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750B1 -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2750B1 KR101582750B1 KR1020140080856A KR20140080856A KR101582750B1 KR 101582750 B1 KR101582750 B1 KR 101582750B1 KR 1020140080856 A KR1020140080856 A KR 1020140080856A KR 20140080856 A KR20140080856 A KR 20140080856A KR 101582750 B1 KR101582750 B1 KR 101582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musical instrument
- screw rod
- hole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25 natural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3514 Barrett esophag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05217 Viola <butterfly>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22)이 삽입되는 구멍(11)이 형성되는 피고정물(10);
나사봉(22)을 상면에 형성하며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3);
상기 구멍(11)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봉(22)과 결합하여 피고정물(10)을 고정하는 너트(25); 및
상기 피고정물(10)의 저면에 안치되어 너트(25)와 나사봉(22)의 결합력으로 추가 누름압력을 전달해 더욱 강하게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접촉하여 피고정물(10)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받침구는 고정판의 높이를 유지하는 판상, 바 형상 또는 돌기형상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형상을 이룬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이다.
나사봉(22)을 상면에 형성하며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3);
상기 구멍(11)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봉(22)과 결합하여 피고정물(10)을 고정하는 너트(25); 및
상기 피고정물(10)의 저면에 안치되어 너트(25)와 나사봉(22)의 결합력으로 추가 누름압력을 전달해 더욱 강하게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접촉하여 피고정물(10)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받침구는 고정판의 높이를 유지하는 판상, 바 형상 또는 돌기형상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형상을 이룬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착물에 원음의 진동을 손실 없이 전달하고, 원음의 감소나 변형이 없는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타나 바이올린 등의 현악기 제조에 있어서 좋은 소리를 만드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음향목의 선택에 전적으로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상판의 두께 조절이나 사운드 포스트의 위치, 공명통 내의 브레이싱의 설계 등의 방법이 제조법상 중요하게 여겨지기는 하지만, 이는 궁극적으로는 목재가 갖고 있는 잠재력을 잃지 않기 위한 것으로 선택된 재료에서의 음질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극적인 노력에 불과하다.
목재가 음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건조된 목재 내부에 남아있는 천연수지의 분포 형태와 건조시 수액이 빠져나간 공간(pore)의 비율과 분포에 달려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악기 등의 목재를 이용한 악기를 제조하는 장인은 목재를 선택할 때 손으로 직접 두드려 보고(Tapping test) 고른다. 그러나 목재의 나무결이나 잔류수지 등의 구성은 불규칙하므로 절단, 연마 등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그 음향은 계속 변화하게 된다.
그리하여 고가의 수제악기의 경우는 작업 과정 과정마다 두드림(Tapping test)을 하면서 계속적인 튜닝을 하지만, 대량생산되는 일반 악기의 경우는 그 선택된 목재만으로 음질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악기의 형태가 다 갖춰지면, 내마모성이나 내습성, 내식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도장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데, 목재표면에 형성된 도막이 목재의 공명을 방해하게 되므로, 고가의 악기는 쉘락, 니트로셀룰로오스, 래커 등의 도장재를 아주 얇게 적용하여 목재의 공명을 되도록 잃지 않게 노력을 하는 게 일반적이다. 소리만을 말하자면 도장하지 않은 악기의 소리가 제일 좋다고 말하기도 한다.
반면 양산형 악기의 경우는 작업 편의성과 내구성 등의 이유로 두터운 우레탄 마감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명장인 스트라디바리는 자신이 만든 악기에 자신만의 독특한 유약을 사용한 사람으로 유명하며, 이 악기의 소리의 상당한 비중이 이 유약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의 유약은 동, 식물의 추출물이 주종인데, 곤충의 날개에서 추출한 키틴질이나 여러 종류의 나무 수액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잘 선택된 천연수지의 혼합물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재가 사용된 악기는 에이징(Aging; 길들이기)에 의해서 소리가 변화하게 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목재 내외부의 수지가 결정화(Crystalize)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길들이기 기간 동안 방치된 악기보다는 명연주자의 손에서 계속 연주 되어진 악기가 좋은 소리를 내게 되는데, 이는 수지의 결정이 좋은 진동에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민감하게 각자의 특색있는 소리를 내는 악기이므로 악기에 보면대 등의 부착물을 결합하면 윙윙거리는 마찰잡음(buzz) 의 문제점이 있고, 전자튜너를 걸어 사용하는 경우 밀착도가 저하되어 튜너의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즉, 악기조율용 전자튜너로 사용되는 국내공개특허 10-2004-0086760호는 전자튜너에 튜너브래킷이 결합되어 전자튜너의 측면 안내홈을 따라 튜너브래킷의 길이가 늘어나 악기 바닥에 놓이거나 걸어 사용하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이는 사용성은 좋으나 단순히 튜너브래킷의 걸이구로 걸어 사용하는 방식이어서 악기 사용시 악기와 튜너의 밀착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기타부착식 휴대용 보면대가 국내공개특허 10-2007-0102464호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악기 표면에 흡착하는 흡착판, 흡착판의 상면에 일단이 너트로 각도 조절 가능토록 조임되는 하부몸체부재와, 하부몸체부재의 상단에 역시 너트로 각도조절 가능토록 결합하는 상부몸체부재와, 상부몸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보면대로 이루어진다. 이는 흡착판을 이용하여 악기의 표면에 고정하고, 상하부몸체부재를 통하여 원하는 높이와 거리를 조정하고, 상부몸체부재 상단의 보면대를 사용하여 보면대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별도로 외부 보면대 없이도 악기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역시 흡착판에만 고정하는 방식이어서 고정력이 약하고, 악기의 소리가 윙윙거리는 마찰잡음(buzz)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피고정물이 추가 누름 압력으로 눌려지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악기 또는 스피커 본체 표면에 밀착되게 하므로 원음의 변화나 마찰잡음 없이 부착사용하며,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표면의 손상 없이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한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피고정물;
나사봉을 상면에 형성하며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판;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봉과 결합하여 피고정물을 고정하는 너트; 및
상기 피고정물의 저면에 안치되어 너트와 나사봉의 결합력으로 추가 누름 압력을 전달해 더욱 강하게 악기 또는 스피커 본체 표면에 접촉하여 피고정물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일반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피고정물이 추가 누름 압력으로 눌려지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악기 또는 스피커 본체의 표면에 밀착되게 하므로 원음의 변화나 마찰잡음(buzz) 없이 부착사용 가능한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표면의 손상 없이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22)이 삽입되는 구멍(11)이 형성되는 피고정물(10);
나사봉(22)을 상면에 가지며 악기 또는 스피커 본체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3);
상기 구멍(11)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봉(22)과 결합하여 피고정물(10)을 고정하는 너트(25); 및
상기 피고정물(10)의 저면에 안치되어 너트(25)와 나사봉(22)의 결합력으로 추가 누름 압력을 전달해 더욱 강하게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접촉하여 피고정물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20)은 고정수단으로, 고정수단의 일 예로는 고정판(23)과 나사봉(22) 및 너트(25)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받침구(27)의 일 예는 고정판(23)보다 큰 고정판공(26)을 가지며 추가 누름 압력이 가능토록 고정판(23)의 높이를 유지하는 판상을 포함하여 이룬 것을 도 2와 같이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받침구(27)의 다른 예는 고정판(23)의 직경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바 형상의 받침구인 받침바(27a)를 도 3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받침구(27)의 또 다른 예는, 고정판(23)의 직경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닿도록, 도 4와 같이 피고정물(10) 저면 모서리 부위에 일체로 돌출시킨 돌기형 받침구인 받침돌기(27b)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악기는 현악기, 건반악기, 타악기 또는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유닛을 케이스 본체에 적어도 하나 수장한 스피커인 것을 예시할 수 있고, 현악기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기타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은 흡착판이나 매직테이프나 벨크로나 자석등의 고정수단을 가지는 고정판(23)을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에 당김 가능한 결착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고정판공(26)을 가지는 받침구(27)를 나사봉(22)이 고정판공(26)에 삽입되어 노출되도록 안치시킨다. 물론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에 받침구(27)의 저면이 닿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판공(26)과 동축으로 구멍(11)이 오도록 피고정물(10)을 안치시킨다. 이때 피고정물(10)의 저면을 받치면서 구멍(11) 으로 끼워져 노출된 나사봉(22)을 너트(25)를 사용하여 강하게 결합하여 피고정물(10)이 받침구(27)를 통하여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을 누르면서 밀착되게 한다.
그러면 악기 또는 스피커(1)의 울림 음이 그 본체 표면에 누름압력으로 밀착된 받침구(27)를 경유하여 피고정물(10)에 추가 진동이나 마찰잡음 없이 전달되므로, 악기 또는 스피커 본연의 음이 변형이나 감소가 없도록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로는, 도 3 과 같이 받침구를 판재가 아닌 바 형상의 받침바(27a) 형태로 일조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각 바 형상의 받침바(27a)는 고정판(23)의 직경보다는 큰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되어 고정판(23)의 고정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에 밀착되며, 이러한 밀착을 이루는 요인은 구멍(11)을 가지는 피고정물(10)이 나사봉(22)과 너트(25)의 결합으로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을 향하는 누름 압력으로 인한 밀착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이 때로는 평평하지 않고 곡면을 이루기도 하므로 악기 또는 스피커의 표면 상태에 상관없이 밀착하여 지지하고 피고정물(10)을 단단히 본체 표면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로는, 도 4와 같이 받침구를 받침돌기(27b) 형태로 적어도 3개가 분산설치되도록 구성하고, 각 받침돌기(27b)는 고정판(23)의 직경보다는 큰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되어 고정판(23)의 고정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에 각 받침돌기(27b)가 밀착되며, 이러한 밀착을 이루는 요인은 구멍(11)을 가지는 피고정물(10)이 나사봉(22)과 너트(25)의 결합으로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을 향하는 누름 압력의 밀착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이 때로는 평평하지 않고 곡면을 이루기도 하므로 악기 또는 스피커의 표면 상태에 상관없이 밀착하여 지지하고 피고정물(10)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3의 구성은 피고정물(10)을 도 2의 판상의 받침구(27)나, 도 3의 통상의 막대바 같은 바형상의 받침구(27a)나 반구형의 받침돌기(27b)에 의하여 악기 또는 스피커 본체의 표면에 누름 압력으로 밀착하므로, 피고정물(10)이 직접(도 3, 도 4)이나 간접(도 2) 고정되어 악기 또는 스피커(1)의 표면에 요동 없이 고정설치된다. 이는 악기 또는 스피커 본연의 진동을 감소 없이, 음의 변형 없이 출력하므로,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연의 소리의 변동이나 마찰잡음 없이 출력하게 된다.
이는 악기 또는 스피커 표면에 단순히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악기 또는 스피커 표면에서 고정판(23)이 악기 또는 스피커(1)의 본체 표면을 밀착하여 당기고, 피고정물(10)은 나사봉(22)과 너트(25)의 나사결합력으로 피고정물(10)과 받침구(27)를 통한 추가압력으로 더욱 강하게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피고정물 구조를 이루고, 피고정물은 구멍(11)을 포함하는 구성 외에 추가로 보면대 구조를 추가결합하거나 보면대에 구멍(11)구조를 형성하여 완성할 수 있다.
또한, 구멍(11)을 가진 피고정물(10)에 별도의 튜너고정구를 진동 없이 설치가능한 클립 등의 추가 수단(다양하게 구성가능하고, 이러한 구성 자체는 알려진 기술이므로 단순히 다양한 고정물을 고정할 수 있다는 말로 표기한다)을 추가하여 사용 가능하다.
1;악기 또는 스피커 10;피고정물 11;구멍 20;고정수단 22;나사봉 23;고정판 25;너트 26;고정판공 27;받침구 27a;바 형상의 받침바 27b;돌기형 받침돌기
Claims (4)
- 삭제
-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22)이 삽입되는 구멍(11)이 형성되는 피고정물(10);
나사봉(22)을 상면에 형성하며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3);
상기 구멍(11)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봉(22)과 결합하여 피고정물(10)을 고정하는 너트(25); 및
상기 피고정물(10)의 저면에 안치되어 너트(25)와 나사봉(22)의 결합력으로 추가 누름압력을 전달해 더욱 강하게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접촉하여 피고정물(10)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받침구는 고정판(23)보다 큰 고정판공(26)을 가지며, 누름 압력이 가능토록 고정판(23)의 높이를 유지하는 판상의 받침구(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22)이 삽입되는 구멍(11)이 형성되는 피고정물(10);
나사봉(22)을 상면에 형성하며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3);
상기 구멍(11)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봉(22)과 결합하여 피고정물(10)을 고정하는 너트(25); 및
상기 피고정물(10)의 저면에 안치되어 너트(25)와 나사봉(22)의 결합력으로 추가 누름압력을 전달해 더욱 강하게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접촉하여 피고정물(10)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받침구는 고정판(23)의 직경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악기 또는 스피커 의 본체 표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바(Bar) 형상의 받침바(27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22)이 삽입되는 구멍(11)이 형성되는 피고정물(10);
나사봉(22)을 상면에 형성하며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3);
상기 구멍(11)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봉(22)과 결합하여 피고정물(10)을 고정하는 너트(25); 및
상기 피고정물(10)의 저면에 안치되어 너트(25)와 나사봉(22)의 결합력으로 추가 누름압력을 전달해 더욱 강하게 악기 또는 스피커의 본체 표면에 접촉하여 피고정물(10)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받침구는 고정판(23)의 직경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악기 또는 스피커 의 본체 표면에 닿도록 피고정물(10) 저면 모서리 부위에 일체로 형성한 돌기형 받침돌기(27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0856A KR101582750B1 (ko) | 2014-06-30 | 2014-06-30 |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0856A KR101582750B1 (ko) | 2014-06-30 | 2014-06-30 |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2750B1 true KR101582750B1 (ko) | 2016-01-05 |
Family
ID=5516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0856A KR101582750B1 (ko) | 2014-06-30 | 2014-06-30 |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275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9629U (ja) * | 1991-08-23 | 1993-03-12 | 有限会社朝日電機製作所 | 吸着盤式ペーパーホルダー |
JPH08224153A (ja) * | 1995-02-21 | 1996-09-03 | Shiyuusei Shimokawa | 吸盤付き剣山 |
JPH11280749A (ja) * | 1998-03-27 | 1999-10-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機器の滑り止め装置 |
KR20110135245A (ko) * | 2010-06-10 | 2011-12-16 | 임연정 | 비데 고정장치 |
-
2014
- 2014-06-30 KR KR1020140080856A patent/KR1015827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9629U (ja) * | 1991-08-23 | 1993-03-12 | 有限会社朝日電機製作所 | 吸着盤式ペーパーホルダー |
JPH08224153A (ja) * | 1995-02-21 | 1996-09-03 | Shiyuusei Shimokawa | 吸盤付き剣山 |
JPH11280749A (ja) * | 1998-03-27 | 1999-10-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機器の滑り止め装置 |
KR20110135245A (ko) * | 2010-06-10 | 2011-12-16 | 임연정 | 비데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70053B2 (en) | Adjustable cajón instrument | |
US7932457B2 (en) | Accelerated aging process for 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 |
WO2015061745A1 (en) | Snare cajon instrument | |
US7145064B2 (en) | Acoustic amplifier and tone controll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
US20080289483A1 (en) | Method of modify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 wooden article | |
US4671158A (en) | Drum resonance eliminator | |
Gough | The violin: Chladni patterns, plates, shells and sounds | |
CA2901701A1 (en) | Passive amplification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 |
JP6129874B2 (ja) | 楽器トランスデューサキャビティ | |
KR101582750B1 (ko) | 악기 또는 스피커용 부착장치 | |
US9472170B2 (en) | Guitar | |
US9792888B1 (en) | Drum mount | |
US20170206866A1 (en) | Guitar bridge with tonal enhancement | |
US8247675B2 (en) | Brass musical instruments with modifiable tonality | |
US20140144307A1 (en) | Guitar | |
EP3882904A2 (en) | Accessory assembly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 |
US8367915B1 (en) | String compact adjustment apparatus | |
US4941383A (en) | Method for tuning violins | |
US20080011146A1 (en) | Saddle For Stringed Instruments | |
Trapasso | Feature based analysis of the violin tone quality | |
JP3014595U (ja) | 電気弦楽器のピックアップ装置 | |
KR102442445B1 (ko) | 현악기 | |
JP2020181145A (ja) | 楽器用共鳴補助具及び楽器 | |
US9466276B1 (en) |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a resonator assembly | |
JP2019502170A (ja) | 弦楽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