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661B1 -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661B1
KR101582661B1 KR1020150076262A KR20150076262A KR101582661B1 KR 101582661 B1 KR101582661 B1 KR 101582661B1 KR 1020150076262 A KR1020150076262 A KR 1020150076262A KR 20150076262 A KR20150076262 A KR 20150076262A KR 101582661 B1 KR101582661 B1 KR 10158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b
unit
electrically connected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920A (ko
Inventor
조금용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케이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3482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266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케이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제이앤케이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7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6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만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에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USB 수 커넥터를 삽입 시 별도의 확인 및 조작을 요하지 않아 삽입이 수월한 특징을 갖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REVERSIBLE UNIVERSAL SERIAL BUS MALE CONNECTOR}
본 발명은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만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에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USB 수 커넥터를 삽입 시 별도의 확인 및 조작을 요하지 않아 삽입이 수월한 특징을 갖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컴퓨터 및 주변기기를 서로 연결할 때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병렬포트, RS-232 직렬 포트 및 PS/2 포트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포트 및 케이블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연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해당 기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자가 연결을 시도하거나, 해당 케이블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 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하는데 있어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로 인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당시 대표적인 컴퓨터 관련업체인 Intel, Micro soft, IBM, HP 및 NEC 등의 합의와 협력을 통해 1996년 1월 인터페이스의 표준이 USB가 개발되어 위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다. USB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서, 특허 사용료가 무료이고,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중소 기업 등에서도 활발하게 이용하여 많은 보급이 되었다. 특히 USB는 컴퓨터에서 주변기기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플러그앤 플레이(Plug and Play)기능과 컴퓨터의 전원을 켠 상태로 연결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핫 스와핑(Hot swapping) 기능을 가장 큰 특징을 꼽을 수 있다.
위와 같이 USB는 많은 사용과 추가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평균 12M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USB 1.0 에서부터 현재 평균 10G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USB 3.1 까지 다양한 USB가 개발되어져 왔다. 여기서, 상위 버젼의 USB는 하위 버전의 USB에 하위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어, 인터페이스 장비를 교체하지 않고 상위 버전의 USB를 사용할 수 있어, 기술개발에 있어 범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추가된다.
또한, USB는 표준 A타입의 커넥터 외에 보다 작은 크기의 커넥터인 B, Mini-A, Mini-B, Micro-A 및 Micro-B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져 왔다.
USB는 USB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는 복수의 암 단자에, USB 커넥터의 복수의 수 단자가 서로 접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다른 종류의 단자가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되면 전자장비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USB는 일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동일한 종류의 단자 간에 연결을 유도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는 USB 커넥터를 USB 인터페이스에 삽입 시 USB 커넥터 및 USB 인터페이스의 내부를 각각 확인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조정한 뒤 삽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크기가 비교적 큰 크기의 표준 Type A 의 USB인 경우 보다,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Mini 또는 Micro 타입의 USB인 경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하지 않을 시, 커넥터 또는 인터페이스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올바른 방향의 위치 확인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5173호(선행문헌1)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USB 인터페이스와 일 방향으로 접하여 연결되는 컨택트, 서포트 플레이트 및 리셉터클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의 경우 컨택트가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면에만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USB 인터페이스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방향으로 삽입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장비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51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 방향 뿐만 아니라, 타 방향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방향으로 삽입되는 USB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USB 인터페이스에 별도의 추가장비 또는 변경이 필요 없이, 모든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USB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표준 Type A 의 USB 규격 뿐만 아니라, Micro-B Type의 USB 인터페이스에 모든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USB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USB 커넥터가 잦은 삽입 및 제거로 인한 제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USB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준 규격의 USB 암 인터페이스에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한 면으로 삽입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수 커넥터를 제공하며, USB 수 커넥터는 USB 암 인터페이스에 유도 삽입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 내측에 위치하고 일방향 및 타방향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이 서로 대칭하는 플러그부, 플러그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단자부 및 플러그부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USB 암 인터페이스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Micro-B 타입의 USB 암 포트이고, 프레임부의 단면은 플러그부를 기준으로 일방향 및 타방향이 서로 대칭하는 육각형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 규격의 USB 암 인터페이스를 별도의 변경, 또는 추가 커넥터의 지원 없이 USB 수 커넥터를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양면형 USB를 제품에 적용하기 수월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동일한 회로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USB 인터페이스 및 USB 커넥터의 입구를 확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는 플러그부를 기준으로 점대칭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일면 또는 타면으로 삽입 시, 동일한 전기적 회로로 연결되기 때문에 잘못된 연결로 인한 쇼트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부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구비되기 때문에 Micro-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에 양방향으로 삽입 유도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Micro USB 인터페이스 및 표준규격의 USB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가 USB 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가 양방향으로 USB 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가 양방향으로 USB 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의 프레임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의 일면 및 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의 일단이 경사진 플러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의 제동홈 및 제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의 각 구성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USB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서, 컴퓨터 및 전가기기 간의 연결을 보다 범용성 있는 구조로 통일하여,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가 장치 연결을 보다 수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어진 인터페이스다.
종래에는 컴퓨터 및 주변기기를 서로 연결할 때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병렬포트, RS-232 직렬 포트 및 PS/2 포트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포트 및 케이블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연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해당 기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자가 연결을 시도하거나, 해당 케이블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 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하는데 있어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로 인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당시 대표적인 컴퓨터 관련업체인 Intel, Micro soft, IBM, HP 및 NEC 등의 합의와 협력을 통해 1996년 1월 인터페이스의 표준이 USB가 개발되어 위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다. USB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서, 특허 사용료가 무료이고,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중소 기업 등에서도 활발하게 이용하여 많은 보급이 되었다. 특히 USB는 컴퓨터에서 주변기기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플러그앤 플레이(Plug and Play)기능과 컴퓨터의 전원을 켠 상태로 연결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핫 스와핑(Hot swapping) 기능을 가장 큰 특징을 꼽을 수 있다.
위와 같이 USB는 많은 사용과 추가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평균 12M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USB 1.0 에서부터 현재 평균 10G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USB 3.1 까지 다양한 USB가 개발되어져 왔다. 여기서, 상위 버젼의 USB는 하위 버전의 USB에 하위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어, 인터페이스 장비를 교체하지 않고 상위 버전의 USB를 사용할 수 있어, 기술개발에 있어 범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추가된다.
또한, USB는 표준 A타입의 커넥터 외에 보다 작은 크기의 커넥터인 B, Mini-A, Mini-B, Micro-A 및 Micro-B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져 왔다.
USB는 USB 암 인터페이스(20)(이하, USB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는 복수의 암 단자(22)에, USB 커넥터(30)의 복수의 수 단자가 서로 접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종류의 단자가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되면 전자장비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USB는 일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동일한 종류의 단자 간에 연결을 유도하는 구조를 갖는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USB 커넥터(30)를 USB 인터페이스(20)에 삽입 시 USB 커넥터(30) 및 USB 인터페이스(20)의 내부를 각각 확인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조정한 뒤 삽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크기가 비교적 큰 크기의 표준 Type A 의 USB인 경우 보다,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Mini 또는 Micro 타입의 USB인 경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하지 않을 시, 커넥터 또는 인터페이스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올바른 방향의 위치 확인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10)를 제안하는 바이다,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10)는 일 방향 또는 타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USB 인터페이스(20)에 USB 커넥터(10)를 삽입 시, USB 인터페이스(20) 및 USB 커넥터(10)의 입구를 모두 확인하여 삽입되는 올바른 방향으로 변경하여 삽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이제부터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의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10)는 프레임부(100), 플러그부(200), 제 1 단자부(300), 제 2 단자부(400), 제 3 단자부(600), 양면기판(250), 제동부(110)(holding unit) 및 케이스(C)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USB 인터페이스(20)에 유도 삽입되는 프레임부(100), 프레임부(100) 내측에 위치하고, 일방향 및 타방향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일방향 및 타방향이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플러그부(200), 플러그부(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USB 암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22)에 접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부(300), 플러그부(200)의 타면에 형성되어 USB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22)에 접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단자부(400),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를 지지하고,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양면기판(250),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가 연결되는 제 3 단자부(600), 프레임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부(100)가 USB 암 인터페이스(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동부(110) 및 프레임부(100)와 양면기판(250)을 보호하는 케이스(C)로 구성된다. 이제부터 도면을 참고하며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 앞서 보다 바람직한 설명을 위해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커넥터(10)의 단면 중 넓은 두 면을 각각 일면(일방향) 및 타면(타방향)이라 하고, 좁은 면을 옆면 또는 측면이라 정의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프레임부(100)는 표준 규격의 USB 암 인터페이스(2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USB 커넥터(10)가 USB 암 인터페이스(20)에 올바르게 삽입되도록 유도하고, 내부에 구비되는 플러그부(200)를 보호한다. 따라서, 프레임부(100)는 표준규격의 USB 암 인터페이스(20)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준규격 Type A 및 Micro-B에 적용되는 프레임부(100)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각 표준규격에 대한 프레임부(10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13을 참고하면, 단면이 직사각형을 가지는 표준규격 Type A 에 적용되는 프레임부(100)는 Type A에 삽입되는 표준규격의 크기로 구비되고, 어떠한 방향으로도 USB 인터페이스(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 및 타면이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한쌍의 제동부(110)가 구비되는데, 제동부(110)는 USB 커넥터(10)가 USB 인터페이스(20)에 삽입 시 USB 커넥터(10)가 올바르게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USB 인터페이스(20)에서 USB 커넥터(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USB 인터페이스(20)에 USB 커넥터(10)를 삽입 시 표준규격에 의해 위치가 미리 정해진 USB 인터페이스(20)의 제동홈(23)에 제동부(110)가 위치됨으로써 USB 커넥터(10)가 고정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동부(110)는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USB 커넥터(10)를 삽입하여 USB 인터페이스(20)의 제동홈(23)에 제동부(110)가 위치되기 까지 돌출된 제동부(110)에 의해 삽입에 있어 방해받지 않고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동부(110)는 프레임부(10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20)는 일면에만 한 쌍의 제동홈(23)이 구비되는데, USB 커넥터(10)는 양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USB 인터페이스(20)의 제동홈(23)에 USB 커넥터(10)의 제동부(11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한 쌍의 제동부(110)가 각각 구비된다. 제동부(110) 구성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인 Type A 및 Micro B 타입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또 다른 일례로서, Micro B 타입의 경우 Type A 와 같이 일면 및 타면과 같이 양방향으로 삽입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타방향이 대칭되는 프레임부(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Micro B 타입의 USB에 적용되는 프레임부(100)는 Micro B 타입의 표준규격의 크기를 갖는 프레임부(100)로 구비된다. 또한, Micro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20)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USB 인터페이스(20)에 일방향 및 타방향과 같이 양방향으로 삽입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방향 및 타방향이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Micro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20)에 일방향 및 타방향과 같이 양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USB 인터페이스(20)에 삽입되는 프레임부(100)의 단면은 일방향 및 타방향이 서로 대칭하는 육각형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표준규격 Micro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20)에 프레임부(100)가 양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의 단면이 플러그부(200)를 기준으로 일방향 및 타방향이 서로 대칭하는 육각형으로 구비된다. 위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단면이 대칭하는 육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Micro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20)에 일방향 및 타방향과 같이 양방향으로 삽입되어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에 구비되는 플러그부(200), USB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가 삽입되는 플러그부(200)의 일방향 및 타방향에 구비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외한 양옆의 공간은 채움제를 통해 밀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프레임부(100)의 단면을 살펴보면, 프레임부(100)는 단면이 플러그부(20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도 7의 우측 하단 그림의 x의 각도와 x`의 각도는 동일한 각도이고, y의 각도와 y`의 각도는 동일한 각도이다. 따라서, 프레임부(100)는 플러그부(200)를 중심으로 점대칭 또는 대칭되는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7의 좌측 하단 그림을 참고하면,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부(100)가 USB 인터페이스(20)에 삽입시 양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도시된다. 후술하는 각 구성에 대해서는 프레임부가 Micro B 타입의 규격에 대응되는 대칭되는 직육면체 단면을 갖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플러그부(200)는 프레임부(100) 내측에 위치하고, 일방향 및 타방향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플러그부(200)는 USB 인터페이스(20)에 USB 커넥터(10)를 삽입 시, USB 인터페이스(20)에 구비되는 암 단자부(21)에 접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플러그부(200)는 일방향 및 타방향과 같이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USB 인터페이스(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면에 제 1 단자부(300)가 형성되고, 타면에 제 2 단자부(400)가 형성된다. USB 인터페이스(20)에 USB 커넥터(10)를 삽입 시, USB 인터페이스(20)에 구비되는 암 단자부(21)에 제 1 단자부(300) 또는 제 2 단자부(400)가 접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는 동일한 회로의 구성으로서, USB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는 일면에 단자가 인쇄되도록 구비되는데, 암 단자부(21)의 일면에 플러그부(200)의 제 1 단자부(300) 또는 제 2 단자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자가 접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플러그부(200)는 복수의 단자 그룹으로 이루어진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가 서로 쇼트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절연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플러그부(200)는 돌출된 끝단은 일면 및 타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된다. 플러그부(200)는 일방향 및 타방향과 같이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방향 및 타방향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따라서, USB 인터페이스(20)의 잦은 삽입/회수를 통해 플러그부(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러그부(200)가 보다 올바르고 수월하게 USB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에 접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하여 플러그부(200)의 끝단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암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와 서로 접함으로 전기적 연결을 유도하는 플러그부(200)는 USB 암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와 서로 근접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USB 암 인터페이스(20)에 USB 커넥터(10)를 삽입 시, USB 암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와 USB 커넥터(10)의 플러그부(200)가 충돌되어 파손되거나, 유격이 발생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러그부(200)의 끝단은 일방향 및 타방향의 모서리를 제거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끝단의 모서리를 제거한 형상이란, 일방향 및 타방향이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걷을 일컫는다. 따라서, 위와 같이 플러그부(200)의 끝단을 경사지도록 구비하게 된다면, USB 인터페이스(20)에 USB 커넥터(10)를 삽입 시, USB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와 USB 커넥터(10)의 플러그부(200)의 충돌을 방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 단자부(21) 및 플러그부(200)의 유격으로 인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추가적으로, 플러그부(200)의 끝단에 경사진 모서리와 같이 플러그부(2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도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플러그부(2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플러그부(200)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 2 단자부(400)는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지고,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는 각각 복수의 단자 그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동일한 회로구성을 가지는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는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모두 삽입되더라도 동일한 위치에 각 단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플러그부(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는 서로 동일한 일 순서대로 나열되는 복수의 단자그룹으로 이루어지는데,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를 플러그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 되도록 구비하게 되면, USB 커넥터(10)를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USB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에 형성된 단자와 동일한 회로의 단자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는 각각 표준규격의 USB 인터페이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vcc단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차동형 데이터 단자인 - 단자 및 + 단자와 접지(grounding)를 통하여 전압의 기준을 설정하는 gnd 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표준규격 Type A의 USB인 경우 위와 같이 4 종류의 단자로 이루어지지만, Micro B 타입의 표준규격인 경우 위의 4 종류의 단자에 접지 또는 id/sensor를 위한 nc 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nc 단자는 not connecte/no connection의 약자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단자이거나, 접지를 위한 단자 또는 접속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는 id sensor 단자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nc 단자는 접지를 위한 단자인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 1 단자부(300)는 제 1 vcc 단자(301), 제 1 - 단자(302), 제 1 + 단자(303), 제 1 gnd 단자(305) 및 제 1 nc 단자(304)를 포함하고, 제 2 단자부(400)는 제 2 vcc 단자(401), 제 2 - 단자(402), 제 2 + 단자(403), 제 2 gnd 단자(405) 및 제 2 nc 단자(404)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는 각각 vcc 단자, - 단자, + 단자, nc 단자 및 gnd 단자를 포함하고, 위와 같은 일 배열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제 1 단자부(300)의 각 단자와 제 2 단자부(400)의 각 단자는 같은 종류의 단자간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설명을 위해 위와 같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의 단자를 제 3 단자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연결 후의 제 3 단자의 각 단자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 1 단자부(300)의 제 1 vcc 단자(301)는 제 2 단자부(400)의 제 2 vcc 단자(401)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3 vcc 단자(601)를 이루고, 제 1 단자부(300)의 제 1 - 단자(302)는 제 2 단자부(400)의 제 2 - 단자(402)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3 - 단자(602)를 이루며, 제 1 단자부(300)의 제 1 + 단자(303)는 제 2 단자부(400)의 제 2 + 단자(403)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3 + 단자(603)를 이루고, 제 1 단자부(300)의 제 1 nc 단자(304)는 제 2 단자부(400)의 제 2 nc 단자(4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3 nc 단자(604)를 이루며, 제 1 단자부(300)의 제 1 gnd 단자(305)는 제 2 단자부(400)의 제 2 gnd 단자(405)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3 gnd 단자(605)를 이룬다. 이때 A Type의 표준규격에 적용되는 4 핀 배열의 USB 인터페이스(20)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위의 nc 단자를 제거하여 구성하면 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위와 같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의 내구성 및 쇼트방지를 위하여 양면기판(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양면기판(250)은 플러그부(200)에 일단이 접하도록 구비되고, 양면기판(250)의 일면에 제 1 단자부(300)의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면기판(250)의 타면에 제 2 단자부(400)의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양면기판(250)은 복수의 통공(500)이 형성되어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양면기판(250)은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면에 제 1 단자부(300)의 각 단자들이 연결되고, 타면에 제 2 단자부(400)의 각 단자들이 연결되는데, 양면기판(250)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500)을 통해 제 2 단자부(400) 및 제 1 단자부(3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는 서로 점대칭 형상으로 구비되어 각 단자가 나열되는 일 배열이 대칭되기 때문에, 양면기판(250) 및 양면기판(250)에 형성된 통공(500)을 통해 서로 적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단자간에 쇼트를 방지한다. 이때, 복수의 통공(500)은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통공(500)이 구비되고, 통공(500)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타면에 연결되는 제 2 단자부(4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통공(500)의 내주면은 전도체로 구비될 수 있고, 플러그부(200) 및 양면기판(250)은 절연체로 구비해 사용자가 의도한 제 1 단자, 제 2 단자 및 제 3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제외한 불필요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각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 8 내지 도 11과, 각 연결 관계를 나타낸 회로도인 도 14를 참고하면, Micro B 타입의 USB를 일례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플러그부(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양면기판(250)의 일면과 연결되는 제 1 단자부(300)는 양면기판(250)의 끝단으로 이동되어 제 3 단자부(600)를 이루고, 제 2 단자부(400)는 양면기판(250)으로 이동되어 각 통공(500)을 통해 제 1 단자부(300)와 연결된다.
각 단자의 연결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 1 vcc 단자(301)는 양면기판(250)을 통해 제 3 vcc 단자(601)와 연결되고, 제 2 vcc 단자(401)는 vcc 통공(501)을 통해 제 1 vcc 단자(301)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vcc 단자(301) 및 제 2 vcc 단자(401)는 vcc 통공(50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vcc 통공(501)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vcc 단자(301) 및 제 2 vcc 단자(401)는 양면기판(250)의 끝단의 제 3 vcc 단자(601)와 연결된다.
제 1 - 단자(302)는 양면기판(250)을 통해 제 3 - 단자(602)와 연결되고, 제 2 - 단자(402)는 - 통공(502)을 통해 제 1 - 단자(302)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 단자(302) 및 제 2 - 단자(402)는 - 통공(50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 통공(50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 단자(302) 및 제 2 - 단자(402)는 양면기판(250)의 끝단의 제 3 - 단자(602)와 연결된다.
제 1 + 단자(303)는 양면기판(250)을 통해 제 3 - 단자(602)와 연결되고, 제 2 + 단자(403)는 + 통공(503)을 통해 제 1 + 단자(303)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 단자(303) 및 제 2 + 단자(403)는 + 통공(50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 통공(503)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 단자(303) 및 제 2 + 단자(403)는 양면기판(250)의 끝단의 제 3 + 단자(603)와 연결된다.
제 1 nc 단자(304)는 양면기판(250)을 통해 제 3 nc 단자(604)와 연결되고, 제 2 nc 단자(404)는 nc 통공(504)을 통해 제 1 nc 단자(304)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nc 단자(304) 및 제 2 nc 단자(404)는 nc 통공(50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nc 통공(504)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nc 단자(304) 및 제 2 nc 단자(404)는 양면기판(250)의 끝단의 제 3 nc 단자(604)와 연결된다.
제 1 gnd 단자(305)는 양면기판(250)을 통해 제 3 gnd 단자(605)와 연결되고, 제 2 gnd 단자(405)는 gnd 통공(505)을 통해 제 1 gnd 단자(305)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gnd 단자(305) 및 제 2 gnd 단자(405)는 gnd 통공(50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gnd 통공(505)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gnd 단자(305) 및 제 2 gnd 단자(405)는 양면기판(250)의 끝단의 제 3 gnd 단자(605)와 연결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양면기판(250)을 통해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점대칭으로 구비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가 각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절연체로 구비되는 양면기판(250)으로 인해 각 단자 간에 쇼트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도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는 단면이 플러그부(200)를 기준으로 일면 및 타면이 서로 대칭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100)로 인해 표준규격의 Micro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20)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모두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USB 커넥터(10)를 삽입 시, USB 인터페이스(20) 및 USB 커넥터(10)의 올바른 삽입 위치를 확인 및 조작하지 않고, 즉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잘못된 방향으로의 삽입으로 발생되는 프레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장비의 내구성 또한 높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3을 참고하면, 플러그부(200)는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한 쌍의 제동부(110)가 구비되기 때문에 일방향 및 타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표준 규격의 USB 인터페이스(20)에 형성되는 제동홈(23)에 제동부(110)가 위치될 수 있어 USB 커넥터(10)가 USB 인터페이스(20)에서 이탈하지 않아 보다 견고한 체결을 할 수 있고, 또한 이로 인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USB 인터페이스(20)의 암 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부(200)는, 플러그부(200)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단자부(300) 및 플러그부(200)의 타면에 형성된 제 2 단자부(400)로 인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 중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모서리 마찰을 제거하기 위해 끝단을 일방향 및 타방향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플러그부(200)로 인해, USB 커넥터(10)를 USB 암 인터페이스(20)에 삽입 시 USB 커넥터(10)가 맞물려 파손되거나, 유격이 발생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삽입이 수월하다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복수의 통공(500)이 형성된 양면기판(250)을 통하여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가 서로 잘못된 접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도 회로가 망가지지 않아 내구성이 높으며, 기판 형식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하여 구현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양면기판(250)을 통해 점대칭 형상으로 일 배열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제 2 단자부(400)가 보다 안정성 높은 점대칭 형상의 회로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양방향 USB 커넥터 20 : USB 인터페이스
21 : 암 단자부 22 : 암 단자
23 : 제동홈 30 : 표준규격 USB 커넥터(10)
100 : 프레임부 110 : 제동부
200 : 플러그부 250 : 양면기판
300 : 제 1 단자부 301 : 제 1 vcc 단자
302 : 제 1 - 단자 303 : 제 1 + 단자
304 : 제 1 nc 단자 305 : 제 1 gnd 단자
400 : 제 2 단자부 401 : 제 2 vcc 단자
402 : 제 2 - 단자 403 : 제 2 + 단자
404 : 제 2 nc 단자 405 : 제 2 gnd 단자
500 : 통공 501 : vcc 통공
502 : - 통공 503 : + 통공
504 : nc 통공 505 : gnd 통공
600 : 제 3 단자부 601 : 제 3 vcc 단자
602 : 제 3 - 단자 603 : 제 3 + 단자
604 : 제 3 nc 단자 605 : 제 3 gnd 단자
C : 케이스

Claims (10)

  1. 표준 규격 Micro-B 타입의 USB 암 인터페이스(20)에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한 면으로 삽입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수 커넥터(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USB 암 인터페이스(20)에 유도 삽입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 내측에 위치하고, 일방향 및 타방향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일방향 및 타방향이 서로 대칭하는 플러그부(200);
    상기 플러그부(2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단자부(300); 및
    상기 플러그부(2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단자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단면은 일방향 및 타방향이 서로 대칭하는 육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표준 규격 Micro-B 타입의 USB 암 인터페이스 단면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300) 및 상기 제 2 단자부(400)는 각각 일 순서대로 나열되는 복수의 단자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단자부(300) 및 상기 제 2 단자부(400)는 각각 일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부(200)를 기준으로 서로 점대칭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300) 및 상기 제 2 단자부(4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00)는 일면에 상기 제 1 단자부(300)가 연결되고, 타면에 상기 제 2 단자부(400)가 연결되는 양면기판(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300) 및 상기 제 2 단자부(400)는 상기 양면기판(25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기판(250)은 상기 복수의 단자그룹과 대응되는 개수의 통공(50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500)을 통해 상기 양면기판(250)의 일면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단자부(300) 및 타면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단자부(400)의 단자그룹이 서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300)는 제 1 vcc 단자(301), 제 1 - 단자(302), 제 1 + 단자(303) 및 제 1 gnd 단자(305)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400)는 제 2 vcc 단자(401), 제 2 - 단자(402), 제 2 + 단자(403) 및 제 2 gnd 단자(405)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자부(300)의 제 1 vcc 단자(301)는 상기 제 2 단자부(400)의 제 2 vcc 단자(401)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단자부(300)의 제 1 - 단자(302)는 상기 제 2 단자부(400)의 제 2 - 단자(402)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단자부(300)의 제 1 + 단자(303)는 상기 제 2 단자부(400)의 제 2 + 단자(403)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단자부(300)의 제 1 gnd 단자(305)는 상기 제 2 단자부(400)의 제 2 gnd 단자(405)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300)는 제 1 nc 단자(30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400)는 제 2 nc 단자(40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nc 단자(304)는 상기 제 2 nc 단자(4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00)의 끝단은 일면 및 타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한 쌍의 제동부(1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KR1020150076262A 2015-05-29 2015-05-29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KR10158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62A KR101582661B1 (ko) 2015-05-29 2015-05-29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62A KR101582661B1 (ko) 2015-05-29 2015-05-29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920A KR20150114920A (ko) 2015-10-13
KR101582661B1 true KR101582661B1 (ko) 2016-01-05

Family

ID=5434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262A KR101582661B1 (ko) 2015-05-29 2015-05-29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0644A1 (zh) * 2016-05-02 2017-11-09 蔡周贤 具有大电流容量与高频讯号传输的双面电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63B1 (ko) * 2016-03-18 2017-01-17 디자인 주식회사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JP6741550B2 (ja) 2016-10-18 2020-08-19 Eneos株式会社 内燃機関の潤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405B1 (ko) * 2002-03-11 2004-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에스비 결합구조
JP2010251319A (ja) * 2009-04-15 2010-11-04 Chou Hsien Tsai 双方向電気的連接が可能なソケット構造
KR101124668B1 (ko) * 2010-01-12 2012-03-20 주식회사 크리어전자 사각프레임을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
KR101567468B1 (ko) * 2013-05-16 2015-11-11 (주)와이제이티이케이 양방향성 usb 소켓
KR101515173B1 (ko) 2013-11-14 2015-04-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및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의 서포트 플레이트를 절연 처리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0644A1 (zh) * 2016-05-02 2017-11-09 蔡周贤 具有大电流容量与高频讯号传输的双面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920A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9690B (zh) 一种转接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5826673B2 (ja) Usbコネクタ
US7841910B2 (en) Mini displayport
US7789714B2 (en) Connector assembly
CN102324656B (zh) 电连接器及其组合
US2009004242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KR20060065658A (ko) 전기 커넥터
JP2005072005A (ja) 小型化された8ピンオーディオジャック電気コネクタ
KR20170000792U (ko) 복합형 연결 소켓
KR101582661B1 (ko)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TW201330384A (zh) 電連接器
KR20120089745A (ko) 플러그 어댑터
JP2007059300A (ja) 電気コネクタ
CN102420373A (zh) 电连接器及其组合
CN212784017U (zh) 插座连接装置及插头连接装置
TW201424131A (zh) 電源
CN107925205B (zh) 插头以及与之配合的插座
KR20110128762A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US20150044894A1 (en) Usb/mini usb convertible connector
JP3162616U (ja) 複合コネクタプラグ
US9461408B1 (en) Adaptor and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TWM493797U (zh) 多合一插座連接器
CN101631430A (zh) 一种电路板组及电子设备
CN206742622U (zh) 电连接器的转接器
KR20170030186A (ko)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70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319

Effective date: 2017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