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531B1 - Ig3 전원 공급 모듈 - Google Patents

Ig3 전원 공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31B1
KR101582531B1 KR1020140149472A KR20140149472A KR101582531B1 KR 101582531 B1 KR101582531 B1 KR 101582531B1 KR 1020140149472 A KR1020140149472 A KR 1020140149472A KR 20140149472 A KR20140149472 A KR 20140149472A KR 101582531 B1 KR101582531 B1 KR 10158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connection terminals
control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오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4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G3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IG3 전원을 이용하는 부하들과 연결된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로 IG3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릴레이 스위치;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IG3 전원을 이용하는 부하들과 연결된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로 IG3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각각이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각각이 제 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고,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 및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결단자들과 결합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IG3 공급 회로를 모듈화하여 종래의 스마트 정션 박스에 결합함으로써 IG3 전원 공급을 위한 정션 박스 등의 차량 부품의 신규 설계를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IG3 전원 공급 모듈{IG3 electric source providing module}
본 발명은 IG3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IG3 전원을 제공하는 회로 구성을 모듈화하여 정션 박스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정션 박스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IG3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IG3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차량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에 있다.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내부에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 대용량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 회로가 구비되며(예컨대, OBC(OnBoard Charger)회로), 충전 회로는 가정용 전원 또는 충전 스탠드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에 탑재된 대용량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기존의 일반 차량의 경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B+)은 액세서리 전원(ACC), IG1 전원, 및 IG2 전원으로 분류되어, 해당 전원에 연결된 차량내의 부하들로 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전기차(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 이하,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약칭함)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ACC 전원, IG1 전원 및 IG2 전원 이외에, 대용량 배터리를 이용하는 충전 회로 및 전원 공급 장치, 편의장치 및 안전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IG3 전원이 별도로 마련되고 있으며, IG3 전원을 이용하는 전자 부품의 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일반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마트 정션 박스의 경우에는, IG3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IG3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마트 정션 박스를 설계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존재하고, IG3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현재 출시된 스마트 정션 박스의 경우, 각각의 전자 장치들과 IG3 전원과의 연결을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어, 릴레이 스위치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설계의 어려움 및 릴레이의 고장에 따른 스마트 정션 박스 전체의 오동작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차용 IG3 전원 계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ACC 전원, IG1 전원 및 IG2 전원과 관련된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IG3 전원과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IG3 전원 공급 회로를 스마트 정션 박스(10)에 포함되도록 구현된 회로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장치들(30)이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들(11)과 연결되어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들(11)을 온/오프 시킴으로써, 각각의 부하들(20)이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11)를 통해서 배터리 전원(B+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릴레이 스위치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서 설계의 어려움 및 릴레이의 고장에 따른 스마트 정션 박스 전체의 오동작 등의 문제가 발생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IG3 공급 회로를 모듈화하여 종래의 스마트 정션 박스에 결합함으로써 IG3 전원 공급을 위한 정션 박스 등의 차량 부품의 신규 설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IG3 전원 공급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IG3 전원을 이용하는 부하들과 연결된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로 IG3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IG3 전원을 이용하는 부하들과 연결된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로 IG3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 및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 및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단자들과 결합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에는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High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는 제 1 제어 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 단자 각각과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어 장치들 중 어느 한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High 신호가 다른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방향이 순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다이오드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에는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LOW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는 제 2 제어 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에서,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는 제 1 단자 내지 제 4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3 단자는 각각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단자는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 3 단자와 도통되어 배터리 전원을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단자의 일단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 내부의 코일을 통해서 상기 제 1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자의 타단은 상기 제 2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 장치들이 LOW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 1 단자로부터 전류가 유입되어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에서,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 접점 노드와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 사이에는 각각 과전류를 방지하는 퓨즈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에서,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입력 접점 노드 사이에는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로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에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Key On 상태에서 IG1 전원 동작시, Key Off 상태에서 완속 충전 동작시, 또는 Key Off 상태에서 급속 충전 동작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에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Key Off 상태에서 충전 또는 공조 예약 시스템 작동시, 또는 Key Off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연동 인텔리전트 제어 작동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에서, 상기 연결 단자들은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스마트 정션 박스에 삽입함으로써, 스마트 정션 박스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IG3 공급 회로를 모듈화하여 종래의 스마트 정션 박스에 결합함으로써 IG3 전원 공급을 위한 정션 박스 등의 차량 부품의 신규 설계를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IG3 전원을 필요로 하는 신규 EV 또는 PHEV 차량의 설계시 C/O(Carry Over) 적용 가능하여, 신규 설계를 최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IG3 전원 공급 모듈은 IG3 전원을 활성화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들을, 논리값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와 논리값 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로 분류하고, 논리값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들을 하나의 릴레이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하고, 논리값 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들을 하나의 릴레이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IG3 전원 공급 모듈에 이용되는 릴레이 스위치의 수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IG3 전원 공급 모듈의 크기 및 생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릴레이 스위치의 오동작으로 인한 전체 IG3 전원 공급 모듈의 오동작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차용 IG3 전원 계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이 스마트 정션 박스 또는 차량 구조물과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IG3 전원 공급 모듈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은
제 1 릴레이 스위치(210), 제 2 릴레이 스위치(220), 부하 연결 단자(410), 제 1 제어 연결단자(420), 제 2 제어 연결 단자(430), 및 외부 하우징(미도시 됨)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제 1 릴레이 스위치(210)와 제 1 제어 연결 단자(420) 사이에는 복수의 다이오드(240)가 연결된다.
또한, 제 1 릴레이 스위치(210)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출력 접점 노드에는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410)을 통해서 복수의 부하들(IG3 부하)(200)이 연결된다.
또한, 배터리 전원(B+)과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210)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입력 접점 노드 사이에는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210)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220)로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IG3_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릴레이 스위치(210)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출력 접점 노드와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410) 사이에는 각각 과전류를 방지하는 복수의 퓨즈(IG3_2~IG3_4)가 설치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210)의 제 1 단자(①)는 복수의 다이오드(240)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 2 단자(②)는 그라운드에 접지되며, 제 3 단자(③)는 퓨즈(IG3_1)를 통해서 배터리 전원(B+)에 연결되고, 제 4 단자(④)는 복수의 퓨즈(IG3_2~IG3_4) 및 복수의 퓨즈(IG3_2~IG3_4)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410)을 통해서 IG3 부하들(100)과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다이오드들(240)은 애노드가 제 1 제어 연결 단자들(420)을 통해서 복수의 제 1 제어 장치(310)들과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 1 릴레이 스위치(210)의 제 1 단자(①)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제어 장치(310)들은 논리값 High(예컨대, +5V 전압값)를 제 1 제어 신호로서 출력함으로써 제 1 릴레이 스위치(210)를 온시키는 구성으로서, 각종 충전 관련 제어 장치이거나, 차량 전원 관련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제어 장치(310)는 도 1에 도시된 OBC 충전 회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IG1 전원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차량의 키를 삽입하거나,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IG1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IG1 전원 제어 회로는 제 1 릴레이 스위치(210)를 온시키는 제 1 제어 신호(High 신호)를 출력하여 IG3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커넥터를 차량에 연결하면, 이를 감지한 OBC(OnBoard Charger) 회로가 제 1 릴레이 스위치(210)를 온시키는 제 1 제어신호(High 신호)를 출력하여 IG3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급속 충전을 위해서 스탠드형 충전기의 충전 커넥터를 차량에 연결하면, BMS가 이를 감지하고, IG3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제 1 릴레이 스위치(210)로 제 1 제어신호(High 신호)를 출력하여 IG3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제어 장치(310)로부터 출력된 제 1 제어신호(High 신호)는 제 1 릴레이 스위치(210)의 제 1 단자(①)로 입력되고 제 2 단자(②)를 통해서 출력되는데, 제 1 단자(①)로 입력된 전류는 릴레이 스위치 내부의 코일을 흐르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스위치를 온시킨다.
제 1 릴레이 스위치(210)가 온되면,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B+)은 퓨즈(IG3_2~IG3_4)를 통해서 IG3 부하들(100)로 공급된다. IG3 부하들(100)은 도 1에 도시된 예와 동일한데, 예를 들면,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대용량 배터리의 완속 충전을 수행하는 OBC unit, 스탠드형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대용량 배터리의 급속 충전을 제어하는 BMS unit, 자동차의 회로 장치들을 냉각시키는 워터 펌프, 클러스터, EPCU(Electric Power Control Unit), 데이터 로거, 네비게이션, 히터 등이 있다.
이 때, 복수의 제 1 제어 장치(310)로부터 제 1 릴레이 스위치(210)를 향하는 방향이 순방향이 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다이오드들(240)은 어느 한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된 제 1 제어신호(High 신호)가 다른 제어 장치로 유입되어, 다른 제어 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 2 릴레이 스위치(220)는 제 1 릴레이 스위치(210)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제 1 단자(①)는 퓨즈(IG3_1)를 통해서 배터리 전원(B+)에 연결되고, 제 2 단자(②)는 제 2 제어 연결 단자들(430)을 통해서 제 2 제어 장치들(320)과 연결되며, 제 3 단자(③)는 제 1 단자(①)와 마찬가지로 퓨즈(IG3_1)를 통해서 배터리 전원(B+)에 연결되고, 제 4 단자(④)는 복수의 퓨즈(IG3_2~IG3_4) 및 복수의 퓨즈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410)을 통해서 IG3 부하들(100)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제어 장치(320)들은 제 2 제어신호(논리값 LOW)를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제 2 단자(②)에 출력함으로써(실제로는, 제 2 단자(②)를 그라운드시킴), 제 2 릴레이 스위치(220)를 온시킨다.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제 1 단자(①)는 퓨즈(IG3_1)를 통해서 배터리 전원(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제어 장치(320)가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제 2 단자(②)를 접지하면 제 1 단자(①)로부터 제 2 단자(②)로 전류가 흐르면서 제 2 릴레이 스위치(220) 내부의 코일의 전자기력을 유도하여 제 2 릴레이 스위치(220)를 온시킨다.
제 2 릴레이 스위치(220)가 온되면, 배터리 전원(B+)은 제 2 릴레이 스위치(220)의 제 3 단자(③)로 입력되고 제 4 단자(④)로 출력되어, 복수의 퓨즈(IG3_2~IG3_4)를 통해서 IG3 부하들(100)로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제 2 제어 장치(320)는 Key Off 상태에서 충전 또는 공조 예약 시스템 작동시, 또는 Key Off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연동 인텔리전트 제어 작동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네비게이션 장치, EPCU 등이 될 수도 있다.
한편, IG3 전원 공급 모듈(200)의 외부 하우징(미도시 됨)은 제 1 릴레이 스위치(210), 제 2 릴레이 스위치(220), 복수의 다이오드들(240) 및 복수의 퓨즈들(IG3_2~IG3_4)을 내부에 수용하고,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420),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 단자(430), 및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41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단자들과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G3 전원 공급 모듈이 스마트 정션 박스 또는 차량 구조물과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420),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 단자(430), 및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410)를, 기존의 스마트 정션 박스(500)의 대응되는 삽입 홈에 삽입함으로써, IG3 전원 공급 모듈(200)을 간편하게 스마트 정션 박스(5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IG3 전원 공급 모듈(200)을 스마트 정션 박스(500)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IG3 전원 공급 회로를 추가하기 위해서 종래의 스마트 정션 박스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차량 제작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IG3 부하들 200: IG3 전원 공급 모듈
210: 제 1 릴레이 스위치 220: 제 2 릴레이 스위치
240: 복수의 다이오드 310: 제 1 제어 장치
320: 제 2 제어 장치 410: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
420: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 430: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 단자
500: 스마트 정션 박스

Claims (10)

  1.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IG3 전원을 이용하는 부하들과 연결된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로 IG3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IG3 전원을 이용하는 부하들과 연결된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로 IG3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 및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 및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단자들과 결합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제어 연결단자에는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High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는 제 1 제어 장치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 단자 각각과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어 장치들 중 어느 한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 High 신호가 다른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방향이 순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 연결단자에는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LOW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는 제 2 제어 장치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는 제 1 단자 내지 제 4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3 단자는 각각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단자는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 3 단자와 도통되어 배터리 전원을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로 공급하며,
    상기 제 2 단자의 일단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 내부의 코일을 통해서 상기 제 1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자의 타단은 상기 제 2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 장치들이 LOW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 1 단자로부터 전류가 유입되어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 접점 노드와 상기 복수의 부하 연결 단자들 사이에는 각각 과전류를 방지하는 퓨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과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입력 접점 노드 사이에는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로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사용자가 차량의 키를 삽입하거나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IG1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커넥터가 차량에 연결되는 경우, 및 사용자가 급속 충전을 위해서 스탠드형 충전기의 충전 커넥터를 차량에 연결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Key Off 상태에서 충전 또는 공조 예약 시스템 작동시, 또는 Key Off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연동 인텔리전트 제어 작동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들은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스마트 정션 박스에 삽입함으로써, 스마트 정션 박스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3 전원 공급 모듈.
KR1020140149472A 2014-10-30 2014-10-30 Ig3 전원 공급 모듈 KR10158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472A KR101582531B1 (ko) 2014-10-30 2014-10-30 Ig3 전원 공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472A KR101582531B1 (ko) 2014-10-30 2014-10-30 Ig3 전원 공급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531B1 true KR101582531B1 (ko) 2016-01-21

Family

ID=5530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472A KR101582531B1 (ko) 2014-10-30 2014-10-30 Ig3 전원 공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32A (ko) * 2016-06-22 2018-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용 구동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9099B1 (ko) 2018-09-21 2019-02-15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차용 전력 분배 장치
KR2022008233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자동차의 전력 분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860A (ja) * 2007-06-04 2008-12-11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20090108439A (ko)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090108438A (ko)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860A (ja) * 2007-06-04 2008-12-11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20090108439A (ko)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090108438A (ko)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32A (ko) * 2016-06-22 2018-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용 구동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9925B1 (ko) * 2016-06-2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용 구동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9099B1 (ko) 2018-09-21 2019-02-15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차용 전력 분배 장치
KR2022008233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자동차의 전력 분배 장치
KR102531176B1 (ko) 2020-12-10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자동차의 전력 분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6200B2 (en) On-board control device
CN108495771B (zh) 车载电源用的开关装置及车载用的电源装置
US1032617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KR20180045954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417075A (zh) 电源冗余系统
US9960612B2 (en)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first fuse in the vehicle and a second fuse in a cable connected to the vehicle
US10604091B2 (en)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160264012A1 (en)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internal circuit of the same
US11332014B2 (en) Auxiliary power supply system for high power loads in a hybrid/electric vehicle
KR101582531B1 (ko) Ig3 전원 공급 모듈
US10407005B2 (en)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N102229327B (zh) 汽车供电系统
JP2016213969A (ja) 電源供給装置
CN112104037A (zh) 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自动驾驶车辆和电源管理装置
EP3719954A1 (en) Pre-charge current control device
CN111137231A (zh) 供电系统和车辆
JP6744786B2 (ja) 電動車両の電源制御装置
RU2762880C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установленна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CN208986821U (zh) 电动汽车用dcdc转换装置及空调供电系统
TWI449634B (zh) Electric power control system of electric vehicle and its discharg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KR102642061B1 (ko) 전기 자동차의 릴레이 구동 장치
JP2016213967A (ja) 電源供給装置
JP2016213968A (ja) 電源供給装置
CN215850790U (zh) 一种用于新能源客车的电源配电盒
CN220358877U (zh) 供电电路及电动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