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030B1 -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030B1
KR101582030B1 KR1020140043552A KR20140043552A KR101582030B1 KR 101582030 B1 KR101582030 B1 KR 101582030B1 KR 1020140043552 A KR1020140043552 A KR 1020140043552A KR 20140043552 A KR20140043552 A KR 20140043552A KR 101582030 B1 KR101582030 B1 KR 10158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ower
indicator
amount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878A (ko
Inventor
성민수
Original Assignee
성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수 filed Critical 성민수
Priority to KR102014004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0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가 사용자의 재중 또는 부재중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부재시에 원하는 만큼의 전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사용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 형상의 몸통과, 센서와, 동작 알림 램프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전력량을 0~100%로 조절하는 전력조절기와, 전력표시기로 구성되는 전력조절부와, 전원스위치와, 퓨즈와, 플러그와, 콘센트로 구성되어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장치이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Power control apparatus using sensor}
본 발명은 전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가 사용자의 재중 또는 부재중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부재시에 원하는 만큼의 전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사용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장치의 경우 센서가 인식되면 전력이 On 되고 센서가 인식되지 않으면 전력이 Off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단순 전력을 On/Off하는 경우, 큰 온풍기나 에어컨, 보일러와 같이 정상적 작동을 하기 이전에 예열 등의 이유로 전력이 일정시간 필요한 전기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하기 불편함이 있고, 센서가 제품에 부착이 되어 있어 센서가 내장된 제품이 아니면 센서로 전력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2012-0002417 (2012.04.0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서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의 전력을 0~100%까지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내장형 제품이 아닌 플러그와 콘센트형식으로 구성되어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는 전기제품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육면체 형상의 몸통과, 센서와, 동작 알림 램프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전력량을 0~100%로 조절하는 전력조절기와, 전력표시기로 구성되는 전력조절부와, 전원스위치와, 퓨즈와, 플러그와, 콘센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전력조절부 전력계산기와, 표시전환버튼과, 가격표시기와, 누적금액표시기와, 리셋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에는 주/야 스위치와, 제2 센서와, 센서선택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자기 센서, 광 센서, 음향 센서, 미각 센서, 후각 센서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의 전력을 0~100%까지 사용자가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센서가 인식되는 경우 전기제품 전력을 100%로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전기 제품에 맞춰 센서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의 전력을 설정하면 센서인식만으로 전력량이 0~100%에서 100%로 조절되어 사용자가 따로 전기제품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예열이 필요한 대형 온열기구나 미리 실외기를 돌려야 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에어컨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설정된 만큼 센서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에도 작동되고 있기 때문에 딜레이가 없이 바로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내장형 제품이 아닌 플러그와 콘센트형식으로 구성되어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는 전기제품 모두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통부에 전력계산기를 구성하여, 계량기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지 않아도 현재까지 사용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표시전환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을 전환하고 현재의 시간당 전기요금을 입력하면 사용한 총 전기요금을 확인할 수 있어 전기요금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 부착이 가능한 센서를 구비하고 인식을 원하는 센서를 선택할 수 있어, 몸통이 위치하는 곳이 아닌 다른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의 제약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발명인 계단용 전등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전력표시기와 전력계산기화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가격표시화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1,제 2 실시예를 이용한 제 3,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좌측면도.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전열기의 전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의 몸통(10);과, 상기 몸통(10) 정면부에 위치하여 동작을 감지하는 제1 센서(21)와, 센서가 인식되었음을 알려주는 동작 알림 램프(23)로 구성되는 센서부(20);와, 상기 몸통(10) 정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부(20)가 동작 되지 않을 경우의 전력량을 0~100%로 조절하는 전력조절기(31)와, 선택된 현재 전력량을 표시하는 전력표시기(32)로 구성되는 전력조절부(30);와, 상기 몸통(10) 하단부에 위치하는 전원스위치(40);와, 상기 몸통(10) 하단부에 위치하는 퓨즈(50);와, 상기 몸통(10) 하단부에 위치하는 플러그(60);와, 상기 몸통(10) 상단부에 위치하여 전력을 조절하는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콘센트(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 4는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저면도, 평면도로서, 전열기의 플러그를 콘센트(70)에 연결하고, 플러그(60)를 벽면의 콘센트 또는 전원에 연결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제 1 센서(21)가 인식되지 않았을 경우 작동되는 전력의 양을 상기 전력조절기(31)를 조절하여 0~100%중 설정하고, 설정된 전력의 양은 전력표시기(32)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21)가 사용자, 광량, 압력, 유량 등으로 인식이 되는 경우 동작 알림 램프(23)가 켜지게 되면서 상기 콘센트(70)에 연결되어 있는 전열기는 100%의 전력으로 작동을 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제1 센서(21)가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동작 알림 램프(23)는 켜지지 않고 설정된 전력의 양만큼 상기 콘센트(70)와 연결된 전열기가 작동을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전원스위치(4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인 전력조절기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고, 퓨즈(50)가 구성되어 과부하가 일어날 경우 전력을 차단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야 스위치(22)가 상기 몸통(10) 상부에 구성되어 주간과 야간 또는 광량에 따라 센서인식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 6은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전력표시기와 전력계산기화면을 나타낸 정면도와 가격표시화면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몸통(10) 정면부의 전력표시기(32)와 전력계산기(33)를 디지털 방식으로 표현하고, 전력조절기(31)를 버튼 모양으로 구성하여 원하는 전력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전력량은 상기 전력표시기(32)에 0~100으로 표시되며, 사용된 누적 전력은 상기 전력계산기(33)에 표시된다.
또한, 표시전환버튼(34)을 사용하면 상기 전력표시기(32)와 상기 전력계산기(33)가 가격표시기(35)와 누적금액표시기(36)로 전환되어, 현재의 1시간당 전기요금을 전력조절기(31)를 통하여 설정하면 가격표시기(35)에 표시되며, 상기 가격표시기(35)와 상기 전력계산기(33)에 표시된 누적 전력을 계산하여 누적금액표시기(36)에 표시되어 누적 사용요금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셋 버튼(37)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표시기(32)와 상기 전력계산기(33)와 상기 가격표시기(35)와 상기 누적금액표시기(36)의 내용을 초기화 할 수 있다.
도 7의 (a),(b)는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의 제 1,제 2 실시예를 이용한 제 3,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좌측면도로서, 상기 몸통(10)에 탈부착이 가능한 제2 센서(24)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10) 좌측면에 제1, 제2 센서(21,24)중 인식을 원하는 센서를 선택할 수 있는 센서 선택 스위치(25)를 구성하여, 상기 몸통(10)과 거리가 먼 공간에서도 제2 센서(24)를 이용하여 전력조절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센서(21,24)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자기 센서, 광 센서, 음향 센서, 미각 센서, 후각 센서 등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전열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외출시 외출버튼을 누르고 돌아와서 난방버튼을 눌러 사용하지만, 본 발명인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센서만을 이용하여 이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예열이 필요한 대형 전열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딜레이가 없이 바로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몸통 20. 센서부
21. 제1 센서 22. 주/야 스위치
23. 동작 알림 램프 24. 제2 센서
25. 센서 선택 스위치 30. 전력조절부
31. 전력조절기 32. 전력표시기
33. 전력계산기 34. 표시전환버튼
35. 가격표시기 36. 누적금액표시기
37. 리셋 버튼 40. 전원스위치
50. 퓨즈 60. 플러그
70. 콘센트

Claims (5)

  1. 센서를 이용하여 전열기의 전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의 몸통(10);과,
    상기 몸통(10) 정면부에 위치하여 동작을 감지하는 제1 센서(21)와, 센서가 인식되었음을 알려주는 동작 알림 램프(23)로 구성되는 센서부(20);와,
    상기 몸통(10) 정면부에 위치하여 전력량을 0~100%로 조절하는 전력조절기(31)와, 선택된 현재 전력량을 표시하는 전력표시기(32)로 구성되는 전력조절부(30);와,
    상기 몸통(10) 하단부에 위치하는 전원스위치(40);와,
    상기 몸통(10) 하단부에 위치하는 퓨즈(50);와,
    상기 몸통(10) 하단부에 위치하는 플러그(60);와,
    상기 몸통(10) 상단부에 위치하여 전력을 조절하는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콘센트(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절부(30)는 상기 전력조절기(31)로 조절되어 현재까지 작동된 전력의 소비량을 알려주는 전력계산기(33)와,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표시전환버튼(34)과, 현재 전기 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 가격표시기(35)와, 상기 전력계산기(33)와 상기 가격표시기(35)에 설정된 값을 계산하여 나타내는 누적금액표시기(36)와, 설정된 값을 초기화하는 리셋 버튼(3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주간과 야간 또는 광량에 따라 센서인식을 다르게 하는 주/야 스위치(22)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탈부착이 가능한 제2 센서(24)가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센서(21,24) 중 인식을 원하는 센서를 선택하는 센서선택스위치(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센서(21,24)는 각각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자기 센서, 광 센서, 음향 센서, 미각 센서, 후각 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KR1020140043552A 2014-04-11 2014-04-11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KR10158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552A KR101582030B1 (ko) 2014-04-11 2014-04-11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552A KR101582030B1 (ko) 2014-04-11 2014-04-11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78A KR20150117878A (ko) 2015-10-21
KR101582030B1 true KR101582030B1 (ko) 2015-12-31

Family

ID=5440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552A KR101582030B1 (ko) 2014-04-11 2014-04-11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94B1 (ko) * 2021-04-29 2021-08-30 (주)티에이치엔 전기 차량용 멀티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42B1 (ko) 2011-10-05 2012-12-31 이민환 인체 감지에 의한 콘센트의 전력 자동 제어 방법
KR101268191B1 (ko) 2012-09-07 2013-05-27 백정호 사람 감지 여부에 따른 전기기기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3252037A (ja) 2012-06-04 2013-12-12 Sharp Corp 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管理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083A (ko) * 2004-10-25 2004-11-17 홍종운 밝기, 전류소모 및 리모콘 적외선 신호 인식 방식을겸비한 전력 공급 스케줄에 의한 제어방식을 가지는 전력절감장치
KR200462454Y1 (ko) 2010-09-29 2012-09-11 이종미 계단용 전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42B1 (ko) 2011-10-05 2012-12-31 이민환 인체 감지에 의한 콘센트의 전력 자동 제어 방법
JP2013252037A (ja) 2012-06-04 2013-12-12 Sharp Corp 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管理装置の制御方法
KR101268191B1 (ko) 2012-09-07 2013-05-27 백정호 사람 감지 여부에 따른 전기기기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78A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802B1 (ko) 동작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03693A1 (en)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82030B1 (ko) 센서를 이용한 전력조절 장치
CN202392892U (zh) 一种智能壁炉
US20150110479A1 (en) Wirelessly operated heating device of hot water dispenser
CN104661397A (zh) 按键背光灯调节系统及其调节方法
KR101037669B1 (ko) 콘센트의 대기전력차단장치
CA2947304C (en) Electronic control for engine block heater elements
CN201311055Y (zh) 一种自动恒温热水器
KR200469313Y1 (ko) 다기능 스위치장치
AU2006287152A1 (en) A heating device
JP5761563B2 (ja) リモコン装置、並びに、熱源装置
JP5846422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1540407B1 (ko) 실시간 전기요금 표시 장치
JP3180732U (ja) 方向が転換できるプラグ差し込み口を備えた電力メータ付きテーブルタップ
JP6655400B2 (ja) ガスメータ
CN205001655U (zh) 一种用于电热水龙头的电控屏
JP6761969B2 (ja) 情報端末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RU115599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литой
KR20080092057A (ko) 다기능 스위치
JP3160672U (ja) エコ表示機能を備えたタイマー装置
CN206247647U (zh) 温度保护热水器
KR20180047233A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소비전력 표시방법
KR20170114284A (ko) 개량형 멀티 탭
JP2010271018A (ja) こたつ用電源コード及びヒータユニット、こた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