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297B1 -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 Google Patents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297B1
KR101581297B1 KR1020140093652A KR20140093652A KR101581297B1 KR 101581297 B1 KR101581297 B1 KR 101581297B1 KR 1020140093652 A KR1020140093652 A KR 1020140093652A KR 20140093652 A KR20140093652 A KR 20140093652A KR 101581297 B1 KR101581297 B1 KR 10158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essential oil
heating
natural essent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9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발열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잣나무에서 추출한 식물성 성분을 주재료로 하는 열감 조성물을 직물에 흡진시켜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인 발열 기능성 직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캡사이신 20~40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30중량%, 실리콘수지 10~30중량%, 키토산 분말 5~15중량%, 정제수 2~5중량%를 혼합하여 열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열감 조성물 제조단계와; 상기 열감 조성물을 직물의 제조과정 중 침염 또는 패딩 공정에서 직물에 흡진시키는 직물 흡진단계와; 잣나무에서 추출된 천연정유물질에 직물을 담그는 천연정유물질 고착단계와; 상기 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FEVER CLOTH MANUFACTURE METHOD USING NUT PINE EXTRCTION COMPONENT AND CLOTH}
본 발명은 발열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잣나무에서 추출한 식물성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직물에 흡진시킴으로서 항균, 항진드기, 발열 기능을 나타내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의류가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겨울철 보온기능의 향상을 위한 발열의류 제품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발열 기능 직물에 관련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특허등록 제865589호에서는 직물에 캡사이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감 조성물을 흡진시켜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발열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체액 중 미소량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직물의 발열효율은 안정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항균 기능성이 부족하여 직물의 피부접촉시 피부가 약하거나 민감한 사용자에게는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감 조성물이 직접 피부와 접촉되어짐에 따라 성분의 손실이 발생되어지게 되어 점차 발열 기능이 감소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식물성 재료인 잣나무 추출 천연정유물질에 의해 열감조성물이 코팅되어진 발열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직물의 항균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열감조성물의 손실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발열성 직물 제조방법은, 캡사이신 20~40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30중량%, 실리콘수지 10~30중량%, 키토산 분말 5~15중량%, 정제수 2~5중량%를 혼합하여 열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열감 조성물 제조단계와; 상기 열감 조성물을 직물의 제조과정 중 침염 또는 패딩 공정에서 직물에 흡진시키는 직물 흡진단계와; 잣나무에서 추출된 천연정유물질에 직물을 담그어 직물에 고착시키는 천연정유물질 고착단계와; 상기 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열성 직물을 제조함에 있어 잣나무에서 고수율로 추출한 식물성 항균 천연정유물질이 함유됨으로써 직물의 항균, 항진드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천연정유물질이 직물에 코팅 형성되면서 열감 조성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직물의 발열효율이 안정적으로 지속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열 기능성 직물 제조과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의 제조과증을 도 1의 순서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열감 조성물 제조단계>
먼저, 열감 조성물 제조단계에서는 캡사이신 20~40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30중량%, 실리콘수지 10~30중량%, 키토산 분말 5~15중량%, 정제수 2~5중량%를 혼합하게 된다.
그 일 예로, 캡사이신 35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5중량%, 실리콘수지 20중량%, 키토산 분말 15중량%, 잣나무 추출 천연정유물질 10중량%, 정제수 5중량%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중 유성(油性) 성분과 수성(水性) 성분이 유화되도록 매개하는 성분으로, 직물 가공용 조성물로서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특히 에테르형 계면활성제,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직물에 적용시 직물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성분으로, 캡사이신이 직물의 원단에 잘 고착되게 하고 내구성을 부여하는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키토산 분말은 직물에 적용시 항균성, 방취성, 상처치유 및 보습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토산은 갑각류, 충류, 균류 등에서 얻을 수 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제조된 것으로 D-글루콘산과 N-아세틸-D-글루콘산 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로서, 본 발명에서는 키토산을 미세하게 분말화된 수용성 키토산을 사용할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나 용액으로서의 성상에 적합하다.
<직물 흡진단계>
그리고, 직물 흡진단계에서는 직물의 제조과정 중 침염 또는 패딩 공정에서 직물에 상기 열감 조성물을 흡진시키게 된다.
침염시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 분간 처리하면 효과적이며, 패딩시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5 분간 처리할 수 있다.
침염시 pH가 5.0 미만이거나 6.0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열감 가공액이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 중에 흡진이 불충분한 경향이 있고, 또한 침염 온도가 40 ℃ 미만일 경우 열감 가공액이 직물에 흡진되는 정도가 불충분한 경향이 있으며, 침염 온도가 50 ℃를 초과하면 열감 가공액의 안정성이 파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염 시간이 20 분 미만으로 짧으면 열감 가공액의 흡진이 불충분하고, 30 분을 초과하여 길면 직물에 흡진된 성분이 다시 빠져나와 효과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패딩시 pH가 5.0 미만이거나 6.0 을 초과하면 열감 가공액의 흡진이 불충분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패딩시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열감 가공액의 흡진이 불충분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패딩시 가공온도 조건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열감 가공액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딩 시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길면 열감 가공액이 다시 빠져나오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
<천연정유물질 고착단계>
이후, 잣나무에서 고수율로 추출된 천연정유물질을 직물에 고착시키게 된다.
이때, 고착되는 천연정유물질은 미건조 상태의 잣나무, 바람직하게는 한국산 잣나무 구과의 인편을 증류플라스크에 넣고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로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10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동안 증기 증류, 열수추출, 환류 순환 추출 또는 압력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증기 증류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1℃로 유지시킨 냉각관을 통해 수득된 잣나무 천연정유물질이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이 수득된 잣나무 추출 천연정유물질(피톤치드)은 실험 결과 다수의 세균에 대해 항세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ATCC 6633, 이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DC2, 클렙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 1082 E와 같은 균주에 대해 높은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항세균성 기능을 갖는 잣나무 천연정유물질에 직물을 담그어 고착되어지게 되면, 직물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열감조성물을 보호함과 함께 직물의 항세균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천연정유물질의 고착력 증대를 위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가 혼합 사용됨이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서는 유화제인 계면활성제 또는 실리콘 수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3~4시간 교반 후 72시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 천연정유물질과 혼합 사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방사단계>
한편, 선택적으로 천연정유물질 고착단계 후에는 잣나무 추출 천연정유물질이 균일한 코팅층을 이룰 수 있도록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방사시키는 자외선 방사단계가 추가된다.
즉, 자외선이 방사되어지게 되면 고착되어 진 천연정유물질이 용융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항균 효과가 나타내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직물 건조단계>
그리고, 상기 열감 조성물 및 항세균성 천연정유물질이 흡진된 직물을 건조단계를 거치도록 하면 조성물 중에 사용된 열감 조성물 중 실리콘 수지가 가교효과를 나타내어 직물에 더욱 단단히 고착됨과 함께 천연정유물질의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건조 온도는 100 내지 130 ℃ 범위가 바람직하며, 건조 시간은 1 내지 5 분간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고착이 불충분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높으면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발열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발열 기능성 직물은, 착의시 체액과 반응하여 발열되는데, 이때, 발열되는 열량은 인체의 피부 온도를 0.6 내지 2 ℃ 범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착의하는 동안 발열온도가 지속된다. 직물에 적용시 내구성이 우수하여 30 회의 세탁으로도 발열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직물에 코팅 형성된 잣나무 추출 천연정유물질로 인해 항균, 항진드기 효과를 나타내어 착의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캡사이신 20~40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30중량%, 실리콘수지 10~30중량%, 키토산 분말 5~15중량%, 정제수 2~5중량%를 혼합하여 열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열감 조성물 제조단계와;
    상기 열감 조성물을 직물의 제조과정 중 침염 또는 패딩 공정에서 직물에 흡진시키는 직물 흡진단계와;
    미건조 상태의 자연산 잣나무 구과의 인편을 물에 증기 증류한 후, 냉각관을 통해 얻어진 천연정유물질에 직물을 담그어서 고착시키는 천연정유물질 고착단계와;
    상기 고착이 이루어진 천연정유물질에 균일한 코팅층을 이룰 수 있도록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방사단계와;
    상기 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KR1020140093652A 2014-07-23 2014-07-23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KR10158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652A KR101581297B1 (ko) 2014-07-23 2014-07-23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652A KR101581297B1 (ko) 2014-07-23 2014-07-23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297B1 true KR101581297B1 (ko) 2015-12-30

Family

ID=5508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652A KR101581297B1 (ko) 2014-07-23 2014-07-23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2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56B1 (ko) * 2017-11-01 2018-09-06 김덕진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발생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CN108589292A (zh) * 2018-06-26 2018-09-28 常州市蒽盗钟情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紫外线纤维
CN109023930A (zh) * 2018-08-21 2018-12-18 桐庐雷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健功能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89B1 (ko) * 2008-07-09 2008-10-28 김명환 발열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발열기능성 직물
KR20120098117A (ko) * 2011-02-28 2012-09-05 우인창 피톤치드 정유액을 포함하는 물티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89B1 (ko) * 2008-07-09 2008-10-28 김명환 발열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발열기능성 직물
KR20120098117A (ko) * 2011-02-28 2012-09-05 우인창 피톤치드 정유액을 포함하는 물티슈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56B1 (ko) * 2017-11-01 2018-09-06 김덕진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발생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CN108589292A (zh) * 2018-06-26 2018-09-28 常州市蒽盗钟情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紫外线纤维
CN109023930A (zh) * 2018-08-21 2018-12-18 桐庐雷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健功能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297B1 (ko)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발열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Massella et al. Textiles for health: A review of textile fabrics treated with chitosan microcapsules
BR112016001974A8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a partícula, partícula obtida a partir do processo, composição líquida, composição para cuidado doméstico ou cuidados pessoais e método de tratamento de um substrato
Holme Innovative technologies for high performance textiles
KR101925995B1 (ko)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흡한속건 조성물 및 흡한속건성 원단
KR20040071736A (ko) 곰팡이의 부착 저해
KR100964027B1 (ko)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CN101263257A (zh) 将含硅化合物连接至表面以及合成超价硅化合物的方法
CN102383304B (zh) 具有杀虫效果的家用纺织品及其加工方法
KR100865589B1 (ko) 발열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발열기능성 직물
Abdul Aziz et al. Microencapsulation of essential oils application in textile: A review
CN107724094A (zh) 一种防紫外线的微胶囊纱巾整理剂及其制备方法
KR20090025095A (ko) 향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향기나는 원단, 혼합제 및 그제조방법
ES2747440T3 (es) Fibra cortada recubierta adecuada para obtener acolchados aislados térmicos y flotantes, y proceso para obtener dicha fibra
DE1012168B (de) Verfahren zum Wasserabweisendmachen von Faserstoffen
KR101030604B1 (ko)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Abdel-Aziz et al. Microencapsulation and its application in textile wet processing: A review
KR102298711B1 (ko) 탄소함유 수성잉크로 인쇄한 전자파 차단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파 차단 직물지
KR101581296B1 (ko)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냉감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CN107854394A (zh) 一种修护洗发水
KR20080104699A (ko) 모기해충 퇴치기능을 가지는 섬유의 제조방법
CA1176828A (en) Ultraviolet absorbent silicone based emulsions for vinyl polishes
KR102375120B1 (ko) 캡슐형 보습 가공제와 이를 적용한 보습 섬유 원단 및 이들 각각에 대한 제조방법
CN106149399B (zh) 芳香型人造革的制备方法
KR101056177B1 (ko) 항균성 무기물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