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646B1 -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646B1
KR101582646B1 KR1020130074225A KR20130074225A KR101582646B1 KR 101582646 B1 KR101582646 B1 KR 101582646B1 KR 1020130074225 A KR1020130074225 A KR 1020130074225A KR 20130074225 A KR20130074225 A KR 20130074225A KR 101582646 B1 KR101582646 B1 KR 10158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ubber composition
rubber
silica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281A (ko
Inventor
한민현
강용구
정호균
김창환
조동희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6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은 보강충전제로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와 더불어 중심금속이 스트론튬이며, 카보네이트기(-CO3)를 갖고, BET 값이 30 m2/g 이하인 금속화합물을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고무 조성물에 적용하여 보강 성능을 유지하면서,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갖게 한다.

Description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Rubber Composition for Tread of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와 더불어 금속 화합물을 적용하여 보강 성능을 유지하면서,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갖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성능 타이어에 대한 필요성은 자동차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의 타이어 성능요구 증대와 맞물려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고성능 타이어의 요구 수준은 매우 다양하며, 고성능 타이어에 요구되는 특성으로는 조종안정성, 소음, 직진성, 회전저항, 제동력, 마모 등이 있다. 특히 제동성능은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성능으로 타이어 제조업체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주요 관심사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제동성능은 타이어의 회전 저항과 마모 성능 상관관계에서 마법의 삼각형(Magic Triangle)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경우 회전저항 내지는 마모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규제 및 저연비 녹색성장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타이어가 요구됨에 따라 더욱 우수한 제동성, 회전저항, 마모 성능을 높인 타이어의 개발이 요구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며, 많은 타이어 제조업체어서 이들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카본블랙과 실리카 등의 보강제를 사용하여 젖은 노면 성능과 회전저항, 마모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최근 보강제로 수산화 알루미늄을 적용하여 종래의 카본블랙과 실리카를 적용한 타이어보다 우수한 성능의 젖은 노면 성능을 나타내는 기술이 등장하였지만, 보강 성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타이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보강충전제로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와 더불어 중심금속이 2가 또는 3가 금속이며, 히드록시기(-OH) 또는 카보네이트기(-CO3)를 갖고, BET 값이 30 m2/g 이하인 금속화합물을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고무 조성물에 적용하는 경우, 보강 성능을 유지하면서,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가짐을 밝히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US 20010023271 A1 US 20030166759 A1 KR 10-057809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2006년 5월 2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강 성능을 유지하면서,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갖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제로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를 사용하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금속화합물 3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 1
M(A) a · xH 2 O
위 식에서 M은 스트론튬이고, A는 카보네이트기(-CO3)이고, a는 1이고, x는 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서 상기 금속화합물은 BET 측정값이 30 m2/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화합물은 2가 금속인 스트론튬을 중심금속으로 하고 카보네이트기(-CO3)를 갖는 금속화합물 또는 3가 금속인 알루미늄을 중심금속으로 하고 히드록시기(-OH)를 갖는 금속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식 1과 같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한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로 제작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은 보강 성능을 유지하면서,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며,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보강제로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를 사용하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금속화합물 3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 1
M(A) a · xH 2 O
위 식에서 M은 2가 금속 또는 3가 금속 원소이고, A는 히드록시기(-OH) 또는 카보네이트기(-CO3)이고, a는 2 또는 3이고, x는 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서 원료고무로는 타이어 고무 조성물의 원료고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원료고무의 예로서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 및 2종 이상의 합성고무가 1:9 부터 9:1의 중량비로 함유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고무로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함유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함유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네오프렌 고무, 클로로부틸 고무, 브로모부틸 고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고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강제로서의 실리카,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와 카본블랙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카본블랙 및 실리카는 당해 분야에서 보강제로서 타이어 고무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제는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카본블랙과 실리카를 1:9 부터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은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기초하여, 실리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10 내지 95중량부, 카본블랙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5 내지 90중량부이며, 실리카와 카본블랙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30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와 더불어 사용되는 상기 식 1의 금속화합물은 중심금속이 2가 또는 3가 금속이며, 히드록시기(-OH) 또는 카보네이트기(-CO3)를 갖고, BET 값이 30 m2/g 이하인 것이다.
상기 금속화합물로는 2가 금속인 스트론튬을 중심금속으로 하고 카보네이트기(-CO3)를 갖는 금속화합물 또는 3가 금속인 알루미늄을 중심금속으로 하고 히드록시기(-OH)를 갖는 금속화합물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금속화합물은 측정된 BET 값이 30m2/g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m2/g이며, 상기 BET 값이 30 m2/g를 초과하는 경우 고무 조성물의 발열 성능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화합물은 평균입경이 4.5 내지 6.1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무 조성물내 미분산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금속화합물은 고무 조성물내에서 친수성기를 포함하여, 젖은 노면의 수분과 친화력을 높임으로써 젖은 노면의 제동을 향상시킨다. 상기 금속화합물은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2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3중량부 미만일 경우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및 피로 개선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1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및 피로 개선 효과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기계적 물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앞서 언급된 원료고무, 카본블랙, 실리카, 금속화합물 이외에 종래의 타이어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제, 노화방지제, 공정유, 가류제 및 가류 촉진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소정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래의 타이어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으로서 본원 발명의 필수 구성성분이 아니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타이어 고무 조성물을 함유하는 타이어를 포함한다. 이때, 타이어는 승용차용 타이어, 트럭/버스용 타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물을 재료별 조성을 정확히 계량하되 1.6L 용량의 반버리 믹서(Banbury Mixer)에 충전율(Fill Factor)이 0.70이 되도록 계량하고, 반버리 믹서에 넣고 혼합하였으며, 165℃에서 20분 동안 가류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고무 배합표 (단위: phr1 ))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합성고무2) 100 100 100 100 100
Zinc Oxide 3 3 3 3 3
스테아르산 2 2 2 2 2
실리카 80 80 80 80 80
X-50S3 ) 12.8 12.8 12.8 12.8 12.8
Oil 37.5 37.5 37.5 37.5 37.5
수산화알루미늄4 ) - 3 6 9 12
Sulfur 1.5 1.5 1.5 1.5 1.5
CBS 1.5 1.5 1.5 1.5 1.5
DPG 1 1 1 1 1
1) phr: Parts per hundred rubber, 원료고무 중량 100에 대한 혼합재료의 중량
2) 합성고무: vinyl 함량이 55~65%, 스티렌 함량이 20~30%, 용액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3) X-50S: N-330과 Si-69를 50:50으로 혼합한 실리카용 실란 커플링제
4) 수산화알루미늄 : 평균 입자경 6.1μm이며 표면적BET 값이 3.4m2/g
평가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고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가황특성 및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가황특성 및 물성 시험결과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무니 점도(ML 1+4(100℃)) 81 81 78 77 77
경도 64 66 67 67 67
300%모듈러스(kgf/cm2) 125 126 126 126 125
인장강도(kgf/cm2) 196 212 215 215 215
신율(%) 420 400 390 390 390
발열(℃/25min) 42.2 42.1 42.1 42.0 42.0
피로(mm/1,000cycle) 3.99 3.81 3.61 3.56 3.53
람보우른(Lambourn) 마모 특성(%) 0.13 0.13 0.13 0.13 0.15
Tg -7.0 -6.8 -6.7 -6.5 -6.2
0℃ Tanδ 0.889 0.889 0.913 0.918 0.893
60℃ Tanδ 0.141 0.141 0.141 0.140 0.141
상기 표 2에서, 무니 점도(ML 1+4(100℃))는 ASTM 규격 D 1646에 의해 측정하였다. ML 1+4는 미가류 고무의 점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미가류 고무의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경도는 shore A type 경도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 경도는 시편의 딱딱한 정도로 조종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값이 높을수록 조종 안정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300% 모듈러스는 300% 신장시의 인장강도로서 ASTM 규격 D 412에 의해 측정하였고,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한 강도를 나타낸다. 신장률은 인장시험기에서 시험편이 끊어질 때까지의 스트레인 값을 %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장강도는 인장시험기에서 시험편이 끊어질 때까지의 스트레스 값을 나타낸 값으로 단위면적당 받는 힘을 측정하였다. 인장 물성(300%모듈러스, 인장강도, 신율)에 대한 수치는 높을수록 각각의 특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발열 특성의 경우 일정 하중, 일정 응력을 25분간 주어 초기 온도 대비 상승한 온도를 나타내며 상승한 온도가 낮을수록 우수한 발열 특성을 의미한다. 피로 특성은 고무 시편에 2mm의 크렉을 임의로 내어 일정한 반복 변형에 따른 크렉이 성장한 길이를 나타내며, 길이가 짧을 수록 우수한 피로 특성을 의미한다. 마모도는 Lambourn abrasion Tester로 시편과 연마석이 직접 접촉함으로써 가혹도가 높은 측정법을 이용하였으며, 상온에서 회전시켜 마모된 고무의 손실량을 측정한 값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우수한 마모성능을 나타낸다. 점탄성은 Gabo viscometer 측정기를 사용하여 0.2% 변형에 10Hz Frequency 하에서 -60℃에서 80℃까지 Tanδ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Tanδ값이 가장 큰 온도를 유리전이온도라 규정하고 0℃ Tan δ 는 값이 클수록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우수함을 나타내며, 60℃ Tan δ는 값이 작을수록 주행 중 발열이 적어 회전저항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보강제로 실리카를 적용한 고무 조성물에 히드록시기(-OH)를 갖고 3가 금속인 Al을 중심금속으로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을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0℃ Tan δ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회전저항의 척도인 60℃ Tan δ 값 및 발열 특성은 동등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우수한 피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우수하게는 수산화알루미늄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 내지 8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물을 재료별 조성을 정확히 계량하되 1.6L 용량의 반버리 믹서(Banbury Mixer)에 충전율(Fill Factor)이 0.70이 되도록 계량하고, 반버리 믹서에 넣고 혼합하였으며, 165℃에서 20분 동안 가류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고무 배합표 (단위: phr1 ))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합성고무2 ) 100 100 100 100 100
Zinc Oxide 3 3 3 3 3
스테아르산 2 2 2 2 2
실리카 80 80 80 80 80
X-50S3 ) 12.8 12.8 12.8 12.8 12.8
Oil 37.5 37.5 37.5 37.5 37.5
탄산스트론튬4 ) - 3 6 9 12
Sulfur 1.5 1.5 1.5 1.5 1.5
CBS 1.5 1.5 1.5 1.5 1.5
DPG 1 1 1 1 1
1) phr: Parts per hundred rubber, 원료고무 중량 100에 대한 혼합재료의 중량
2) 합성고무: vinyl 함량이 55~65%, 스타이렌 함량이 20~30%, 용액중합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3) X-50S: N-330과 Si-69를 50:50으로 혼합한 실리카용 실란 커플링제
4) 탄산스트론튬(Strontium Carbonate) : 평균 입자경 4.5μm이며 표면적BET 값이 2.4m2/g
평가예 2
상기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고무에 대하여 가황특성 및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가황특성 및 물성 시험결과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무니(Mooney) 점도(100℃) 81 78 76 73 71
경도 64 66 67 67 68
300%모듈러스(kgf/cm2) 125 125 127 127 135
인장강도(kgf/cm2) 196 200 204 207 210
신율(%) 420 430 410 410 400
발열(℃/25min) 42.2 42.0 41.4 41.1 41.0
피로(mm/1,000cycle) 3.99 3.88 3.84 3.76 3.71
람보우른(Lambourn) 마모 특성(%) 0.13 0.13 0.14 0.14 0.15
Tg -7.0 -6.9 -6.5 -6.4 -6.3
0℃ Tanδ 0.889 0.890 0.963 0.926 0.901
60℃ Tanδ 0.141 0.141 0.141 0.141 0.140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보강제로서 실리카를 사용한 고무조성물에 카보네이트기(-CO3)를 갖고 2가 금속인 스트론튬을 중심금속으로 갖는 탄산스트론튬을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내지 8에서, 0℃ Tan δ 값이 증가하였고,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회전저항의 척도인 60℃ Tan δ 값은 동등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발열 특성 및 피로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 하였다. 보다 우수하게는 탄산스트론튬을 6 내지 9phr을 첨가한 실시예 6 및 7의 경우 가장 우수한 Wet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9 내지 10 및 비교예 2
하기 표 5과 같은 조성물을 재료별 조성을 정확히 계량하되 1.6L 용량의 반버리 믹서(Banbury Mixer)에 충전율(Fill Factor)이 0.70이 되도록 계량하고, 반버리 믹서에 넣고 혼합하였으며, 165℃에서 10분 동안 가류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고무 배합표 (단위: phr1 ))
구분 비교예 2 실시예 9 실시예 10
합성고무2 ) 100 100 100
Zinc Oxide 2 2 2
스테아르산 1 1 1
Carbon Black 50 50 50
수산화알루미늄4 ) - 6 -
탄산스트론튬5 ) - - 6
Sulfur 1.75 1.75 1.75
TBBS 1 1 1
1) phr: Parts per hundred rubber, 원료고무 중량 100에 대한 혼합재료의 중량
2) 합성고무: SBR1500
3) Carbon Black: N-330
4) 수산화알루미늄 : 평균 입자경 6.1μm이며 표면적BET 값이 3.4m2/g
5) 탄산스트론튬 : 평균 입자경 4.5μm이며 표면적BET 값이 2.4m2/g
평가예 3
상기 실시예 9 내지 10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고무에 대하여 가황특성 및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가황특성 및 물성 시험결과
구분 비교예 2 실시예 9 실시예 10
무니(Mooney) 점도(100℃) 103 103 104
경도 72 73 74
300%모듈러스(kgf/cm2) 181 180 185
인장강도(kgf/cm2) 256 253 266
신율(%) 390 400 390
발열(℃/25min) 60.3 59.1 56.6
피로(mm/1,000cycle) 6.12 6.01 6.04
람보우른(Lambourn) 마모 특성(%) 0.19 0.19 0.21
Tg -32.4 -31.0 -30.4
0℃ Tanδ 0.1960 0.2031 0.2087
60℃ Tanδ 0.1665 0.1662 0.1552
상기 표 6의 결과로부터 보강제로서 카본블랙을 사용한 고무조성물에 히드록시기(-OH)를 갖고 3가 금속인 알루미늄을 중심금속으로 하는 수산화 알루미늄과 카보네이트기(-CO3)를 갖고 2가 금속인 스트론튬을 중심금속으로 갖는 스트론튬카보네이트를 적용한 실시예 9 및 10의 경우, 0℃ Tan δ 값이 증가하였으며,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회전저항의 척도인 60℃ Tan δ 값 또한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발열 및 피로 특성 역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4)

  1. 보강제로서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를 사용하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금속화합물 3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일반식 1
    M(A)a· xH2O
    위 식에서 중심금속 M은 스트론튬이고, A는 카보네이트기(-CO3)이고, a는 1이고, x는 0 이상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합물은 BET 측정값이 30 m2/g 이하인 것인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이 적용되는 타이어.
KR1020130074225A 2013-06-27 2013-06-27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KR10158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225A KR101582646B1 (ko) 2013-06-27 2013-06-27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225A KR101582646B1 (ko) 2013-06-27 2013-06-27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81A KR20150001281A (ko) 2015-01-06
KR101582646B1 true KR101582646B1 (ko) 2016-01-05

Family

ID=5247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225A KR101582646B1 (ko) 2013-06-27 2013-06-27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2961B1 (en) 1999-12-27 2004-09-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Aluminium hydroxide and tyre tread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yre employing the aluminium hydroxide
JP3686384B2 (ja) 2002-02-28 2005-08-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0578096B1 (ko) * 2003-11-26 2006-05-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젖은 노면 제동거리 특성과 연비가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고무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81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3687B2 (ja) ゴム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トレッドおよび/またはサイドウォールを有するタイヤ
JP5382495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US8754158B2 (en) Studless tire for passenger vehicle
JP5894182B2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スタッドレスタイヤ
EP1571009A1 (en) Rubber composition for tread
KR20150024701A (ko)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JP2010163544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508038B2 (ja) トラック・バス用またはライトトラック用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5582921B2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2014009300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2006188571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タイヤ
JP5420868B2 (ja) トラック・バス用またはライトトラック用スタッドレスタイヤ
KR100869256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JP2014218566A (ja) 高性能ウェットタイヤ用トレッドゴム組成物及び高性能ウェットタイヤ
KR101582646B1 (ko)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KR20130118544A (ko) 내마모성이 향상된 트럭 및 버스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1006713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2015013975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0570266B1 (ko) 실리카 및 실란커플링제가 보강된 실리카 고무조성물
KR101205326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JP2011068911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タイヤ
KR100656557B1 (ko) 실리카가 함유된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377399B1 (ko) 타이어트레드용 고무조성물
JP6141118B2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5319807B2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スタッドレス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