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752B1 - 원통형 지관 - Google Patents

원통형 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752B1
KR101582752B1 KR1020140082557A KR20140082557A KR101582752B1 KR 101582752 B1 KR101582752 B1 KR 101582752B1 KR 1020140082557 A KR1020140082557 A KR 1020140082557A KR 20140082557 A KR20140082557 A KR 20140082557A KR 101582752 B1 KR101582752 B1 KR 10158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reinforcing
main
reinforc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철
Original Assignee
배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철 filed Critical 배진철
Priority to KR102014008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ssentially made of sheet material
    • B65H2701/5112Paper or plastic sheet material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본체관, 본체관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본체관의 외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제1보강관, 제1보강관에 의해 감싸진 본체관 외주면 이외의 나머지 부위인 본체관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본체관의 외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제2보강관을 포함하며, 본체관은 종이이며, 제1보강관 및 제2보강관은 합성수지인 원통형 지관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원통형 지관은, 종이재질의 본체관 외측을 감싸도록 합성수지재질의 제1보강관 및 제2보강관을 삽입 설치하는 바, 제1보강관 및 제2보강관이 본체관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서, 본체관의 두께 증가없이도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지관{Paper tube for roll}
본 발명은 원사, 가공사, 필름지, 직물원단 등을 롤(Roll) 형태로 권취할 수 있게 하는 원통형 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여러 겹의 제단된 원지를 나선형으로 겹치도록 권취 및 접착하여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용도에 맞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중량이 큰 직물원단 등을 권취할 경우에는 원지를 여러겹으로 권취 및 접착시켜 두께를 늘려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관은 감고자 하는 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늘릴 수 있는 두께에 한계가 있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손상이 발생함과 더불어 열이나 습기에 의해 쉽게 파손됨으로 인해, 감고자 하는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원통형 지관은,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7663호(1998.09.15)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감고자 하는 대상물의 중량에 따른 두께의 계속적인 증가없이도 안정적인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원통형 지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본체관, 상기 본체관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관의 외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제1보강관, 상기 제1보강관에 의해 감싸진 상기 본체관 외주면 이외의 나머지 부위인 상기 본체관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관의 외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제2보강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관은 종이이며,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은 합성수지인 원통형 지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의 내주면에는, 원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본체관의 각 단부를 삽입 상태로 걸림되게 걸림단이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단은 'L'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관과 상기 제2보강관이 상호 맞닿는 길이방향 양단의 면부에는, 상호 형합되는 연결돌기부 및 연결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지관은, 종이재질의 본체관 외측을 감싸도록 합성수지재질의 제1보강관 및 제2보강관을 삽입 설치하는 바, 제1보강관 및 제2보강관이 본체관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서, 본체관의 두께 증가없이도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통형 지관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지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통형 지관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지관은, 본체관(100), 제1보강관(200), 제2보강관(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관(100)은 감고자 하는 대상물의 감김상태를 지지하는 관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관(100)은 내부에 빈 중공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관(100)은 중량 및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종이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은 상기 본체관(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관(100) 외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본체관(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관 형상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은 상기 본체관(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관(100)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보강관(200)은 상기 본체관(10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관(10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관(100) 외측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강관(200)은 상기 제1보강관(200)에 의해 감싸진 상기 본체관(10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 이외의 나머지 외주면, 즉 상기 본체관(10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관(10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관(100) 외측에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보강관(200) 내주면 직경 및 상기 제2보강관(200)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본체관(100)의 외측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관(100)의 외주면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관(200) 내주면 및 상기 제2보강관(300) 내주면에는 각각 홈(210,310)이 요입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홈(210,310)은 상기 제1보강관(200) 내주면 및 상기 제2보강관(300) 내주면에 각각 원둘레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요입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210,310)은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200)의 각 길이방향 일단 테두리 부분에서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200)의 각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같은, 상기 홈(210,310)은 상기 제1보강관(200)과 상기 제2보강관(300)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제1보강관(200)의 길이방향 일단 테두리 부분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제1보강관(200)과 상기 제2보강관(300)을 상기 본체관(100) 외측에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관(100)의 길이방향 양단 테두리 부분에 걸림되게 하는 걸림단(220,320)이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단(220,320)은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을 상기 본체관(100) 외측에 삽입시, 상기 제1보강관(2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의 길이방향 일단을 각각 상기 본체관(100)의 길이방향 각 단부 테두리 부분에서 삽입 걸림되게 하여,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이 상기 본체관(100)으로 더 이상으로 삽입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걸린단(220,320)은 상기 제1보강관(2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의 길이방향 일단을 각각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L"단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이 상기 본체관(10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닿게 되는 면부, 즉, 상기 제1보강관(20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면부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면부에는 상호 형합되도록 연결돌기부(400)와 연결홈(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돌기부(400)와 상기 연결홈(401)은 상기 본체관(10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닿게 되는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의 길이방향 타단 부분을 안정적인 연결상태로 체결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원통형 지관은, 종이재질의 상기 본체관(100) 외측을 감싸도록 합성수지재질의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을 삽입 설치하는 바, 상기 제1보강관(200) 및 상기 제2보강관(300)이 상기 본체관(10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서, 상기 본체관(100)의 두께 증가없이도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관 200: 제1보강관
210,310: 홈 220,320: 걸림단
300: 제2보강관 400: 연결돌기부
401: 연결홈

Claims (4)

  1.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관의 외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제1보강관과;
    상기 제1보강관에 의해 감싸진 상기 본체관 외주면 이외의 나머지 부위인 상기 본체관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관의 외측에 대응되게 삽입 설치되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의 제2보강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관은 종이이며,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은 합성수지이고,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의 내주면에는, 원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관과 상기 제2보강관이 상호 맞닿는 길이방향 양단의 면부에는, 상호 형합되는 연결돌기부 및 연결홈이 더 형성된 원통형 지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관 및 상기 제2보강관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본체관의 각 단부를 삽입 상태로 걸림되게 걸림단이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원통형 지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L'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지관.
  4. 삭제
KR1020140082557A 2014-07-02 2014-07-02 원통형 지관 KR10158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57A KR101582752B1 (ko) 2014-07-02 2014-07-02 원통형 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57A KR101582752B1 (ko) 2014-07-02 2014-07-02 원통형 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752B1 true KR101582752B1 (ko) 2016-01-06

Family

ID=5516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557A KR101582752B1 (ko) 2014-07-02 2014-07-02 원통형 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720B1 (ko) 2015-12-01 2017-09-06 김광호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KR20200025650A (ko) * 2018-08-31 2020-03-10 홍익씨엠에스 주식회사 종이 스트로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1057A (ja) * 2001-02-19 2002-08-28 Nippon Shikan Kogyo Kk 紙管製巻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27347A (ja) * 2008-03-19 2009-10-08 Toyo Lite Co Ltd 巻取りコア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1057A (ja) * 2001-02-19 2002-08-28 Nippon Shikan Kogyo Kk 紙管製巻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27347A (ja) * 2008-03-19 2009-10-08 Toyo Lite Co Ltd 巻取りコア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720B1 (ko) 2015-12-01 2017-09-06 김광호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KR20200025650A (ko) * 2018-08-31 2020-03-10 홍익씨엠에스 주식회사 종이 스트로 제조방법
KR102520702B1 (ko) * 2018-08-31 2023-04-11 홍익씨엠에스 주식회사 종이 스트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79332B2 (en) Paper-made reel
US9074711B2 (en) Axially expansible pipe assembly
KR101582752B1 (ko) 원통형 지관
JP6164835B2 (ja)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並びに釣竿用竿体の製造方法
US3189053A (en) Flexible hose
MY157602A (en) Pipe section and methods for its production
KR101541152B1 (ko) 선재 권취장치
WO2015165367A1 (zh) 可伸缩软管
ITUD20120033A1 (it) Portacavi perfezionato
EP1470071B1 (en) Plastic bobbi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bobbin
CN203628061U (zh) 一种钢带增强波纹管
US1687586A (en) Fiber core
CN105465498A (zh) 内肋增强螺旋波纹缠绕管
CN204999429U (zh) 具备定位装置和尼龙搭扣带的单卷筒结构
KR101635757B1 (ko) 저탄소 친환경 분사보빈
JP6498297B2 (ja) コア用蓋材及びフィルムロール
US1995617A (en) Lens lining for spectacle frames
CN212799074U (zh) 一种防静电卷芯管
KR102247875B1 (ko) 폴대의 거리 변화 없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텐트 지지용 폴대
KR20180024441A (ko) 릴낚시대의 라인 가이드
JP5847665B2 (ja) 合成樹脂製可撓管
KR20100068703A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코로게이트관
CN207279061U (zh) 一种玻璃钢复合缠绕管的内管单元
EP1464884A4 (en) CONNECTION METHOD AND CONNECTION CONSTRUCTION OF PLASTIC TUBE
JP6138329B1 (ja) 紙管に合成樹脂製の平紐がレコード巻されてなるテープ巻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