B1 (ko) 2020-12-30 2022-07-29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독립형 탄소 분석 멀티 유니트
KR20240010258A (ko) 2022-07-15 2024-01-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끼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저감 측정시스템
CN117907579A (zh) * 2024-03-19 2024-04-19 山西省地质调查院有限公司 一种持续监测土壤碳通量的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907579B (zh) * 2024-03-19 2024-06-07 山西省地质调查院有限公司 一种持续监测土壤碳通量的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604B1 (ko) 식물체 및 토양 재료의 이산화탄소 측정 장치
US201901776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 bio-printing
CN202095348U (zh) 一种植物工厂空气循环系统
WO2008136190A1 (ja) 発芽・育成装置及び植物栽培用器具
WO2009137774A3 (en) Plant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KR20160081120A (ko) 재배 환경과 양액 공급 자동 제어형 식물 재배기
JP2009118820A (ja) コンパクト回転培養システム及び培養容器
US20100216218A1 (en) Apparatus for carbon dioxide-capture system and use of the same
CN203807479U (zh) 培养罐、间歇浸没培养装置及系统
CN104856781A (zh) 实验动物烟熏造模箱及其造模方法
CN206776152U (zh) 一种植物病害接种箱
KR101263713B1 (ko) 휴대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
US11089747B2 (en) Bioreactor
CN204356341U (zh) 一种用于风湿免疫科的co2培养箱
CN205329014U (zh) 一种玉米浆培养基
JPH06165624A (ja) 植物体の培養方法及びバイオリアクタ
CN205052315U (zh) 植物培养箱
CN201762329U (zh) 培养装置
CN207978516U (zh) 一种百合花培育装置
JP6266423B2 (ja) 植物栽培装置
CN207264658U (zh) 模拟植物根、根际生态模拟装置
CN207537435U (zh) 一种带厌氧装置的培养基装置
JP2006166748A (ja) 給水機能付き培養装置
CN206843503U (zh) 一种二氧化碳培养箱
CN206457493U (zh) 一种袋式缺氧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