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096B1 - 우박보호구 - Google Patents

우박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096B1
KR101582096B1 KR1020150034234A KR20150034234A KR101582096B1 KR 101582096 B1 KR101582096 B1 KR 101582096B1 KR 1020150034234 A KR1020150034234 A KR 1020150034234A KR 20150034234 A KR20150034234 A KR 20150034234A KR 101582096 B1 KR101582096 B1 KR 10158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reference yarn
hollow hol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유
Priority to KR102015003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5/00Devices or methods for influencing weather cond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와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체결홀이 보다 개선된 방식으로 제공되면서 체결홀 인근 영역의 내구성 또한 극대화될 수 있도록 유도되는 우박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사슬 구조로 연속 배열되는 기준사(10);와, 기준사 상간에서 지그재그로 왕복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기준사와 기준사를 서로 결부되게 하는 연결사(20);와, 기준사와 연결사의 교번 배열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결사의 개입이 생략됨에 따라 편성되는 중공홀(40);과,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해당 영역에서 중첩되는 기준사와 연결사의 직교 방향으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결속되는 보강사(30);와,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보강사의 직교 방향 결속이 생략됨에 따라 구획 편성되는 체결홀(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우박보호구{HAIL FENCE}
본 발명은 우박보호구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시한 것으로, 지주와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체결홀이 보다 개선된 방식으로 제공되면서 체결홀 인근 영역의 내구성 또한 극대화될 수 있도록 유도되는 우박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지구 온난화 등 환경 오염 문제에 기인한 변화무쌍한 날씨로 인해 자연 재해를 비롯한 각종 기후적인 요인으로 과수나 곡식, 기타 농작물에 회복할 수 없을 정도의 크나큰 피해가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 현상 중의 하나로 보다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는 우박의 경우에는 그 직경 또는 무게에 따라 비닐하우스는 물론 기타 건축 구조물조차도 쉽게 파손시킬 정도로 위력적인바, 이에 대한 대비책은 전무한 상황이다.
한편, 울타리(펜스)는 각종 시설물의 안전보호망, 축사, 공장, 시설물보호, 도로변, 부지 경계용 등 현장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 및 응용 설치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울타리를 이용함으로써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이러한 수단은 실로 원시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서 보다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우박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5273호 "조류 및 우박방지용 과실보호 봉지"가 개시되고 있지만, 이는 과실의 단순 커버를 행함으로써 보호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농민들의 만족도와는 거리가 멀 뿐 아니라 그 대상 또한 지나치게 제한적이어서 사용상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지주와의 상호 조립성을 향상시켜 해당 보호구의 전개 상태를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소정의 체결홀을 등간격 마련함으로써 지주와의 조립시 보다 나은 체결성과 함께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우박보호구의 제공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체결홀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사를 더 편성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내구성을 극대화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우박보호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 개의 기준사(10)와 연결사(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네트 형상의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서 지주(1)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주에 대응되는 측방부인 연결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1)는 사슬 구조로 연속 배열되는 기준사(10);와, 기준사 상간에서 지그재그로 왕복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기준사와 기준사를 서로 결부되게 하는 연결사(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05)에서 상기 기준사와 연결사의 교번 배열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결사의 개입이 생략됨에 따라 편성되는 중공홀(40);과, 상기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해당 영역에서 중첩되는 기준사와 연결사의 직교 방향으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결속되는 보강사(30);와, 상기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보강사의 직교 방향 결속이 생략됨에 따라 구획 편성되는 체결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강사(30)는 제1,2,3보강사(31,32,33)로 구분 배치되어 서로 다른 경로를 경유하면서 기준사(10)와 연결사(20)의 직교 방향에 대한 결속이 진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사(10)는 제1 내지 제8기준사(11~18)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사(20)는 제1 내지 제7연결사(21~27)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사(30)는 제1 내지 3보강사(31~33)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사(31)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1기준사(11)를 기점으로 하여 중공홀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 제7기준사(17), 제6연결사(26), 제8기준사(18), 제7연결사(27)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8기준사, 제6연결사, 제7기준사, 제5연결사,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되고, 제2기준사(12)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강사(32)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2기준사(12)를 기점으로 하여 제1연결사(21), 제1기준사(11), 중공홀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 제7기준사(17), 제6연결사(26)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7기준사, 제5연결사,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 제2기준사, 제2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되고, 제3기준사(13)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보강사(33)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3기준사(13)를 기점으로 하여 제2연결사(22), 제2기준사(12), 제1연결사(21), 제1기준사(11), 중공홀(40)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 제2기준사, 제2연결사, 제3기준사, 제3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되고, 제4기준사(14)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와의 상호 조립성을 향상시켜 해당 우박보호구의 전개 상태를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이를 위해 소정의 체결홀을 등간격 마련함으로써 지주와의 조립시 보다 나은 체결성과 함께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체결홀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사를 더 편성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내구성을 극대화하므로 파손이나 훼손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우박보호구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1보강사의 결속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2보강사의 결속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3보강사의 결속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우박보호구 설치 양태도.
본 발명은 우박보호구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시한 것으로, 지주(1)와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체결홀(50)이 보다 개선된 방식으로 제공되면서 체결홀 인근 영역의 내구성 또한 극대화될 수 있도록 유도되는 우박보호구(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우박보호구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박보호구(100)는 다수 개의 기준사(10)와 연결사(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네트 형상의 본체(101)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01)에서 지주(1)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주(1)에 대응되는 측방부의 가장자리부인 연결부(105)에 보강사(30)의 결속으로 중공홀(40) 및 체결홀(50)의 생성이 선택적으로 유도됨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우박보호구(100)로서의 역할을 발휘한다. 상기 연결부(105)는 본체(101)의 측방 외곽에 즉 측방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강사(30)가, 기준사(10)와 연결사(20)를 통과하여 직교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본체(101)는 사슬 구조로 연속 배열되는 기준사(10);와, 기준사 상간에서 지그재그로 왕복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기준사와 기준사를 서로 결부되게 하는 연결사(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05)는 기준사와 연결사의 교번 배열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결사의 개입이 생략됨에 따라 편성되는 중공홀(40);과,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해당 영역에서 중첩되는 기준사와 연결사의 직교 방향으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결속되는 보강사(30);와,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보강사의 직교 방향 결속이 생략됨에 따라 구획 편성되는 체결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보강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보강사(31,32,33)로 구분 배치되어 서로 다른 경로를 경유하면서 연결부(105)의 기준사(10)와 연결사(20)의 직교 방향에 대한 결속이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첨부 도면에 제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05)에 구성되는 기준사(10), 연결사(20), 보강사(30)의 구성을 상세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기준사(10)는 타원 형상의 고리 구조를 갖는 사슬 형태로 제공되고, 이웃하는 한 쌍의 고리 구조가 하트 모양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규칙적으로 연결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본체(101) 전체에 걸쳐서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준사는 제1 내지 제8기준사(11~18)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사(20)는 서로 이웃하는 기준사의 사이 공간에 배열되는 구성요소로, 연결사와 동일 방향으로 진행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선회되면서 엮이는 타입에 기인하여 인근 기준사를 기점으로 교차 결속된다. 이러한 연결사는 제1 내지 제7연결사(21~27)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사(30)는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영역이 서로 일체될 수 있도록 부여되는바, 보강사의 횡 방향 배치가 실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호 결속은 물론 체결홀의 생성 또한 좌우된다.
즉, 서로 분리된 영역을 기점으로 좌우 왕복 결속되는 보강사로 하여금 하나의 일체화된 우박보호구(100)가 제공되는데, 중공홀(40)을 가로지르는 보강사(30)의 경로를 임의 지점에서 제어함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체결홀(50)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사(30)는 도면에서 제시한 것처럼 제1 내지 3보강사(31~33)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제1,2,3보강사의 결속 과정에 대해서는 관련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우박보호구 설치 양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박보호구(100)는 지중에 입설되는 지주(1);와, 지주 상에 등간격 배열되는 고리(2);와, 고리와 체결홀(50) 상간에 개재되는 결속부재(3);의 조합으로 설치 완료될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홀(50)은 본 발명의 우박보호구(100)가 제시하는 주된 요부로, 이러한 체결홀의 생성을 위한 기술사상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1보강사(31)의 결속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1보강사(31)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1기준사(11)를 기점으로 하여 중공홀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 제7기준사(17), 제6연결사(26), 제8기준사(18), 제7연결사(27)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8기준사, 제6연결사, 제7기준사, 제5연결사,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된다.
이때, 제2기준사(12)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통적으로, 제1보강사(31)는 기준사(10)에 대해서는 하향 경로를 가지면서 연결사(20)의 영역에서는 상향 경로로 지정됨에 따라 상하 반복되는 위치 가변에 기인하여 서로 견고한 꼬임 결속이 유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2보강사(32)의 결속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2보강사(32)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2기준사(12)를 기점으로 하여 제1연결사(21), 제1기준사(11), 중공홀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 제7기준사(17), 제6연결사(26)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7기준사, 제5연결사,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 제2기준사, 제2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된다.
이때, 제3기준사(13)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통적으로, 제2보강사(32)는 기준사(10)에 대해서는 하향 경로를 가지면서 연결사(20)의 영역에서는 상향 경로로 지정됨에 따라 상하 반복되는 위치 가변에 기인하여 서로 견고한 꼬임 결속이 유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3보강사(33)의 결속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3보강사(33)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3기준사(13)를 기점으로 하여 제2연결사(22), 제2기준사(12), 제1연결사(21), 제1기준사(11), 중공홀(40)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 제2기준사, 제2연결사, 제3기준사, 제3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된다.
이때, 제4기준사(14)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통적으로, 제3보강사(33)는 기준사(10)에 대해서는 하향 경로를 가지면서 연결사(20)의 영역에서는 상향 경로로 지정됨에 따라 상하 반복되는 위치 가변에 기인하여 서로 견고한 꼬임 결속이 유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1)와의 상호 조립성을 향상시켜 해당 우박보호구(100)의 전개 상태를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이를 위해 소정의 체결홀(50)을 등간격 마련함으로써 지주와의 조립시 보다 나은 체결성과 함께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체결홀(50)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사(30)를 더 편성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내구성을 극대화하므로 파손이나 훼손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
이상,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준사
20. 연결사
30. 보강사
40. 중공홀
50. 체결홀
100. 지주 고정용 휀스

Claims (5)

  1. 다수 개의 기준사(10)와 연결사(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네트 형상의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서 지주(1)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측방의 가장자리 부분인 연결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1)는 사슬 구조로 연속 배열되는 기준사(10);와,
    기준사 상간에서 지그재그로 왕복 배열되면서 이웃하는 기준사와 기준사를 서로 결부되게 하는 연결사(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05)에서 상기 기준사와 연결사의 교번 배열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결사의 개입이 생략됨에 따라 편성되는 중공홀(40);과,
    상기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해당 영역에서 중첩되는 기준사와 연결사의 직교 방향으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결속되는 보강사(30);와,
    상기 중공홀을 기점으로 양분된 공간에 대해 보강사의 직교 방향 결속이 생략됨에 따라 구획 편성되는 체결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박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사(30)는 제1,2,3보강사(31,32,33)로 구분 배치되어 서로 다른 경로를 경유하면서 기준사(10)와 연결사(20)의 직교 방향에 대한 결속이 진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박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사(10)는 제1 내지 제8기준사(11~18)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사(20)는 제1 내지 제7연결사(21~27)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사(30)는 제1 내지 3보강사(31~33)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보강사(31)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1기준사(11)를 기점으로 하여 중공홀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 제7기준사(17), 제6연결사(26), 제8기준사(18), 제7연결사(27)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8기준사, 제6연결사, 제7기준사, 제5연결사,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되고, 제2기준사(12)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박보호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사(32)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2기준사(12)를 기점으로 하여 제1연결사(21), 제1기준사(11), 중공홀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 제7기준사(17), 제6연결사(26)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7기준사, 제5연결사,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 제2기준사, 제2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되고, 제3기준사(13)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박보호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강사(33)는 중공홀(40)에 근접한 제3기준사(13)를 기점으로 하여 제2연결사(22), 제2기준사(12), 제1연결사(21), 제1기준사(11), 중공홀(40)을 거친 후 이웃하는 제5기준사(15)에 도달하면서 순차적으로 제4연결사(24), 제6기준사(16), 제5연결사(25)를 경유하여 방향 전환됨에 따라 재차 제6기준사, 제4연결사, 제5기준사, 중공홀, 제1기준사, 제1연결사, 제2기준사, 제2연결사, 제3기준사, 제3연결사의 순으로 결속되고, 제4기준사(14)에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홀(50)의 편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박보호구.
KR1020150034234A 2015-03-12 2015-03-12 우박보호구 KR10158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34A KR101582096B1 (ko) 2015-03-12 2015-03-12 우박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34A KR101582096B1 (ko) 2015-03-12 2015-03-12 우박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096B1 true KR101582096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234A KR101582096B1 (ko) 2015-03-12 2015-03-12 우박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0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665U (ko) * 1975-12-06 1977-06-11
KR20100108662A (ko) * 2009-03-30 2010-10-08 이동철 밭작물 재배용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665U (ko) * 1975-12-06 1977-06-11
KR20100108662A (ko) * 2009-03-30 2010-10-08 이동철 밭작물 재배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74165B2 (en) Protection system for mechanized covering of plant crops
JP3186560U (ja) 太陽光発電装置
JP6345495B2 (ja) 落石防護柵に用いる落石防護ネット
KR101582096B1 (ko) 우박보호구
KR101289489B1 (ko) 기존 시설물의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압형 방초 매트의 시공 방법
JP6319918B1 (ja) 害獣侵入防止ネット
JP2008019673A (ja) 落石防護柵及び落石防護網
JP5667600B2 (ja) 仕切ネット及びフェンス
KR200474591Y1 (ko) 지지 끈이 꿰어진 덩굴식물 생장용 그물
JP2013247887A5 (ko)
JP6319283B2 (ja) ネット式電気柵
JP6330454B2 (ja) 防護ネ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既設防護ネットに対する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307572A (ja) 防護柵とその施工方法
JP6585107B2 (ja) 動物侵入防止柵、及び、設置方法
JP6523075B2 (ja) 落石防護柵
JP7359389B2 (ja) 動物侵入防止シート
WO2008132654A1 (en) An improved protective net, in particular a snow or anti-rock net, and a process especially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5878909B2 (ja) 仕切ネ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フェンス
KR101258392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로드킬 방지용 펜스
JP2002339207A (ja) 繊維ネット
KR20150045297A (ko) 동물방지용 펜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구성된 동물방지용 펜스
EP3109376B1 (en) Barbed wire fence
KR20160109567A (ko) 지주 고정용 휀스
JP6532727B2 (ja) 動物侵入抑止柵の設置方法
CN201911115U (zh) 一种种植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