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063B1 -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 Google Patents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063B1
KR101697063B1 KR1020160032582A KR20160032582A KR101697063B1 KR 101697063 B1 KR101697063 B1 KR 101697063B1 KR 1020160032582 A KR1020160032582 A KR 1020160032582A KR 20160032582 A KR20160032582 A KR 20160032582A KR 101697063 B1 KR101697063 B1 KR 10169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pin
plug
connector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원
김두권
Original Assignee
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자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거나 상기 스마트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접속단자를 제공할 때, 핀의 개수, 핀의 위치, 커넥터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별개의 타입으로 된 커넥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MULTI TYPE COMPATIBLE CONNECTOR}
본 발명은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거나 상기 스마트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접속단자를 제공할 때, 핀의 개수, 핀의 위치, 커넥터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별개의 타입으로 된 커넥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구성한 멀티타입 호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기기의 소형화와 박형화로 인해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커넥터의 두께나 모양뿐만 아니라 충전이나 통신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에는, 다수의 제조사가 개별적으로 자사의 각 기기에 독자적인 규격의 커넥터를 적용하였으나, 커넥터 규격의 상이함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대두되어, 상기 규격 및 표준화의 요구가 지속되었다. 최근에는 수개의 규격화된 커넥터가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충전과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제공하는 통합 24핀 커넥터가 범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소형화에 대한 필요성이 늘어남에 따라 통합 20핀이 개발 되었으며, 근래에는 마이크로 5핀 방식의 규격이 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제조사에서는 독자적인 규격(예를 들면 8핀 커넥터)의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규격의 커넥터를 채용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해당 스마트기기를 특정 주변기기에 접속하고자 할 때, 각 스마트기기에 따라 각기 다른 케이블을 상시 구비하거나, 젠더와 같은 변환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연구와 개발이 선행되어 왔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963886호(2010.06.08)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도 1의 젠더(110)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스마트기기(120)에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커넥터 타입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인 커넥터 보완 방식 중 하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젠더(110)를 이용한 변환 방식은 종래의 커넥터(130)와 젠더(11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스마트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커넥터와 젠더는 분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특히 젠더의 경우 소형 회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충격이 가해질 시 쉽게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394027호(2014.05.03.)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와 같이 하나의 케이블에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젠더를 병합한 형태의 기술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상기 발명은 서로 다른 규격의 커넥터를 한쪽 끝에 결합한 형태로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대쪽 끝에 각기 다른 커넥터를 연결하게 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이기종의 스마트기기를 주변기기와 접속하기 위해 젠더를 사용하거나, 젠더를 결합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분실이나 접촉불량 혹은 파손의 위험이 있었으며, 또한 부피도 크고 관리의 어려움이 상존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커넥터에 복수의 이기종 커넥터가 통합되어 일체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오류, 분실,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젠더를 이용한 연결 방식을 보완하고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기존의 젠더와 같은 외부의 별도 장치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단자 개수나 형상을 변경하는 기술을 발전시켜, 하나의 커넥터에 서로 다른 핀 개수를 가지는 단자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핀 커넥터에 연결된 플러그로 리셉터클에 플러그인할 때 5핀 리셉터클에 포함된 접속단자가 튀어나와 있고, 상기 5핀 플러그의 접속단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플러그를 반드시 일방향으로만 체결해야 파손을 예방하고 정상적인 연결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셉터클과 플러그에 적합한 연결 방향을 표시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프레임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채용하여 장치의 파손 및 올바른 체결을 유도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는 제1타입의 커넥터를 위한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타입의 플러그 및 제2타입의 커넥터를 위한 상기 제1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타입의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 및 제2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타입과 제2타입의 커넥터를 단일의 커넥터로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1타입과 제2타입의 플러그가 각각 제1타입이나 제2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이나 홈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의 구성 방법은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타입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타입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 및 제2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타입과 제2타입의 커넥터를 단일의 커넥터로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1타입과 제2타입의 플러그가 각각 제1타입이나 제2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거나 상기 스마트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접속단자를 제공할 때, 핀의 개수, 핀의 위치, 커넥터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별개의 타입으로 된 커넥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커넥터에 복수의 이기종 커넥터가 통합되어 일체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오류, 분실,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나의 케이블로 여러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며, 또한 젠더와 같은 별도의 부가장치를 생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종래기술에 의한 8핀 및 5핀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속한 종래기술에 의한 젠더를 이용한 사용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와 상기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의 플러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플러그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에 위치한 각각의 핀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 방법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의 조립 순서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스마트기기에는 하나의 리셉터클이 포함되며, 상기 리셉터클은 핀의 개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8개의 핀을 가진 8핀 리셉터클과 5개의 핀을 가진 5핀 리셉터클이 주로 사용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와 주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리셉터클과 짝을 이루는 플러그와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그리고 한쌍 이상의 커넥터가 연결된 어댑터를 이용한다. 각각 플러그는 상기 리셉터클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동일한 수의 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종래기술에 의한 8핀 및 5핀 리셉터클(110, 120)과 8핀 및 5핀 플러그(130, 1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8핀 리셉터클(110)과 5핀 리셉터클(120)은 각각 상이한 수의 핀이 위치하며, 상기 8핀 리셉터클(110)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상기 5핀 리셉터클(120)은 사다리꼴의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리셉터클은 다수의 핀으로 구성된 접속단자가 있는데, 8핀 리셉터클 접속단자(111)는 상기 8핀 리셉터클(11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며, 5핀 리셉터클 접속단자(121)는 상기 5핀 리셉터클(120)의 하단부에 돌출된 회로기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8핀 리셉터클(110)에는 한쌍의 고정핀(112)이 상기 8핀 리셉터클(210) 내측 좌우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와 달리 5핀 리셉터클(220)에는 한쌍의 고정홈(122)이 하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플러그(130, 140)는 8핀과 5핀 리셉터클의 개구부와 동일한 모양이며, 각각 리셉터클과 체결을 위해 동일한 수의 핀을 가지는 접속단자(131, 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8핀 플러그(130)의 접속단자(131)는 상기 플러그(130)의 양면에 앞뒤로 위치하며, 상기 8핀 리셉터클(110)과 어느 방향으로 체결하더라도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다. 상기 5핀 플러그(140)는 리셉터클 접속단자의 체결을 위한 개구부가 위치하며, 이를 통해 5핀 리셉터클 접속단자(121)가 5핀 플러그 접속단자(141)에 삽입되어 체결한다.
또한, 상기 8핀 플러그(130)에는 좌우측면에 리셉터클 고정핀(112)과 고정을 위한 8핀 플러그 고정홈(132)이 있으며, 상기 5핀 플러그(140)에는 5핀 플러그 고정핀(142)이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5핀 리셉터클 고정홈(122)과 맞물려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속한 종래기술에 의한 젠더를 이용한 사용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230)의 플러그(250)가 스마트기기(220)의 리셉터클(240)과 규격의 차이가 있을 시, 각각 규격을 만족하는 변환용 젠더(210)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250)와 리셉터클(240)을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바와 같이 종래기술인 변환용 젠더(210)를 이용할 경우 젠더와 플러그 또는 젠더와 리셉터클과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품인 젠더를 상시 구비하고 다녀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분실 등과 같은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기종 커넥터를 통합하여 일체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오류, 분실,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상기 5핀과 8핀 이종의 커넥터 규격을 하나로 결합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은 플러그 모양과 사이즈의 상이함과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 위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 에서는 종래기술인 젠더를 이용할 때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각각 리셉터클과 호환 가능한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의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이기종의 커넥터가 일체화된 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310)는 하나의 플러그(320)를 포함하며, 플러그의 반대편은 케이블(330)로 연결된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에 위치한 일체화된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8핀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8핀 단자(341), 5핀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5핀 접속단자(342), 상기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343), 프레임을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는 금속하우징(344) 및 리셉터클과 체결력 확보를 위한 고정핀(3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8핀 단자(341)에는 8개의 핀이 위치하며, 각각의 핀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8핀 단자(341)는 상기 플러그(32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5핀 단자(342)는 5개의 핀이 위치하며, 상기 5핀 단자(342)에 포함된 각각의 핀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5핀 단자(342)는 상기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체결을 위해 중단부에 위치하여 리셉터클과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343)은 상기 각각 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절연체로 구성되며, 상술한바와 같이 8핀 리셉터클과 5핀 리셉터클과의 체결을 위해 사다리꼴 형상을 한 5핀 리셉터클 외형을 따른다. 상기 프레임(343)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좁으며, 중단부는 5핀 단자(342)를 5핀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하우징(344)은 상기 프레임(343)의 좌우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44)은 리셉터클과 체결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343), 상기 8핀 단자(341) 및 상기 5핀 단자(342)를 보호한다.
상기 고정핀(345)은 상기 프레임(343) 내부에 포함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핀(345)의 일부는 프레임에 위치한 홈을 통해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노출된 부분을 통해 5핀 리셉터클 고정홈과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체결력을 유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310)를 구성하는 플러그(320)의 각 부의 형태 및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310)를 구성하는 플러그(320)에는 8핀 단자(341)가 상단부에, 5핀 단자(342)가 중단부에, 고정핀(345)이 하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8핀 단자(341), 5핀 단자(342)와 고정핀(345)은 프레임(343)에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343)의 좌우 측면부는 금속하우징(344)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8핀 단자(341)는 8개의 핀이 유연성을 가진 플라스틱 기판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8핀 단자(341)는 리셉터클과 체결시 전기가 흐르므로, 각 핀은 상기 금속하우징(344)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8핀 단자(341)는 상기 프레임(343)과의 이탈을 막기 위해 상기 8핀 단자(341)의 하단부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343)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5핀 단자(342)는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이 있으며 끝 부분이 둥근 형태로 튀어나온 화살형 핀, 삼각형 형태로 튀어나온 스프링형 핀으로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핀의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프레임(343)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사다리꼴 형태의 5핀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규정되며, 5핀 리셉터클(110)과 8핀 리셉터클(120) 모두에 체결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43)에는 상기 5핀 단자(342)가 고정되는 5핀 홈(346)이 위치하며, 고정핀(345)을 체결하기 위한 고정핀 홈(347)이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 홈(347)은 상기 고정핀(345)의 돌출을 위해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술한바와 같이 금속하우징(344)는 상기 프레임(343)의 좌우 측면부를 감싸도록 위치한다. 또한, 금속하우징(344) 끝의 일부가 접혀 프레임의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전면부와 고정되며 후면부는 커넥터의 일부에 고정된다. 금속하우징(344)의 끝은 상기 8핀 단자(341)에 위치한 핀과 닿지 않도록 구성한다.
고정핀(345)은 상기 각각 단자를 구성하는 핀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5핀 리셉터클 고정홈(122)와 물리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플러그(320)의 체결이 유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에 위치한 각각의 핀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 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상기 전기적인 연결 방법으로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도시한다. 각 단자를 구성하고 있는 핀은 각각의 전기적인 역할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핀들은 각각의 역할과 동일한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상기 핀은 충전(V), 그라운드(G), 데이터의 입출력(D-, D+)과 인증(Id)의 역할을 위한 핀으로 구분 된다. 상기 5핀 단자(342)는 역할당 하나씩의 핀이 위치하며, 상기 8핀 단자(341)는 데이터(D) 및 인증(Id)을 위한 핀이 복수개로, 그라운드(G) 및 충전(V)은 하나씩을 포함한다.
상기 8핀 단자(341)와 5핀 단자(342)의 핀의 개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단수개인 충전(V)핀과 그라운드(G)핀은 각각 단자의 핀 끼리 전기적으로 연결 되며, 8핀 단자(341)의 복수개의 인증(Id)과 데이터(D-, D+) 핀은 동일한 극과 역할을 가진 5핀 단자(342)의 각각 핀에 연결하여 전기적 결함이 없도록 구성한다.
도 5의 (b)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방법에 대한 예시를 제시한다. 방법 1로는, 상기 멀티 호환 커넥터에 위치한 플러그(320)의 상부에 위치한 8핀 단자(341)가 프레임의 일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5핀 단자(3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고, 상기 5핀은 외부와 연결된다. 방법 2는 상기 8핀 단자(341)와 5핀 단자(342)가 직접적으로 외부와 연결되며, 각각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은 커넥터(310)에서 이루어 지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 5의 (a)와 (b)에서 도시한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및 커넥터를 조립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멀티 타입 커넥터의 형성을 위해 8핀 단자(341)와 5핀 단자(342)를 준비한다.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8핀 단자(341)은 유연성을 가진 플라스틱 기판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5핀 단자(342)는 탄성이 있으며 끝 부분이 둥근 형태로 튀어나온 화살형 핀, 삼각형 형태로 튀어나온 스프링형 핀 또는 다른 유사한 목적을 가진 핀으로 구성된다(S110).
다음으로 상기 5핀 단자(342)를 프레임(343)과 체결하는데, 체결 위치는 상기 프레임(343) 중단부에 형성된 5핀 홈(346)에 위치한다(S120). 이어서 상기 8핀 단자(341)를 상기 프레임(343) 상단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프레임(343)과 8핀 단자(341)의 고정을 위해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S130).
이어서, 상기 8핀 단자(341)과 5핀 단자(342)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각 단자를 상기 프레임(343)의 일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직접 연결(S141) 또는 각각 단자를 커넥터(310)에 직접적으로 연결(S142) 한다. 그러나, 상기 제시한 두가지 방법 외에도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자가 체결된 프레임(343)의 좌 우 측면부를 금속하우징(344)으로 감싸고, 상기 금속하우징(344) 끝의 일부가 접혀 프레임의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전면부와 고정되며 후면부는 커넥터의 일부에 고정된다. 금속하우징(344)의 끝은 상기 8핀 단자(341)에 위치한 핀과 닿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거나 상기 스마트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접속단자를 제공할 때, 핀의 개수, 핀의 위치, 커넥터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별개의 타입으로 된 커넥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커넥터에 복수의 이기종 커넥터가 통합되어 일체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오류, 분실,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나의 케이블로 여러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며, 또한 젠더와 같은 별도의 부가장치를 생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341 : 8핀 단자 342 : 5핀 단자
343 : 프레임 344 : 금속하우징
345 : 고정핀 346 : 5핀 홈
347 : 고정핀 홈

Claims (10)

  1. 제1타입의 커넥터를 위한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타입의 플러그; 및
    제2타입의 커넥터를 위한 상기 제1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타입의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 및 제2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양 측면이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타입과 제2타입의 커넥터를 단일의 커넥터로 일체화하여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1타입과 제2타입의 플러그가 각각 제1타입이나 제2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의 폭을 하부의 폭보다 좁게 구성하여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대방향으로 삽입하려고 하면 삽입 자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이나 홈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6.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타입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타입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 및 제2타입의 플러그에 대한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양 측면이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타입과 제2타입의 커넥터를 단일의 커넥터로 일체화하여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1타입과 제2타입의 플러그가 각각 제1타입이나 제2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의 폭을 하부의 폭보다 좁게 구성하여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대방향으로 삽입하려고 하면 삽입 자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의 구성 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의 구성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의 구성 방법.
KR1020160032582A 2016-03-18 2016-03-18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KR10169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582A KR101697063B1 (ko) 2016-03-18 2016-03-18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582A KR101697063B1 (ko) 2016-03-18 2016-03-18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063B1 true KR101697063B1 (ko) 2017-01-17

Family

ID=5799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582A KR101697063B1 (ko) 2016-03-18 2016-03-18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68U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셀픽 휴대용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KR20150114920A (ko) * 2015-05-29 2015-10-13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68U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셀픽 휴대용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KR20150114920A (ko) * 2015-05-29 2015-10-13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양방향 연결이 가능한 usb 수 커넥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4204B2 (en) Serial bus connector
JP5530538B2 (ja) 水平に構成されたコネクタ
US822116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 case with impedance adjuster
TWI512431B (zh) 電子裝置組合結構
US7938659B1 (en) Compound connector plug
US20090042448A1 (en)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ignal transmission
US20070077816A1 (en) Universal serial bus electrical connecto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US7147505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strain relief member
US9466923B2 (en) Female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TWI464563B (zh) 電子裝置組合結構
EP2173013B1 (en) Connector for first and second joints having different pin quantities, electronic apparatus with connector and combination
US6685508B2 (en) USB connector assembly having reduced mating height
CN112868140A (zh) 卡连接器、卡座及终端
US20200229305A1 (en) Stackable Printed Circuit Board
US7967629B1 (en) Interlocking connector
US20140065869A1 (en) Connector assembly
EP0729206B1 (en) PCMCIA input/output card connector
US20160233617A1 (en) Serial bus connector
CN210111108U (zh) 具有能引导舌板精准对接的导引柱的连接器插头
US20090117777A1 (en) Keyboard, video and mouse (kvm) switch
KR101697067B1 (ko)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KR101697063B1 (ko) 멀티 타입 호환 커넥터
US6231390B1 (en) Connector for use in portable phone
US20090142022A1 (en) Multi-port connector having esata connector and optical fiber transmitting connector
JP3162616U (ja) 複合コネクタ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