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067B1 -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067B1
KR101697067B1 KR1020160065751A KR20160065751A KR101697067B1 KR 101697067 B1 KR101697067 B1 KR 101697067B1 KR 1020160065751 A KR1020160065751 A KR 1020160065751A KR 20160065751 A KR20160065751 A KR 20160065751A KR 101697067 B1 KR101697067 B1 KR 10169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plug
terminal
connec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원
김두권
Original Assignee
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자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접속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의 핀의 개수, 위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타입의 플러그를 하나로 통합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A CONNECTOR WITH MULTI TYPE COMPATIBLE PLUGS}
본 발명은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접속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의 핀의 개수, 위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타입의 플러그를 하나로 통합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기기의 소형화와 박형화로 인해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커넥터의 두께, 모양, 충전 방식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에는, 다수의 제조사가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규격의 커넥터를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나, 커넥터 규격의 상이함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대두되어 충전을 위한 핀의 개수와 커넥터 형상의 표준화가 이루어져, 최근에는 수개의 규격화된 커넥터를 스마트기기에 적용하고 있다.
초기에는 충전과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제공하는 통합 24핀 커넥터를 표준으로 하여 스마트기기에 적용되었으나,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많은 핀의 개수로 인해 접촉 불량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근래에는 마이크로 5핀 방식의 규격이 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제조사에서는 8핀 커넥터와 같은 그 제조사만의 독자적인 규격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규격의 커넥터를 필요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스마트기기를 다른 주변기기나 충전단자 등에 연결하고자 할 때, 각 스마트기기에 호환이 되는 각기 다른 커넥터를 포함한 케이블을 각각 구비하거나, 플러그 변환 젠더와 같은 외부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의 접점은 사용자가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패턴에 따라 많이 휘어지고 구부러지기 때문에 접점이 끊어지거나 파손이 일어나기 쉬운 부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접점 부분의 피복 또는 몰딩을 두껍게 형성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지만, 커넥터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연구와 개발이 선행되어 왔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963886호(2010.06.08)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도 1의 젠더(110)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스마트기기(120)에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커넥터 타입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인 커넥터 보완 방식 중 하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젠더(110)를 이용한 변환 방식은 종래의 커넥터(130)와 젠더(11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스마트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커넥터와 젠더는 분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특히 젠더의 경우 소형 회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충격이 가해질 시 쉽게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394027호(2014.05.03.)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와 같이 하나의 케이블에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젠더를 병합한 형태의 기술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상기 발명은 서로 다른 규격의 커넥터를 한쪽 끝에 결합한 형태로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대쪽 끝에 각기 다른 커넥터를 연결하게 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이기종의 스마트기기를 주변기기와 접속하기 위해 젠더를 사용하거나, 젠더를 결합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분실이나 접촉 불량 혹은 파손의 위험이 있었으며, 커넥터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케이블과의 접점에서 손상이 발생활 우려가 높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커넥터에 복수의 이기종 커넥터가 통합되어 일체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오류, 분실,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케이블 없이 하나의 커넥터에 복수의 플러그를 상호 배치되게 구성함으로써, 케이블과의 접점으로 인한 손상을 제거하고 사용상의 이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젠더를 이용한 연결 방식을 보완하고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기존의 젠더와 같은 외부의 별도 장치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단자 개수나 형상을 변경하는 기술을 발전시켜, 케이블이 없이 하나의 커넥터에 서로 다른 핀 개수를 가지는 복수의 플러그를 하나의 플러그로 통합되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의 접점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핀 커넥터에 연결된 플러그로 리셉터클에 플러그인할 때 5핀 리셉터클에 포함된 접속단자가 튀어나와 있고, 상기 5핀 플러그의 접속단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플러그를 반드시 일 방향으로만 체결해야 파손을 예방하고 정상적인 연결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셉터클과 플러그에 적합한 연결 방향을 표시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프레임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채용하여 장치의 파손 및 올바른 체결을 유도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는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 타입의 단자 및 상기 제1 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 타입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의 단자 및 제2 타입의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단자를 단일의 플러그로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1 플러그와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단자가 각각 제1 타입이나 제2 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 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타입 단자와 상기 고정핀을 위치하기 위한 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플러그는, USB 타입A표준, 타입B표준, 타입A미니, 타입B미니, 마이크로A타입, 마이크로B타입 또는 제1 플러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형성 방법은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 타입의 단자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 타입의 단자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의 단자 및 제2 타입의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단자를 단일의 플러그로 일체화하여 구성한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를 대칭되게 배치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플러그가 각각 제1 타입이나 제2 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 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플러그는, USB 타입A표준, 타입B표준, 타입A미니, 타입B미니, 마이크로A타입, 마이크로B타입 또는 제1 플러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거나 상기 스마트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접속단자를 제공할 때, 핀의 개수, 핀의 위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서로 상이한 별개의 타입으로 된 플러그를 하나의 플러그로 통합하여 다양한 장치를 상기 플러그가 포함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장치의 사용을 위해 많은 수의 USB 케이블을 구비해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며, 변환을 위한 별도의 젠더와 같은 별도의 부가장치를 생략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 없이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를 하나의 커넥터에 통합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접점부의 손상으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제거하고, 장치의 소형화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를 포함한 케이블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와 3각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에 위치한 각각 단자의 핀에 대한 연결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다양한 플러그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스마트기기에는 하나의 리셉터클이 포함되며, 상기 리셉터클은 핀의 개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8개의 핀을 가진 8핀 리셉터클과 5개의 핀을 가진 5핀 리셉터클이 주로 사용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와 주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리셉터클과 짝을 이루는 플러그와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그리고 한 쌍 이상의 커넥터가 연결된 어댑터를 이용한다. 각각 플러그는 상기 리셉터클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동일한 수의 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를 포함한 케이블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충전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USB 케이블(100)이라 불리는 커넥터를 포함한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각 장치를 연결한다.
스마트기기는 USB 연결을 위해 장치 제조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주로 5개의 핀을 가지는 마이크로B타입 또는 양면 8핀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결되는 장치인 PC와 같은 정보처리 단말기 또는 충전기, 배터리팩과 같은 충전 장치는 크기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USB 표준인 USB 타입A표준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장치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USB 케이블(100)은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이와 대응되는 장치의 리셉터클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플러그(110), 상기 복수의 플러그(110)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20)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20)를 이어주기 위한 케이블(130)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10)는 동일한 형태나 동일한 표준의 플러그와 리셉터클 간에 호환이 가능하며, 상이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은 핀의 위치와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정상적인 사용을 할 수 없다.
USB 타입A표준 플러그와 리셉터클은 1996년 출시되어 약 20년 동안 사용되고 있는 표준 기술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충전 장치나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 단말기는 USB 타입A표준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기기는 USB 타입A표준의 크기로 인해 좀 더 작은 크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근래에는 USB 타입A표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USB 마이크로B타입을 상기 스마트기기에 적용하고 있다. USB 마이크로B타입은 사다리꼴 형상의 5개의 핀으로 구성되며 리셉터클은 스마트기기에, 플러그는 케이블에 위치한다. 그러나 일부 제조사는 양면8핀과 같은 독자적인 규격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개발하여 스마트기기에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기기는 제조사에 따라 USB 마이크로B타입과 상기 양면8핀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플러그를 가진 USB 케이블(100)을 별도로 구비하거나 플러그의 표준을 변환해주는 변환 젠더를 이용하여 상기 USB 케이블(100)의 플러그 표준을 변환시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30)은 일반적으로 구리선에 피복을 감싼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블(130)과 커넥터(120) 사이에는 경계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경계부(14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USB 케이블(100)을 사용하거나 보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케이블(130)이 휘거나 접혀지게 되어 많은 스트레스가 상기 경계부(140)에 가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경계부(140)는 상기 USB 케이블(100)에서 손상과 파손이 주로 발생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의 (b)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플러그가 조합된 커넥터 형상의 예시를 도시한다. 스마트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는 서로 상이한 리셉터클과 호환이 가능한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의 형태로 구성하고, 정보처리 단말기 또는 충전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는 표준 타입의 USB 플러그를 구성하여 하나의 플러그로 결합시켜 커넥터 장치로 형성한다. 따라서 다양한 타입의 리셉터클에 호환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통해 스마트기기 호환성을 높이고, 케이블을 제거함으로써 커넥터의 손상과 파손을 개선할 수 있는 조합된 플러그의 구조를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와 3각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200)를 도시한다. 상기 커넥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USB 마이크로B타입 표준의 리셉터클 또는 양면8핀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제1 플러그(210)와 배터리팩 또는 충전기 등과 같은 충전장치나 컴퓨터, 노트북 또는 다른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2 플러그(230) 그리고 상기 제1 플러그(210)와 제2 플러그(230)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부(220)로 구성된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를 3각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3각법 도면에서 좌측면도와 우측면도는 동일하기 때문에 우측면도는 생략하여 도시한다.
상기 제1 플러그에는 상부에 8개의 핀을 가진 8핀 단자(211)와 하부에 5개의 핀을 가진 5핀 단자(212)가 형성된다. 상기 8핀 단자(211)는 양면8핀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호환되어 연결이 가능하고, 상기 5핀 단자(212)는 USB 마이크로B타입 표준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호환되어 연결이 가능하다. 각각 리셉터클은 단자의 위치나 외형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200)를 이용해 스마트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리셉터클의 핀의 위치에 맞도록 상기 8핀 단자(211)와 상기 5핀 단자(212)를 포함한 상기 제1 플러그(210)를 삽입해야 한다. 상기 제1 플러그(210)의 상세한 구성과 형성 방법은 도 3, 도 4와 도 5에서 자세하게 기술하도록 한다.
제2 플러그(230)는 USB 표준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인 USB 타입A표준 플러그가 일반적으로 적용되나 상기 제1 플러그(210)와 동일한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 USB 타입A표준 플러그, 양면8핀 플러그 또는 이들과 유사한 기능 및 역할을 가지는 플러그로 구성될 수 있다.
경계부(220)는 상기 제1 플러그(210)와 상기 제2 플러그(230)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1 플러그(210)나 상기 제2 플러그(230) 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나 그 크기나 형상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경계부(220)는 상기 플러그들에 스마트기기 또는 다른 외부 장치를 연결할 때 장치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들을 과도하게 삽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리셉터클의 파손을 예방한다. 상기 경계부(220)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질로 구성되나 그 소재의 제한은 두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표준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와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 또는 충전 장치간의 연결을 수행하고, 케이블을 생략함으로써 접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커넥터의 파손을 예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케이블을 포함한 커넥터보다 작은 크기의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휴대성 개선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의 분해도이다.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는 USB 마이크로B타입 리셉터클 또는 양면 8핀 리셉터클을 포함한 스마트기기나 상기 리셉터클을 포함한 다른 장치와 연결하여 데이터통신 또는 전력 충전 등을 수행하는 커넥터나 케이블에 포함된다.
상기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는 양면 8핀 리셉터클 접속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8핀 단자(211), USB 마이크로B타입 리셉터클과 같이 5개의 핀으로 구성된 리셉터클의 접속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5핀 단자(212), 상기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213), 프레임을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는 금속하우징(214) 및 리셉터클의 체결력 확보를 위한 고정핀(2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8핀 단자(211)에는 8개의 핀이 위치하며, 각각의 핀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8핀 단자(211)는 상기 플러그(210)의 좁은 면에 위치하며,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5핀 단자(212)는 5개의 핀이 위치하며, 각각의 핀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5핀 단자(212)는 상기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체결을 위해 상기 플러그(210)의 중단부에 위치하여 리셉터클과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13)은 상기 각각 단자를 보호하고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구성되며 각각 리셉터클과의 호환성을 위해 사다리꼴 형상을 한 5핀 리셉터클 외형을 따른다. 상기 프레임(213)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좁으며, 중단부는 5핀 단자(212)를 5핀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연결하기 위해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하우징(214)은 상기 프레임(213)의 상기 프레임(213)의 좌우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리셉터클과 체결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플러그(210)와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상기 고정핀(215)은 상기 프레임(213) 내부에 포함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핀(215)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에 위치한 고정핀 홈(217)을 통해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노출된 부분을 통해 리셉터클과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체결력을 유지한다.
다음을 통해 상기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8핀 단자(211)는 8개의 핀이 유연성을 가진 플라스틱 기판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8핀 단자(211)는 리셉터클과 체결시 전기가 흐르므로, 각 핀은 상기 금속하우징(214)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8핀 단자(211)는 상기 프레임(213)과의 이탈을 막기 위해 상기 8핀 단자(211)의 하단부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213)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5핀 단자(212)는 리셉터클 접속단자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이 있으며 끝 부분이 둥근 형태로 튀어나온 화살형 핀(310), 삼각형 형태로 튀어나온 스프링형 핀(32) 또는 상기 8핀 단자와 유사한 기판형 핀(330)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형상의 예시는 5핀 리셉터클과의 호환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핀의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프레임(213)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되어 있으며, 사다리꼴 형태의 USB 마이크로B타입 표준인 5핀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이며, 5핀 리셉터클과 양면 8핀 리셉터클 모두에 체결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13)에는 상기 5핀 단자(212)가 고정되는 5핀 홈(216)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핀(215)을 체결하기 위한 고정핀 홈(217)이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 홈(217)은 상기 고정핀(215)의 돌출을 위해 개구부를 포함한다. 단, 상기 5핀 단자의 형상이 기판형 핀과 같이 상기 5핀 홈(216)을 요구하지 않는 형상일 경우에는 상기 5핀 홈(216)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금속하우징(214)은 상기 프레임(213)의 좌우 측면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금속하우징(214) 끝의 일부가 접혀 프레임의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전면부와 고정되며 후면부는 커넥터 경계부(220)의 일부에 고정된다. 또한 금속하우징(214)은 상기 8핀 단자(211)에 위치한 핀과 닿지 않도록 구성한다.
고정핀(215)은 상기 각각 단자를 구성하는 핀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215)은 상기 플러그(210)의 체결시 리셉터클과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215)은 리셉터클과의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에 위치한 각각 단자의 핀에 대한 연결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각 단자를 구성하고 있는 핀은 각각의 전기적인 역할을 가지며, 상기 5핀과 8핀은 각각의 역할에 맞는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8핀과 5핀은 제1 플러그(210)에 위치하고 상기 4핀은 제2 플러그(230)에 위치한다.
도 5의 (b)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복수의 방법에 대한 예시를 제시한다. 방법 1로는, 상기 제1 플러그(210)의 상부에 위치한 8핀이 프레임(213)의 일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5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5핀은 제2 플러그(230)의 단자에 위치한 핀과 연결된다. 방법 2는 상기 8핀과 5핀이 각각 상기 제2 플러그(230)의 핀과 연결된다. 상기 방법 1과 방법 2는 상기 각각 단자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예시이며 그 목적인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 사이의 각 핀의 역할에 맞는 핀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목적이라면 상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및 커넥터를 조립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멀티 타입 플러그의 형성을 위해 8핀 단자(211)와 5핀 단자(212)를 준비한다.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8핀 단자(211)는 유연성을 가진 플라스틱 기판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5핀 단자(212)는 탄성이 있으며 끝 부분이 둥근 형태로 튀어나온 화살형 핀, 삼각형 형태로 튀어나온 스프링형 핀, 기판형 핀 또는 다른 형상의 동일한 기능을 가진 핀으로 구성된다(S110).
다음으로 상기 5핀 단자(212)를 프레임(213)과 체결하는데, 체결 위치는 상기 프레임(213) 중단부에 형성된 5핀 홈(216)에 위치한다(S120). 단, 상기 과정 중 상기 5핀 단자(212)가 상기 5핀 홈(216)을 필요로 하지 않는 형상일 경우 상기 5핀 홈(216)을 생략하고 상기 5핀 단자(212)를 상기 프레임(213)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체결한다(S120).
이어서 상기 8핀 단자(211)를 상기 프레임(213) 좁은 면에 위치하여 체결한다. 상기 프레임(213)과 8핀 단자(211)의 고정을 위해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S130).
다음으로 상기 8핀 단자(211)와 상기 5핀 단자(212)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각 단자를 상기 프레임(213)의 일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직접 연결(S141)하거나, 각각 단자를 제2 플러그(230)에 직접적으로 연결(S142) 한다. 그러나 상기 제시한 두가지 방법 외에도 상기 단자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단자가 체결된 프레임(213)의 좌우 측면부를 금속하우징(214)으로 감싸고, 상기 금속하우징(214) 끝의 일부가 접혀 프레임의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전면부와 고정되며 후면부는 커넥터의 일부에 고정된다. 금속하우징(214)의 끝은 상기 8핀 단자(211)에 위치한 핀과 닿지 않도록 구성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5핀 단자(212)와 상기 8핀 단자(211)를 커넥터(200)의 경계부(220)에 접속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여 제1 플러그(210)를 형성한다(S160). 그리고 상기 경계부(220)의 다른 한 면에 제2 플러그(220)를 위치하여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200)를 형성한다(S17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다양한 플러그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에서는 본 발명인 커넥터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플러그의 조합을 도시한다. 경계부(220)를 중심으로 한쪽 면에는 제1 플러그(210), 반대쪽면에는 제2 플러그(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플러그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러그(210)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플러그(220)에는 USB 타입A표준 플러그가 위치하여 이기종의 리셉터클을 포함한 스마트기기 또는 다른 장치들을 상기 제1 플러그(210)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플러그(220)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 또는 충전 장치 등을 포함한 USB 타입A표준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장치와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 장치의 충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c)에서는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또 다른 조합을 도시한다. (b)에서는 상기 제1 플러그(210)를 구성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복수로 구비하여 스마트기기간의 직접적인 연결에 대한 호환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c)와 같이 상기 제1 플러그(210)에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형성하고 제2 플러그는 USB 마이크로B타입 플러그로 형성하는 등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와 함께 다양한 플러그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10 : 제1 플러그 211 : 8핀 단자
212 : 5핀 단자 213 : 프레임
214 : 금속하우징 215 : 고정핀
216 : 5핀 홈 217 : 고정핀 홈
220 : 경계부 230 : 제2 플러그

Claims (12)

  1.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 타입의 단자; 및
    상기 제1 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 타입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의 단자 및 제2 타입의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단자를 단일의 플러그로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1 플러그와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단자가 각각 제1 타입이나 제2 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는,
    USB 타입A표준, 타입B표준, 타입A미니, 타입B미니, 마이크로A타입, 마이크로B타입 또는 제1 플러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7.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1 타입의 단자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입과 상이한 개수의 복수의 핀으로 구성된 제2 타입의 단자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의 단자 및 제2 타입의 단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은 금속하우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단자를 단일의 플러그로 일체화하여 구성한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를 대칭되게 배치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플러그가 각각 제1 타입이나 제2 타입의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상부와 하부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하우징은 상하측에는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높이를 줄이고, 양 측면을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구성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8개이며, 제2 타입의 단자에 대한 핀의 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구성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구성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는,
    USB 타입A표준, 타입B표준, 타입A미니, 타입B미니, 마이크로A타입, 마이크로B타입 또는 제1 플러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의 구성 방법.
KR1020160065751A 2016-05-27 2016-05-27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KR10169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751A KR101697067B1 (ko) 2016-05-27 2016-05-27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751A KR101697067B1 (ko) 2016-05-27 2016-05-27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067B1 true KR101697067B1 (ko) 2017-01-17

Family

ID=5799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751A KR101697067B1 (ko) 2016-05-27 2016-05-27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840A (ko) 2019-03-27 2020-10-08 주식회사 엑소퍼트 표면-증강 라만 산란 기반의 표적 물질 검출용 기판의 제조방법, 이에 따른 표적 물질 검출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방법
EP3706257A4 (en) * 2017-10-30 2020-12-23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68U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셀픽 휴대용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CN205122871U (zh) * 2015-11-17 2016-03-30 刘春� 手机充电插头连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68U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셀픽 휴대용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CN205122871U (zh) * 2015-11-17 2016-03-30 刘春� 手机充电插头连接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6257A4 (en) * 2017-10-30 2020-12-23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11100022B2 (en) 2017-10-30 2021-08-24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Interface adapter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200115840A (ko) 2019-03-27 2020-10-08 주식회사 엑소퍼트 표면-증강 라만 산란 기반의 표적 물질 검출용 기판의 제조방법, 이에 따른 표적 물질 검출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표적 물질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63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ystems
US6948983B1 (en) Slim USB male connector with anti-disorientation design
US7938659B1 (en) Compound connector plug
US9213492B2 (en) SD memory card
US748500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arrangement
JP2017076487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アダプタ
US20070077816A1 (en) Universal serial bus electrical connecto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EP2173013B1 (en) Connector for first and second joints having different pin quantities, electronic apparatus with connector and combination
TWI464563B (zh) 電子裝置組合結構
US20080057791A1 (en) Jack connector
US8961237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power contacts which comprise a plurality of contact inserting portions
US20200313451A1 (en) Multi-purpose electrical charging structure
US8317528B2 (en) Intelligent electrical connector
KR101697067B1 (ko) 멀티 타입 호환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US11038310B2 (en) Reversible dual-position electric connector
CN110998986B (zh) 正反双面电连接器
WO2008083166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pin
RU2532249C2 (ru) Низкопрофильная вилочная часть разъема
EP3240002B1 (en) Button structure and terminal applying same
JP3165977U (ja) 複合雌コネクタ
US20090181578A1 (en) Connector assembly
JP3236017U (ja) 入力アセンブリ
US6896527B1 (en) Slim USB male connector with system grounding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US20220006247A1 (en) Reversible dual-position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