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027B1 -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027B1
KR100964027B1 KR1020100018827A KR20100018827A KR100964027B1 KR 100964027 B1 KR100964027 B1 KR 100964027B1 KR 1020100018827 A KR1020100018827 A KR 1020100018827A KR 20100018827 A KR20100018827 A KR 20100018827A KR 100964027 B1 KR100964027 B1 KR 10096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press
fiber
leaves
pulverized product
essentia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덕한
이상래
구관효
임종택
강승미
Original Assignee
(주)농부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농부가 filed Critical (주)농부가
Priority to KR102010001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05Compositions containing perfumes; Compositions containing deodora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섬유에 함유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편백나무 분쇄물에 기공을 형성시킨 후 여기에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도포하고 이를 섬유에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섬유의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편백나무잎의 방향성분 발산이 섬유에서 좀더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는 진드기 등에 대한 방충효과가 뛰어나고 항균력이 우수하며, 또한 편백나무잎에 함유된 방향성분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발산되고 섬유제조 초기 편백향 발산이 강하지 않으므로 강렬한 향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extile containing extract made from Chamaecyparis obtusa leaves}
본 발명은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섬유에 함유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편백나무 분쇄물에 기공을 형성시킨 후 여기에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도포하고 이를 섬유에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섬유의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편백나무잎의 방향성분 발산이 섬유에서 좀더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인구의 도시집중이 점점 심화되고, 이에 따른 환경공해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공해는 인간생활을 정신적으로 황폐하게 하고 육체적으로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함과 더불어 오염되지 않은 자연환경을 조성하여 건강을 증진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에는 식물이 발산하는 방향성분을 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방향성분 중에는 대표적으로 피톤치드(phytoncide)가 있는데, 피톤치드는 수목이 미생물과 각종 균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발산하는 천연의 항균물질로서, 독특한 방향성(芳香性)을 가지며 강력한 공기정화력과 유해물질 중화작용이 있어, 심폐, 혈관, 호흡기 기능강화 및 피부 살균작용 등 여러 가지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의 방출량과 함유된 성분은 수목마다 다르고 침엽수는 활엽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방출량은 타 수목에 비하여 월등할 뿐만 아니라 그 효능도 뛰어난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피톤치드를 상품 등에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해 편백나무를 이용한 탈취제, 항균제 등의 상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목을 상품화하면 수목의 생체활동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수목에 함유된 방향물질의 발산량이 시간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향물질의 발산량을 조절하여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안으로는 방향물질을 정유(精油)화한 다음 마이크로캡슐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섬유에 적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섬유를 방향성 마이크로캡슐 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할 경우, 캡슐이 섬유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마찰과 같은 물리적 충격이 섬유에 가해질 경우 캡슐이 쉽게 파열되면서 방향성분이 공기 중으로 발산되어 섬유의 방향성분 함유량이 급속히 감소된다.
다른 방법으로 섬유를 마이크로캡슐 용액에 침지, 건조시킨 후 열경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열경화 과정 중에 마이크로캡슐이 분해되어 방향성분이 섬유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마이크로캡슐 용액에 수지종류의 바인더를 첨가한 후 섬유에 침지 또는 분무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또한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마이크로캡슐을 보호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섬유에 방향성분을 오래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섬유에 방향성분을 오래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백나무잎을 채취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잎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편백나무잎에 용매를 첨가한 다음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냉각시켜 편백정유를 얻는 단계, 잎이 달린 편백나무 잔가지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60~70℃의 온도로 100~150분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분쇄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분쇄물에 상기 편백정유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편백정유가 도포된 분쇄물을 섬유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열하는 단계의 용매는 물 또는 알코올이고, 상기 용매의 첨가량은 편백나무잎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용매 400~450중량부이며, 가열은 70~80℃에서 100~150분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하는 단계의 편백정유를 수지물질로 마이크로캡슐화한 다음 분쇄물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편백나무 잔가지를 0.5~1.5㎝ 크기로 파쇄한 다음 0.3~0.5㎜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숙은 부압하에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숙하는 단계와 동결건조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증숙된 분쇄물을 비닐 포장하여 상온에서 20~30시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물을 섬유에 첨가하는 단계에서의 분쇄물 첨가량은 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쇄물 5~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물을 섬유에 첨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편백정유를 수지물질로 마이크로캡슐화한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을 추가로 섬유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는 진드기 등에 대한 방충효과가 뛰어나고 항균력이 우수하며, 또한 편백나무잎에 함유된 방향성분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발산되고 섬유제조 초기 편백향 발산이 강하지 않으므로 강렬한 향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솜의 진드기 기피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솜의 정균감소율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피톤치드라는 방향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편백나무의 잎에 다량 함유된 휘발성 방향물질을 추출하고 이를 섬유에 적용하되 상기 방향물질이 섬유에서 오랫동안 발산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1) 편백나무잎 준비단계
먼저, 편백나무잎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한다.
일반적으로 편백나무잎에 함유된 수분은 여름인 6~8월에 가장 많고, 봄과 가을인 3~5월 및 9~10월에는 여름에 비하여 수분이 15% 정도 감소하며, 겨울인 11~2월에는 여름에 비하여 수분이 30% 정도 감소한다.
따라서, 편백나무잎으로부터 피톤치드를 추출하기 위하여는 여름에 채취한 편백나무잎을 이용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2) 편백정유(精油) 제조단계
일반적으로 정유라 함은 수목이 만들어 발산하는 휘발성 방향유(芳香油)로서, 인체를 쾌적하게 해주며 항균, 방충, 소취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편백나무잎에서 정유를 추출하여 이용한다.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잎을 분쇄하는데, 상기 분쇄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지름 1㎜ 미만으로 잘게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분쇄된 편백나무잎을 증기 포집장치가 구비된 가열용기에 넣고 용매를 첨가한 다음 가열한다.
상기 포집장치는 냉각수단 및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용기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용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 및 응축시켜 액체상태로 저장용기에 포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매는 물 또는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의 첨가량은 편백나무잎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용매 400~4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 첨가량이 400중량부 미만이면 편백나무잎의 휘발성 방향물질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고 편백나무잎에 잔류하게 되어 추출률이 낮아지며, 45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열에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어 연료비가 상승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가열은 70~80℃에서 100~150분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70℃ 미만이면 휘발성 방향물질의 증발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80℃를 초과하면 편백나무잎에 함유되어 있는 방향성분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가열시간은 편백나무잎의 방향물질이 충분히 증발되는 시간범위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하면 편백나무잎에 함유된 휘발성 방향물질이 증발되어 가열용기의 상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포집장치의 냉각수단을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 및 응축되어 저장용기에 모여 편백정유가 얻어진다.
3) 편백정유의 마이크로캡슐화 단계
상기 편백정유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편백정유를 마이크로캡슐화하면 방향물질의 발산을 좀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화는 상기 편백정유를 수지물질로 감싸서 마이크로 크기로 캡슐화하는 것으로서, 휘발성 방향물질이 발산되지 않거나 낮은 속도로 발산되도록 하여 방향(芳香)이 오래 지속될 수가 있다.
마이크로캡슐화에 사용되는 수지는 방향물질이 발산되지 않도록 하거나 조금씩 발산되도록 해야하고, 물리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 파괴되어 방향물질이 발산되는 특성을 가져야 하는데, 예를 들면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수지(urea formaldehyde resin) 또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melamine formaldehyde resi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은 직접 제조하거나 상기 제조된 편백정유를 마이크로캡슐 제조업체에 의뢰하여 마이크로캡슐화하거나 또는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은 종래에 여러 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상분리법(coacervation), 계면중합법(interfacial polymerization), 분무건조법(spray drying) 또는 인-시투 중합법(in-situ polymerization) 등의 방법으로 수지를 이용하여 방향물질을 감싸는 것으로서, 어느 방법이든 본 발명의 적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4) 편백나무 분쇄물 제조단계
잎이 달린 편백나무 잔가지를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한 다음 분쇄한다.
상기 분쇄는 먼저 파쇄기를 이용하여 0.5~1.5㎝ 크기로 파쇄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이 효율 면에서 유리하며, 통상 섬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0.3~0.5㎜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증숙단계
상기 편백나무 분쇄물을 60~70℃의 온도로 100~150분 증숙한다. 상기 증숙은 부압하에서 시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증숙되는 동안 편백나무 분쇄물 내부로 수분이 스며들게 되는데, 상기 증숙온도 및 증숙시간은 방향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수분이 편백나무 분쇄물 내부로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는 범위이다.
상기 증숙이 완료되면 편백나무 분쇄물을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숙성시키지 않으면 편백나무의 향이 너무 강하여 이를 섬유제품에 적용하면 제조 초기에 향이 너무 강렬하여 거부감이 들 수 있으므로 숙성을 통하여 강한 향을 순화시킨다.
숙성은 상기 편백나무 분쇄물을 비닐 포장하여 상온에서 20~30시간 보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6) 동결건조단계
상기 증숙이 완료된 편백나무 분쇄물을 동결건조한다.
상기 증숙과정에서 편백나무 분쇄물 내부로 스며든 수분은 동결 중에 얼음입자로 팽창하고 건조과정에서 분쇄물 내부로부터 빠져나가면서 동결된 얼음입자 크기의 공간만큼 편백나무 분쇄물 내부에 기공을 형성시킨다.
즉, 동결건조하게 되면 편백나무의 경우 부피가 약 1% 정도 더 늘어나게 되는데, 수분이 있던 공간 및 증가된 부피만큼 다른 물질이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7) 편백정유 도포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편백나무 분쇄물에 상기 제조된 편백정유를 도포한다.
도포된 편백정유는 편백나무 분쇄물에 형성된 기공에 스며들게 되어 마찰과 같은 물리적인 충격에도 편백나무 분쇄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편백정유 대신에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을 도포할 경우 이탈방지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파괴가 일시에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방향물질의 발산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편백정유 또는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을 섬유에 흡착시키면 약 3~5일 정도 방향물질이 발산되다가 사라지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편백나무 분쇄물에 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기공에 편백정유 또는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을 흡착시켜 섬유에 적용하면 약 3년 정도 지속적으로 방향물질이 발산된다.
8) 섬유에 첨가하는 단계
다음은 상기 편백정유 또는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이 도포된 편백나무 분쇄물을 섬유에 첨가한다.
첨가량은 섬유 100중량부에 편백나무 분쇄물 5~1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백나무 분쇄물이 첨가된 섬유에 상기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섬유에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을 추가하면 초기에는 방향물질이 주로 상기 추가된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로부터 발산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편백나무 분쇄물에 흡착된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로부터 발산되어,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의 편백향이 초기부터 발산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의 추가량만큼 상기 편백나무 분쇄물 첨가량을 줄일 수도 있다.
첨가방법은 섬유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하며, 예를 들어 일반 직물에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바인더를 상기 편백나무 분쇄물에 혼합하여 직물에 첨가하고, 부직포의 경우 부직포 원료에 상기 편백나무 분쇄물을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7월경 편백나무잎 1㎏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한 다음 분쇄기(주문제작, 광명기계, 한국)를 이용하여 0.4㎜ 크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편백나무잎을 상부에 냉각기 및 저장통이 연결된 가열기에 넣고 물 4.3㎏을 첨가한 다음 75℃의 온도로 120분간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기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부의 냉각기를 통과하는 동안 응축되어 저장통에 모여져 액상의 편백정유가 제조된다.
다음은 잎이 달린 편백나무 잔가지 1㎏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한 다음 파쇄기(DY-6000, 동양테크롤, 한국)를 이용하여 1.0㎝ 크기로 파쇄한 다음 상기 분쇄기를 이용하여 0.4㎜ 크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편백나무 분쇄물을 -100㎜Hg 계기압 하에서 65℃의 온도로 120분간 증숙하였다.
다음은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쇄물을 동결건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편백정유에 침지한 후 건져두어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였다.
솜틀기에 목화솜 7㎏과 상기 표면의 물기가 제거된 편백나무 분쇄물 750g을 넣고 타면(打綿)하여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솜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진드기 기피성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의 솜을 제조 직후의 솜(시험시료 #1), 제조 후 상온에서 1일 경과하여 편백나무 분쇄물이 반건조 된 솜(시험시료 #2) 및 제조 후 상온에서 2일 경과하여 편백나무 분쇄물이 완전건조된 솜(시험시료 #3)으로 분류한 다음 진드기 기피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시험은 편백나무 분쇄물이 첨가되지 않은 일반 목화솜을 대조시료로 하여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사용된 진드기는 큰다리 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이고, 기피성의 계산은 하기식과 같다.
* 기피성(%)=(대조시료의 진드기수-시험시료의 진드기수)/대조시료의 진드기수×100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솜의 진드기 기피성이 91.6%(시험시료 #1), 88.1%(시험시료 #2), 85.2%(시험시료 #3)로 나타나, 편백나무 분쇄물이 첨가되지 않은 일반 목화솜에 비하여 진드기의 접근 방지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항균도 측정
편백나무 분쇄물이 첨가되지 않은 일반 목화솜(시료1)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의 솜(시료2)의 정균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시험은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KS K 0693:2006(직물의 항균도 시험 방법)에 의거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시균1(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대한 정균감소율은 시료1이 68.8%, 시료2가 99.2%이고, 공시균2(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에 대한 정균감소율은 시료1이 7.7%, 시료2가 99.8%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솜이 편백나무 분쇄물이 첨가되지 않은 일반 목화솜에 비하여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1 및 시료2를 제조 직후 및 제조 후 1달 경과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항균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간경과에 따른 정균감소율 측정결과
시료1 (%) 시료2 (%)
제조 직후 1달 경과 제조 직후 1달 경과
Staphylococcus aureus 68.8 12.8 99.2 97.8
Klebsiella pneumoniae 7.7 3.4 99.8 98.3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 후 1달 경과시 시료1의 일반 목화솜의 항균력은 대부분 사라진 반면에, 시료2의 실시예의 솜은 항균력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는 진드기 등에 대한 방충효과가 뛰어나고 항균력이 우수하며, 또한 편백나무잎에 함유된 방향성분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발산되고 섬유제조 초기 편백향 발산이 강하지 않으므로 강렬한 향을 싫어하는 사용자도 거부감없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편백나무잎을 채취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편백나무잎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편백나무잎에 용매를 첨가한 다음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냉각시켜 편백정유를 얻는 단계;
    잎이 달린 편백나무 잔가지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60~70℃의 온도로 100~150분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분쇄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분쇄물에 상기 편백정유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편백정유가 도포된 분쇄물을 섬유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의 용매는 물 또는 알코올이고, 상기 용매의 첨가량은 편백나무잎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용매 400~450중량부이며, 가열은 70~80℃에서 100~150분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하는 단계의 편백정유를 수지물질로 마이크로캡슐화한 다음 분쇄물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편백나무 잔가지를 0.5~1.5㎝ 크기로 파쇄한 다음 0.3~0.5㎜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숙은 부압하에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숙하는 단계와 동결건조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증숙된 분쇄물을 비닐 포장하여 상온에서 20~30시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을 섬유에 첨가하는 단계에서의 분쇄물 첨가량은 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쇄물 5~1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을 섬유에 첨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편백정유를 수지물질로 마이크로캡슐화한 편백정유 마이크로캡슐을 추가로 섬유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KR1020100018827A 2010-03-03 2010-03-03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KR10096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827A KR100964027B1 (ko) 2010-03-03 2010-03-03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827A KR100964027B1 (ko) 2010-03-03 2010-03-03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027B1 true KR100964027B1 (ko) 2010-06-15

Family

ID=4237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827A KR100964027B1 (ko) 2010-03-03 2010-03-03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02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66B1 (ko) * 2011-09-02 2012-05-14 대성정밀주식회사 편백나무-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228B1 (ko) 2011-09-09 2012-12-20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대청을 이용한 항균 헝겊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8156B1 (ko) * 2011-11-09 2013-01-30 (주)한성헬스피아 은행나무 추출액이 코팅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71877B1 (ko) 2011-11-09 2013-06-05 (주)한성헬스피아 나무 추출액이 코팅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090B1 (ko) 2011-11-09 2013-09-09 (주)한성헬스피아 편백나무로 표면처리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34390B1 (ko) 2012-04-23 2013-12-17 구윤본 편백정유를 함유하는 기능성 타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타올
KR101545102B1 (ko) * 2014-11-07 2015-08-17 박명률 피톤치드 힐링가구 제조방법
KR20160088114A (ko) 2015-01-15 2016-07-25 이대경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160092102A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항균 및 소취성이 우수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8812B1 (ko) 2018-12-17 2020-05-11 (유)현대어패럴 피톤치드 캡슐 부착률이 향상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아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172A (ja) * 1994-03-07 1995-09-19 Sakagami Taoru Kk 抗菌・防ダニ性の布製品
KR19990083666A (ko) * 1999-02-24 1999-12-06 오윤명 편백으로부터추출된항균,항진균효과를갖는정유의추출방법.
KR20050037740A (ko) * 2003-10-20 2005-04-25 엔바이타(주) 마이크로캡슐화된 피톤치드로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828927B1 (ko) 2007-05-02 2008-05-13 송천길 편백나무의 정유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172A (ja) * 1994-03-07 1995-09-19 Sakagami Taoru Kk 抗菌・防ダニ性の布製品
KR19990083666A (ko) * 1999-02-24 1999-12-06 오윤명 편백으로부터추출된항균,항진균효과를갖는정유의추출방법.
KR20050037740A (ko) * 2003-10-20 2005-04-25 엔바이타(주) 마이크로캡슐화된 피톤치드로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828927B1 (ko) 2007-05-02 2008-05-13 송천길 편백나무의 정유 추출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66B1 (ko) * 2011-09-02 2012-05-14 대성정밀주식회사 편백나무-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228B1 (ko) 2011-09-09 2012-12-20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대청을 이용한 항균 헝겊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8156B1 (ko) * 2011-11-09 2013-01-30 (주)한성헬스피아 은행나무 추출액이 코팅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71877B1 (ko) 2011-11-09 2013-06-05 (주)한성헬스피아 나무 추출액이 코팅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090B1 (ko) 2011-11-09 2013-09-09 (주)한성헬스피아 편백나무로 표면처리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34390B1 (ko) 2012-04-23 2013-12-17 구윤본 편백정유를 함유하는 기능성 타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타올
KR101545102B1 (ko) * 2014-11-07 2015-08-17 박명률 피톤치드 힐링가구 제조방법
KR20160088114A (ko) 2015-01-15 2016-07-25 이대경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160092102A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항균 및 소취성이 우수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4365B1 (ko) * 2015-01-26 2016-09-07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항균 및 소취성이 우수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8812B1 (ko) 2018-12-17 2020-05-11 (유)현대어패럴 피톤치드 캡슐 부착률이 향상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아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027B1 (ko) 편백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제조방법
Ghayempour et al. Micro/nanoencapsulation of essential oils and fragrances: Focus on perfumed, antimicrobial, mosquito-repellent and medical textiles
US8529968B2 (en) Decontaminating composition having simultaneously bactericidal, fungicidal and virocidal properties, methods for obtaining and using said composition
CN107326685B (zh) 红松植物杀菌素整理剂的制备及其整理的织物及整理方法
JP2011504209A (ja) 天然植物を模倣する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繊維で作られた織物
KR101367059B1 (ko) 편백나무 볼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한 편백나무 볼
US11370989B2 (en) Fragrant material having long-lasting fragr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20082912A1 (zh) 一种空气清新剂、空气清新器及其制作方法
KR101430706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bdel-Aziz et al. Microencapsulation and its application in textile wet processing: A review
KR100768938B1 (ko) 나노 항균성 천연물질을 코팅, 함침한 원단
CN106111073B (zh) 一种干燥剂及其制备方法
CN101878787B (zh) 一种天然驱蚊香粉及其使用方法
KR20130112571A (ko) 투명한 계피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충제 조성물
KR100897788B1 (ko) 모기해충 퇴치기능을 가지는 섬유의 제조방법
CN102133418A (zh) 一种菊米功效性香薰片及其制备方法
KR101517479B1 (ko) 해충의 살충, 살비, 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002812U (ko) 허니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8200B1 (ko) 피톤치드 캡슐과 보습가공제로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4990A (ko)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원단 도포용 조성물
KR20130010571A (ko) 편백분말 접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편백분말 접착 패드
KR100999577B1 (ko) 모기기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모기기피 직물
KR101267768B1 (ko)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KR101382201B1 (ko) 원적외선 방사 액상제제를 함유하는 위생용 흡수물품의 제조방법
Martinez et al. Biofunctional textiles: functional polymer-carriers with antiviral,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repellent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